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3); 2014 > Article
매화나무 노거수의 현황조사 및 지정관리 방안

ABSTRACT

A Prunus mume are imbued with the moral culture of our ancestors, yet its symbolism and meaning are fading away in the indifference of modern people. Recently the circumstance the importance of Prunus mume is highlighted in light of profit generation from harvesting fruits rather than of ornamental landscape material for appreciating beautiful flowers. Under the circumstance like th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e of big and old Prunus mume across the nation and its value as natural resources, suggest the necessity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undesignated old and big Prunus mume of which value as the natural resources increases because they grow in a poor environment unlike other big and old trees designated as the natural monument or law-protected trees and futhermore suggest the basic data needed for designating big and old plum tress as the natural heri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signating big and old Prunus mume as natural monument, Si and Do monument and law-protected trees. Yet as there is no objective quantified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state of growth and management, age and value of big and old trees, a study on the basis of more specific standards is required and furthermore more precise follow-up studies on other excellent resources on the basis of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big and old Prunus mume stress across the nation are required.

서론

매화나무는 고금(古今)을 막론하고 청초(淸楚)하고 기품(氣 品) 있는 꽃으로 여겨져, 모든 꽃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 특히 유 교 이념을 숭상하였던 선조들은 매화를 상찬하는 시를 읊고, 매화 도(梅花圖)를 즐겨 표현하였다(Kim, 2010).
또한, 사군자 중의 하나로 아치고절(雅致苦節)이라고 부르며 선비의 곧은 절개와 지조를 상징한다고 하여 단순한 나무, 꽃 이상 의 가치로 여겨져 왔던 것이다. 옛 선조는 이러한 매화나무를 개인 정원이나 별서 등에 심고 가꾸었으며, 그와 관련된 많은 기록이 고 문헌과 민화 등에 남아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매화나무는 유실수(有實樹)로서 다른 노거 수들에 비하여 수령이 비교적 짧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다는 이유 와 역사 · 문화적 관심 부재로 전국에 많은 매화나무 노거수는 고사 하거나 고사위기에 처해있다.
국가에서 지정하고 있는 많은 유형문화자원 중 하나인 노거수는 그 상태와 정도 그리고 수목이 갖는 역사 · 문화적 가치와 생물 · 자 연사적 가치에 따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시 · 도기념물, 보 호수(保護樹) 등으로 지정되고 있으며, 지정된 노거수는 지속적 인 모니터링을 통해 원활한 생육환경 조성과 관리환경을 만들어 보 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그 이외에 지정되지 못한 노거수는 대 부분 보존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악한 환경에서 점차 쇠 약해져 우리 생활주변에서 사라져가고 있다.
매화나무와 관련한 연구는 인문학에서는 시문(詩文)과 옛 그림 등에 등장하는 사료를 바탕으로 현대까지 계승된 선비들의 정신성 (精神性) 파악과 더불어 이와 연결된 의미를 조명하는 것이 주로 이루어 졌다(Lee, 1996; Lee, 2003; Sin, 2004; Lee, 2007).
그 외 매화나무 노거수와 관련하여 옛 그림이나 현존하는 전통 원림에 도입된 매화나무의 배식기법에 대한 연구는 이뤄졌으나, 외 부공간에 식재되어 있는 매화나무 노거수의 보존 · 관리부분은 다 루지 않았다. 또한 현재 천연기념물 · 보호수 등으로 지정되어 있는 노거수는 수령을 기준으로 하는 일부 특정 수종으로 국한되어 있 다. 이에 2008년 문화재청에서는 천연기념물 노거수로 지정할 수 있는 수종의 다양화를 위해 전통유실수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전통유실수 조사 당시에도 매화나무는 조사 제외 되었으며, 다만 오래된 매화나무에 대해 지정이 필요하다는 제언만 이 보고되었다(Kim, 2008; Kim, 2010; Im, 2012).
이렇듯 현재까지 매화에 대한 연구는 시문이나 회화에서 나타나 는 상징적 · 의미적 해석에 관점을 가지고 인문 · 사회 · 한문 · 국문 · 미술 등 인문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매화나무 노거수의 보존 · 보호를 위한 연구가 진행된 사례는 미진하 며, 예로부터 이어져 온 자연유산인 매화나무 노거수들이 고사하거 나 고사위기에 처해있어 지정기준을 통한 보호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화나무 노거수를 보존할 수 있는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매화나무 노거수가 천연기념물 · 보호수로 지정 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후대에 물려줄 자연유산으로서의 보존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1. 연구범위 및 대상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우수 매화나무 노거수 자원을 조사한 자 료 · 서적(Ahn, 2009; Kim, 2010; An, 2011)등을 분석 후 2011년 5 · 10월 1~2차 예비조사, 2012년 3 · 4월 3~4차 대상지조사, 2013년 3 · 4월 5~6차 대상지조사로 총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보존 · 지정 가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 는 천연기념물 · 보호수 미지정 노거수 12개소를 연구대상지로 선 정하였으며(Table 1),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Table 1.
Selected valid destinations.
No. Location Remarks

1 Gwangju Buk-g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lum trees Five plum trees in Honam (湖南五梅)
2 Gwangju Buk-gu Chunghyodong 387 Hwanbyeokdang plum trees
3 Jeollabuk-do Buan-gun Sangseo-myeon Gamgyori 714 Gaeamsa plum trees
4 Jeollanam-do Gurye-gun Masanmyeon Hwangjeonri 12 Hwaeomsa Gakhwangjeon plum trees
5 Jeollanam-do Damyang-gun Nammyeon Jigokri 229 Gyedang plum trees Five plum trees in Yeongnam (湖南五梅)
6 Jeollanam-do Damyang-gun Changpyeongmyeon Janghwari 638 Hashimdang plum trees
7 Jeollanam-do Boseong-gun Hoecheonmyeon Jeonilri 295 plum trees
8 Gyeongsangbuk-do Andong Pungcheonmyeon Hahoeri 656 Chunghyodang plum trees
9 Gyeongsangnam-do Yangsan Habukmyeon Jisanri 583 Tongdosa plum trees
10 Gyeongsangnam-do Gimhae gusandong 185 Gimhae construction Technical High School plum trees
11 Gyeongsangnam-do Sancheong-gun Sacheonmyeon Sari mountain 72 Sancheonjae plum trees Three plum trees in Sancheong (山淸三梅)
12 Gyeongsangnam-do Sancheong-gun Samjangmyeon Yupyeongri 2 Daewonsa plum trees
첫째, 수령 100년 이상의 노거수 중 천연기념물 · 보호수로 지정 되지 않은 곳,
둘째, 근원 직경 40cm 이상의 노거수인 곳,
셋째, 인간의 간섭에 노출된 생활권에 생육한 곳,
넷째, 정상적 생육을 하고 있는 노거수인 곳,
다섯째, 역사 · 문화, 식물학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노거수인 곳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2. 문헌조사

본 연구의 문헌조사로 매화나무 노거수의 보호를 위한 제도와 관련법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천연기념물과 보호수 지정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이 적용되는 정부유관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재청 · 산림청 · 법제처 · 통계청 등의 지정 · 보호제도의 현황 및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외 본연구의 진행에 있어 「천연기념물 및 시 · 도 기념물 노거 수 실태 · 비교분석을 통한 지정기준 연구」, 「우리 고유 유실수 자 원조사」 등의 보고서와 국 · 내외 관련신문기사, 서적자료를 수집 하여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3. 실태조사

실태조사는 기존 천연기념물 노거수 및 노거수 자원조사를 위한 평가항목들을 바탕으로 노거수의 입지 및 수목현황, 생육현황, 인 문현황, 관리현황으로 구분하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입지 및 생육현황에 대해서는 위성사진 활용 및 현장조사를 통 해 접근성과 주변 경관 유형 및 훼손정도를 분석하였으며, 토지이 용조사는 노거수의 직접적 생육범위인 반경 5m내 토양 피복상태 와 반경 100m내 토지이용행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수목의 규격 측 정에서는 수고는 Haga 측고기, 근원 직경은 줄자를 사용하여 조사 하였다. 현재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목의 형성층 활력도는 전기저항 측정기(Shigometer OZ-93)를 이용하여 지면 1.2m 높 이에서 동 · 서 · 남 · 북 방향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으며, 수관형태, 잔가지 밀생도, 엽밀도, 개화율, 공동(空洞) 및 부패부위 의 유무와 형성층 발달 상태를 조사하였다(Ha, 2001). 관리실태 인문사회 분석은 기존 노거수 관련 보고서 및 자료를 참고로 조사 하였으며(Table 2), 추가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지자체 담당공무 원과 마을 주민, 대상지 관리인의 인터뷰 내용을 참고하였다.
Table 2.
Details of survey items.
Division Items Research method

Status of humanities Myth and origin Field inquiry and relevant literature investig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persons concerned

Tree age

Location and growth status Status of Location Analysis of the location through satellite pictures and field survey

Tree size A field survey of the entire scale of tree such as height, width of crown, root collar caliper, etc.

Cambium vitality Computation of average value by measuring in four directions from the height of diameter at breast height

Tree shape deformation A field survey of tree type and crown type

Twig and leaf density Assessment of health, after a field survey of thick growth of twigs and leaf density

Flowering ratio A survey of flowering state of the entire crown rate of trees for landscape assessment

Cavity and areas of corruption A field survey for investigating health and management state

Management status Surgical operations Assessment of health and analysis of management state through whether or not implementing a surgical operation and analysis of post management state

Pruning management Analysis of management

Status of facilities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ies and guide facilities for protection of trees
조사대상지 노거수의 건강성평가는 생육현황에서 조사된 자료 를 바탕으로 기존 노거수 건강성평가 항목을 참고하여 평가 체크리 스트를 작성하여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Table 3).
Table 3.
Plum trees big and old trees health of assessment.
Assessment items Very good (5) Good (4) Average (3) Bad (2) Very bad (1)

Cambium vitality 10㏀ under 10~15㏀ 16~20㏀ 21~25㏀ 25㏀ more than

Tree shape 90~100% maintenance 70% more than maintenance 50% more than maintenance 30% more than maintenance 30% below maintenance

Cavity and areas of corruption No compromised Weak compromised 1~2 places 3~4 places 5 places more than

Twig and leaf density 90~100% 70% more than 50% more than 30% more than 30% more than
수목의 건강상태는 형성층 활력도 측정과 외관상의 건강상태인 수관형태와 상처부위, 엽밀도와 잔가지 밀생도 등은 목측(目測)을 병행하였다.
자원가치평가를 위해서는 기존 천연기념물 노거수 및 노거수 자 원조사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건강성평가 결과와 노거수의 규모, 수령, 희소성, 인지성 및 상징성, 역사 · 민속성, 학술 · 교육적 가치, 경관성 등의 항목으로 평가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조경관리학 문화재 관련 전문가 6명을 선정하여 전문가 표적토론(brainstoming) 을 거쳐 대상목의 자원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Table 4).
Table 4.
Plum trees big and old trees basis resource assessment.
Division Assessment items Assessment

1 2 3 4 5

Big and old trees resource assessment Size Tree height 3meter more than 4meter more than 5meter more than 7meter more than 10meter more than
Diameter of tree 40cm more than 45cm more than 50cm more than 55cm More than 60cm more than
Tree age 100age more than 150age more than 200age more than 300age more than 400age more than

Botanically worth assessment Rarity Very commonplace Commonplace Average Rare Very rare
Academic educational worth Very low Low Average High Very high

Health and management condition Health condition Very bad Bad Average Good Very good
Management condition Very bad Bad Average Good Very good

Landscape characteristics Tree shape Very bad Bad Average Good Very good
The surrounding landscape Very bad Bad Average Good Very good
Flowering ratio 30% under 30%~50% Under 50%~70% Under 70%~90% Under 90~100%

History .culturalworth History worth (Origin and myth) Very low Low Average High Very high
Cultural worth (Folk events and religion) Very low Low Average High Very high
Recognition and symbolic Very low Low Average High Very high
선정된 전문가 집단은 조경관리학 교수 1인, 문화재 관련 종사 5년 경력이상의 박사학위 소지자 3인, 조경관리 관련 종사 5년 경력 이 상의 박사학위 소지자 2인으로 구성하였다. 각 항목별 합산된 평균 총점은 55~65점 1등급, 총점 45~54점 2등급, 총점 35~44점 3등 급, 총점 13~34점 4등급 등 총점합산 결과를 바탕으로 4개의 등급 으로 구분하였다.
위의 자원조사평가 방법은 현재 매화나무 노거수의 자원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 관계로, 본 논문에 서는 2006년 발간된 문화재청 자원평가 보고서인 「우리 고유 유실 수 자원조사」와 2008년 발간된 「천연기념물 및 시 · 도기념물 노거 수 실태 비교 · 분석을 통한 지정기준 연구」 등을 참고하여 기초자 료 제시를 위한 한정적 평가방법으로 재구성하였음을 밝히고, 연구 진행 과정을 나타낸 자원평가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Fig. 1).
Fig. 1.
A chart of resource valuation of plum trees big and old trees.
KSPPE-17-237_F1.gif

결과 및 고찰

1. 천연기념물 지정제도 및 현황

천연기념물은 「문화재보호법」에서 동물, 식물, 광물, 동굴, 지 질, 생물학적 생성물 및 자연현상으로서 역사 · 경관 또는 학술 가치 가 큰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적, 명승과 함께 기념물의 한 종류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은 1933년 「조선보물고적명승천 연기념물보존령(朝鮮寳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이 공포되어 1934년 천연기념물 1호인 달성 측백수림 등 식물 3건을 포함한 동 · 식물 16건이 최초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이 중 식물은 11건이었다. 1937년 52건의 천연기념물 추가지정을 비롯 해 1945년까지 7회의 위원회 회의를 거쳐 남한 110건, 북한 36건 등 146건의 천연기념물이 지정되었다. 이러한 천연기념물의 현재 지정기준은 문화재보호법 제6조에 따라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 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사적, 명승, 또는 천연기 념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중 노거수의 지정기준 에 해당하는 항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 민속 · 관상 · 과학 등과 관련된 진귀한 식물로서 그 보존이 필요한 것 및 그 서식지· 생장지· 자생지일 것, 둘째, 문화적· 과학적 · 경관적 · 학술적 가치가 큰 수림 · 명목 · 거수 · 노수 · 기형 목일 것 이다.
천연기념물의 지정신청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일반국 민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천연기념물지정 신청서를 작성해 문화 재청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천연기념물의 지정조사는 문화재보 호법 규정에 따라 구성된 문화재 위원회의 천연기념물분과 위원 또 는 전문위원 등 관련전문가 3인 이상에게 지정신청 대상목에 대한 조사 및 검토를 요청하여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보고서를 작성해 문화재청에 제출하도록 되어있다. 문화재청은 조사보고서를 검토 후 신청 대상목이 천연기념물 지정가치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문화 재위원회의 심의 전에 그 심의할 내용을 관보에 30일 이상 예고 후 6개월 이내에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청장이 천연기 념물 지정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Na, 2007).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지정현황은 2012년까지 집계된 문화재 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천연기념물은 총 454개소(100%) 였으며, 이 중에서 식물분야는 260개소(57.3%)였다. 식물분야 중 에서 자생지와 수림지 99개소(21.8%)를 제외한 노거수는 멸실 등 의 이유로 지정해제 된 59개소 외 161개소(35.4%)로 나타났다. 지 정된 노거수의 수종별로는 소나무와 은행나무가 22건(13.7%)으 로 가장 많았고, 느티나무 16건(10%), 향나무 10건(6%), 이팝나 무 6건(4%), 백송과 반송이 5건(3%) 순이며, 기타수종 75건(46%) 을 포함 49종의 수종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매 화나무는 총 4건이 지정되어 있다(Fig. 2).
Fig. 2.
Species of natural-monument designation.
KSPPE-17-237_F2.gif

2. 보호수 지정제도 및 현황

보호수 지정제도는 1972년 내무부 산림청 주관으로 전국에 분 포하고 있는 노거수를 시도나무, 시군나무, 읍면나무, 마을나무 등 으로 품격을 구분하여 13,784본의 노거수를 지정 관리하였다. 이 때부터 정식으로 ‘보호수’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이 당시 보호 수의 지정기준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외의 나무로 수령(樹齡) 100년 이상의 노거수목(老巨樹木)이거나 고사(故事)와 전설(傳 說)이 담긴 진귀희목(珍貴稀木)이었다. 그러나 1972년 당시에는 법적 제도가 완벽히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으며, 1980년 1월 14일(법률 제3232호) 「산림법」의 전면개정을 통해 제 67조에 ‘보 존할 가치가 있는 노목(老木) · 거목(巨木) · 희귀목(稀貴木)으 로 산림 밖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보호수를 각각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호수의 수종별 규격에 따른 지정기준도 만들어졌는 데 「자생식물 및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요령」 제 25조의 수종 에 따른 나무의 규격(수령, 수고, 흉고 직경)의 기준을 참고로 한다 다만 수령 100년 이상의 노목 · 거목 · 희귀목으로서 고사 및 전설 이 담긴 수목이나 특별히 보호 또는 증식가치가 있는 수종은 이 기 준에 적합하지 않아도 보호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는 「산림보호법」 제 13조 노목, 거목, 희귀목으로서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나무를 보호수로 지정하고 안전하게 관리하여 야 하는 것으로 법이 제정되었다. 자연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보전 · 복원대책이 이루어져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 추세 를 나타내고 있다. 2012년 1월까지 집계된 산림청 통계자료를 바 탕으로 조사된 보호수는 총 13,466건으로 이중 느티나무가 7,279 건(54%)으로 가장 많았고 소나무 1,469건(11%), 팽나무 1,342건 (10%), 은행나무 764건(6%), 회화나무 356건(2%), 버드나무 319건(2%), 향나무 227건(2%), 기타수종은 매화나무 5건을 포함 한 1,710건(13%)으로 총 113수종으로 조사되었다(Fig. 3).
Fig. 3.
Species of nurse-tree designation
KSPPE-17-237_F3.gif

3. 매화나무 노거수 현지조사 분석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매화나무 노거수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를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Table 5.
Status of no designation plum trees big and old trees.
Location Dimensions Health status History cultural worth



Tree age (Age) Tree height (m) Diameter of tree (cm) Twig and leaf density Cambium vitality (㏀) Tree shape Cavity and areas of corruption Origin and myt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lum trees 400 3.5 50 90~100% 12.3 90~100% maintenance No compromised Received as a present from Emperor Hwajong, China Ming dynasty

Gwangju hwanbyeokdang plum trees 150 7 52 70% more than 18.5 50% more than maintenance 1~2 places -

Buan-gun gaeamsa plum trees 200 5.5 65 70% more than 14.2 70% More than Maintenance 1~2 places A succeeding tree of the apricot tree taken as a prize of the poetry contest from Ming dynasty

Gurye-gun Hwaeomsa gakhwangjeon plum trees 400 8.6 52 90~100% 17.4 90~100% maintenance No compromised Planted by zen master Gyepa, in construction of Gakhwangjeon Hall in Hwaeomsa Temple

Damyang-gun gyedang plum trees 350 6.5 44 90~100% 20.3 70% more than maintenance 3~4 places Planted in construction of Gyedang

Damyang-gun Hashimdang plum trees 300 6.5 48 30% below 27.5 30% below maintenance 5 places more than 150 years ago, planted before construction of Hasimdang

Boseong-gun hoecheonmyeon plum trees 100 8.5 46 30% more than 13.5 30% more than maintenance 3~4 places -

Yangsan Tongdosa plum trees 150 6.5 41 90~100% 13 90~100% maintenance No compromised A succeeding tree of jisik(knowledge) tree in Tongdosa Temple

Andong chunghyodang plum trees 250 8 68 90~100% 19.2 90~100% maintenance Weak compromised Transplanted by Mun Family, Daegu, into Chunghyodang

Gimhae GimhaeConstruction TechnicalHighSchoo l plum trees 100 3.5 64 90~100% 16.9 70% more than maintenance 1~2 places Planted in the school by a Japanese teach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ancheong-gun sancheonjae plum trees 450 6.8 78 70% more than 21.2 50% more than maintenance 1~2 places Planted by Nammyeong Jo Sik(1501~1572)

Sancheong-gun daewonsa plum trees 250 10.2 50 70% more than 17.2 90~100% maintenance 1~2 places -
이와 같은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미지정 매화나무 노거수 12개소의 자원평가는 구분된 4개의 평가방법에 따라 작성하였다(Table 6).
Table 6.
Plum trees big and old trees basis resource valuation.
Big and old trees name Assessment

Big and old trees resource assessment Botanically worth assessment Health and management status Landscape characteristics History cultural worth Total score Grade

(15points) (10points) (10points) (15points) (15poin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lum trees 10 9 10 15 12 56 1 Grade
Gwangju Hwanbyeokdang plum trees 9 6 5 11 5 36 3 Grade
Buan-gun Gaeamsa plum trees 11 6 5 9 9 40 3 Grade
Gurye-gun Hwaeomsa Gakhwangjeon plum trees 12 10 7 15 13 57 1 Grade
Damyang-gun Gyedang plum trees 8 7 5 11 8 39 3 Grade
Damyang-gun Hashimdang plum trees 9 6 2 3 6 26 4 Grade
Boseong-gun Hoecheonmyeon plum trees 7 8 3 8 9 35 3 Grade
Yangsan Tongdosa plum trees 6 4 8 14 8 40 3 Grade
Andong Chunghyodang plum trees 12 7 7 14 5 45 2 Grade
Gimhae Gimhae construction technical highSchool plum trees 7 8 7 14 11 47 2 Grade
Sancheong-gun Sancheonjae plum trees 13 7 5 9 12 46 2 Grade
Sancheong-gun Daewonsa plum trees 11 5 6 12 8 42 3 Grade
1등급으로 분류된 전남대학교 매화나무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 모이지만 건강한 관리상태와 경관성, 중국과의 교류관계를 나타내 는 역사적 가치와 수령 등에서 높은 자원가치를 가진 것으로 분석 되었고, 화엄사 각황전 매화나무는 큰 규모와 아름다운 수형, 독특 한 꽃 색의 식물학적 가치, 각황전 건립시 식재된 문화적 가치 등 모 든 항목에서 높은 평가로 조사되었다.
2등급으로 분류된 노거수 중 산천재 매화나무와 충효당 매화나 무는 노거수자원으로의 규모와 경관성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 며, 산천재 매화나무는 역사 · 문화적 가치와 수령 등에서 높은 평가 를 받았지만 현재 약해진 수세와 수관형태가 많이 훼손되어 2등급 으로 분류되었다.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매화나무(일명 와룡매) 는 옆으로 가지가 뻗는 특성 때문에 근원 직경에 비하여 수고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고 경관성과 역사 · 문화적 가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3등급으로 분류된 대원사 매화나무는 규모와 경관성 면에 서 높은 자원가치를 나타냈고, 보성군 매화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가 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녹악매 품종의 매화나무이지만 자연재해로 수관형태가 많이 훼손되고 일반 민가에서 생육하고 있어 관리가 전 무하며,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매화나무와 함께 수령부분도 최하 점수로 측정되었다. 계당 매화나무와 개암사 매화나무는 경관성과 역사 · 문화적 가치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냈고, 환벽당 매화나무는 수고와 경관성에서 높은 평가를 보였지만 역사 · 문화적 가치에서 낮은 평가로 분류되었다. 4등급으로 분류된 하심당 매화나무는 급 격히 쇠약해진 수세로 인하여 회복불능의 상태로 수관형태도 많이 훼손되어 가장 낮은 등급인 4등급으로 분류되었다.
미지정 매화나무 노거수들은 현재 열악한 관리환경에서 생육하 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조사기간 중 4건이 태풍으로 줄기가 찢어지 고 수관형태가 훼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또한 상처부위의 부패로 수목의 세력이 약해지고 있었으며, 생육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인위 적인 피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고사 직전인 매화나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나타난 우수한 매화나무 노거 수 자원들의 보존을 위해서 천연기념물 · 시도 기념물 · 보호수 등 의 지정을 통한 체계적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4. 결론 및 제언

전국 매화나무 노거수의 현황 및 자원가치 분석을 통해 등급별 평가로 자원가치가 높게 나타난 매화나무 노거수들은 보존 · 관리 가 필요함으로 천연기념물, 시 · 도 기념물, 보호수 지정을 위한 기 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수로 지정된 매화나무 노거수의 관리 상태는 천연기 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 노거수에 비해 생육공간 확보와 관리시설 물 설치 등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5개소 중 안내입간판 은 3개소만이 설치되어 있었고, 경계펜스는 2개소만이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호수로 지정된 매화나무 노거수의 생육환경 개선 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지속적인 보존 · 관리를 위해 관리기 관과의 협조를 통해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둘째, 천연기념물 중 노거수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매 화나무는 해방이후 2007년 일괄조사를 통해 지정된 4개소가 현재 까지 그대로인 상태로 지정건수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2007년 자 원조사 당시 우선순위에서 밀려 지정이 이루어지지 못한 광주 전남 대학교 매화나무, 구례 화엄사 각황전 매화나무 등 1등급으로 평가 된 우수자원들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시행하여, 천연기념물로 지 정해 보존 ·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리 및 건강상태 등의 문제로 2등급으로 분류된 산천재 매화나무, 충효당 매화나무,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매화나무 등은 시 · 도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존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보호수 지정은 1972년에 공식적으로 시행되었고, 1983년 조사 당시 사후관리의 부재로 약 4000건 이상의 보호수가 멸실 · 고 사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보호수 지정의 지속적인 증가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매화나무의 보호수 지정은 1982년 1건, 2009년 2건, 2011년 2건, 총 5건으로 매화나무 노거 수 자원들에 대한 보호수 지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산림청의 보호수 지정기준 예규 574호의 보호수 지정규격 기준에 매화나무 의 기준이 없어 시급히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 역기관단체 · 마을주민단체와 협력하여 3등급으로 분류된 우수자 원들의 보호수 지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전국에 남아있는 미지정 매화나무 노거수들은 다수의 전설과 고사를 지닌 역사 · 문화적 가치를 뒷받 침해주는 살아있는 자연유산으로 그 가치는 지정여부를 떠나서 중 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미지정 매화나무 노거수들은 자연재해를 받은 후 사후조치가 이뤄지지 않거나,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생육하여 직접적 간섭으로 인한 수목피해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범국민적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유실수 공 모전과 같은 우수자원 발굴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미지정 노거수들 의 보존 및 지정수종 다양화를 위한 도입방안을 제안한다.

적요

매화나무는 사군자 중의 하나로 절개와 지조를 상징해 선조들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는 자연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 회에서 매화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 화목이 아 닌 과실을 수확하여 활용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과수작물로의 특징 이 부각되어, 무관심 속에서 상징성이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또 한 유실수로서 다른 노거수들에 비하여 수령이 짧고, 상대적 규모 가 작아 보존 ·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고사하거나 멸실 위기에 처 해있는 노거수가 많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지정 매화나무 노거수의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고사 및 훼손 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중 우수한 자원에 대해서 는 천연기념물 · 시도 기념물 · 보호수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노거수의 생육상태, 관리실 태, 수령, 자원가치 평가를 위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기준의 부재로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국 매화나무 노거수 자원의 현황에 관한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향후 다 른 우수자원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REFERENCES

Ahn H.J. Looking for aprico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Apricot 2009.

An W.S. Everything about our apricot 2011;Seoul, Korea: Nulwas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vestigation of our indigenous fruit tree resources 2006;Natural Heritag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report on the natural heritage old big trees 2008;Natural Heritag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www.cha. go.kr..

Dong-A Daily News. “Appointment the number of thirteen thousand Protection tree” 1972;9 5th An article in p.7.

Ha T.J. A study on tree's vitality seen through cambium electric resistance of landscaping tree and assessment of photosynthesis -Focused on the landscaping trees in Cheonan Yonam College. MS thesis 2001;Seoul, Korea: Sangmyung University.

Im E.J, So H.S. Features in Using and planting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adopted to traditional gardens.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2;30(3): 68–79.

Kim H.J. A study on the floral art based on plum flowers of the Joseon dynasty. MS thesis 2010;Seoul, Korea: Sangmyung University.

Kim H.U. Apricot tree 2010;Seoul, Korea: Idam Books.

Kim M.J. A study on diversification plan of tree species designated as natural heritage old big trees. MS thesis 2008;An-Sung, Korea: Hankyung University.

Lee j.E. A study on the plum poets of tradition and inherited in Korea. MS thesis 1996;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Lee S.O. The symbolism of flowering plum and ink plum painting. Honamstudy 2007;40:37–78.

Maeil Business Newspaper. “Cultural heritage board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of the town symbol Old-tree” 1982;4 3rd An arcticle in p.11.

Na M.H.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y of south-north korean natural heritage. MS thesis 2007;An-Sung, Korea: Hankyung University.

Shin I.C. Three aspects of plum poetry in the 18th century 2004;15:Korean Classical Poetry Association; 97–126.

The Office of Legislation. http://www.moleg.go.kr..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415 View
  • 1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