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6); 2014 > Article
초등학교 재량활동에 적용 가능한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이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s of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based on growing lettuce' on basic inquiry skills for lower and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class of the second and fifth grade students was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group of second and fifth grades, the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was provided for total eight times, one hour thirty minutes each from 1:00 to 2:30 pm every week, through the discretionary activity time from September 11 to November 6 2012. After being offered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based on growing lettuce, total basic inquiry skills score of both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are increased by 3.89, 1.76, respectively. Total basic inquiry skills score of the lower grades had 2.13 point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upper grades. Control group of the lower grades had improvement 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inference, expectation parts except observation with no significantly(p>0.05).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of lower grades improved in all search factors of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inference, and expectation as the result of post test. As the result of implementing the t-test to find out any statistical impl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s the result of 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of upper grades improved significantly in search factors of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and the control group of upper grades improved significantly only in search factors of classification.

서론

과학교육에서 탐구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다른 교과와 구분하는 특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기초탐 구는 탐구의 가장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탐구 요소로 탐구과정의 바 탕을 이루며 전 학년에 걸쳐 과학 학습 활동에 모두 강조되고 있다 (Kang, 2010). 그러나 실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탐구학습은 그 다지 성공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데(Lee and Lee, 2010) 초 등학교, 중학교에서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교사는 50%를 넘지 못 하는 수준이고(Lee, 2004), 교과서에 나와 있는 실험문제와 실험 방법을 깊이 있게 다루기보다는 이미 나와 있는 실험결과에 맞춰가 는 낮은 수준의 탐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Lim et al., 2005). 이 러한 상황 속에서는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종합적으로 탐구활동 에 참여할 기회를 얻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써 식물은 학생들의 호 기심을 자극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탐색하고 조작할 기회를 주는데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고(Kim, 2010), 성장하면서 끊임없 이 변화하기 때문에(Lee, 2011) ‘식물 기르기’는 탐구 대상으로 다 루기에 적합한 생생한 수단으로 초등학교 교과에 제시되어 있으며, 과학 교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탐구활동과 연계하여 활용 하기가 쉽다(Jeong et al., 2010).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사고력이 급격히 진전되며 구체 적 조작에 의해서 사물의 속성 및 사물 간의 관계를 알게 되고 (Kerry and Tollitt, 1978), 고학년 이상의 학생은 이러한 발달을 바 탕으로 깊이 있고 폭넓은 사고력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뒷 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활동이 제공되면 좋을 것이라고 보았다.
더불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는 사회 및 자연현상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생활주변의 관찰을 통한 탐구능력을 기르는 것이 강조되며, 학생들의 탐구능력은 사물과 대상의 세밀한 관찰로부터 시작된다는 연구와(Kim, 2005) 2007년 개정교육과정 5, 6학년 과 학교과서의 질문을 분석한 결과, 과학탐구기능 중 관찰을 포함한 기초탐구기능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통합탐구기능은 경험해볼 수 있는 정도의 적은 분포를 보였다는 것을 바탕으로(Seo, 2012) 저학 년과 고학년을 아우르는 기초탐구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고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식물 재배 활동 중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 쉽게 다룰 수 있는 식물 중 하나인 상추 재배활동을 중심으로 개발 된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에 적용하여 저학 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Y초등학교 2학년 1개반 19명, 5학년 1개 반 28명을 실험군으로, 동일학교 2학년 1개반 20명, 5학년 1개반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1) 원예-과학 통합프로그램의 설계

본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 을 활용하여 저학년 및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향상을 위하여 식물 또는 원예활동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중 교과서 1학년 슬기로운 생활 식물 관련 주제, 4학년 과학 식물의 한 살이와 5학년 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등을 중심으로 제시된 과학 탐구능력요소를 상추 기르기 활동과 연계하였다.
작물을 직접 재배하는 과정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생명이 살 아가는 환경과 생태계에 관심을 두게 하고, 이러한 관심을 관찰, 분 류, 측정, 예상, 추리의 기초탐구기능(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을 통하여 발휘할 수 있 도록 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기초탐구의 기본 요소인 관찰은 사물이나 현상으로부터 시각, 미각, 촉각, 청각, 후각의 오감을 이용한 오감사용관찰과 루페와 같 은 보조 도구를 사용한 도구사용관찰을 통해 올바른 정보나 자료를 찾아낼 수 있다. 상추 기르기 활동에서 관찰 가능한 소재는 배양토, 퇴비, 품종별 씨앗, 품종별 잎, 줄기, 뿌리, 해충, 천적, 물, 비료, 방제 액, 모종삽, 물뿌리개, 릴 호스, 삽, 플러그트레이, 상자텃밭 등이며, 이들은 전체 또는 부분 관찰이 가능하다. 상추 기르기 과정 중 관찰 가능한 요소는 장소 선정, 배양토 만들기, 씨 뿌리기(플러그판, 본 밭), 솎아주기, 옮겨심기, 모종선택, 시든 잎 제거, 물주기, 퇴비 만 들기, 비료 주기, 병해충관리, 잡초관리, 수확, 거둔 수확물 활용 등 이 있다.
이렇게 상추를 기르는 전 기간동안 상추가 자라면서 변화하는 모습, 기르기 위한 작업 활동, 작업 여부에 따른 환경 변화 등, 사물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해 좀 더 관심을 두고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형태의 상추 품종을 길러봄으로써 상추의 공통 적 속성이나 기준에 따라 나누어보는 분류활동과 손바닥 등의 임의 도구, 자나 저울의 표준 도구를 활용하여 상추의 자람을 측정할 수 있다. 관찰, 분류, 측정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상추의 자람에 대한 미래의 결과를 예상하거나 이미 나온 결과의 원인에 대한 추리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Fig. 1).
Fig. 1
Design of inquiry program based on growing lettuce for observation.
KSPPE-17-441_F1.gif

2) 원예-과학 통합프로그램 실행

본 연구는 2012년 9월 11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1회, 1시에 서 2시 30분까지, 80분 동안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총 8회에 걸 쳐 시행하였다. 연구가 이루어진 장소는 주로 교실과 현재 사용하 지 않는 공간인 테니스장이었다(Table 1).
재배활동은 플라스틱용기 2개가 1세트인 심지 관수형 용기 (61.0 × 40.0 × 14.0cm)인 상자텃밭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원예치료 자격이 있는 1인이 담당하였으며, 담 임선생님이 참관하며 활동을 보조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상 추 기르기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능력에 관한 내용 중 기초탐구능력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저학년과 고학년 수준을 구분하였고,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Table 2).
Table 2.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for lower and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No. Title of activity Main activity content Relate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z Related gradey

1 Let s be the lettuce Dr. Lettuce life cycle Simple O A

Lettuce garden design Five senses O A
CL composite properties
CL standard

2 Hey lettuce, nice to meet you! Lettuce observation Five senses O A
O results expression

Lettuce classification CL by characteristics U
CL characteristics expression

Lettuce measurement Length M A
Simple M
use M tools
O results expression

Lettuce seedling planting Simple O A

3 Gather together! (L) Lettuce! I'll find the soil that you like! (U) Mixed media observation CL by characteristics U
CL characteristics expression

Soil classification CL by characteristics U

Soil observation Five senses O A
Simple O
Supplements O
O results expression
CL characteristics expression

Soil exploration Operational E U
comparison observation

Measurement of lettuce in the garden Simple O U
Length M
Approximate M

4 Soil and lettuce seeds Lettuce seeds observation Five senses O A
Supplements O
O results expression

Understand the measurement criteria Length M L
Weight M

Planting lettuce seeds in the wick planter (PET bottles) CL order list L
M design
Volume M
Operation M

Lettuce seeds planting mission paper CL order list U
M design
Volume M
Operation M

Lettuce harvest Five senses O A

5 Let's explore the basic process with lettuce(1)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mission papers Five senses O A
Comparison observation
Objective O
More than two observer O
CL characteristics expression
Length M
O results expression

Lettuce harvest Five senses O A
6 Let's explore the basic process with lettuce(2) Expectation, inference mission paper Length M A
Elementary E
One, second I
I statement

7 Dr. lettuce Quiz Crossword puzzle - L

Speed quiz - L

Lettuce harvest Five senses O A
Length M

Why look like a bag of water surface? Lettuce harvest Five senses O A

Observation of harvested plastic bags CL order list U
M design
Volume M
Operaion M

8 Create lettuce and Science Mobile Lettuce life cycle mobile CL order list L
Length M

Dr. lettuce Quiz Crossword puzzle -

Speed quiz - U

Lettuce harvest Five senses O U
Length M

z CL: classification, E: expectation, I: inference, M: measurement, O: observation.

y Level, L: lower grade, U: upper grade, A: all grade.

3. 측정도구

측정도구는 Kwon and Kim(1994)이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검 사지(TSPS)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과학탐구능력을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등 기초탐구능력 5개 요소와 가설설정, 변인 통제, 자료변환, 자료해석, 일반화의 통합탐구능력 5개 요소로 제 시하고 있다.
총 10개의 요소가 4지 선다형 3문항씩 총 30문항으로 구성되며 측정시간은 40분으로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기초탐구능력을 다룬 15문항만 검사지로 사용하였으며, 정답은 1, 오답은 0으로 채점하였다. 신뢰도는 2학년은 0.76, 5학년은 0.69 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조사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여 집단 내 사전·사후 비교는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과 사후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저학년의 기초탐구능력

저학년의 기초탐구능력은 Table 3과 같이 프로그램 실시 전 수 행된 사전 검사를 기준으로 독립표본 t 검증을 시행한 결과, 실험군 과 대조군의 기초탐구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영역인 탐구요소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Table 3.
The Effect of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on basic inquiry skills for lower grades of Seoul Y elementary school.
Item Group Pre Post px
Mz±SDy M±SD
Observation Experimental 1.11±0.66 2.00±0.67 0.006**
Control 1.25±0.79 1.80±0.52 0.001**
pw 0.930 0.662
Classification Experimental 1.37±0.90 2.11±0.81 0.002**
Control 1.35±0.88 2.05±0.76 0.110
p 0.712 0.348
Measurement Experimental 1.58±0.90 2.37±0.60 0.006**
Control 1.80±1.11 2.05±1.00 0.406
p 0.515 0.008**
Inference Experimental 2.05±0.91 2.63±0.60 0.002**
Control 1.55±1.19 1.85±0.99 0.688
p 0.877 0.035*
Expectation Experimental 1.47±0.77 2.37±0.60 0.001**
Control 1.50±1.19 1.60±1.05 0.813
p 0.743 0.001**
Total Experimental 7.58±2.09 11.47±1.90 0.000***
Control 7.45±3.87 9.35±3.08 0.146
p 0.956 0.004**

z Mean.

y Standard deviation.

x Level by paired t-test.

w Level by independent t-test.

*, **, *** Significant at p< 0.05, 0.01, 0.001.

사전검사 실시 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을 적 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기초탐구능력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실험군 의 기초탐구능력의 총점과 하위영역인 측정, 추리, 예상이 대조군 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내 사전-사후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비교 해 본 결과, 실험군의 기초탐구능력의 총점은 사후에 모두 증가하 였고, 대조군의 총점은 사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3).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찰은 실험군, 대조 군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관찰을 제외한 분류, 측정, 추 리, 예상은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하게 증가를 나타냈고, 대조군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 로그램의 실행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은 Table 4와 같이 프로그램 실시 전 수 행된 사전 검사를 기준으로 독립표본 t 검증을 시행한 결과, 실험군 과 대조군의 기초탐구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탐구능력의 하위 영역인 탐구요소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Table 4.
The Effect of horticulture-science integrated program on basic inquiry skills for upper grades of Seoul Y elementary school.
Item Group Pre Post px
Mz±SDy M±SD
Observation Experimental 1.79±0.99 2.11±0.83 0.164
Control 1.90±0.86 2.00±0.80 0.599
pw 0.654 0.622
Classification Experimental 1.21±0.88 1.82±1.02 0.021*
Control 1.07±0.92 1.69±1.04 0.024*
p 0.545 0.631
Measurement Experimental 2.00±0.72 2.21±0.92 0.352
Control 2.00±0.96 2.03±0.82 0.889
p 1.000 0.439
Inference Experimental 1.36±0.91 1.86±0.89 0.032*
Control 1.34±1.04 1.83±0.76 0.070
p 0.962 0.893
Expectation Experimental 1.75±0.84 1.86±0.85 0.648
Control 1.83±0.93 1.90±0.94 0.808
p 0.743 0.869
Total Experimental 8.10±2.91 9.86±2.74 0.030*
Control 8.14±3.40 9.45±3.10 0.137
p 0.971 0.601

z Mean.

y Standard deviation.

x Level by paired t-test.

w Level by independent t-test.

* Significant at p< 0.05.

사전검사 실시 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을 적 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기초탐구능력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기초탐 구능력의 총점 및 전 하위영역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사전-사후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실험군의 기초탐구능력의 총점은 프로그램 사후에 유의한 증 가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의 총점은 사후에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4). 기초탐구능력의 각 하위 영역을 살펴보 면, 관찰, 측정, 예상 영역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 가 나타나지 않았고. 분류 영역에서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유 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외 추리 영역은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증 가가 나타났다. 이는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의 실행이 초 등학교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을 함께 살펴보면 저학년의 경 우, 실험군의 모든 항목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 타낸 반면, 고학년은 분류와 추리의 일부 영역에서만 실험군의 유 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저학년의 경우, 탐구의 기본과정인 관찰 중심의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직접적 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고학년에게는 다소 낮은 수준의 탐구능력을 요하는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 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기회를 주지 못하여 높은 학습 효 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게 아닌가 보여지며(Lee, 2010), 초등학교 3 ∼6학년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발간되는 몇 종의 탐구놀이 자료 집을 수정 보완하여 15회분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특별(클럽)활 동 과학 탐구놀이 반에 적용한 결과, 과학탐구능력과 탐구요소 중 관찰능력에서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학년보다는 3, 4학년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다고 하는 Jo(1996) 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으로 기초탐구능력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 고학년, 저학년 실험군 모두 분류의 향상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4). 분류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사물을 그 공통적인 속성이나 조 건에 따라 같은 범주로 묶거나 다른 범주로 구분하는 것(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인데, 상 추 기르기와 연계한 원예-과학 프로그램(Table 1) 총 8회기 활동 중, 분류와 연계한 내용이 저학년 4회기, 고학년 5회기로 본 프로그 램의 구성 중 분류기능의 비율이 높았고, 이로 인해 분류 능력이 향 상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1.
The example of teacher’s guide book for upper grade students 3rd.
Title of activity Lettuce! I'll find the soil that you like!
Related basic inquiry skills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expectation
Objectives
  1.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component of soil after observing the each culture soil.

  2.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rank of each soil water drainage.

  3. We can talk to each other about the change in planted lettuce.

Activities content Intervention content Basic inquiry skills
Development activities Learning characteristics of lettuce Good soil for lettuce?
Observation of mixed soil
  1. Observe with five senses (visual, tactile, smell), in the lettuce garden.

  2. Observe with a loupe (magnifying glass)

  1. Senses observation,

  2. Tools observation

Soil classification 1. Classify soil components with color, shape, and so on. Classification by soil characteristics
Observation of classified soil
  1. Observe the five senses (visual, tactile, olfactory)

  2. Observe with a loupe (magnifying glass)

  1. Senses observation

  2. Tools observation

Explore the soil
  1. Estimate the rank of soil water drainage.

  2. Experiment the rank of soil water drainage.

  1. Operational estimation

  2. Comparison, observation

Gardening activities Measure the length and width of lettuce
  1. Simple observation

  2. Length measurement

이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수업 외의 계발활동의 형 태로 학기 중과 방학기간 중에 자유탐구활동을 1학기 동안 적용한 Lee(2002)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과학과 클럽활동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Ryu(2001)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통계 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기초탐구영역은 분류인데 비하여, 상추 기르기에 기초한 원예-과학 프로그램은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분 류영역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과학 교과서 중심의 계발활동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초등학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상추 기르기 과 학탐구 프로그램으로 보완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겠다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재량활 동시간에 적용하여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 능력의 총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예활동을 통하여 호기심이 야기되고 관찰력이 예민해지며, 관찰 의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판단력과 대처능력이 배양되었다는 연구 와(Relf, 1981) 관찰활동 수행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통하여 초등 학생의 기초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가 향상되었다는 연구(Lee, 2002), 식물을 활용한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 및 과학 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Bae et al., 2005; Lee, 2005), 식물을 가꾸고 관찰일지를 쓰는 수업은 과학탐구능력과 태 도를 증가시켰다(Chun and Kim, 2008)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 었다.
학생들의 연령별로 살펴본 연구에서도 '놀이를 통한 학습 ‘프로 그램이 1학년 아동의 관찰, 분류, 측정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Kim, 1997), 과학탐구놀이가 3~6학년 학생들의 과학탐구능 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Jo, 1996), 초등학교 5~6학 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놀이 활동이 아동의 기초탐구 및 통합탐구능 력에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Kim et al., 2004)와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이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특히 저학년 학생에 게 월등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반면, 고학년은 저학년보다 기 초탐구능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하위항목의 종류가 적었고, 점수 가 낮았음을 고려할 때, 고학년일수록 통합탐구 등 수준에 맞는 좀 더 변별력 있는 프로그램과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안내를 통하여 학 생들의 관심과 잠재능력을 유도하고 개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 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적요

본 연구는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재량활 동시간에 적용하여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의 2, 5학년 각 1개의 학급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실험군에는 재량활 동시간을 활용하여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실험군의 상추 기르기 활동에 기초한 원예-과학 통합프로그램 시 행 후,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기초탐구능력 총점이 사전보다 각각 3.89, 1.76으로 증가하였고, 저학년이 고학년과 비교하면 2.13점 더 향상되었다. 저학년의 기초탐구능력 하위 요소별 사후 검사 결 과, 대조군은 관찰을 제외한 분류, 측정, 추리, 예상에서 유의차 없 이 향상되었으나, 실험군은 사후 검사결과 관찰, 분류, 측정, 추리, 예상 모든 탐구요소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고학년의 기초탐구 능력 하위 요소별 사후 검사 결과, 실험군은 분류와 추리 영역에서, 대조군은 분류 영역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V.
V.

References

Bea JH, Kim JS, Yoon BH. The effects of that inquiry activity through plants influences scientific process skills, science attitude and observation skills for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Education Laboratory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30:37–68.

Cho BC. Effect of children inquiry play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MS Thesis. 1996. Cheongju,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 HM, Kim KS. The effect of writing scientific journals after activities to cultivate a vegetable garden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attitude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8;17(1): 291–302.

Jeong SJ, Jeong MI, Song YJ, Kim JS, Noh JM, Lee JW, Moon JH, Kim WS. Effect of horticulture-Korean language integrated program of special aptitude class after school on the learning interest, learning accomplishm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plant-familiar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0;13(5): 1–7.

Jo BC. Study on the effect of science-inquiry activity on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the attitudes of the children.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996.

Kang JM.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scopes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7.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010.

Kerry T, Tollitt J. Teaching infants. Basil Blackwell Oxford UK 1978.

Kim JJ. The effect of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on 4-years-old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exploration ability. MS Thesis. 2010. Kongju, Korea: Kongju University of Education.

Kim SB. An impact of search play on the science search capability of low class students: Based on second semester grade students in wise living. MS Thesis. 2005. Incheon, Korea: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SJ. Effects on ability of science younger children learning through play. MS Thesis. 1997. Cheongju,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YK, Lee CH, Lee SH. An effectiveness of science-play activity on the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4;23(1): 17–26.

Kwon JS, Kim BK.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4;92–93.

Lee HC, Lee JH. The effect of the specific open-inquiry lesson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instructing teachers` cognition about open-inquiry. Scientific Education Laborato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34(2): 405–420.
crossref
Lee JW. Effect of plant use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2005.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JH. The effect of open-inquiry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ers' cognition. MS Thesis. 2010. Busan, Korea: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MO. Effect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2002. Cheongju,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YJ. Effects of the teaching program with the observing performance assesment on the elementary pupil's fundamental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MS Thesis. 2002. Chuncheon, Korea: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YO. Effect of nature-friendly investigating activit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ogether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for young childre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1;15(1): 395–416.

Lee YR. 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4;24(3): 468–480.

Lim CS, Kim. BS, Kim EJ. The effects of science learning with the levels of inquiry require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xperiment instruction: on cognitive doma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5;24(4): 321–328.

Relf PD. Dynamic of horticultural therapy. Rehap. Lit 1981;42(5): 47–150.

Ryu H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The science club activity⌋program for upper elementary children. MS Thesis 2001;Incheon, Korea: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 JH.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 elements in question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MS Thesis. 2012. Busan, Korea: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1,099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