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4); 2014 > Article
원예치료가 여자 소년원생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female reformatory students on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immersion and happiness. 42 female reformatory students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of 22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control group of 20 members did not receiv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once a week from March 2013 to June 2013, a total of twelve sessions. The program from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personality development of female reformatory student(Choi, 2013)” was applied. As the results, self-esteem, immersion and happiness level of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Moreover, it is found statistically that each variable is positively(+) correlated. When self-esteem and immersion were improved, the happiness was also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s said to be relevant to fin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immersion’ is main factor of ‘improvement of happiness’ an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ffects positively to female reformatory students on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immersion and happiness. In additio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uld be utilized as character education after seeking various application plan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ts from repeated delinquency.

서론

많은 사람들이 소년원을 나이 어린 범죄자들이 가는 교도소로 생각한다. 물론 소년원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 등을 저지른 소년들을 수용하는 기관이기는 하지만, 소년원은 법무부 범죄예방 정책국에 소속된 ‘특수교육기관’으로 과거에 저 지른 범죄보다는 이들이 다시 또 저지를지도 모르는 범죄를 예방하 는 것에 중점을 둔다(Ban, 2013). 전국에 12세 이상 20세 미만의 범죄소년, 촉법소년, 우범소년을 수용하는 소년원은 10개가 설치 되어 있으며 그 중 여자 청소년을 수용하는 소년원은 2곳으로 중학 교 교육, 직업능력개발훈련교육, 특별활동, 인성교육 등의 기본 교 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교정 처우 프로그램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Kim, 2008; Choi, 2012).
최근 여자 청소년 범죄의 두드러진 특징은 집단화, 조폭화, 재범 화 양상을 들 수 있는데 Kim(2008)의 보고에 의하면 2006년 여자 소년원의 비행청소년 235명 중 85%에 해당하는 200명이 재 비행 이었으며 재 비행기간이 4개월 이내에 이루어진 경우는 56%에 해 당한다는 자료를 통해서 여자 청소년 범죄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Choi, 2012). 따라서 여자 청소년 수형자들의 재비행 예방을 위한 교정 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요구된다.
최근 원예치료가 다양한 대상과 목적으로 수행되어지면서 Choi (2012), Han(2009), Lee et al.(2013)등의 연구결과 원예치료가 교정, 교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고, Shin(2010), Nam(2003) 등의 연구에 의하면 원예활동 후 성취에 따른 기쁨과 긍지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 한 Son(1998)은 원예활동이 심신의 환경스트레스를 경감시켜 마 음의 건강유지와 증진에 활력을 주고, Jang et al.(2010), Yun et al.(2013) 등은 원예활동이 행복감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 를 보고하고 있다.
“행위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들 중에 최고의 것은 무엇인 가. 일반 사람들이나 위대한 사람들은 모두 이것을 행복이라고 말 한다”라고 Aristoteles가 말했듯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어느 정도 일까?
행복에 관한 연구들은 행복이 개인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준다 고 밝히고 있고 행복한 사람들은 신체적인 면에서 더 강한 면역체 계를 가지며 더 장수하는 경향이 있다(Danner et al., 2001)고 보고 하고 있다. 한편 Seligman(2002)은 행복이라는 개념을 긍정적 정 서, 몰입, 의미로 정의하고 긍정적인 정서는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과 이러한 감정의 강도와 기간을 확장시 키는 기술을 배우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Seligman et al.(2006)은 몰입하는 삶이란 직업, 현재의 관계, 여가에 열중하고 몰두하는 삶 으로 정의하고 있다.
행복한 사람들은 정신적인 면에서 우울 자살, 편집증과 같은 병 리적인 증상을 덜 보이며 더 자기 조절을 잘하며 문제에 대한 대처 기술이 좋았고 더 큰 사회적 보상과 더 우수한 직업적성을 얻고 더 활동적이고 에너지가 넘치고 더 몰입하는 삶을 산다(Ostir et al., 2000). 또한 행복한 개인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와 사회에서 유익한 영향을 끼친다. 이들은 자선단체 활동에 더 활발히 참여하여 종교 적, 정치적, 교육적 조직에도 열심히 참여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Fredrickson and Joiner,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여자소년원 수형자들에 게 적용하여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고 분석하여 교정·교화를 통한 재비행 예방 프로그램으로서 원예 치료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소년원생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 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간 상관관계와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과 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측정 설계 를 이용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여자소년원 원생 중 중학교 졸업 후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고 있는 4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 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헤어디자인반 22명과 프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피부미용반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군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소년원 퇴 소 등의 이유로 남아있는 실험군 11명과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수행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여자 소년원생의 인 성발달을 돕기 위하여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몰입을 향상시킬 목적 으로 전문적인 원예치료사에 의해 진행되는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 용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여자 소년원생들의 인성발달을 위한 원 예치료 프로그램의 결과 모델의 개념원리를 근거하여 Choi (2012) 가 제시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1) 원예치료과정

원예치료과정은 원예치료의 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Lee, 2006) 를 의미한다.

사정

기관의 정보 제공을 바탕으로 자기소개(나이, 고향, 취미, 가족 사항, 장례희망 등), 원예에 대한 흥미도 등을 발표하여 대상자의 치 료적인 문제 확인과 동시에 사정을 거쳤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 전검사로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계획

사정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대상자의 문제를 명료 화하는 과정인(Lee, 2006) 원예치료적 진단(diagnosis)을 ‘열악한 주변 환경으로 인한 낮은 자아존중감과 집중력’으로 설정하고 그 에 따른 치료목적(goal)을 ‘자아존중감과 몰입, 행복감의 향상’으 로 결정하였다.

실행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3년 3월 8일부터 2013년 5월 24일까 지 주1회(100분), 총 12회기 진행되었다. 치료진은 주 치료사 1인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1급 원예치료사), 보조치료사 3인(한국원 예치료복지협회 2급 원예치료사, 2급 복지원예사), 그리고 소년원 의 담당교사 1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주진행자는 2010년부터 해당 소년원에서 원예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주 치료사는 치료의 사정, 계획, 실행, 평가의 모든 과정을 주도하였고 보조 치료사는 주 치료 사의 진행을 돕고 대상자를 그룹으로 나누어 관찰기록 하였으며, 해당 기관의 담당교사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들이 프 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매회기 활동 종료 후 치료진은 활동결과에 대해 논의, 평가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 다음 회기에 반영하 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실외 활동이 불가능한 점, 사용하는 소재들의 안정성, 자극적이지 않은 주제들을 선정하여, 실내에서 식물기르기, 식물을 소재로 한 공예 활동, 그룹활동과 나눔·표현하기로 프로그램 구성하였으며(Choi, 2012), Reasoner(1982)의 자아존중감 이론을 바탕으로 안정감, 자아감, 소속감, 목적감, 능력감의 다섯가지로 나누어 이 영역들이 단계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Han, 2009).
원예치료 프로그램 12회기 중 화이트데이, 식목일, 어버이날과 같은 행사 등을 고려하여 일부 활동 순서를 조정하였다. 수행된 원 예치료 프로그램은 Table 1와 같다.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자아 존중감, 몰입, 행복감 향상이라는 심리적 양상과 관련된 목적을 가 지고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치료적 개입은 Lee et al.(2013)가 제시한 긍정적 강화와 보상, 동기부여와 같은 지지적 피드백이 제공되었으며, 매 회기별 활동의 목적과 주제를 소개하고 활동의 정리단계에 대상자들이 자신의 변화와 느낌을 소감문을 통 해 표현하게 하였다. 매회기 작성한 소감문은 발표를 하게 하여 타 인과 자신의 느낌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Table 1.
Program for horticultural therapy performed for this study.
Goal No Program

Stability 1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Making flower basket with candies for White day

Emotional self 2 Flower arrangement-flower boat of my heart
3 Making own lucky wreath

Sense of belonging 4 Planting narcissus
5 Decorating flower garden on Tree-planting day
6 Planting a flesh plant in the round glass
7 Making pressed flower frame - my motto

The purpose of emotion 8 Making topiary - my present and my future
9 Decorating clay pot and planting plants
10 Making carnation corsage with soap flowers

Emotional skills 11 Decorating my little flower garden
12 Making charcoal own table garden
각 회기별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회기는 시작 단계로 전체 프로그램의 개요를 전달하고 원예치료의 의미와 효과 등을 설명하 여 원예치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치료사와 대상 자, 대상자와 대상자 간의 관계 형성을 위해 우선 치료사가 자기소 개를 한 후 대상자 각자에게도 자기소개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주 활동은 타인에 대한 인식과 안정감을 목적으로 사탕과 꽃을 이용한 ‘화이트데이 사탕 꽃바구니’가 수행되었다. 본 활동은 정리 단계에 서 가장 고마운 분에게 선물하는 즐거운 상상을 하며 편지를 작성 하게 하여 안정감과 함께 감사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였다.
2회기와 3회기는 자아감 형성의 단계로 2회기에는 생화를 이용 한 꽃꽂이를 수행하면서 현재의 삶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하였고 3회기에는 ‘나의 행운 리스 만들기’를 통하여 미래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이 그리는 미래를 완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표현해보도록 하였다.
4, 5, 6, 7회기는 소속감 형성의 단계로 4회기에는 수선화심기와 5회기에는 식목일을 맞이하여 생활관 앞 화단 꾸미기를 수행하면 서 식물의 생명주기와 인간의 생명주기가 유사하며, 식물의 성장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결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6회기에는 유리 볼에 다육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환경에 서도 잘 성장하는 식물을 통해 자신이 처한 환경을 긍정적으로 관 조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7회기에는 압화를 이용하여 자신의 좌 우명 액자 만들기가 수행되었다. 자신의 좌우명을 선정하기에 앞서 명사들의 명언과 격언을 듣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성취, 이룸, 달 성에 대해 생각하고 작업정리단계에서 자신의 좌우명 액자를 제시 하며 설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8, 9, 10회기는 목적감 형성의 단계로 8회기에는 현재의 자신과 미래의 자신을 토피어리로 만들어보는 과정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 을 통해서 오늘보다 나은 내일의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가고자 하 는 의지를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9회기에는 식물을 심을 토분을 꾸며 봄으로써 자신을 가꾸고, 보호하고, 꾸미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게 하였다. 10회기에는 ‘어버이 날’과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자신에게 영향을 준 사람들 과 고마운 분들을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과 함께 보은과 보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활동지에 작성하게 하였고 비누꽃 카네이션 코사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종결단계로 11회기에는 변화된 자신의 모습과 환경을 ‘나의 작 은 정원’ 속에 표현하는 활동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미래를 구체적 으로 가꾸고 만들어 가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을 수 있도록 하였고 마지막 12회기에는 ‘숯부작’ 활동을 수행하였는데 숯은 예로부터 액운을 물리친다는 의미로 갓난아기가 태어나면 금줄에 숯을 엮어 대문에 걸어 세상의 나쁜 기운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하고자 했던 선 조들의 마음이 담겨있다는 설명과 함께 대상자들에게도 미래는 희 망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마무리하였다.

평가

회기별 평가를 위해 보조치료사는 대상자의 원예활동을 관찰 기 록하였고, 사후 평가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몰입척도, 행복감 척 도를 이용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Curbow와 Somefield(1991)에 의해 개발되고 Kim(1998), Lee(2010)에 의해 수정 보완된 자아존중감(SES; Self- Esteem Scale)척도와 You(2000)이 개발하고 Kim(2013)연구에 서 사용한 몰입척도, Lee and You(2007)가 개발한 행복감척도 (Happiness Quotient)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다 문항 척도 로 측정된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문항이 동질적인 문항 들로 구성되었는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은 0.922, 몰입은 0.949, 행복감은 0.933으로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의 각 문항의 신뢰도 계수가 모두 0.90 이상으로 나타나 전체 항목을 하나의 척도로 보고 종합 적으로 분석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4. 자료분석

자료의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집단간 사전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 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집단별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간 상관관계 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기관의 특수성으로 인해 연구대상 설정 시 실험군(헤 어디자인)과 대조군(피부미용)이 각기 다른 직업훈련교육을 수행 하고, 서로 다른 교정·교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어서 원예치료 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제가 어려웠으며 또한 이동이 자유롭 지 못하고 활동이 주로 실내에서 이루어져 다양한 체험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실험군 22명과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나, 보호처분이 종료되어 소년원을 퇴소하는 경우가 많아 실험 군 11명과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통 계적으로 의미가 있을 만큼 표본의 대표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 였으므로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 및 고찰

1. 집단간 동질성 검증

원예치료를 실시한 실험군(11명)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11 명)을 대상으로 사전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 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대조군(M= 3.59)의 경우가 실험군(M=3.49)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 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일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몰입은 실험군(M=3.10)의 경우 대조군(M=2.86)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아 동일한 집단으로 볼 수 있고, 행복감에 대한 동질성 검증 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군(M= 3.25)의 경우 실험군(M=3.17)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다소 높게 나 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아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이 입증되었다(p>.05)(Table 2).
Table 2.
Homogeneity test for inspection item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performing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nspection items Group M t-value p

Self-esteem E(N=11) 3.49±0.620z .361 .722
C(N=11) 3.59±0.677

Immersion E(N=11) 3.10±0.269 1.512 .146
C(N=11) 2.86±0.449

Happiness E(N=11) 3.17±0.363 -.370 .715
C(N=11) 3.25±0.612

z Mean ± SD

E: Experiment group, C: Control group

2. 원예치료 효과 검증

1)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효과 검증

원예치료를 실시한 실험군(11명)과 대조군(11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 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의 경우 대 조군은 사전 평균 3.59에서 사후 평균 3.85로 0.26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1.599,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 3.49에서 사후 평균 3.87로 0.38 증가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306, p<.05).
몰입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사전 평균 2.86에서 사후 평균 2.87로 0.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0.052,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 3.10 에서 사후 평균 3.38 로 0.28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t=-2.923, p<.05).
또한, 행복감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사전 평균 3.25에서 사후 평균 3.42로 0.17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0.836,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 3.17에서 사후 평균 3.77로 0.60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다(t=-2.247, p<.05).
즉,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치료가 여자소년원 원 생들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고 볼 수 있다(Table 3).
Table 3.
Verifying effects of inspection items after taking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nspection items G Pre-test Post-test t-value p

M M

Self-esteem E 3.49±0.620z 3.87±0.786 -2.306* .044
C 3.59±0677 3.85±0.597 -1.599 .141

Immersion E 3.10±0.269 3.38±0.410 -2.923* .051
C 2.86±0.449 2.87±0.344 -.052 .959

Happiness E 3.17±0.363 3.77±0.887 -2.247* 0.48
C 3.25±0.612 3.42±0.605 -.836 .423

* p<.05

z Mean ± SD

E: Experiment group, C: Control group

이는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다는 Shin(2010), Nam(2003)의 보고와 유사한 결과들을 나 타내고 있으며,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 로 방과 후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고 한 Shin(2010)의 결과와도 유사함을 보여준다. 이는 여자 소년원생들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매 회기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설정한 주제에 적합한 반복적이고 성공적 인 작업수행을 하면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프로그램을 통 해서 얻은 결과물을 타인에게 선물하거나 자신의 공간에 장식함으 로써 자신에 대한 신뢰감과 긍정적인 사고를 지니게 됨에 따라 자 아존중감이 향상되었으리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을 경험하 는 과정에서 소년원생들의 자아정체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한 Han(2009)의 보고와 같이 생명체의 양육과정을 통해 성장과정과 현상을 기다릴 수 있고 자신감과 책임감 등이 길러져 자기의 존재 의미와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이것은 곧 자기애를 충족시키고 자신의 행위에 대한 결과를 수용하여 자신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반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며, 정서적 안정 을 유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대상자 의 몰입이 향상된 것은 Choi(2008)의 ‘원예치료 실행 시 사람들이 식물의 생명주기와 인간 자신의 생명주기를 연관 지어 생각하므로 원예치료가 인간의 건강과 안녕 증진에 기여한다는 보고에 근거하 여 여자 소년원생들의 몰입이 생화를 이용한 꽃꽂이, 식물심고 기 르기, 나를 닮은 인형 볼토피어리 만들기, 나만의 정원, 숯부작 등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향상되어진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이는 Choi(2012)의 연구에서 여자 소년원생들은 스스로 원 예치료를 통해서 집중력이 향상된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 결과와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들에게 가장 변 화가 큰 것은 행복감이었다. Han(2009), Sin(2005), Ha(2006) 등 이 원예활동이 정서적 안정감에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고 Allen(1987)의 연구에서도 10대들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 램을 실시한 후 자아 발달적인 측면에서 성공과 자기 만족감을 나 타냈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제한된 환경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나 꽃 장식하기, 향기 나는 포푸리를 이용한 리스 만들기 등 식물의 시각, 후각, 촉각적 자극으로 심리적인 안정 감을 얻고 압화를 이용한 액자 만들기, 꽃과 사탕을 이용한 꽃바구 니 등을 만들어 자신의 마음을 담아 선물하는 프로그램 과정을 통 하여 대상자 자신의 감정의 자각과 건강한 자신의 표현이 가능하여 정서적 안정감과 행복감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3.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몰입, 행복감 관계검증

1) 각 변수 간 상관관계 검증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11명)을 대상으로 자아 존중감과 몰입,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 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몰입(r=.695, p<.05)과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복감 (r=.661, p<.05)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은 행복감(r=.731, p<.05)과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즉 행복은 자아존중감과 몰입과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나 자아존 중감과 몰입이 높으면 행복도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eligman (2002)은 행복이라는 개념을 긍정적정서, 몰입, 의미로 정의하고 있고 Kim and Kim(2012)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보 고한 바에 따르면 행복감이 자아존중감과 몰입과 중요한 상관관계 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Table 4.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pection items.
Inspection items Self-esteem Immersion Happiness

Self-esteem 1
Immersion .695* 1
Happiness .661* .731* 1

* p<.05

따라서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자 소년원생들의 자아 존중감과 몰입이 향상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행복감이 더욱 향상 되었으리라 여겨진다.

2)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예치료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7.4% 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6.965, p<.001). 독립변수로서 자아존중감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자아존중감 이 높아지면 행복감은 .661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Table 5.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on their happiness.
Inspection items No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F R2

B Standard error Beta

Invariable .887 1.114 .796 .446 6.965*** .374
Self-esteem .745 .282 .661 2.639* .027

Dependent variable: Happiness

* p<.05

*** p<.001

이는 행복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Veenhoven(1991)은 자아존 중감과 행복과의 상관이 .05 혹은 그 이상임을 밝혔으며 Campbell (1981)은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보 고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예치료 참여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며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행복감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되어질 수 있다.

3) 원예치료 참여자의 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예치료 참여자의 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 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8.2%이 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313, p<.001). 독립변수로서 몰입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몰입이 높아지면 행 복감은 .731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선행 연구 에 따르면 몰입 경험으로부터 얻은 ‘즐거움’은 성취를 통한 자기존 중감이나 창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Csikszentmihalyi, 1997), 몰입을 하고 있는 동안 세상의 모든 근심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몰입하고 있는 순간에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사건이 머릿속에 전혀 떠오르지 않고 스트레스 유발 사건 이전의 상태가 된다고(You. 2004) 보고하고 있다. 이는 행복감 향상을 위해서는 몰입이 중요한 요인임 확인할 수 있는 보고라 할 수 있으며 원예치 료 참여자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서도 몰입이 중요한 요인임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able 6.
The influence of immersion of experimental group on their happiness.
Inspection items No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F R2

B Standard error Beta

Invariable -1.573 1.676 -.939 .372 10.313*** .482
Immersion 1.580 .492 .731 3.211* .011

Dependent variable: Happiness

* p<.05

*** p<.001

적요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여자 소년원생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 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여자 소년원생 42명 중 원예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22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20 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주1회 총 12회기 실시하 였다.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이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적용 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존중 감, 몰입, 행복감 증진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각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몰입이 높아지면 행복감이 상 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원예치료 참여자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몰입의 향상이 중 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소년원생들 의 자아존중감, 몰입,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 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 색하여 비행청소년의 재비행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
V.

REFERENCES

Allen J. Teens beat rocky times 1987;Burlingtion, VT., USA: National Gardening Association.

Ban GR. Daily experience and identity of girls in juvenile reformatory. MS Thesis 2013;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

Campell A. The sense of well-bing in America 1981;New York, USA: McGraw-Hil.

Chi SH.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mental of prison inmate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6): 441–447.
crossref
Choi YA. Theoretical model of plants nurturing: based on helix model and attachment theory. PhD Dissertation 2008;Choenan, Korea: Dankook University.

Choi YW.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female reformatory students to improve adolescent personality. MS Thesis 2012;Seoul, Korea: Korea University.

Csikszentmihalyi M. Happiness and creativity: Going with the flow. The Futurist 1997;31(5): –5.
pmid
Danner DD, Snowdon DA, Friesen WV. Positive emotions in early life and longevity: Findings from the nun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1;80(5): 804–813.
crossref pmid
Fredrickson BL, Joiner T. Positive emotion s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2002;13(2): 172–175.
crossref pmid
Ha B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adaptive behavior and emotional stability of under achiever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2006;Daegu, Korea: Donga University.

Han Y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reformatory students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emotional stability. MS Thesis 2009;Jeju,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

Hwang YH.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elf-concept and behavioral change in children with broken homes. PhD Dissertation 2007;Korea: Kyungpook University.

Jang EJ, Hong JW, Park CH, Lee SH.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flower design program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aged home. J. Kor. Hort. Sci. Technol 2010;28:166–167.

Kim KH, Kim GH.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in first year wome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2;21(2): 149–157.
crossref
Kim YO.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and stress in teenage students. MS Thesis 2001;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Kim T H. The research of factors which effect on the female juvenile delinquent’s ecidivism. MS Thesis 2008;Korea: Kyunggi University.

Lee SM, Moon JH, Jeong SJ, Kim KM.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on activities for male juvenile prisoners on mental health.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16(6): 369–376.
crossref
Lee SM.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to each client and the economic value by income approach. PhD Dissertation 2006;Choenan, Korea: Dankook University.

Nam SM.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to middle school pupils. MS Thesis 2003;Seoul, Korea: Seoul Women's University.

Ostir GV, Markides KS, Black SA, Goodwin JS. Emotional well being predicts subsequent functional independence and surviv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0;48:473–478.
crossref pmid
Seligman ME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2002;New York, USA: Free Press.

Seligman MEP, Rashid T, Parks AC.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2006;61(8): 774–788.
crossref pmi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