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6); 2014 > Article
서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식재현황 조사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vision of basic data of tree planting plan in the bus stop.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y products and plant were intended for 115.3 km length of the median lane bus stop of 345 companies in Seoul. Facility in investigation was divided into rest facilities and information facilities. As a result, shelter, lighting facilities, route table, billboards and the bus announcement system had been installed in the all median lane bus stop. Other facilities such as a bench, a trash, etc. have been regarded as vitally installed things in addition. Through the survey, it was given that 15 species of herbaceous plant have been planted. Herbaceous species had been planted as disposable. Shrubs such a total of four have been planted, in case of tree a total of six species were planted. Shrubs compound and tree were investigat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management has not been made, the plant was dead. Through the study of plants for the design improvement future bus stop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by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it is believed that the bus station can be re-created.

서론

경제성장과 함께 다양한 교통수단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도시교통문제의 악화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도심의 교통정체는 심 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대중교통을 권장·유도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Choi, 2008).
도시의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으로는 버스와 지하철이 있으나, 버스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타 교통기관에 비해 상 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도시에서 효율적이고 필수적인 교통체 계로 작용한다(Kim, 1996). 이러한 측면에서 버스이용을 위한 도 로 환경시설물인 버스정류장은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Kim, 2001). 버스정 류장은 도시 내 보행 환경과 교통수단을 연결하는 연속적이며 연결 적인 공간으로 다양한 정류장 이용객과 가로 보행자들을 위하여 환 경개선이 필요하다(Choi, 2008).
버스정류장은 보행환경과 교통 환경의 중개적인 역할을 담당하 고, 그 설치 위치가 도심에서부터 시 외곽까지 일정 간격으로 분포 되어 도시환경의 중요한 요소로 역할을 하고 있다(Kim, 2001). 이 는 도시환경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각적 요소로 버스정차시설 및 가 로환경 시설물, 가로수, 바닥재 등의 집합체로 심미적이고 독창적 인 도시환경 형성에 중요한 생활공간이라 할 수 있다(Kim, 2001). 시대의 변천에 따라 버스정류장은 단순한 버스 승·하차를 위한 공 간에서 대기공간으로 발전하였고, 편리한 정보전달을 통하여 대중 교통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Shin, 2012). 이러 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버스정류장은 기본적인 통행에만 주안점을 두어 경관·생태·행태적인 고려 없이 인위적이고 획일적으로 조성 되어 있어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 어 있는 실정이다(Choi, 2008).
버스정류장은 이용자들의 다양한 이용형태를 만족시키고 체류 시간 동안 쾌적감과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Choi, 2008). 또한 도시의 휴식공간을 확보하고 녹 지공간을 확충함으로써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녹지축 조성을 위한 토지확보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효율적인 공간으로 이용이 가능하 다(Yoon, 2010 ). 버스정류장은 현행법제상에 따라 도시계획시설 중 공공공지에 포함되는 부지로서, 도시공원법에서 분류하고 있는 최소 생활권 공원시설인 소공원, 어린이 공원과 마찬가지로 그 이 용권이 250m이내인 근린 오픈스페이스라 할 수 있다(Choi, 2008). 버스정류장은 다수의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개방성을 가 진 부지라고 할 수 있으며, 비건축지로서 개발여부에 따라 자연환 경을 부지 내에 도입할 수 있다(Kim, 1996).
버스정류장의 역할이 다양해짐에 따라 버스정류장에 관한 연구 들은 버스정류장의 공공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등 시설물 디자인 에 관한 연구(Cha and Hong, 2005; Ye and Nam 2008; Hyoung, 2009; Kim, 2010; Yoon, 2010 ; Yoon, 2010; Lee et al., 2010; Jeong, 2010; Kil, 2012; Kim, 2012; Shin, 2012; Lee and Lee, 2012; Hong, 2012; Park et al., 2013)와 버스정류장의 물리적, 경 제적 계획에 관한 연구(Kim and Kim, 2001; Lee, 2004; The Seoul Institute, 2005; The Seoul Institute, 2007; Kim and Lee, 2011; Kim, 2011), 버스정류장의 공원화에 관한 연구(Choi, 2008) 등과 같이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버스정류장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녹지를 활용한 버스정류장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서는 2011년 ‘서울 시내버스 승차대(가로변) 표준형디 자인’ 개발을 통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을 통한 서울의 정체 성 확립 및 조화로운 가로이미지 창출과 이용자 시각에서의 기능성 및 안전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반영한 표준디자인 정립으로 도시의 품격을 제고하고자 하였다(Seoul, 2011). 서울 시내버스 가로변정 류장을 대상으로 표준형디자인을 개발하여 우선 적용 후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마을버스정류장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그러나 개선사 업계획에는 BIT, 점자블록, 노선도 등 교통정보서비스제공차원의 계획이 대다수이며(Seoul, 2011), 정류장에 적용 가능한 녹지계획 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심의 큰 축을 이루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에 식재되 는 녹지는 크게는 도시의 녹지 네트워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 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Choi, 2008), 이와 관련된 녹지계획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시설 및 식재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버스정류장 디자인 및 환경 개선을 위한 녹지 및 식재 계획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 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2013년 3월을 기준으로 12개축 115.3km로 설치된 서 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 다. 대상지 내 설치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은 편도차선에 설치된 버스정류장 51개소, 왕복차선에 설치된 버스정류장 295개소로 총 345개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Fig. 1).
Fig. 1
Median bus lanes route plan (Data: Seoul Transportation Policy data modified).
KSPPE-17-561_F1.gif
Table 1.
Current state of the bus stop on seoul median bus lane.
District One way bus stop Return lane bus stop Total(ea)

Gangnam-gu 2 - 2
Gangdong-gu - 12 12
Gangbuk-gu 1 12 13
Gangseo-gu 3 15 18
Gwanak-gu 1 - 1
Gwangjin-gu 1 6 7
Guro-gu 3 12 15
Geumcheon-gu - 14 14
Nowon-gu - - 0
Dobong-gu - 20 20
Dongdaemun-gu 9 22 31
Dongjak-gu 6 11 17
Mapo-gu - 16 16
Seodaemun-gu 4 35 39
Seocho-gu 6 22 28
Seongdong-gu - - 0
Seongbuk-gu - 10 10
Songpa-gu - 16 16
Yangcheon-gu - - 0
Yeongdeungpo-gu 6 10 16
Yongsan-gu - 12 12
Eunpyeong-gu - 28 28
Jongno-gu 6 2 8
Jung-gu 4 4 8
Jungnang-gu - 14 14
Total 51 295 345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버스정류장의 녹지 및 식재 계획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둘째, 예비 조사를 통하여 대상지 의 현황 및 조사 가능 여부를 확인 하였다. 셋째, 중앙차로 버스정류 장 345개소를 최종 대상지로 선정하여 2014년 8월 14일~8월 18 일까지 총 5일간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시설물 및 식재 식물을 전 수조사 하였다. 마지막으로 식재 식물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서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중앙차로 버스 정류장의 녹지 및 식재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 및 고찰

1. 시설물 조사 현황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시설물은 크게 휴게시설(쉘터, 벤치, 휴 지통, 조명시설), 정보시설(노선표, 광고판, 검색대, 버스알림시스 템)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이용자의 쉼터로 사용되는 쉘터는 345개소로 현재 조성되고 있 는 정류장(서울역환승센터)을 제외한 모든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에 설치되었으며, 버스정류장의 크기에 따라 1~3개가 설치된 것 으로 조사되었다. 벤치는 총 90개소의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설 치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류장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 게 조성되어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휴지통이 설치되어 있는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은 총 257개소 로 휴지통의 디자인 및 설치유무는 정류장 및 행정구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버스정류장의 환경개선을 위해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하 다 판단된다. 조명시설(가로등)의 경우 345개소 전체 정류장에 설 치되어 있으며, 형태 및 개수는 정류장마다 차이가 있었다.
정보시설 중 노선표와 광고판은 345개소 모든 정류장에 설치되 어 있었으며, 각 정류장의 쉘터 벽면에 부착되어 있어 이용이 용이 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자가 탑승하려는 버스의 위치를 찾기 위 한 검색대는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는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를 대신하여 현재 정류장을 경유하는 모든 버스의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버스알림시스템이 각 정류장별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Table 2.
Facilities of the bus stop on seoul median bus lane.
Sort Rest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District ea Shelter Bench Trash can Lighting system Route map Billboard Inquiry stand BIS

Gangnam-gu 2 2 - 2 2 2 2 - 2
Gangdong-gu 12 12 12 12 12 12 12 - 12
Gangbuk-gu 13 13 - 12 13 13 13 - 13
Gangseo-gu 18 18 14 6 18 18 18 - 18
Gwanak-gu 1 1 - 1 1 1 1 - 1
Gwangjin-gu 7 7 - 7 7 7 7 - 7
Guro-gu 15 15 - 13 15 15 15 - 15
Geumcheon-gu 14 14 - 14 14 14 14 - 14
Dobong-gu 20 20 - 17 20 20 20 - 20
Dongdaemun-gu 31 31 - 19 31 31 31 - 31
Dongjak-gu 17 17 5 16 17 17 17 - 17
Mapo-gu 16 16 6 10 16 16 16 - 16
Seodaemun-gu 39 39 22 28 - 39 39 - 39
Seocho-gu 28 28 11 17 28 28 28 - 28
Seongbuk-gu 10 10 - 10 10 10 10 - 10
Songpa-gu 16 16 - 15 16 16 16 - 16
Yeongdeungpo-gu 16 16 - 16 16 16 16 - 16
Yongsan-gu 12 12 - 12 12 12 12 - 12
Eunpyeong-gu 28 28 14 8 28 28 28 - 28
Jongno-gu 8 8 - 8 8 8 8 - 8
Jung-gu 9 8 - 8 8 8 8 - 8
Jungnang-gu 14 14 6 6 14 14 14 - 14

Total 345 345 90 257 306 345 345 0 345
버스정류장 시설물 조사 결과 개방형 쉘터로 인하여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아 이용객들의 보호기능이 미약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 자치구별 디자인의 대표성이 없고 획일화되어 주변 환경 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버스정류장은 공 공시설물이며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하므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 입하여 편의를 도모해야하며(Kim and Park, 2010) 도시경관의 다 양성을 위하여 자치구별 대표성을 가지는 디자인개발이 필요할 것 이라 판단된다.

2. 식생 현황 조사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식재된 식물은 크게 초본류, 관목류, 교 목류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은 도로의 중앙에 위치해 있어 각종 대기오 염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용객의 통행이 용이해야하기 때문에 식재 면적이 한정되어 있고, 아스팔트로 피복되어 있어 식물 생장 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식물 선정이 제한적일 수 있다.

1) 초본류

초본류 식재의 경우 Petunia hybrida, Petunia hybrida(Easy Wave), Angelonia angustifolia, Chrysanthemum morifolium, Begonia semperflorens, Hedera helix, Mirabilis jalapa, Portulaca grandiflora, Pachysandra terminalis, Liriope platyphylla,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Pelargonium inquinans, Bidens ferulifolia, Ageratum houstonianum, Lampranthus spectabilis 등이 식재에 사용되었다(Table 3). 초본류는 강동구, 동대문구, 동 작구, 서대문구, 서초구, 은평구, 종로구에 식재되어 있었으며, 가 장 많이 식재된 초본류는 페튜니아, 이지웨이브, 국화, 아이비 순으 로 나타났다. 강동구의 경우 페튜니아 한 종을 사용하여 단일식재 하였으며, 동대문구, 동작구, 서대문구, 서초구, 은평구, 종로구는 2 종류~6종류의 초화류를 혼합하여 식재하였다.
Table 3.
Herb planting of the bus stop on Seoul median bus lane.
Sort Total Herb

Petunia hybrida Petunia hybrida (Easy Wave) Angelonia angustifolia Chrysanth emum morifolium Begonia semperflorens Hedera helix Mirabilis jalapa Portulaca grandiflora Pachysandra terminalis Liriope platyphylla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Pelargonium inquinans Bidens ferulifolia Ageratum houstonianum Lampranthus spectabilis

Gangnam-gu - - - - - - - - - - - - - - - -
Gangdong-gu 12 12 - - - - - - - - - - - - - -
Gangbuk-gu - - - - - - - - - - - - - - - -
Gangseo-gu - - - - - - - - - - - - - - - -
Gwanak-gu - - - - - - - - - - - - - - - -
Gwangjin-gu - - - - - - - - - - - - - - - -
Guro-gu - - - - - - - - - - - - - - - -
Geumcheon-gu - - - - - - - - - - - - - - - -
Dobong-gu - - - - - - - - - - - - - - - -
Dongdaemun-gu 10 4 - - 8 2 10 - - - - - - - - 4
Dongjak-gu 8 6 8 6 - - - - - - - - - - 1 -
Mapo-gu - - - - - - - - - - - - - - - -
Seodaemun-gu 12 5 5 - 5 - - - 1 9 1 - - - - -
Seocho-gu 2 - 2 2 - - - - - - - - - 2 2 -
Seongbuk-gu - - - - - - - - - - - - - - - -
Songpa-gu - - - - - - - - - - - - - - - -
Yeongdeungpo-gu - - - - - - - - - - - - - - - -
Yongsan-gu - - - - - - - - - - - - - - - -
Eunpyeong-gu 6 - 6 - - - - 6 - - - 6 - - - -
Jongno-gu 3 2 3 - - - - - - - - - 2 1 - -
Jung-gu - - - - - - - - - - - - - - - -
Jungnang-gu - - - - - - - - - - - - - - - -

Total 53 29 24 8 13 2 10 6 1 9 1 6 2 3 3 4
초본류는 정류장 난간에 플랜터로 식재되었으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일회성 식재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버스정류 장 내 식재된 초화류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단발성으로 식재된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들어 도시 내 건축물의 고층화와 고밀도화로 인하여 영구 적인 음영지가 증가하고, 자동차 통행으로 인한 대기오염 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Joo and Yoon, 2013) 향후 장기적으로 버스정류장 에 식재 가능한 내공해성 및 음지성 자생초본식물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버스정류장 내에 지속적으로 초화류가 유지 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관목류

관목류 식재의 경우 Euonymus alatus, Buxus korna, Azalea, Euonymus japonicus 총 4종이 식재에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관목 은 현재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는 수종을 기반으로 하여 식재 된 것으로 판단된다(Table 4).
Table 4.
Shrub planting of the bus stop on Seoul median bus lane.
Sort (ea) Shrub

Euonymus alatus Buxus korna Azalea Euonymus japonicus

Gangnam-gu - - - -
Gangdong-gu - - - -
Gangbuk-gu - - 1 -
Gangseo-gu - - - -
Gwanak-gu - - - -
Gwangjin-gu - - - -
Guro-gu - - - -
Geumcheon-gu - - - -
Dobong-gu - - - -
Dongdaemun-gu - - - -
Dongjak-gu - - - -
Mapo-gu - - - -
Seodaemun-gu - 3 - 14
Seocho-gu - 2 - -
Seongbuk-gu - - - -
Songpa-gu 2 4 4 -
Yeongdeungpo-gu - 6 - -
Yongsan-gu 2 2 2 2
Eunpyeong-gu 2 8 8 -
Jongno-gu 1 - - -
Jung-gu - 2 - 1
Jungnang-gu - 6 - -

Total 7 33 15 17
관목류는 회양목이 가장 많이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 철나무, 철쭉류, 화살나무 순으로 식재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류의 식재형태는 대부분 버스정류장 가장자리에 밀식하여 식 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용산구 버스정류장 식재형태의 경우 쉘터 뒤편에 관목류를 식재하여 이용객으로 인한 관목류 훼손 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 관목류 식재의 경우 강북구(철쭉), 서대문구(회양목, 사철나무), 서초구(회양목), 송파구(화살나무, 회양목, 철쭉), 용산 구(화살나무,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은평구(화살나무,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종로구(화살나무, 회양목), 중구(회양목), 중랑구 (회양목)로 조사되었다.

3) 교목류

교목류 식재의 경우 Zelkova serrata, hionanthus retusus, Quercus palustris, Pinus densiflora, Acer palmatum, Prunus serrulata var. spontan로 총 6종이 식재에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 었다(Table 5). 버스정류장 교목 식재의 경우 가로수 선정을 위한 도시공원위원회 심의에 의하여 선정되어(Seoul City Hall Homepage), 버스정류장의 교목 식재 선정에 관한 별도의 근거 자료가 없 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치구별 교목류 식재의 경우 강남구·도봉구·동대문구·성북구· 마포구(이팝나무), 강북구(소나무, 단풍나무), 강서구(대왕참나 무, 단풍나무), 관악구·구로구·금천구·송파구·영등포구·용산구(느 티나무), 동작구(느티나무, 이팝나무, 대왕참나무), 서대문구(느티 나무, 이팝나무, 대왕참나무, 벚나무), 서초구(이팝나무, 대왕참나 무, 단풍나무), 은평구(느티나무, 이팝나무), 종로구(이팝나무, 소 나무), 중구·중랑구(소나무)로 조사되었다.
Table 5.
Tree planting of the bus stop on Seoul median bus lane.
Sort (ea) Tree

Zelkova serrata Chionanthus retusus Quercus palustris Pinus densiflora Acer palmatum Prunus serrulata var. spontan

Gangnam-gu - 2 - - - -
Gangdong-gu - - - - - -
Gangbuk-gu - - - 12 1 -
Gangseo-gu - - 11 - 2 -
Gwanak-gu 1 - - - - -
Gwangjin-gu - - - - - -
Guro-gu 1 - - - - -
Geumcheon-gu 14 - - - - -
Dobong-gu - 4 - - - -
Dongdaemun-gu - 14 - - - -
Dongjak-gu 6 2 10 - - -
Mapo-gu - 16 - - - -
Seodaemun-gu 19 10 2 - - 1
Seocho-gu - 25 1 - 2 -
Seongbuk-gu - 9 - - - -
Songpa-gu 16 - - - - -
Yeongdeungpo-gu 8 - - - - -
Yongsan-gu 12 - - - - -
Eunpyeong-gu 14 5 - - - -
Jongno-gu - 6 - 2 - -
Jung-gu 2 - - 6 - -
Jungnang-gu 4 - - 10 - -

Total 97 93 24 30 5 1
교목류 식재형태의 경우 대부분 버스정류장 내에 직접 식재한 형태와 플랜터에 식재한 형태로 구분되었다. 플랜터에 식재한 형태 의 경우 정류장 내 차용면적이 넓어 이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 나 고사 등의 이유로 교목류를 교체할 시에는 용이할 것으로 판단 된다.
버스정류장 내 식재 가능한 교목류는 도로에서 발생되는 오염원 흡착과 이산화탄소 흡수 기능 등의 대기정화 기능을 가져야하며 (Kim, 2013), 관수 및 영양공급 면에서 요구조건이 비교적 낮고, 내공해성이 강한 수종 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변 녹지와 연 결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시환경을 이루는 경관요소 로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자치구별로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 는 수종을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식재조사 결과 식물 종 선택에 관한 근 거 자료가 희박하며, 정류장마다 식재된 식물의 종류 및 식재주수 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종 다양성과 경관성을 높이기 위한 버스정류장 식재계획에 있어 저관리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내공해성을 가지는 식물 종을 중심으로 식재계획에 사용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버스정 류장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식재 식물소재에 관한 연구 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버스정류장은 가로환경의 일부로 보행환경과 교통 환경의 중개 적 역할을 담당하며, 그 위치가 도심부터 외곽까지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도시환경의 요소로 작용한다(Choi, 2008). 버스정류장 이 제대로 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버스정차기능 이외에 개방된 부지 내에서 시민들의 각종 이용행태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친환경적이고 각종 환경조절이 가능한 식물의 식재 계획이 포함된 버스정류장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적요

본 연구는 버스정류장 녹지 및 식재 계획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 적으로 115.3km로 설치된 서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총 345개 소의 시설물 및 식재 식물을 조사하였다. 시설물은 휴게시설, 정보 시설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쉘터, 조명시설, 노선표, 광고판, 버스알림시스템은 현재 조성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전부 설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치, 휴지통, 검색대는 디자인 및 개수 가 정류장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류장의 환경 개선을 위하여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결과 대 부분의 정류장에 휴게시설과 정보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이용객들이 외부환경변화에 노출되어 이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식재 식물의 조사결과 초본류의 경우 대부분 일회성 을 목적으로 플랜터에 식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15종이 식 재되었다. 관목과 교목의 경우 식재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가 4종, 6 종으로 국한되어 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 부 고사된 수종이 발견되어 식재 후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향후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을 위한 식재 식물 연구를 통하여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질을 향상 시켜 의미 있는 공간으 로서 버스정류장의 공간을 재창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V.
V.

References

Cha MJ, Hong KS. A study on city environment system change about the change of the bus stop.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05;2005(5): 114–115.

Cho SH. Growth and seed setting characteristics of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grown under different den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llection of Writings 2008;45(2): 121–127.

Choi YJ. Proposal of bus stop park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street environment. MS Thesis. 2008.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Han BH. A study o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MS Thesis. 1995. Seoul, Korea: University of Seoul.

Han BH, Jeong IK, Park SC, Hur JY.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09;28(2): 128–141.

Han BH, Jang JH, Heo JY, Lee KJ. Expansion plan for urban green using urban street space-In case of Yeongdeungpogu, Seou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0;2010(2): 159–162.

Hong JS. A study on bus station design employing photovoltaic system. MS Thesis. 2012. Daejeon, Korea: Hanbat National University.

Hyoung SE. Establishment of design model considering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rs in public design-Focused on the bus sta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09;12(4): 451–460.

Jeong JH.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multi-functional bus stations. MS Thesis. 2010.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Jeoung YM. A study on the betterment of design at BIS bus stop in Gwang-ju city. MS Thesis. 2008. Gwangju, Korea: Gwangju University.

Jo HG, Jo YH, An TW.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improving atmospheric environment -Focusing on Jung-gu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8;20:114 –121.

Ju JH, Yoon YH.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Hosta longipes in urban shad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12(4): 119– 132.
crossref
Jung HE. A study on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 in Seoul. 2014. Seoul, Korea: University of Seoul.

Kil YH. Study on efficient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for city brand image : a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brand image. MS Thesis. 2012.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Kim BS, Lee YI. A study on the area calculation of BRT station considering passengers behavior.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11;2011(3): 558–563.

Kim EA. Study of improvement in color perception for universal design: 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MS Thesis. 2010. Seoul, Korea: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 Hanyang University.

Kim EA, Park GJ. Study on color perception improvement for universal design-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10;13(2): 371–380.

Kim GM. A study of local bus stop improvement in Seoul. MS Thesis. 2002. Seoul, Korea: Kyonggi University.

Kim HS, Kim Y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us stop amenity for the pedestrian spac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17(9): 211– 218.

Kim JB. Study on application of median bus lane system. MS Thesis. 2011. Yongin, Korea: Dankook University.

Kim JH. Study on a reform of the roadside bus stop near the 6th exit of Jamsil subway station. MS Thesis. 2012. Seoul, Korea: Sungkyunkwan University.

Kim MJ. A study on the space improvements of downtown bus stop by analyzing human behaviors. MS Thesis. 2001. Cheongju, Korea: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Kim MK. Multi-layer planting model based on analysis of natural plant structure-A special reference to inland and south sea-side area in Korea-. MS Thesis. 2011.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Kim TJ. The species selection and planting guidelines for street tree to reduce road atmospheric carbon dioxide.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2013;17(1): 131–144.
crossref
Kim WH. Development of measure for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xclusive median bus lane. 2007. Seoul, Kore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Kim YJ.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eoul City bus stop. MS Thesis. 1996. Seoul, Korea: Hongik University.

Lee IA. On study of median bus lane of analysis of economic. MS Thesis. 2004. Kookmin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Lee JH, Lee AK, Kim YH. Public design of bus station for Cheongju city with plant container function. Flower Research Journal 2010;18(4): 323–327.

Lee KS, Lee JH. A study on the compliance design guidelines of Seoul metropolitan city-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city wayside bus stop-.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2012;11(4): 179–19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ation. http://bama.ua.edu/~jhooper/.

Park EJ, Jwa SH. Quantification of CO2uptake by urban trees and greenspace management for C sequestration. 2009. 11th ed. Suwon, Kore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ark JE, Kim YW, Suh SK. Study on the evaluation of application for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bus stops-Focused on the cases of bus stops domestic and abroad-.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3;15(1): 107–111.

Miner RW. Conservation of histons and cultural resources. American Society of Planning Officials 1969.

Sagong DH. Productivity, growth control and fruit quality improvement in high density apple orchards. MS Thesis. 2007. Daegu,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bama.ua.edu/~jhooper/.

Seoul Culture Portal. Public facilities bus shelter standard type design. 2011. Seoul, Korea.

Shin GS. Study on space design a bus stop, in ubiquitous environment : the bus stop around the city of seoul. MS Thesis. 2012. Seoul, Korea: Kookmin University.

Sung HC.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urban roadside trees by major road types: Focusing on 7 cities in Kyouggi Province.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3;38(3): 245–257.

The Seoul Institute. Monitoring bus service systems : for Seoul bus system reform programs. 2005. Seoul, Korea: The Seoul Institute.

Ye MJ, Nam KS. A case study on the bus stations as the environmental structures on the streets-Focusing on the 5 case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2008;28(1): 47–55.

Yoon SM. Study on bus stop designing with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focusing on bus stop of Seoul. MS Thesis. 2010. Seoul, Korea: Dongduk Women's University.

Yoon YA. Public design element study about bus stop for placeness formation. MS Thesis. 2010. Gwangju,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383 View
  • 29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