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3); 2014 > Article
원예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이주여성의 자기효용과 문화 적응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17 gardening course education for 4 months with 27 multi-cultural migrated females to se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elf-efficiency,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fore the program, besides collecting basic materials for the research targeting multi-cultural migrated females, a survey measured self-efficiency,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As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self-efficiency before and after the gardening education program, self-efficiencies of participated multi-cultural migrated females greatly enhanced, and as a lower factor, general self-efficiency also showed big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gardening activity. In addition, the gardening cour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cultural adapta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areer preparation had effectiv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gardening course education. Positive evaluation of this gardening course education program was continued to self-efficiency,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and especially the higher self-efficien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ardening course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ulti-cultural females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self-efficiency, cultural adaptation, social entry, and career preparation of migrated females from various cultures in the step where they determine and prepare their career as individual lives.

서론

한국 사회는 21세기에 들면서 세계화된 개방정책으로 국내외 인 구 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편 저 출산 및 고령화와 혼인 수 급의 불균형 등으로 외국인과의 결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Hwang, 2011).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이 한국 생활에서 느끼는 문제점으로 언어소통, 문화적 차이, 자녀교육문 제, 가정폭력, 고부간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을 꼽을 수 있다. 결 혼이주여성 가구의 많은 비율이 저소득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가구 소득은 한국 전체 소득의 59%, 한국 전체 생산직 가구소득의 68% 등이다(Seol et al., 2006). 이러한 현실에서 결혼 이주여성의 취업 은 인생전반을 통해 안정성의 토대가 된다(Yoon, 2004). 이러한 의도 하에 이주와 국제 결혼을 하는 여성들이 한국 사회에서 안정 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원래의 의도에 부합하는 경제적 문제가 해결 되어야 한다(Kim et al., 2012). 국내 거주 외국인 여성 근로자들은 외국인으로서 자국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고, 국내에서 한국 사회 의 다양한 실제들을 경험하면서 삶을 영위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 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은 매우 열악하며, 이에 따라 자신의 정체감과 존중감의 상실, 타문화에 대한 배타성과 갈등의 깊이는 더욱더 심화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Song, 2013). 결혼이주 여성이 능동적 시민성을 확보하고 누리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진 능 력과 역량을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하지만 그들의 경제적 능력을 확 보해 줄 수 있는 직업관련 교육은 매우 미비한 것으로(Kim, 2006) 결혼이주여성의 직업능력을 개발, 향상시키고 현장에서 구체화시 킬 수 있는 직업적응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진로준비행동 은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수행해야 하는 행동 및 진로결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정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행위 등 을 의미한다(Kim, 2002). 인간의 삶에 있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 고 선택하는 일은 개인의 삶 전체를 통해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타 활동 에 비해 익숙성과 대중성이 높은 원예를 다문화 여성에게 적용하여 (Kwack and Jang, 2012) 원예 산업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 는 기회와 원예기술 습득을 통해 직업으로서의 가능성을 알리고 이 들에게 원예 진로교육에 대한 동기부여를 하도록 고려하였다. 이에 다문화 이주여성들이 선호하는 원예활동 및 원예 식물에 대한 이해 와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 여 원예활동 중에서도 여성 대상의 진로교육으로서 적합한 화훼장 식 활동을 중심으로(Kwack and Jang, 2012)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고 원예 진로교육 차원의 과정으로 개인의 자아효용감 증진과 다 문화 적응 및 이해 교육,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및 연구기간

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여성을 위한 진로교육 차원으로의 원예진 로교육 프로그램이 이주여성들의 자아효용, 문화적응, 진로준비행 동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알아보고자 경기도 안산지역에 위치한 7개 국적변인(러시아, 중국, 우간다, 수단, 우즈베키스탄, 이란, 필 리핀)의 다문화 이주여성 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 다. 실험 참여에 동의한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별, 나이, 국적 등 의 일반적 사항과 본국에서의 직업, 구직 희망 분야, 소득 등 직업관 련사항 등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원예 진로교육 프로그램

원예활동은 총 15회로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간 주 1회, 회당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형태는 활동대상 기관인 안 산지역 다문화 기관들이 다문화에 대한 철학 빈곤, 지원 방법이 지 역 이주민 중심이 아닌 정부 및 민간 성과 중심주의 정책과 제정, 민 주적인 거버넌스 부재, 이주민 정책의 불안정성과 열악한 근무환경 등의 특성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나는(Oh, 2010) 점을 고려하여 진 로교육으로서의 원예프로그램으로 구조화 하였다(Table 1). 또한 진로교육용 프로그램 주제는 기존의 원예소양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내용과(Kwack and Jang, 2012) 다문화 이주여성이 선호 하는 식물(Kwack and Jang, 2011)에 대한 목록을 보완하여 식물 을 이용한 실내 장식, 꽃꽂이, 꽃바구니, 화단 가꾸기 등 단계별 화 훼장식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이때 활동 및 식물 선정기 준은 원예직업분야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Kwack and Jang, 2012) 화훼장식 분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Lee, 2007) 근거 로 구성하여 원예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타당성을 부여하였다. 원 예활동은 연구자인 원예치료 전공 주진행자와 보조치료사, 화훼분 야 고용주, 다문화기관 사회복지사, 윤리 및 다문화 전공자, 통역자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전문가 집단 8명이 함께 하여 모국어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실시 장소는 대상자 거주기관인 안산지 역 H 다문화 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실내 실습실과 실외 정원을 활용하여 거주민들의 편의성을 충분히 고려하였다(Table 2).
Table 1.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activity in Ansan city(Oh, 2010).
Problem Contents

Structural obstacle Instability of settlers policy
Instability of finance, eager for a job
Religious-based
Poor working environment
Poverty of democratic governance system

Support methods Provider-oriented surplus program, program on demand
Approach on instrumentalism, meritocracy
Poverty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The functional and welfare program on the settlers of the destination
Poverty of alternative contents

The philosophy of poverty Poverty of concepts and virtues on the multiculture
Identity chaos of activists
Table 2.
Constitution of evoca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multicutural education contents.
Category Content elements Session Subject Title Target

Selfesteem Ego identity 1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life Orchid and charcoal Repotting makes you understand the value of life and meaning of a life which is continued in a new environment.
Species are all different but the meaning of precious life are discussed compared to human.

2 Experience life magazine Cactus garden Cactus planting makes you understand the life will of a plant that adapts to an environment. We will see people who are adapting to a strange environment.

3 Understandind my nature Flower bouquet Watching flowers makes you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is can be compared with your characteristics to present the meaning.

Selfrealization. 4 The meaning of life/goal Ivy heart pot By completing your own flower decoration in a given space, you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a new space. Through this, you can talk about meaning and objective of your life that is faced in a strange space.

Cultural conflict and solution the sense of isolation Pluralistic perspective 5 Cultural differences and universality With the world Observing national flowers of each country to talk about universal symbolism of flowers and cultur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6 Making the world living together Water culture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water culture method that is harmonized with flowers transplanted in unfamiliar environments make you understand variety of different ethnic groups and reasons of living together.

Cultural production 7 Multicultural production Canation basket and cousage Producing flowers for the Mother s Day to talk about its original meaning and cultural tradition to check your identity.

Intercultural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8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ridal bouquet Exhibiting various flowers made and talking about the meanings can provide a place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about different cultures of participants.

Community and existence 9 Cultural coexistence with local communities Dish garden Constructing gypsy garden with various flowers for cultivating with local residents to create the basis of a local community with other cultures

10 Interdependence and existence Artificial flower weath Gardening with local residents to understand facts that the importance of small interest in the garden is requested to all

Social adaptation Multicultural environment 11 Multicultural production Fressed flower Do not dispose materials used by multi-cultural participants during gardening, prepare dried flowers, and share them with local residents: Give unified cultural production of multi-cultural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under the same objective to local residents as gifts

12 Multicultural production Natural herb candle Do not dispose materials used by multi-cultural participants during gardening, prepare dried flowers, and share them with local residents: Give unified cultural production of multi-cultural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under the same objective to local residents as gifts

13 Local 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Making hanging basket, flowerbed Making flowerpots and flower beds with all member in the local community to be main of the local cultural production

14 Community engagement and exchanges Graduation ceremony and exhibition Provides opportunities to be members of the local society through the gardening activity and introduces the activity to members of the local society

Workplace and practice 15 Understanding the workplace Flower shop training Having abilitie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16 Workplace support Career preparation Fulfill professional performa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ractice related knowledge

17 Field service training Flower shop training Acquire professional techniques in the gardening area using flowers

3. 측정도구

1) 자아효용감 척도

다문화 이주여성의 자기효용감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효용감 척 도(SES: 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이는Bandura의 자 기효용감 이론의 개념에 근거하여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Jacobs and Rogers(1982)등에 의해 척도로 개발 되었으며 행동의 자발성, 행동을 완수하기 위한 노력의 사용이나 인내심 등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효능감 척도는 요 인분석을 통하여 구분된 2개의 하위 요인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측정하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련 사회적 기술 등의 요소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되어 있다(Lee et al., 2002). Sherer의 자기효능감 척도(SES: Self-Efficacy Scale)는 특정한 상황이나 행동에 얽매이지 않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 자신의 능력과 효능감을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기효능 감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대인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Lee, 2002). 본 연구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Lee (2007)의 척도를 사용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10문항으로 구성된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이고 점수가 높을 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Lee, 2007) 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Chronbach’s α .88로 나왔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는 Chronbach’s α .91로 나왔다.

2) 문화적응 척도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화적응 척도는 Weissmann and Paykel (1976)을 주축으로 사용된 Yale 의과대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SocialAdjustment Scale-self Report(SAS-SR)를 기초로 Lee (2008)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문화적응을 측정하는데 사용 하였던 척도를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은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들이 개인이 새로운 문화에 접촉하게 되면서 문화적 관계의 역할에 관련된 내용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이루어지며 낮은 점수를 높은 점수에 비해 상대 적으로 문화적응에 좀 더 어려움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Hwang (2011)의 연구에서 Cronbach’α 는 .783이었고, 본 연구의 문화 적응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α값 .71로 나타났다.

3) 진로준비행동 척도

다문화 이주여성의 진로준비행동 척도는 Kim(1997)이 연구 개 발한 16문항을 Kim(2002)이 수정,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총 18개 문항 총점의 범위는 31에서 15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준 비행동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검사의 신뢰도를 Cronbach’ α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를 보면 Kim(2002)의 선행연구에서 .88이 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91로 나타났다.

4. 자료의 처리 및 분석

본 연구의 예비조사는 2013년 2월 1일부터 16일까지 실시하였 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질문지 상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3월 2부터 6월 30일 까지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전후로 32명의 설문자 중 분석이 가 능한 자료 27부를 회수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척도 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h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 며 실험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d t-test와 변인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진로교육으로의 원예교육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적 용하고자 자기존중감, 문화갈등과 소외감의 해소, 공동체적 참여 와 시민사회의 공정성 확보 및 권리 행사를 다문화 이주여성을 위 한 다문화적 덕목과 가치로 설정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원예교육의 요소를 활용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째, 자아존중의 범주에서는 자기정체성, 자기애와 이기심의 구분, 자아실현에 초점을 두어 분갈이, 선인장 심기, 꽃들의 각 특성 을 파악하여, 자신만의 꽃장식을 완성하는 원예활동을 적용하였 다. 둘째, 문화갈등과 소외감 해소의 범주에서는 서로 다른 꽃들의 상징과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어버이날과 같은 전통적 주요 기념물을 상징하는 꽃을 직접 만들어 타문화와 교류하는 활동 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 여성 근로자들이 거주하는 있는 지역의 국 내 거주민들과의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이 함께 가꾸는 정원 만들기와 지속적인 가꾸기 활동을 통해 지역공동체에서의 소 속감과 책임감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응의 범주에서는 원 예활동에서 사용하고 만들었던 재료들과 꽃들을 교류가 강화된 지 역 주민들과 공유함으로써 다문화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외국 여성 근로자들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창출하는 지 역문화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꽃집 현장의 실무를 이해하 고 파악하기 위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실습을 한다면, 적어도 꽃 집과 관련된 실무 능력을 익히고 제반 행정 절차에 관한 정보를 수 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여성 근로 자들이 주로 근로자의 주된 관심이 전반적인 직업 활동에 있다는 점에 토대를 두어 자기개발과 문화갈등해소, 사회직무능력 함양을 동시에 접목시킬 수 있는 덕목과 가치, 원예교육 요소를 적용해 보 았다(Fig. 1). 다문화 이주여성들은 학습 및 활동 과정을 통해 자아 존중감을 토대로 자기정체성 확인과 자아실현의 발현을 구체화하 고, 다양한 관계들에서 발생하는 문화간 갈등을 해소하여 상호소통 의 기초를 마련하며, 사회 진출에 있어서 각자의 현장 직무 능력을 길러 제반 직업 활동의 다양한 정보와 지식 습득을 통해 고용형태 와 근로조건에 있어서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능력 을 길러낼 수 있다.
Fig. 1.
Integrated contents of multicultural virtue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KSPPE-17-181_F1.gif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원예교육의 요소를 적용한 구체적인 통 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 보면 Table 2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 자아효용감의 변화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자기 효용감의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 이주여성 들의 자기효용감이 프로그램 전에 비하여 후에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Table 3). 자기효용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용감 과 사회적 자기 효용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 용감은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여성들에게 있어서 유의미한 값으로 상승하였으나(t=-2.41, p=.024), 사회적 자기효 용감에서는 원예활동 전후의 큰 변화를 보아지 않았다(Table 3). 이는 다양한 원예진로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다문화이주여성들에 게 특정한 상황이나 행동에 얽매이지 않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자 기 자신의 능력과 효능감을 주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따 라서 다문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은 다 문화 여성들의 자아효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개인 적 자아존중감에 더 큰 변화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Table 3.
Mean changes in the Self-Efficacy Scale (SES)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either a horticultural program.
Self-efficacy Self-Efficacy Scale

Pre mean Post mean Post-Prez t p

General self-efficacy 14.66 15.58 .91 -2.41 .024*
Social self-efficacy 19.63 20.04 040 .96 .34
Total 34.22 35.63 1.40 -2.14 .044*

z Differences in SES scores of pre-test(rated before the program) and post-test(rated after the 4-month program).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국적과 나이,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과 같은 다문화 이주여성들 의 대상자 변인 간의 자아효용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적은 아 시아권에 비하여 러시아권 이주여성들의 자아효용감 평균이 높았 으며(Table 4)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2.137, p=.047) 그러나 나이와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에서는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Mean changes in the Self-Efficacy Scale (SES)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divisual features.
Division Mean SD t p

Nationality Asia area 35.058 2.249 -2.137 .047
Russia area 38.000 1.732

Ages Less than 30 35.375 2.722 -.186 .855
More than 30 35.583 2.274

residential period Less than 3 years 35.785 2.577 .870 .430
More than 3 years 34.833 1.940

Korean ability Experience 36.714 1.603 1.752 .097
Unexperience 34.846 2.544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3. 문화 적응 척도의 변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 국사회에서의 새로운 문화를 접촉함을 통해 문화 적응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전 평균 25.823에서 사후 평균 29.235로 증가한 것 을 볼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2.133, p=.049). 이는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원예를 활용한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한국사회의 문화 및 꽃과 관련한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 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활동이었음으로 볼 수 있었다(Table 5).
Table 5.
Mean changes in the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SAS-SR)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either a horticultural program.
Division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SAS-SR)

Pre Post t p

Mean SD Mean SD

Total 25.823 5.61 29.235 3.192 -2.133 .049*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국적과 나이,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과 같은 다문화 이주여성들 의 대상자 변인 간의 문화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적에서는 러시아권이 문화적응 척도에서의 평균이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30 대 이상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거주기간에서는 3년 이상 거 주한 대상자와 한국어 능력에서는 능숙한 사용자가 문화적응의 척 도 평균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Table 6).
Table 6.
Mean changes in the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SAS-SR)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divisual features.
Division Mean SD t p

Nationality Asia area 29.333 3.132 -2.582 .741
Russia area 28.500 4.949

Ages Less than 30 28.666 2.732 -.530 .604
More than30 29.545 3.503

residential period Less than 3 years 28.833 2.577 -.795 .439
More than 3 years 30.200 2.949

Korean ability Experience 29.571 4.353 -.190 .852
Unexperience 29.000 2.309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4. 진로준비행동의 변화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진로준비행동의 변화 를 비교해 본 결과,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 이주 여성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긍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7). 또한 다문화 이주여성의 특성변인 간의 진로준비행 동 변화를 살펴 본 결과 국적별, 연령별, 교육수준 간에는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 능력 간에는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Table 7.
Mean changes in the Guidance Preparation Action (CPA)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either a horticultural program.
Division CPAz

Pre Post Post-Prey t p

Total mean 52.29 45.91 6.38 -2.42 .03*

z CPA (Kim, 2002) is based on a 5-level Likert scale (1 = strongly disagree, 2 = disagree, 3 = neither agree nor disagree, 4 = agree, 5 = strongly agree). Scores are ranging from 31 to 155. A lower value indicates lower Social Adjustent.

y Differences in Guidance Preparation Action scores of pre-test (rated before the program) and post-test (rated after the 4-month program), were computed.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국적과 나이,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과 같은 다문화 이주여성들 의 대상자 변인 간의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적과 나이와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의 변인 간의 차이는 국적에서 러시 아권이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평균이 높았으며, 나이는 30대 미만 이 높았고, 거주기간에서는 3년 미만 거주한 대상자가 진로준비행 동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어 능력에서는 능숙한 사용자 가 진로준비행동 척도 평균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Table 8). 따라서, 다 문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전체적으 로 원예활동 전후의 자아효용감, 문화적응,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서의 변화를 보였으나 국적, 나이,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 등의 대상 자 변인간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able 8.
Mean changes in the Guidance Preparation Action (CPA)z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divisual features.
Division Mean SD t p

Nationality Asia area 52.250 2.369 -.440 .643
Russia area 48.470 3.053

Ages Less than 30 51.777 3.899 .716 .483
More than30 47.250 4.666

residential period Less than 3 years 51.866 4.549 1.401 .177
More than 3 years 42.500 1.640

Korean ability Experience 56.714 1.484 1.816 .085
Unexperience 45.428 4.227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문화이주여성의 자기효용 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r=0.64, p=0.01). 문화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상관성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9). 이를 통해 자기효용감이 높을수록 진로준 비행동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예진로교육에 의하 여 이주여성들의 자기효용감을 높일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 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able 9.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 the Self-Efficacy Scale (SES) scores, Social Adjustment Scale and Guidance Preparation Action scores of multicultural women after participation in horticultural program.
Correlation CPAz

r p

SESy 0.64 .001*
SAS-SRx 0.38 .06

z CPA: Guidance Preparation Action

y SES: Self-Efficacy Scale

x SAS-SR: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 indicate significant at p <0.05

적요

본 연구는 다문화이주여성의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 용감, 문화적응,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 문화 이주여성 27명을 대상으로 4개월 간 총 17회의 원예진로교육 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다문화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연 구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과 더불어 자기효용, 문화적응, 진로준 비행동 척도를 설문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원예진로교육 프로그 램의 실시 전과 후의 자기효용의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원예진로 교육에 참여한 다문화이주여성들의 자기효용감은 월등히 향상되 었으며 하위요인으로 일반적 자기효용감에 있어서 원예활동 전후 의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응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로준비행동은 원예진로교육 전후의 결과에 있어 서 효과적인 차이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원예진로교 육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자기효용, 문화적응, 진로준비 행동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자기효용감이 높을수록 진 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 화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원예진로교육 프로그램은 개인의 삶에 있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해가는 단계에 있어 자기효용감 의 상승과 문화적응, 다문화 이주여성의 사회진출 및 직업준비단계 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Ⅴ.
Ⅴ.

REFERENCES

Hwang M.K.M.Y.J. The effects of career and work competen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J.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2012;19(4): 1–25.

Kim B.W.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1997;Seoul, Korea: Seoul Natational Univ.

Kim H.G. Concern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S thesis 2002;Junju, Korea: Junju Univ.

Kim H.W.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family suport service on the efficacy of married life of marriage migrant women. MS Thesis 2012;Kunsan: Kunsan Univ.

Kim M.J. The effect of anxie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MS Thesis 2006;Seoul, Korea: Sookmyung Women Univ.

Kim O.Y.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Incheon and the Determinants employment. MS thesis 2011;Seoul, Korea: Sookmyung women's Univ.

Kim Y.S. A study on the marital happines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Seoul. J. Korean Family Social Work 2007;21:217–252.

Lee E.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men's changes in self-efficacy, r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focused on the job-training programs. MS Thesis 2007;Yongin, Korea: Kangnam Univ.

Lee H.J. Gender differences in effects of social anxiety, career decision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ve behavior on undergraduates' career identity. J. Career Educational Research 2008;201(2): 109–125.

Lee K.O.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girls browse related variables. MS thesis 2002;Seoul, Korea: Sookmyung Women Univ.

Sul D.H, Lee H.K, Cho S.N. A study on the policy on the married female immigran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ublic of Korea. J.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2006;201(2): 109–12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