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2); 2014 > Article
정원환경과 문화를 융합한 창의적 체험프로그램 지침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criteria of garden and culture hybrid program.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factor on satisfaction of garden and culture hybrid program? I reviewed the garden and culture program, we constructed a literature framework and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data which surveyed 30 program teacher, using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1)17 variables can be selected for the factor of garden and culture program. Among the 17 independent variables used to blended the factor of garden and culture. 2)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 influencing satisfaction were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one percent level. Regarding their relative contribution of factors, relationship, creativity and observational drawing program were important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application manual and counseling guidelines for experimental teacher about garden and culture hybrid program. I expect that hybrid garden and culture creative experimental program will use very well as a creative experimental activity.

서론

최근 사회에서는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한 전문화된 인력 즉 융합인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시대적인 패러다임이 융합이라 는 창조성에 기반을 둔 교육으로 변화되면서 식물을 다루는 원예조 경분야에도 정원환경을 활용하면서 문화를 융합한 통섭적 프로그 램으로 기존의 원예전문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창의적 체험프로 그램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Kim, 2011; Kwak et al., 2012)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원이라는 물리적 자연공간에 문화적인 요소 를 접목하여 구성한 융합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창의적 프로그램 만 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여 창의적인 융합프로그램의 지 침을 도출하고자 한다. 융합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 종류의 것이 녹 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지는 것을 뜻한다. 이때 융합 의 목적은 융합을 통한 창의성이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1세기는 경제성장이나 부의 창조가 지 식에 의해 주도되는 지식기반 경제의 시대로 나가고 있으며 이를 뒷 받침할 수 있는 창의력은 학문적 통섭에서 나온다(Kirk,1988)는 발 상과 또 현대가 처한 다양한 유형의 위기가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 고 있어 한 가지 학문으로는 그것을 해결할 수 없다(Zhang et al., 2011)고 하는 시대적 패러다임을 배경으로 한다. 따라서 정원환경 이라는 자연환경도 그 환경에 문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들과 교류 할 때 보다 창의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라는 전제(Gyeonggi green & Agriculture Foundation, 2010)를 가지고 이때 융합프로 그램 요소 중 어느 요소가 가장 프로그램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까? 라는 연구의문을 가지고 프로그램 진행 교사들의 관점에서 프로그 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지침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했다.

연구방법

1. 연구내용

1) 융합프로그램 선정

융합 프로그램요소를 선정하기 위해서 정원의 환경적 요소관련 연구(Choi et al., 2006; Lee and Bang, 2004; Kim, 2009)와 정원 공간체험 프로그램(Kang, 2009; Kim, 2009; Byun and Park, 2010) 산책과 텃밭(Yoon, 2007; Chaing et al., 2004) 정원과 어휘 력향상(Kang, 2009; Lee, 2005) 창의적 만들기 활동(In, 2006; Kim, 2008) 사회성 향상활동(Lee, 2005; Relf, 1998)등의 정원관 련 프로그램 선행 연구(Byun and Park, 2010) 등에서 프로그램과 연계될 수 있는 정원환경 구성요소로 식물, 자연조형물, 인공조형 물을 도출하고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전반적인 내용을 환경적 요 소라고 조작적 정의하고 문화적 요소는 문화라는 의미가 사전적으 로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물질적 정신적으로 진보한 상태라 고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진보한 활동 중 음악 미술, 체육, 문 학까지의 범위를 정원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온라인 정보 (http://www.kofac.re.kr)와 창의 인성 교육방법 사이트(httpwww.steamedu)와 융합형 프로그램의 진행 사례(http://magazine. kcue.or.kr)분석을 바탕으로 음악, 미술, 체 육, 문학 분야의 체험활동 중 정원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도출한 후 그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음악2명, 문학1명, 체육1명, 미술2명의 교수를 전문패널로 하여 시범적으로 개발한 활동 프로 그램의 진행 시트를 제시한 후 체크리스트방식으로 적절성을 평가 한 것을 반영하여 최종 시범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Table 1).
체크리스트의 기준은 정원환경과 융합의 적절성 파악이었고 분 야의 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정성적인 견해를 브레인 스토밍 방식 으로 수집하여 프로그램에 수정 보완하여 음악과 미술과 체육과 문 학이 유사한 비율로 적용되어 Table1에 나타나듯이 8개의 활동이 한 프로그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2) 대상자 선정 및 연구절차

K대학에서 정원활동을 기반으로 문화관련 연구자와 융합하여 개발한 창의적 정원융합 프로그램(Table 1)을 인근지역 5개 중고 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체험활동 프로그램으로 실행하였 다. 8가지 활동으로 구성된 일단위 프로그램을 2013년 9월부터 11 월까지 학교별로 매주 정해진 시간에 8회에 걸쳐 8가지 활동을 순 서대로 진행하였다. 이때 체험프로그램 교사로 참가한 30명을 대 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자의 전공은 원예조경관련 전공생이 21명 (70%), 복지 및 교육관 련 9명(30%), 이었고 체험교사 경험별로는 경험이 1년 이내의 경 험자는 13명(43%) 1년이상 2년이내는 8명(27%) 2년이상 3년이 내는 6명(20%) 3년이상 경험자는 3명(10%)이었다(Table 2).

2. 변수의 측정 및 측정 도구

체험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프로그램 지침을 제안하
Table 1.
Garden and culture hybrid pilot program.
Garden environmental factor Culture factor Activities
Tree Fine art+literature+physical activity Observational drawing
Leafs Fine art+literature Green decorating
Flower Fine art+ physical activity+music Garden colaring
Fruits Cooking+fineart+physical activity Fruits cooking
Stone Fine art+crafts Stone dyeing
Water Music+physical activity Playing water game
Garden lighting Performence+counsel Discussing & counselling
Garden furniture Literature+counsel+physical activity Writing & walking
Table 2.
The respondents'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Item Frequency Persent(%)

Major Horticulture 21 70
Welfare & education 9 30

Career -1yer 13 43
1-2years 8 27
2-3years 6 20
3years- 3 10

Total 30 100
고자 원예체험관련 만족 측정 도구(Lee, 2005; Yoon, 2007; Lim, 2010)를 검토하고 Son et al.(2006)의 원예활동 분류기준을 근거 로 프로그램 구성요인, 효과요인, 내용요인을 1차적으로 도출한 후 크론바 알파테스트를 통한 문항신뢰도 검증을 통해 알파값 9.0 이 상의 문항만을 변수로 추출하였을 때 자연환경, 진행방법, 미디어 시스템의 3가지가 도출되고, 효과 요인은 선행 연구 (Kwak et al., 2012; Son et al., 2006; Kim, 2013) 를 바탕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효과 문항중 검증결과 알파값 9.0 이상인 관계성, 사회성, 의사소통, 관련분야 전문성, 리더쉽, 창의성의 6개가 효과 변수로 설정되고 실시한 8개 활동이 모두 기준값에 부합하여 내용 변수로 포함됨으로 총 17개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만족도를 종 속변수로 하였다. 이때 최저 1점 최고 5점의 등간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시된 전체 측정문항의 신뢰도는 신뢰도 검증을 실시 하였을 때 전체 17개 문항의 알파값이 .911로 90%이상의 높은 신 뢰성을 나타내서 조사의 내적타당도는 검증되었다.

3. 분석방법

프로그램 만족도라는 종속변수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17개의 독 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 계방법으로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을 분석하였다. 또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과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 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만족도에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영향의 차이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 치는 유의성, 인과관계의 방향, 인과관계 방향의 크기, 상대적 기여 도를 검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 버전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독립변수의 통계적 요약

종속변수인 프로그램 만족도(Y)에 영향을 미치는 17개의 독립 변수에 대한 통계적 특징을 살펴보면, 종속변수인 프로그램 만족도 의 평균값은 3.4667이였으며 개인적인 편차는 SD=.68145이었 다. 이는 Kim and Jun (2013)의 연구에서 최근 융합적 체험이 창의 성 개발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또 Son et al.(2006)에서 분류한 원예활동의 분류에 따라 3가지 변 수 즉, 식물심기, 만들기, 감상하기를 바탕으로 정원환경 요소인 나 무와 꽃, 자연소재인 물과 돌, 인공소재인 정원시설물과 조명을 이 용한 8가지 프로그램과 Kwak(2005)의 연구에서 밝혀진 체험프로 그램 운영요소와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Kim, 2008; Choi et al, 2006; Kwak et al., 2012)에서 밝혀진 프로그램 효과변 수 6개를 포함한 17개의 독립변수는 모두 평균 3.0이상으로 변수 전체가 높은 만족을 나타냄으로 대부분 프로그램에 대하여 긍정적 인 평가를 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중 평균 4.0점 이상의 만족을 나타낸 변수는 효과범주에서는 관계성이 4.1점으로 4.0점을 넘었 는데 이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한 배려 등이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교육적인 효과로 체험교사들은 느꼈다는 의미로 이는 Kwak (2005)의 연구에서 자연학습이 가져다주는 인 성개발 효과와도 같은 결과로 매우 의미있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환경범주에서는 미디어기자재가 4.0점으로 높은 만족인데 융합프 로그램이므로 자연과 첨단과학의 융합도 환경적으로 적극 도입해 야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프로그램 범주에서는 식물관찰과 드로잉 4.0점과 토론과 상담4.0점 프로그램의 만족이 높았으므로 이 부분 을 더욱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높은 만족 을 나타낸 것을 발견할 수 있다(Table 3).

2. 두 변수들 간의 관계의 검정

종속변수인 재참여의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소들과의
Table 3.
Summary statistics of variables.
Variable SDz Meany Min Max N

Environment-natural space .73030 3.5333 2 5 30
Environment- method .77682 3.5000 2 5 30
Effect-relationship .66176 4.1000 3 5 30
Effect-social skill .65126 3.7000 3 5 30
Effect-professional skill .75810 3.6667 2 5 30
Environment-media system .64327 4.0000 3 5 30
Effect-communication skill .85836 2.5667 2 5 30
Effect-leadership .88409 3.4333 2 5 30
Effect-creativity .92476 3.3333 2 5 30
Program-art drawing .61495 4.0333 3 5 30
Program-decorating .61026 3.8333 3 5 30
Program-garden coloring .84418 3.6000 2 5 30
Program-cooking .74971 3.7000 3 5 30
Program-.dyeing .81368 3.4000 2 5 30
Program-playing & performence .64772 3.8333 3 5 30
Program-discussing & counselling .61495 4.0333 3 5 30
Program-writing & walking .52083 3.9333 1 5 30
Y Satisfaction .68145 3.4667 2 5 30

y Mean: average score

z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The correlation factor of garden and culture hybrid program.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X14 X15 X16 X17 Y
X1 1
X2 .790** 1
X3 .243 .369* 1
X4 .276 .170 .392* 1
X5 .519** .351 .344 .698** 1
X6 .294 .483** .486** .329 .354 1
X7 .389* .336 .710** .426* .495** .312 1
X8 .249 .100 .354 .479** .480** .182 .576** 1
X9 .194 .096 .248 .046 .197 .058 .452* .717** 1
X10 .453* .456* .275 .016 .311 .236 .586** .477** .777** 1
X11 189 .325 .669** .456* .247 .523** .429** .169 .230 .208 1
X12 .170 .000 .478** .538** .522** .176 .369* .477* .257 .149 .294 1
X13 .298 .210 .432* .502** .413* .191 .397* .385* .177 .160 .354 .669** 1
X14 .491** .326 .341 .304 .425* .286 .316 .416* .438* .418* .396* .392* .654** 1
X15 .441* .327 ..371* .104 .280 .395* .237 .144 .302 .398* .455* .444* .502** .656** 1
X16 .340 .377* .603** .204 .234 .248 .569** .401* .461* .495 .447* .436* .526** 604** .523** 1
X17 .266 .397* .585** .112 .247 .697** .494** .296 .412* .455* .635** .202 .354 .546** .593** .620** 1
Y -.097 .085 .680** .163 .058 .515** .473** .175 .258 .201 .746** .260 .209 .230 ,342 443* .746** 1
관계에 대한 Pearson의 상관관계 결과, 대부분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변수간 평균은 .372이고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 를 가지는 변수는 .748 로 나무를 이용한 조형물 만들기 프로그램 으로 가장 높은 (+)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이는 Chaing et al.(2004) 의 체험프로그램으로는 미술활동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결과이므로 융합프로그램에서는 환경미술 분야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자연환 경과는 만족도의 관계는(-)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체험프로그램 이 환경을 감상하기보다는 활용하여 활동을 진행하는 역동적인 내 용이어서 환경자체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조사대상이 체험교사 그룹이어서 관심이 물리적 환경 항목보다 교 육적 효과와 프로그램 내용부분이 만족도와 상관이 깊은 것으로 분 석된다(Table 4).

3. 프로그램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모형의 점검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모형의 적합성은 표준오차(Se), 결정계수 (R Squares), F-검정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Table 5에 의하면 추정 값의 표준오차는 0.41329이고 결정계수는 (R Squares)는 종속변 수의 총 변동 중에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변동의 비율로서 결정계수 값이 0.848 수정결정계수가 0.632으로 비교적 높은 설명 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종속변수인 만족도의 84.8%가 독립 변수에 의하여 설명되어진다는 의미이다. Table 6에서 F검정의
Table 5.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Model R R squares Adj rz squares Stdy. error
1 .921 .848 .632 .41329

z Adjust r squares

y Standard error

수 행결과, F=3.932(p=0.0001)으로 나타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 에는 대단히 높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모형점 검의 3가지 기준에서 볼 때, 추정된 회귀모형은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2) 독립변수의 유의성 검정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프로그램 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성 검정결과는 p< .05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요소에 따라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Kim(2011)에서 논의 된 창의적 체험학습 현장에서 체험프로그램별 만족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와 같은 맥락이라고 분석된다.

3) 인과관계의 방향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값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을 회귀계수 값의 부호의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회귀계수(-)인 자연환경 요소와 관계적 친밀성효과 사회성 증진효과 및 토론과 상담 및 산
Table 6.
Analysis of variance.
Dfz R squares Meany squares F pr>F

Model 17 11.417 .672 3.932 .000
Error 12 2.050 .171
Total 29 13.467

z Df : degree of freedom

y Mean squares : average squares

Table 7.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Unstd.z coeff Std. error Std.y coeff T-value

Intercept 2.547 .772 3.301

Environment-natural space -.380 .157 -.408 -2.420
Environment-method .287 .162 .327 1.772
Effect-relationship -.411 .270 -.399 -1.525
Effect-social skill -.551 .274 -.526 -2.011
Effect-professional skill .012 .191 .014 .064
Environment-media system .129 .244 .122 .530
Effect-communication skill .378 .222 .476 1.707
Effect-leadership .178 .166 .231 1.073
Effect-creativity .410 .276 .370 1.485
Program-art drawing .387 .179 .502 2.162
Program-planting decorating .009 .292 .009 .032
Program-garden coloring .042 .273 .051 .155
Program-cooking .164 .257 .181 .639
Program-dying .218 .193 .260 1.127
Program-playing .017 .234 .016 .072
Program-discussing -.415 .362 -.374 -1.146
Program-walking -.086 .145 -.094 -.593

z Standard coefficient.

y Unstandard coefficient.

책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역작용한다고 볼 수 있고 반면 체험프로그램은 흥미와 집중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 할 수록 전체적인 만족이 높아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Table 7). 이 는 창의적 체험학습은 지시각적인 교구재의 활용이 효과적이라는 연구(Kim, 2011)와 같은 의미라고 판단된다.

4) 인과관계의 크기

각 독립변수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종속변수의 값이 변화하는 정도는 비표준화 회귀계수(Unstd. Coeff.)의 값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창의성 효과의 한단위 증가는 프로그 램 만족을 .410만큼 증가시킨다는 의미로 가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을 통해 체험교사는 창 의성이개발이 된다고 느낄 때 전체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만족한다 고 분석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중 만족도에 영향을 높게 미치는 것 은 .387로 아트드로잉 프로그램과 효과측면에서는 .378로 커뮤니 케이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체험교사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생과 소통에 효과가 있다고 느끼거나 자연관찰과 표현에 대한 프로그램이 잘 진행될 때 전체프로그램에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된 다. 이는 사고력과 인성적인 프로그램이 창의성개발에 효과적이라 는 연구(Kwak et al., 2012)와도 의미를 같이하는 결과라고 사료되 어 프로그램 지침에 창의성과 사회성을 위한 대화와 의사소통 방법 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제안을 할 수 있겠다.

5) 종속변수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의 크기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값의 크기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표준화 회귀계수(Std. Coeff.)의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평가 할 수 있다. 종속변수인 프로그램 만족에 가장 기여도가 큰 변수는 -.526 사회성 증진효과가 가장 기여하는 변수로 절대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토론과 관찰과 드로잉프로그램이 .502였 고 의사소통 능력 효과도 .476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이상의 결과 창의적 융합프로그램은 체험교사가 학생들의 인성 과 창의성을 개발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진행단계에서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진행방식을 개별 적 대화형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지침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다. 즉, 정원문화관련 체험교사의 질적인 관리와 프로그램 활성화 를 위한 체험교사용 지침서 개발에서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의사소 통과 관계형성에 대한 단계적 접근방식이 지침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즉 창의적인 융합형 프로그램은 타인과의 의사소통과 자연 과 인간을 조화롭게 연결하는 활동의 체계적인 도입이 가장 효과적 인 프로그램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이것이 Kim and Jun(2012)의 융합형 디자인 이론에서 피력했던 창의인재 모형이 고 창의인재 개발 분야에서 교육과정 개발 (http://www.steamedu. com) 모형지침과도 같은 맥락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창의적 융합 프로그램의 지침이 구축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적요

본 연구는 정원의 환경과 문화를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 고등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지침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 헌 연구를 통해 융복합 프로그램의 목적과 요소를 분석하고 정원의 환경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를 통합한 시범적 프로그램을 도출하였 다. 또한 도출된 정원 환경과 문화 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때 참여한 체험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소별 만족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프로그램요소는 환경적 요소, 효과적 요소, 프로그램 내용적 요소로 분류하여 17개의 변수를 도출하고 이들 변수가 프로 그램 전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수17개와 종속변수 로 1개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정원환경과 문화 융합 프 로그램에서는 창의성 향상과 사회성증진 효과가 가장 중요한 효과 로 나타나고 자연관찰 및 표현프로그램이 가장 만족이 높은 프로그 램을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사회성을 위한 대화와 의사소통 방법을 프로그램 지침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자연과 동화되는 관찰과 표현기법 프로그램을 체험교사가 적용이 용이한 매뉴얼방 식으로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V.
V.

References

Byun J.M, Park C.H.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awareness of necessity needs and the participated experiences in the urban living horticulture.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0;13(6): 133–145.

Chaing M.H, Kim J.M, Yoon S.J, Chung Y.J. Horticultural therapy and drawing activities for disabled children.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4;7(4): 58–64.

Choi Y.A, Oh D.M, Jang E.J, Yoon SH, Heo B.G.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on community garden.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6;9(1): 7–13.

Gyeonggi Green & Agriculture Foundation. Report of Garden Festival History Book 2010.

In M.S.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pre-school infants. M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2006.

Kang N.R. Effects of ecologic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toddlers.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09.

Kirk S.J. Creative design decisions 1988;New York. USA: Van Nostrand Reinhold.

Kim D.K. The change of infant's scientific thinking power by planting based on the project approach. MS thesis, Gyeongnam University, Masan, Korea 2008.

Kim J.S. The experience of children in the indoor garden management activity. MS thesis, Korea Education University, Seoul, Korea 2009.

Kim S.I, Jun S.J.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cess. The Journal of Disital Design 2013;13(2): 128–136.

Kim S.Y. Analysis of satisfaction at garden culture program to develop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urse.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1;14(1): 67–74.

Kim S.Y. Effect of horticutural activity satisfaction on min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in mentally retarded.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16(1): 17–23.
crossref
Kwak H.R.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lant of educational horticulture as socio horticulture. J. Korea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5;7(4): 101–111.

Kwak H.R, Jang Y.J, Lee H.Y.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plants of multicultural childre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5): 337–348.

Lee J.S, Bang G.J. . New interior landscape 2004;Seoul. Korea: Landscape & environment press.

Lee Y.S.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2005.

Lim W.H. Prospects and direction of creating forest therapy complex. Jornal of People Plants Environ 2010;13(6): 67–7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manual report 2010.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Seoul, Korea 2010.

Relf D.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998;1:12–21.

Son K.C, Cho M.K, Song J.E, Kim S.Y, Lee S.S.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Koobook Press, Seoul, Korea 2006.

Yoon J.I.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nature-friendly activities through strolling and backyard gardening. MS thesis, Korea Education University, Seoul, Korea 2007.

Zhang A.Y, Tsui A.S, Wang D.X. Leadership behaviors and group creativity in chinese organizations: The role of group processes. The Leadership Quarterly 2011;22(5): 851–862.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248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Study on Community Gardens for Village Development Projects2017 February;20(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