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4); 2014 > Article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 for female adult prisoners on mental health. 20 female adult prisoners were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of 10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control group of 10 members did not receiv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26th of April 2013 to 12th of July 2013.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Lee et al., 2013)’ which was based on ‘conceptual frame of psychological outcome model in horticultural therapy for prisoners scheduled for release(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was applied. As the results, interpersonal sensitiv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rticultural therapy(p=0.028), while in control group was not showed significant on 9 domains of symptom. Therefo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 could be utilized as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crease of mental health in female adult prisoners in future.

서론

여성의 사회적 참여기회 확대와 함께 부작용으로 여성범죄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곧 우리사회와 국가발전에 위협적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여성범죄자 처우 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현실태 를 분석하는 수준이며 직업훈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거나 남성들 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2004; Lee, 2003). 여성 수형자들의 64%가 정신건강문제를 가지고 있으며(Elizabeth et al., 1998), 남성수형자에 비해 심한 정신질환에 걸려있을 가능성 이 높고(Veysey, 1998), 주요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남 성 수형자에 비해 높다고(Teplin et al., 1996)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훈련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연구들은 교정프로 그램의 종합적인 효과에 대한 관점을 간과하고 있다. 교도소는 범 죄인을 수용하여 사회와 격리시키는 것 외에도 수형자를 교정․교화 함으로써 건전한 국민으로 사회에 복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곳으로(Bae, 2008), 수형자들이 수형생활을 하는 동안 교정 당국에서 제공하는 교정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인격과 가치관을 형성, 정서적, 행위적 태도를 새롭게 형성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사 회복귀를 돕고 나아가 출소 후 다시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하 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여성 수형자들은 심적인 안정과 내 면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지도를 기술적인 처우보다는 상대적으 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Lee, 2005). 따라서 여성 수형자들 의 심리적 안정과 내면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정․교화 프로그 램의 개발 및 실시가 요구된다.
이에 2010년 법무부와 농촌진흥청 등 5개 부처의 ‘출소예정자 등의 취업, 창업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계기로, 일부 교도소에서 원예의 교정, 교화 효과를 인식하고 원예활동의 양육, 돌봄 등과 관 련된 치유적 특성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전문 교정․교 화용 원예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요구한 바 있다(Lee et al., 2010).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식물세계의 사건에 자신의 삶을 반영시킨 비슷한 주제에 대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자각이 있으며(Mattson, 1982)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물의 생명주기와 인간 자신의 생명주 기를 쉽게 바꾸어 생각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원예치료가 인간의 건 강과 안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Stamm and Barber, 1999).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여자 성인 수형자들에게 적용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형자들의 교정․교화프로그램으로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 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 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고, 실험군의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 였다(Table 1).
Table 1.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E O1 X1 O2

E: Experiment group, O1: Pre-test, O2: Post-test

X1: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on activities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G도 U시에 소재한 U교도소에 수용되어 있는 여자 성인 수형자 중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 험군 10명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만48.1세, 교육정도는 고 등학교 졸업이, 형기는 1~3년이, 형명은 사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lients.
Frequency (%)

School career (n=10) High school graduate 4 40.0
University student 3 35.0
University graduate 3 35.0

Prison term (n=10) 1~3 years 7 70.0
3~5 years 1 10.0
5~7 years 2 20.0

The name of a crime (n=10) Violence 1 10.0
Fraud 8 80.0
Others 1 10.0

3. 연구 도구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사회복귀를 예정하고 있는 수형자들의 성공적 사회복귀를 돕기 위하여 그들의 심리적 기능을 향상 시킬 목적으로 전문가(원예치료사)에 의해 이끌어지는 식물과 원예활 동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는 ‘사회복귀예정 수형자를 위한 원예치료 심리적 결과 모델의 개념적 틀’(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에 근거하여 Lee et al.(2013a, b) 이 제시 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1) 원예치료과정

사정

실험군의 치료적 문제 확인과 동시에 사전 평가를 위하여 프로 그램 시작 전에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수행하여 대상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한 결과,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 9 개 증상차원인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감,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모든 증상차원에서 Kim et al.(1984)이 제시한 우리나라 일반 여자 성인 규준 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Fig. 1).
Fig. 1.
Symptom checklist-90-revision of experimental and normal groups.
KSPPE-17-267_F1.gif

계획

사정 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대상자의 문제를 명 료화하는 과정인(Lee, 2006) 원예치료적 진단(diagnosis)을 ‘수감 생활과 관련한 저하된 정신건강’으로, 치료 목적(goal)은 ‘정신건 강의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치료목표(objective)는 치료목적에 근거하여 매 회기 활동에 따라 대상자가 수행하게 될 행동을 중심 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관찰 또는 측정 가능하며 긍정적인 문장으로 매 회기마다 2~3개로 설정하였다.

실행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3년 4월 26일부터 2013 년 7월 12일까지 주 1회, 총 12회 실행되었다. 치료진은 주치료사 1인(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1급 복지원예사), 보조치료사 3인(한 국원예치료복지협회 1, 2급 복지원예사)으로 이루어졌다.
전체 원예활동은 계절의 변화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는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Lee, 2006)’을 기본 으로 개인 상자 텃밭을 이용하여 실외 노지에서 식물 기르기, 식물 을 이용한 장식 및 공예활동을 포함하는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는 재배활동으로 구성되었다.
Lee et al.(2013a, b)가 제시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 램 12회기 목록 및 매 회기별 활동명으로 제시되는 중심활동과 물 주기, 방제, 시비, 적엽, 제초, 적아, 적심 등 일상적 관리활동이 함께 이루어졌다. 수행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on activities for female adult prisoners.
No Date Horticultural activity

1 4. 26. Making name card with pressed flowers
2 5. 03. Seeding vegetables(lettuce, endive) and flower(marigold)
3 5. 10. Decorations individual garden fence
4 5. 17. Planting seedlings such as tomato and cucumber
5 5. 24. Planting seedlings such as red pepper and sweet potato
6 5. 31. Making earthworm compost box
7 6. 14. Making garden sign
8 6. 21. Planting flower seedlings(marigold, surfinia), herbs(rosemary , lavender)
9 6. 21. Staking, training
10 6. 28. Harvesting and managing(disease and pest control, Fertilization, topping, bud picking)
11 7. 05. Pressing flowers
12 7. 12. Mini garden party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Lee et al.(2013a, b)에 제시된‘재배활 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심리적 양상과 관련된 목 적을 가지고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졌다. Lee et al.(2013a, b)가 제 시하고 본 프로그램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치료적 개입은 프로그램 전반에 있어 온정, 수용, 경청, 존중, 공감, 근거 있는 칭찬 등의 긍정 적 강화 및 보상, 동기부여와 같은 긍정적 관계와 관련 있는 지지적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또한 생물학적 요인의 심리학적 통합(Relf, 1992)과 이와 관련된 질문을 제공하여 통찰과 자기수용이 가능하 도록 도왔으며, 매 회기별 활동의 목적을 생물학적, 심리학적으로 소개하고 활동의 정리단계에 대상자들이 이를 이해, 인식하고 있는 지 표현하게 하였고, 활동지를 작성하도록하여 관련된 다른 회기에 발표하게 하여 회기별 활동의 목적과 전체 활동 및 자신과의 관계 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감정의 건강한 표현을 위하여 회기별 활동의 정리 단계에 느낌 나누기를 수행하였으며, 자신의 느낌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대상을 위하여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긍정 형용사와 욕구가 충족 되지 않았을 때의 느낌 목록을 제공하여 이를 보고 자신의 느낌을 발견하고 발표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자기조절감을 가지도록 하 기 위하여 개인 텃밭과 관리목록을 제공하여 관리목록 내에서 자신 이 자율적으로 텃밭을 관리하도록 격려하였다. 이때 모종 이식 후 매 회기 마다 수확할 수 있는 산물은 자발적으로 수확하도록 하였 고, 교도소의 허가를 얻어 각자 방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한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하여 가능한 한 대상자가 반복적이고, 성공적으로 작업을 완성하고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 하였다. 또한 치료사의 모델링, 대상자의 실행, 연습, 반복과 같은 행동요인을 사용하여 활동을 점점 정교화하고, 이해, 문제해결과 같은 인지적 학습을 적용하였다.
Lee et al.(2013a, b)에서 제시하고 본 연구에서 수행된 각 회기 별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회기는 시작단계로 전체 프로그램의 기간, 시간, 장소 및 목적 과 규칙, 향후 이루어질 활동, 사용될 식물과 재료에 대해 전달하였 다. 주 활동으로 압화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름을 꾸며보고 동료와 치료사에게 자신을 알리며, 타인에 대한 인식을 시작하는 목적으로 ‘압화 이름표 만들기’가 수행되었다. 본 활동은 향후 재배한 식물을 이용한 11회기 압화 준비하기와 관련지어 선정된 활동이었다. 특 히 긍정형용사를 포함한 식물이름애칭으로 이름표를 만들었는데, 내 이름과, 내 삶뿐만 아니라 본 프로그램을 아름답게 꾸미고 만들 어 나가는 시작활동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고, 활동의 정리단계에 서 본명, 애칭, 애칭선택 이유에 대해 생각과 느낌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활동지로 현재 자신의 문제와, 자신이 가장 자랑스럽게 여 기는 사건을 적어보도록 자기소개서가 제공되었다.
2회기 활동은 상추, 엔다이브와 같은 엽채 및 메리골드와 같은 초화 파종을 경험하면서 원예에서의 일반적 파종의 개념 및 목적 이해와 함께 지난 내 삶과 미래 내 삶에서 보다 생산적이고 시작의 의미를 가지는 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활동의 정리단계에 지난 내 생애 있었던 어떤 일을 씨앗을 뿌린 활동에 비 유할 수 있을지 생각해 적어보도록 ‘내 생애 씨앗뿌리기’라는 활동 지가 제공되었다.
3회기 활동은 개인텃밭 울타리 꾸미기로 텃밭의 외형을 꾸며 봄 으로써 보금자리 등 자신을 보호하고 안전과 안정을 가져다주는 공 간을 꾸며본 경험이 있는지와 외모를 가꾸는 것, 집, 자동차의 외관 장식 등과 같이 외형, 보여지는 것을 가꾸고 꾸민다는 것은 어떤 의 미가 있는지 토론의 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러한 내용을 생각해서 적 어 보도록 ‘화장을 고치고’라는 활동지를 제공하였다.
4, 5, 8회기는 2회기에 파종한 엽채와 초화, 구입한 토마토, 오이, 고추, 고구마, 사피니어 및 로즈마리, 라벤더 등 허브모종을 이식하 면서 이식의 생물학적 의미와 이식과 비유할 수 있는 인생의 경험 을 떠올려보도록 하였으며, 이에 해당하는 내용을 적어보도록 ‘이 사하는 날’이라는 활동지가 제공되었다.
6회기는 텃밭에서 제거된 부산물로 지렁이 퇴비상자를 만들면 서 재활용, 자원의 순환과 재탄생, 승화(catharsis)에 대하여 이야 기를 나누고, ‘지렁이의 도움으로 버려진, 제거된, 남은 것들은 식 물과 땅을 비옥하게 도울 수 있는 분변토로 그 모양이 변화될 것입 니다. 여러분은 어떤 환골탈태를 꿈꾸십니까?’라는 질문이 담긴 ‘환골탈태’라는 활동지를 제공하였다.
7회기는 텃밭 팻말을 만들어 꾸미고 자신의 텃밭에 이름을 붙여 봄으로써 개인텃밭의 소유를 구체화하였다.
9~10회기는 네트를 이용한 오이 유인과 지주를 이용한 토마토 유인을 수행하면서, 앞서가는 사람, 보호자, 지도자 등이 후배, 자 녀, 부하 직원 등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지도를 제공하는 것에 유인을 비유하고 지난 과거 삶 속에서 ‘유인’ 과 관련하여 누군가의 지도를 받거나 누군가를 이끈 경험을 회상하 고 적어보도록 ‘내게로 와’라는 활동지를 제공하였다. 또한 토마토, 오이, 고추 등의 적심, 적아, 적엽 등의 관리활동 수행 후, 지난 과거 의 삶 속에 있었던 일들 중에서 ‘적심, 적아, 적엽, 적화, 적과’ 등과 관련하여 갈등의 상황 속에서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하여 고민 했 던 경험을 회상하여 ‘선택과 집중’이라는 활동지를 작성해 보도록 하였다. 수확 및 친환경 방제, 시비활동을 수행하면서는 그 유익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였고, 정리단계에 유기질 비료와 화학비료의 장 단점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적당히 섭취하면 이로우나 과용, 오용, 남용할 경우 우리의 인생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무엇 일까요?’라는 질문이 담긴 ‘과유불급’이라는 활동지를 제공하였다.
11회기는 텃밭에서 채취한 꽃과 잎 등을 압판에 눌러두어, 향후 에 수행할 활동의 재료를 준비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12회기는 마지막 회기로 일반적인 관리작업을 수행하고 그날 수 확한 엽채류를 이용하여 샐러드와 샌드위치를 만들고 수확한 허브 로 음료를 준비하여 간단한 파티를 가지면서 활동 전반 및 마무리 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도소 내에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 해서는 재료 및 음식물의 반입에 있어 담당자의 허가를 받아야 하 며, 가위, 모종삽 등 위험한 도구를 사용하였을 경우 숫자와 도구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에 본 프로그램에서는 ‘가위실명 제’라는 이름으로 각자 자신의 가위를 지정하고 분실 등을 관리하 도록 하였다. 또한 일주일에 1회 활동 및 프로그램 완료에 따른 관 리부재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 내 담당자와 상의하여 관수 등과 같 은 관리를 간헐적으로 수행하도록 협의하였다.

평가

매 회기별 평가는 회기 내 관찰된 대상자의 모습과 변화에 초점 을 맞춘 대상자 평가, 활동의 진행 및 재료 준비의 적절성 등에 초점 을 맞춘 활동평가 및 치료사의 원예와 대상자에 대한 지식, 기술, 치 료적 개입 내용의 적절성을 포함하는 치료사 평가가 담긴 원예치료 평가표(Suh and Lee, 2004)를 원예치료사가 기술(記述)하였고 사 전에 실시했던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프로그램 사후에 실시하였다.

2) 측정 도구

정신건강

대상자의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Derogatis et al.(1976) 의 ‘Symptom Checklist-90-Revision’을 우리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Kim et al.(1984)이 번안하여 재표준화한 자기보고식 다 차원 증상목록 검사인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간이정신 진단검사는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감, 불안, 적대감, 공 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의 9개 증상차원을 포함하고 있는데, 오늘 을 포함하여 지난 7일 동안 경험한 증상의 정도에 따라 ‘전혀 없다 (0점)에서 아주 심하다(4점)’까지 5점 Likert scale에 의해 채점되 며,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에서 1점 이상에 평정한 점수의 합계를 1 점 이상에 평정된 문항수롤 나눈 점수로, ‘순수한 장애의 강도’를 나타내는 표출증상심도지수를 제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 의 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정과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 값 의 집단 간 비교는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에서 사전, 사후 평균의 차이를 비교분 석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연구대상 모집 시 종교행사 등과 같은 다른 교정교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도 포함되어 원예치료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제가 어려웠다. 또한 연구 참여에 동의하면서 사 전 사후 조사가 가능한 교도소와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 여자 수 형자 수가 교도소 마다 충분하지 않아 실험군의 수가 적고, 대조군 이 없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이 자발적으로 참 여하였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대한 자기 선택효과를 완전히 배제 할 수 없었으므로 표집과정에서 표본의 대표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 하여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 및 고찰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여성 성인 수형 자의 정신건강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대인예민성 평균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0.89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8). 이외 신체화, 강박증, 우울감, 불안, 공포 불안, 편집증, 정신증의 7개 증상차원에서 평균점수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적대감에 있어서는 평균점수가 0.08 점 높아졌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Table 4.
Pre-post mean comparison for mental health cortisol for within experimental group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ng activities.
Pre score(point) Post score(point) p

S 1.38±0.63z 1.39±0.94z 0.257NS
O 1.60±0.49 1.41±0.42 0.398NS
IS 1.53±0.43 1.28±0.67 0.028*
D 1.60±0.46 1.42±0.77 0.540NS
A 1.37±0.64 1.14±0.71 0.065NS
H 1.20±0.89 1.31±1.03 0.953NS
PA 0.99±0.76 0.90±0.89 0.564NS
PI 1.28±0.72 1.01±0.70 0.223NS
Ps 1.64±0 50 1.16±0.64 0.090NS

S: Somatization, O: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IS: Interpersonal sensitivity, D: Depression, A: Anxiety, H: Hostility, PA: Phobic anxiety, PI: Paranoid ideation, Ps: Psychoticism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 Significant at p <0.05, 0.01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 Significant at p <0.05, 0.01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재배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후 실험군의 대인예민성과 불 안, 정신증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대 인예민성이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군에 있어 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재배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의 대인 예민성과 불안, 정신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이는 원예치료 수행 후 청소년의 대인예민성, 불안, 정 신증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Kim, 2001b), 장기요양시설 노인 의 대인예민성, 불안, 정신증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는 보고 (Song, 2012)와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 로그램이 남자 청소년 수형자의 대인예민성, 불안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는 Lee et al.(2013b)의 연구와도 유사하였다.
대인예민성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편감, 부적합감 및 열등감을 의미하고 불안은 신경과민, 긴장, 초조, 두려움 등이다. 정 신증은 가벼운 대인관계에서의 소원(疎遠)으로부터 정신병의 증 상에 이르는 비교적 넓은 영역의 증상을 반영한다. 즉, 고립, 철수, 분열성적 생활양식 및 환각과 사고전파와 같은 정신분열증의 일급 증상들이 포함된다(Kim et al., 1984).
지지원의 수가 적을수록 불안이 높고(Park, 2004), 정서적 지지 가 높을수록 정신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평가적 지지가 높 을수록 대인예민성, 정신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Kim, 1991) 는 연구와 같이 본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 수행 후, 여자 성인 수형자의 대인예민성, 불안, 정신증이 감소한 것은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원예치료사들이 사용한 온정, 수용, 경청, 존중, 공 감, 근거 있는 칭찬 등의 긍정적 강화 및 보상, 동기부여와 같은 긍정 적 관계와 관련 있는 지지적 피드백을 대상자들이 정서적 지지로 인식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치적 의사소통 기법을 적용한 감정의 표현과 치료사들의 치료적 의사소통 사용이 적절한 대화방 법에 대한 모델링 및 훈련이 되어 치료사와 동료로 부터의 지지를 경험하고 이들을 지지원으로 인식할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평가적 지지는 자신감을 심어주거나 타인에게 자신을 비추어 봄으로써 자신을 평가하게 하는 지지(Jun, 2005)인데, 본 프로그램에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반복적이고 성공적인 작업 의 완성이 자신감을 심어주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하게 만 들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불안 수준이 낮아진다(Kim, 2001)는 보고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한 매회 기 작성된 활동평가지 상에서도 “잘 자라줘서 고마워, 그래도 너희 들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는구나, 수확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못 했는데 수확을 하니 너무 감동적이예요, 잘 자라는 채소를 보며 힘 을 얻어요, 집에 가서 꼭 또 해 볼 거예요” 등과 같이 식물의 성장과 정에 대한 신뢰와 수확의 기쁨, 자신감, 식물로 부터 받은 지지를 발 견할 수 있었다.
삶의 의미수준이 높을수록 대인예민성, 불안, 정신증 호소증상 이 적다(Park, 2004; Kim, 1984; Ahn, 2001)는 보고와 같이 ‘파 종, 울타리 꾸미기, 이식, 유인, 지렁이 퇴비 상자 만들기, 화학비료 시비’ 등의 활동과 함께 관련 활동지를 제공함으로써, 식물구조 및 재배과정에서의 생물학적 요인을 인간사의 일부 및 심리학적 탐색 으로 통합한 부분은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식물 세계의 사건들에 서 반영되어진 그들 자신들만의 삶에서 비슷한 주제들에 대한 의식 적 혹은 무의식적 자각이 있다’는 Mattson(1982)의 주장과 Choi (2008)의 ‘원예치료 실행에서의 평행적 주제’ 및 원예가 생명주기 를 다루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물의 생명주기와 인간 자신 의 생명주기를 쉽게 바꾸어 생각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원예치료가 인간의 건강과 안녕 증진에 기여한다는 Stamm and Barber(1999) 의 보고에 근거하여, 대상자들이 자각하는 삶의 의미수준이 높아졌 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대상자들이 작성한 활동지에서도 “지주대 를 꽂고 지주를 따라 자라는 식물을 볼 때, 세상을 살아가는 정석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것을 따르지 않아 제가 여기 있는 것 같습니다, 씨앗도 정성을 들여 키워야 하는데 제가 아들에 비해 딸에게는 정성을 기울이지 않아서인지 방황을 하는 것 같아 요, 씨앗 뿌리기를 하면서 씨앗마다 심는 깊이가 달라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상대에게 기대치를 낮춰 맞추었어야 했는데... 씨앗 이나 사람들이나 저의 눈높이에 맞추어 다루다 보니 씨앗은 싹이 나질 않고, 사람관계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아요. 씨앗뿌 리는 방법을 알게 되면서 앞으로 제 눈높이와 기대수준을 타인의 수준에 맞춰야겠어요”라는 표현을 하는 등 원예활동과정에서 자 신의 삶과 통합한 삶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식물이 있는 환경은 덜 복잡하며, 각성수준을 낮추 고 더욱이 스트레스 감각을 감소시키는 패턴을 가지고 있고(Ulrich and Parsons, 1992),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과 전혀 다른, 탈출의 느 낌인 벗어나기(Being away) 환경을 제공(Kaplan, 1973)하기 때 문에 치료사-대상자, 대상자-대상자 간 예민성과 불안이 감소했을 것으로 여겨진다(Lee et al., 2013b).
본 연구는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 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 여 생물학적 요인의 심리학적 통합, 감정의 건강한 표현, 자기조절 감 향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식물재배활동 및 이에 따른 원예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적용이 여자 성인 수형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활용 가능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적요

본 연구는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 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재배활동중심 원예치 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10명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 지 않은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6일부터 2013년 7월 12일까지 주 1회, 총 12회 실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사회복귀예정 수형자를 위한 원예치료 심리적 결과 모델의 개념적 틀’에 근거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 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인예민성, 불안, 정신증이 유의하게 낮았고, 또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후에 대인예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9개 증상차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활 용 가능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 며, 향후 교도현장에서 교정·교화를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
V.
V.

REFERENCES

Ahn Y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MS thesis 2002;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Bae DH. Female inmates' mental health status and needs of mental health services study. MS thesis 2008;Pohang. Korea: Handong Global University.

Choi YA. Theoretical model of plants nurturing : Based on helix model and attachment theory. PhD dissertation 2008;Choenan, Korea: Dankook University.

Derogatis LR, Rickels K, Rock AF. The SCL-90-R and the MMIP: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Br. J. Psychiatry 1976;128:280–289.

Jun JH. A study 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school dropout youth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S thesis 2005;Seoul, Korea: Seoul Women's University.

Kim GI, Kim JH, Won HT. Implementation outline of symptom checklist-90- Revision(SCL-90-R) 1984;Joongang Moonhwasa: Seoul Women's University.

Kim HJ.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 social support and the mental health status of persons receiving psychiatric care as out patients. MS thesis 1991;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Kim KS. The meaning of life and mental health. MS thesis 1984;Pusan, Korea: Pusan National University.

Kim YH.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2001a;11(1): 11–19.

Kim YO.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and stress in teenage students. MS thesis 2001b;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Lee SM.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to each client and the economic value by income approach. PhD dissertation 2006;Choenan, Korea: Dankook University.

Lee SM, Moon JH, Jeong SJ, Lee YJ.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ng activities for prisoners scheduled to be released on depression and salivary cortisol.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a;16(4): 173–180.

Lee SM, Moon JH, Jeong SJ, Gim GM.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ng activities for male juvenile prisoners on mental health.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b;16(6): 369–376.

Lee SM, Jeong SJ, Lee JW, Moon JH, Song YJ. Conceptual frame of social outcome model in horticultural therapy on predestinate inmates for social rehabilitation. Kor. J. Hort. Sci. Technol 2010;19:Suppl. I. 193–194.

Lee YH. A research on expected effects of correctional program for the female inmates. MS thesis 2005;Seoul, Korea: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Lee YR. The adaptation process of female offenders' to prison life. MS thesis 2003;Jeonju, Korea: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attsonRH. A graphic defini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model. In: Mattson RH, Shoemaker J, editors. Defining horticulture as a therapeutic modality. part 2:Models in horticultural therapy. Manhattan, USA: Kansas State Univ., Press and Department of Horticulture, Forestry and Recreation Resources; 1982. p. 43–58.

Park KH.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males of the Korean society. MS thesis 2004;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Relf D. Horticulture: A therapeutic tool. J. Rehab 1992;39(1): 27–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teaching material for prisoners scheduled to be released 2012;Suwo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Song HS. A Study on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mental health of senio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S thesis 2012;Seoul, Korea: Dongguk University.

Stamm I, Barber AL. The nature of change in horticultural therapy. J. Therapeutic Horticulture 1999;10:58–62.

Suh JK, Lee SM. Application and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2004;Seoul, Korea: Dankook University Press.

Teplin LA, Abram KM, McClelland GM.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incarcerated women: pre trial jail detaine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6;53:505–512.

UlrichRS. ParsonR. Influence of passive experience with plants individual well-being and health. In: Relf D, editors.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Portland, USA: Timber Press; 1992.

Veysey BM. Specific needs of women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in US jails. Women's mental health services : A public health perspective 1998;CA: Thousand Oaks, SAGE; 368–389.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