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2); 2015 > Article
숲 이미지 산책이 여자소년원 원생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Many works strongly show that forest healing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spect of human health. Unfortunately, people restricted mostly to indoor activities, such as the disabled, elderly in long-term care, and reformatory facility students, are not normally able to attend forest healing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indoor forest experiences on human health. Twenty-two students in a female reformatory fac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1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alking program in the forest image 10 times for 15 minutes per da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were part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magined walking in a forest while viewing forest image slideshow and listening to forest sound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Aggression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before the start of the program, at the end program, and 2 weeks after the program has end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while showing only a slight decrease in agg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ho have lack of access to outdoor activities may enjoy the benefits of forest experiences within indoors.

서론

숲속에서 숲과의 교류를 통한 활동이 인간의 육체적 · 정신적 건 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숲 환 경과의 간접적인 접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서 창문 밖으로 산림경관 조망이 가능한 집단이 그렇지 못한 집단에 비해 심리적 · 생리적으로 더 건강하였다고 하 며(Ulrich, 1984; Hartig et al., 2003), Shin(2007)에 의하면 창밖 으로 도시림 경관을 볼 수 있는 사무실근로자의 근무스트레스가 그 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매우 낮았다고 한다. 또한 산림과 별개의 실내공간에서 산림 경관 사진과 소리에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인체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Lee, 2009; Kim, 2014). 이런 연구결과들은 숲 환경요소들과의 간접적인 접 촉도 직접적인 숲 활동처럼 인간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미칠 수 있 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연구 참여자가 산림요소들 에 대해 수동적·일상적으로 노출된 결과들로서, 산림요소들을 활 용한 간접적인 숲 활동을 여러 회기에 걸쳐 적극적인 프로그램 형 태로 시행할 경우 피험자들에게 어떤 효과가 미칠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그러한 연구가 수행되고 효과가 검증된다면, 신체적 · 환 경적 제약으로 인해 직접적인 숲 활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건강 증 진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 어 장애인들, 노인요양병원의 노인들이나 요양보호사들, 교도소, 소년원 등 격리시설 수용자들의 경우 산림치유를 통해 신체적 · 정 신적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여도 숲을 직접 방문하기가 어려운 실정 이므로 간접적인 숲 체험 프로그램의 적용이 적절할 것이다.
그 중에서 소년원에 수용된 청소년들의 경우를 보면 매우 높은 공격성(Kim, 2002)과 충동성(Lee, 2007), 그리고 낮은 자아존중 감(Kim, 2001; Cho, 2005)의 특성을 보이며, 이런 부정적인 심리 특성을 교정하기 위하여 원예요법, 미술치료, 음악치료, 집단상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데, 산림치유 기능을 활 용한 교정프로그램의 적용 또한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적인 숲 활동이 제한된 소년원생들을 대 상으로 간접적인 숲 체험 프로그램이 그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C시에 소재한 여자소년원 원생 중 실험기간 내 퇴원 예정자와 환 자 등 부적격자를 제외한 2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1명, 대조군 11 명으로 구성하였다.

2. 측정도구

1) 공격성 척도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uss and Durkee(1957)가 제작한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를 바탕으로 No(1983) 가 번안하고 Ko(1994)가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BDHI는 총 21개 문항이며 방어적 · 반응적 공격성, 기질적 · 자발적 공격성, 공격성 표현의 통제력, 자기 주장적 태도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범위는 21에서 84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격성 이 크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 척도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700 ~ .881 이었다.

2) 자아존중감 척도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척도는 Rosenberg(1965) 가 개발한 Self Esteem Scale(SES)을 Jeon(1974)이 번안한 것이 다. 총 10문항이며 긍정적 5문항과 부정적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다. 점수 범위는 10에서 4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 존중 감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 척도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749 ~ .875 이었다.

3. 실험방법

본 연구의 간접적인 숲 체험은 숲속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 어지는 활동인 산책을 숲 이미지와 소리를 활용하여 가상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상으로 만들어진 산책 코스에 맞는 이 미지와 소리를 제공하여 자신의 생활공간에 머문 채 상상으로써 숲 산책을 즐기는 활동이다. 또한, 다양한 동식물, 바위, 계곡과 같은 경관과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와 같은 소리, 솔향기, 피톤치드, 음이온과 같은 향기 등 숲의 여러 긍정적인 요소들과 함께하는 장 면을 적극적으로 상상하며 실제 산책처럼 즐겁게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이 프로그램의 명칭을 ‘숲 이미지 산책’이라 칭하고자 한다.
실험군을 대상으로 숲 이미지 산책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그들 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주 말을 제외한 10일 동안 1일 1회씩 총 10회기로 소년원 교육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회기당 시간은 15분이었다. 또한, 시행의 연속성 확 보와 외부적인 변수요인의 통제를 위하여 매회 오전 동일시간에 시 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은 숲 이미지로 구성된 슬라이드쇼를 빔 프로젝트로 교육실 전면에 띄워주면 15분 동안 각자 조용히 숲 이 미지산책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숲 이미지 산책에 사용한 프리젠테이션은 연구 참여자들의 몰입 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로 숲을 산책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제작하였다. 숲길을 걷는 스토리를 정하고, 그에 맞는 사진과 소리 를 선택하여 배치하였고 자막을 삽입하여 연상이 용이하도록 하였 다. 숲의 소리는 산림청 지원으로 산림현장에서 직접 채록하여 제작 한 ‘산림생태 소리와 노래기행’ CD(2010)에 수록된 다양한 자연의 소리 중에서 보편적인 소리인 물소리와 새소리, 바람소리를 사용하 였다. 화면구성은 가급적 각 장소들을 순차적으로 산책하는 내용이 되도록 하면서 그 흐름에 어울리는 간단한 자막들을 삽입하였다.

4. 실험절차

본 연구의 실험절차는 Fig. 1과 같다. 실험군은 2주 동안 숲 이미 지 산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대조군은 소년원 내부의 스케줄 에 따라 생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자가설문지인 공격성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 사후에 작성하고, 지속효과를 보 기 위해 프로그램이 끝난 2주후에 다시 한 번 측정했다.
Fig. 1.
Experimental procedure.
KSPPE-18-105_F1.gif

5. 자료분석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 시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 사후, 2주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 응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성 기준은 .05로 하였으며, 자료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 22명은 모두 여자 소년원생이었 으며 평균연령은 18.4세였다(Table 1).
Table 1.
The configuration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tem Group N mean SD
Age Control 11 18.82 1.328
Experiment 11 18.00 1.414

2.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한 독립 t-test 결과는 Table 2와 같 다. 공격성과 하부요인 4가지, 자아존중감 모두 p값이 .05보다 매 우 크므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은 동질하였다 고 볼 수 있다.
Table 2.
Test of homogeneity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Items Group N mean (SD) t p
Aggression (Integral) Control 11 54.09 (11.04) .334 .742
Experiment 11 52.45 (11.89)
sub-scales Defensive aggression Control 11 17.27 (5.74) .647 .525
Experiment 11 15.82 (4.75)
Congenital aggression Control 11 16.00 (2.64) .103 .919
Experiment 11 15.82 (5.21)
Control of aggression expressed Control 11 12.18 (2.67) -.074 942
Experiment 11 12.27 (3.06)
Assertive attitude Control 11 8.64 (1.43) .183 .857
Experiment 11 8.55 (0.82)
Self-Esteem Control 11 26.55 (6.20) -.225 .824
Experiment 11 27.09 (5.12)

3. 공격성 측정 결과

실험 전과 실험 후, 실험이 끝나고 2주후의 공격성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Table 3, 4와 같다. 대조군의 공격성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1.46점, 사후 2주후에 2.82점 증가하여 실험기간 동안 지속 적으로 상승하였다. 실험군의 경우는 사전에 비해 프로그램 시행 후에 1점 감소하였고 사후 2주후에 1.82점 증가하여 다소 증가한 수치를 나타냈다. 즉 대조군의 공격성은 실험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상승한 반면, 실험군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은 아니 지만 2주간의 프로그램 시행 후에 다소 감소된 결과를 보인 것이므 로 숲 이미지산책이 실험군의 공격성 완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 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pre, post and maintenance results of aggression.
Items Group Pre-test Post-test Maintenance
mean (SD) mean (SD) mean (SD)
Aggression (Integral) Control 54.09 (11.04) 55.55 (11.02) 56.91 (12.63)
Experiment 52.45 (11.89) 51.45 (9.32) 54.27 (9.93)
sub-scales Defensive aggression Control 17.27 (5.74) 17.09 (5.37) 17.36 (5.60)
Experiment 15.82 (4.75) 15.36 (3.93) 16.09 (4.06)
Congenital aggression Control 16.00 (2.64) 17.55 (4.39) 18.36 (5.02)
Experiment 15.82 (5.21) 14.91 (3.27) 18.00 (5.71)
Control of aggression expressed Control 12.18 (2.67) 12.64 (2.29) 12.91 (2.58)
Experiment 12.27 (3.06) 12.45 (2.29) 11.82 (2.27)
Assertive attitude Control 8.64 (1.43) 8.27 (2.10) 8.27 (1.61)
Experiment 8.55 (0.82) 8.73 (1.00) 8.36 (2.01)
Table 4.
Results of paired t-test of aggression.
Items Group Pre-Post Pre-Maintenance
t p t p
Aggression (Integral) Control -1.041 .322 -1.594 .142
Experiment .618 .550 -.746 .473
sub-scales Defensive aggression Control .319 .756 -.118 .908
Experiment .697 .501 -.263 .798
Congenital aggression Control -1.648 .130 -2.634 .025*
Experiment .874 .402 -1.883 .089
Control of aggression expressed Control -.922 .378 -1.437 .181
Experiment -.296 .774 .657 .526
Assertive attitude Control .526 .610 .770 .459
Experiment -.516 .617 .282 .783

* p < .05

공격성의 하부요인을 살펴보면 대조군의 경우 기질적 공격성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사전과 사후 2주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 이는 실험기간중 일어난 소년원생간의 잦은 다툼이 영향을 미 친 것으로 사료되고, 여자 소년원생들이 가지고 있는 높은 공격성 의 특성(Lee, 2008; Choi, 2013)상 폐쇄된 공간에서 집단적으로 생활해야 하는 환경이 소년원생들의 공격적인 성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격성이 강한 소년원생들은 본인의 감정 이나 욕구를 인식하고 타인에게 적절하게 표현하기가 어려우므로 (Kim, 2010) 분노 조절과 자기 표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 자아존중감 측정 결과

실험 전과 실험 후, 실험이 끝나고 2주후의 자아존중감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5, 6과 같다.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 면 실험군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시행 후 유의미하게 상승하였 다. 즉 대조군의 경우 사전평균 26.55점, 사후평균 26.73점, 사후2 주후 평균 26.55점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에 비해, 실험군의 경 우는 사전평균 27.09점이었던 것이 숲 이미지산책 시행 후에는 30.45점으로 크게 상승하였고, 실험이 끝난 2주후에 28.64점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의 26.55점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수치 를 보였다. 따라서 숲 이미지 산책 시행이 실험군의 자아존중감 향 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5.
Descriptive statistics of pre, post and maintenance results of self-esteem.
Items Group Pre-test Post-test Maintenance
mean (SD) mean (SD) mean (SD)
Self-Esteem Control 26.55 (6.20) 26.73 (7.83) 26.55 (7.73)
Experiment 27.09 (5.12) 30.45 (3.85) 28.64 (4.56)
Table 6.
Results of paired t-test of self-esteem.
Items Group Pre-Post Pre-Maintenance
t p t p
Self-Esteem Control -.157 .878 .000 1.000
Experiment -2.431 .035* -1.072 .309

* p < .05

이러한 결과는 오감을 통한 직접체험만이 아닌 시각과 청각을 중심으로 한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도 인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 과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산림과 별개의 공간에서 시각을 자극하는 산림 경관 사진에 노출되거나(Ulrich et al., 1991; Lee and Watanuki, 2007) 청각을 자극하는 숲 소리에 노출되는 것만 으로도(Sakuragawa et al., 2008) 인체의 심리·생리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다는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 아울러 직접적인 숲 활동 이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감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 행의 연구들(Song, 2009; Kim et al., 2011)도 이러한 결과를 뒷받 침한다.

적요

본 연구는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이라 할 수 있는 숲 이미지 산책 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 활동이 제한된 여자 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후 그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의미있 는 수준은 아니지만 다소 완화된 결과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 이 시설에 수용된 비행청소년들의 정서에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년원의 여건상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실험하지 못 하였으므로 이번 결과를 일반화시키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청소 년이 아닌 성인, 통제된 시설 수용자가 아닌 일반인 등 다양한 사람 을 대상으로 다양한 척도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풍부 하고 심도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실행된 숲 이미지 산책은 시설수용자, 환자, 통제된 작업장 근로자처럼 여건상 직접적인 숲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에게 적용하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우선적으로 자연접 촉의 기회가 부족하고 자유롭지 못한 시설수용자에 대한 시행이 정 책적으로 검토되길 기대한다.
V
V

REFERENCES

Buss AH, Durkee A.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 Consulting Psychology 1957;21:343–349.
crossref
Cho HM.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s of female delinquent juveniles. MS thesis. 2005. Kyungpook National Univ; Taegu.

Choi YW, Jang EJ, Park CH.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personality development to female reformatorystude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16(2): 67–74.
crossref
Hartig T, Evance GW, Jamner LD, Garling T.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e and urban field settings. J. Environmental Psychology 2003;23:109–123.
crossref
Jeon BJ.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 ability. J. Yonsei 1974;11(1): 107–130.

Kim H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juvenile training school students personality. MS thesis. 2002. Seoul National Univ; Seoul.

Kim IO. The influence of auditory elements of fores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MS thesis. 2014.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im SJ.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adolescent criminals' self-esteem. MS thesis. 2001. Taegu Univ; Taegu.

Kim YM.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impulsivity aggression of delinquency juvenile in reformatory. MS thesis. 2010. Wonkwang Univ; Iksan.

Kim YS, Shin. WS, Yeoun PS, Lee JH.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WEEclass. J. Kor. Institute. Forest Recreation 2011;15(1): 67–71.
crossref
Ko Y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style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1994. Pusan National Univ; Pusan.

Lee AR.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s of juvenile delinquents. MS thesis. 2008. Chungnam National Univ; Daejeon.

Daejeon Lee JH. The influence of forest scene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J. Kor. Forestry Society 2009;98:88–93.

Lee JM, Watanuki S. Cardiovascular responses of type A and type B behavior patterns to visual stimulation during rest, stress and recovery. J. Physiological Anthropology 2007;26 (1): 1–8.
crossref
Lee SE. A study on the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MS thesis. 2007. Dankook Univ; Yongin.

No AY. The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and anxiety in juvenile delinquents. MS thesis. 1983. Seoul National Univ; Seoul.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1965. Princeton University press ; New Jersey, USA.

Sakuragawa S, Kaneko T, Miyazaki Y. Effects of contact with wood on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evaluation. J. Wood Science 2008;54(2): 107–113.
crossref
Shin WS. The influence of forest view through a window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candinavian J. Forest Research 2007;22:248–253.
crossref
Song JH.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J. Kor. Forestry Society 2009;98:82–87.

Ulrich RS.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1984;224(4647): 420–421.
crossref pmid
Ulrich RS, Simons RF, Losito BD, Fiorito Eb, Miles MA, Zelson M.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 Environmental Psychology 1991;11(3): 201–230.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