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2); 2014 > Article
무릉도원의 이상과 몽유도원도의 구도를 활용한 산림치유마을의 치유공간조성 계획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cess for the finding out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required to compose the healing space hierarchy in planning a forest healing village. The concept was extracted from Taohuayuanji(桃花源記) which is the protocol of the site of case study, Hyangdowon, and the composition of Mongyudowondo(夢遊桃源圖) painting which incarnates this concept as a painting, was applied on composing the healing space hierarchy. The meaning of Shangri-la(the Earthly Paradise, or a peach blossom land) described in Taohuayuanji by TaoYuanMing(陶淵明) is a fairyland, a eternal life or immortality, and a oriental utopia, Paradise. This place is called an Arcadia, and Mongyoudowondo is a fine art which paints this Arcadia in space. This painting is composed in three parts, real world, middle area, ideal world, and it is strikingl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of the site of case study. The final world of human beings is a village of the longevity without disease as the ideal world, this is called a place for‘enjoying a wandering’(xiaoyaoyou) meaning the state of the absolute freedom in Daoism. Overlapping the composition of Mongyudowondo painting with the study site is necessary and useful for composing the healing spaces in the forest healing village. The forest healing village has 5 areas, the healing service area and the water park area in the real world district, the hydro-therapy district and the pine tree healing area in the middle district, and the Shangri-la area in the ideal world district. The each area is conceptualized to enjoy in 5 senses experience. The Shangri-la area is divided in the first Shangri-la for the original village area, and the second Shangri-la for the rock cave. These two Shangri-la are connected with the forest trail called Dr. Wald. The Dr. Wald forest trail goes through forests and along this trail people enter into the rock cave in speculation and meditation. The rock cave area is the Deep Shangri-la, and the most silent place, and at this place in storytelling about the rock cave man can be immersed in the spiritual healing stage which is the final healing stag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the composition of the healing spaces and establishing the healing activities.

서론

인류는 지구상에 삶이 주어진 이후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한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인류의 삶에 있 어서 공통된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무병장수일 것이다. 누구나 병 없이 오래 살기를 원한다. 온 세상을 지배하는 권력이라도 불로초 가 필요했고, 자연을 벗하며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도 더 나은 이상 향을 추구하였다.
이상향이란 이상적으로 완전한 상상세계를 말한다. 가장 완벽한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한없이 평화로우며 무한히 즐겁고 행복한 세 상을 말한다. 동양적 사고방식의 이상향은 무릉도원(또는 桃源境) 인데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桃花源記 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夢遊桃源圖╝에 잘 나타나 있다(Cho, 2011; Bae, 1985). ╔桃花源記╝나 ╔夢遊桃源圖╝를 통해서 추구하고자 했던 무릉도원은 어떤 곳이었을까? 한 연구에 의하면 무릉도원은 장생불 사의 선계(仙界)를 말하기도 한다(Park, 2012). 하지만 문자 그대로 죽지 않고 오래 사는 장생불사의 신선세계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현 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무병장수의 세계를 일컫는다고 볼 수 있다.
산림청은 숲으로 국민건강을 증진하여 오래 살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건강에 직결되는 정책의 내용은 산림치유에 관한 것으로서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치유의 숲’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차 산림기본계획(변경)에 의하 면 숲에서의 건강활동을 조장하기 위해 도시숲을 확충하고, 산림복 지서비스를 확대하며, 2017년까지 34군데에 치유의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Korea Forest Service, 2013a,b). 백두대간 테라피단지 와 같은 대규모 치유단지를 조성하고 있고(Korea Forest Service, 2010), 산림복지단지와 같이 복합건강증진센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근거법을 추진하여 2017년까지 2군데 마련할 예정이다 (Korea Forest Service, 2013a,b; Hwang, 2013). 특히 2013년부 터 권역별로 시범적으로 10개소의 산림치유마을을 조성할 계획으 로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3b).
산림휴양활동이 빈번해지는 과정에서 숲을 통한 건강증진에 대 한 관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대규모 연구사업이 정부로부터 뒷받 침되기 시작하였고(Korea Forest Service, 2013c; 2011b), 연구 결과를 실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치유의 숲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Lee, 2011; Korea Forest Service, 2011a; Lee et al., 2008; Lim, 2008). 이 논문에서 다루려는 산림 치유마을에 관한 연구는 두 편의 사례가 발견되는데 Kim et al.(2012)Park(2013)의 경우이다. Kim et al.(2012)은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에 있는 한 마을을 산림치유마을로 조성하는데 필요 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Park(2013)은 산림 치유마을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치유시설기준에 관해 연구하였다. 산림치유마을을 산촌의 풍부한 산림자원이 가지는 치유기능과 문 화자산,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녹색관광 등 산촌마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념을 설정하고, 치유, 휴양, 교육, 체험 을 핵심기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하나의 마을을 산림치유마을로 조성하는데 있어서 공 간구성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 사례연구이다. 공 간구성은 내용적으로 계획의 주제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마을 주변 자연환경의 특성과 마을 자체가 지닌 역사적 문화적 특성도 매우 긴요하게 작용한다. 특히 전체 공간을 기능적으로 배분할 때 에는 자연환경이 지닌 공간적 특성과 마을의 역사문화적인 특성이 고려되고 반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구 대상지는 도원리(桃院 里)로서 일명 향도원(香桃院)이라고 부른다. 도원리(향도원)라 는 마을 이름은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도화원기 (桃花源記) 와 무릉도원(武陵桃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안 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는 도화원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그림이다. 본 연구는 인류 삶의 이상향으로서 장생불사, 무 병장수의 선경을 묘사한 몽유도원도 의 구도를 분석하여 그 구조 적 특성을 산림치유마을의 공간분화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자 시도한 것이다. 아직 준비단계인 산림치유마을 조성계획에 있어 서 치유공간분화와 공간별 치유활동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구방법

1 향도원(香桃院)

대상지는 행정구역상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도원1리로서 향도 원이라고 부른다. 향도원은 금강산 일만이천 봉 중 가장 남쪽에 있 는 신선봉(神仙峰) 산기슭에 있는 마을이다. 지형은 남쪽으로 신 선봉(1204m), 서쪽으로 새이령(682m)과 마산봉(1052m), 북쪽 으로 죽병산(680m)으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으로는 동해와 직선으 로 불과 1km 거리에서 열려있는 형국이다. 동서남북 4방위 중 3방 위가 높은 산으로 위요되어 있다. 북서쪽 신선봉에서부터 열려있는 깊고 긴 골짜기는 표주박 모양의 긴 장타원형의 유역을 만들고 사 방으로부터 집수된 물이 문암천을 형성하여 마을을 관통하여 도원 저수지에 담수되었다가 동해로 흘러들어간다. 자연환경은 매우 수 려하다. 백두대간 자락의 신선봉을 중심으로 펼쳐진 높고 험준한 산과 울창한 천연수림, 넓고 긴 유역 덕분에 1년 내내 흐름이 끊이 지 않는 계곡물은 언제나 맑고 깨끗하며 최고의 치유자원이다.
이곳은 원래 신선봉과 마산봉 사이에 있는 새이령(대간령)을 넘 어 인제를 지나 한양으로 넘나들던 마을이었다. 경제적으로 번창하 였으나 대관령이 크게 확장되면서 세력이 약해지게 되었고 이제 희 미한 흔적만 남아있다. 마을은 오래 전 광산을 운영한 때도 있었고, 숯을 생산하여 소득을 올리던 때도 있었는데 당시 삶의 흔적이 아 직 남아있다. 특히, 골짜기의 맨 안쪽에 있는 굴바위는 당시의 삶과 관련하여 매우 가슴 아픈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바위는 불과 3.5×5m 정도의 크기인데 앞부분이 위로 솟구쳐 입구 폭 약 2.5m, 높이 1m, 깊이 4m의 빈 공간이 생겨 굴바위가 생겨났다. 이곳에서 젊은 부부가 살면서 아기가 태어나고 자랐다. 형편이 좀 나아지면 부부는 아이와 함께 굴바위 앞에 있는 조그만 움집으로 옮기고, 굴 바위에는 또 다른 사람이 들어와 사는 등 되물림식 혈거생활이 상 당기간 이어졌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보면 굴바 위 주변이 향도원 마을의 시작이고 원형(原形)이 아닐까 생각한다. 주변에는 복숭아나무가 남아있으며, 그 아랫마을인 원터골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살았는데 지금은 퇴거되었고 여러 그루의 복숭아나 무와 뽕나무가 남아있다. 굴바위 생활은 6~70년대까지 있었다고 하며 마지막에 태어난 사람이 성장하여 서울 어디인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불과 수십 년 전까지 있었던 도원리 마을 사람 들의 삶의 모습이 그곳에 잠들어 있다. 엄동설한 누기암혈(陋氣巖 穴)의 삶은 죽음이나 다름없는 바, 사소한 일에도 불평하는 현대인 의 삶에 자기반성과 성찰의 장소로 활용하면 치유 프로그램에 좋을 듯한 장소이다.
인구수는 2012년 1월 현재 총 33세대 63명으로 남 31명, 여자 32명이며 5~60대가 66.6%이고 평균 연령이 60.5세로서 노령화 된 마을이다. 산업은 밭 중심의 소규모 경작농업이 대부분이고, 가 구당 소득은 밭작물, 산나물, 송이 등 농외 임업소득, 외지의 막노 동, 여름철 유원지 관광 수입 등으로서 전국 평균 농업소득의 절반 수준인 1,500만원 내외이다. 문암천 계곡은 연중 수량이 풍부할 뿐 만 아니라, 오랜 세월동안 세찬 물줄기로 깎이고 깎여 바닥이 암반 이거나 평평한 바위로 되어 있어서 물이 늘 맑고 깨끗하다. 풍부하 고 깨끗한 물이 흐르는 계곡과 소나무숲 덕분에 여름철에 많은 피 서객이 찾아오는데 환경보호를 위해 마을에서는 한시적으로 손님 을 받는다(Goseong County, 2013).

2 몽유도원도의 구도 분석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인 치유공간구성의 아이디어를 얻게 된 것 은 마을 이름 도원리(일명 향도원)이다. 도원리는 도연명이 쓴 桃 花源記 와 안견의 ╔夢遊桃源圖╝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그런데 도화원기 에 영향을 받아 그려진 몽유도원도 의 구도가 도원리 의 현재 이용되는 공간구조와 매우 흡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에 따라서 몽유도원도의 공간구도를 좀더 자세하게 분석하여 치유 공간계획에 적용하게 된 것이다. 물론 몽유도원도가 그려지게 된 배경이 된 도화원기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도화원기 나 몽유도원도 를 문학과 산수화 측면에서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자의 전문성을 뛰어넘고 역량도 부족하기에 기존의 전 문영역에서 여러 연구자들이 분석한 내용을 다룬 문헌중심으로 본 연구주제에 알맞게 종합정리하였다. 주된 분석내용은 도화원기 의 이야기 전개에 나타나는 공간과 작가가 추구하는 삶의 의미, 그 리고 몽유도원도 에서 작가가 의도하는 화의(畵意), 분화된 공 간구조와 각 공간의 흐름과 공간이 주는 의미 등이다.

3 적용방법

치유마을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공간구성의 개념과 이에 따 른 공간의 구조를 일정한 흐름에 따라 형상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 해서 도화원기 와 몽유도원도 의 분석에서 얻은 이야기 전개 과정과 최종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 그리고 공간구도적인 특징 을 치유공간구성의 개념으로 삼고자 하였다. 즉, 두 작품에서 공통 적으로 추구하는 주제를 산림치유마을 조성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의 달성을 위해 두 작품이 나타내는 공간적 인 특징과 흐름을 대상지 도원리 마을의 치유공간 구획에 적용하였 다. 두 작품의 공통점은 현실세계→전이지대→이상세계로 이어지 는 공간구도적 흐름을 가진 것인데, 현재 대상지 마을공간의 휴양 적 이용상태가 이와 흡사하여 각 영역별로 이에 알맞게 적용하였 다. 여기에 필요한 논리적 근거는 모두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를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결과 및 고찰

1 도연명의 ╔桃花源記╝ 가 추구한 이상

치유공간구성의 개념을 설정하기 위해 대상지 마을이름의 유래 와 역사문화성, 자연환경 구조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인간이 이상향, 즉, 유토피아를 꿈꾸는 것은 이 땅에서의 삶이 고달프고, 고 통스러웠기 때문이며, 항구적인 안녕과 평화에 대한 갈망은 현실의 저편을 갈망하게 했다(Lee, 2004). 이상적인 삶에 대한 동경은 동 서고금을 막론하고 다양하게 논의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무릉도 원’이며 무릉도원은 동양적 낙원의 원형이자 근원이 되었다(Oh, 2011). 무릉도원은 시와 그림, 그리고 이야기 문학을 통하여 다양 하게 형상화되어 왔다(Mun, 2004; Park, 2007). 이러한 무릉도원 의 이미지는 도연명의 ╔桃花源記╝ 에서 발원한 것이다(Kim, 2008).
도연명은 이 작품을 통하여 자신의 이상향을 도화원(또는 桃源) 으로 표현하였다. 도화원이 실제하는 곳이냐 아니냐, 또는 도화원 은 남방의 무릉지방이 아니라 북방의 弘農(또는 上洛)이라는 설 등 다양하다(Lee, 2002; Park, 1986). 이러한 문제는 논외로 하고, 이 작품을 통하여 추구한 것이 무릉도원 이상향인 것은 틀림없지만 어떤 시각에서 본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상향으 로서 무릉도원의 의미는 치유공간계획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념 을 제시할 수 있다.
무릉도원이라는 이상향에 대해서 Park(2012)은 다음과 같은 시 각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첫째, 낙토(樂土)로서의 도원으로 소국 과민(小國寡民)의 태고세계를 말한다. 부귀귀천을 초탈한 태고 인의 삶, 절대권력의 폐해를 탈피한 소국, 소민의 자치국, 임금도 신 하도 없고 세금수탈과 전쟁의 참화가 없는 낙원을 열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김주순의 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Kim, 2002). 둘째, 선경으로서의 도원이다. 이것은 장생불사의 선계를 말한다. 작품에서 도원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진(秦)나라를 지나 한(漢), 위 (魏), 동진(東晋)에 이르기까지 수 백 년을 죽지 않고 살고 있는 듯 이 묘사되어 불로장생하는 선인들로 인식하게 하였다. 王維도 도 화원을 仙界로 묘사하였다(Bae, 1985). 셋째, 심리적 안식처로서 의 桃源이다. 이것은 유가(儒家)의 정신세계와도 연계되어 있다. 마음이 기쁜 곳, 마음이 한가롭고 정서를 다스릴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이 바로 桃源이라는 것으로 이는 유가의 정신이다. 또한 Ahn(2009)이 주장하는 것처럼 ‘현실세계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 어하는 도가적(道家的) 시각’을 함께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세계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도가적 시각’이란 장자 (莊子)가 말하는 절대자유의 경지, 즉 소요유(逍遙遊)의 세계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Kwon, 1993).

2 안견(安堅)의 ╔夢遊桃源圖╝의 구도

╔桃花源記╝ 는 동양의 많은 시인과 문사들에 의해 신선경이나 이상적인 은거처를 상징하는 회화와 문학의 소재로 애용되었다. 조 선에도 시ㆍ서ㆍ화에 영향을 주었는데, 도원을 소재로 그린 그림 을 말하는 도원도는 동양의 대표적인 이상향을 묘사한 것이다. 도 원을 소재로 제작된 조선시대 최고의 작품은 안견의 夢遊桃源 圖 이다(Huh, 2006)(Fig. 1). 유가정신의 이상적인 공간을 보여 주는 것이 도원도였는데 그것이 ╔夢遊桃源圖╝라는 작품 전체에 감돌고 있다(Choi, 2011). ╔夢遊桃源圖╝는 안평대군이 세종 29 년 1447년 5월 4일(양력)에 꿈속에서 박팽년과 함께 도화원을 여 행하게 되었는데 꿈에서 본 장면을 당대 최고의 화가인 안견(安堅) 에게 설명하여 3일 만인 5월 7일에 완성된 그림이다. 夢遊桃源 圖 의 구도는 대상지 마을의 치유공간계획의 개념을 설정하고 기 능별로 공간을 할지(割地)하는데 귀중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작품의 구도를 분석한 연구자들의 내용을 고찰하여 종합하고자 한다.
작품의 흐름은 왼쪽 하단에서 시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쪽 상단으로 전개된다(Fig. 1). 이것은 ╔桃花源記╝ 의 이야기가 어부 가 시내에서 배를 타고 도화원으로 들어가기까지 순차적으로 전개 되는 것처럼, 안평대군이 꿈에서 체험한 장면을 순차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좌측의 자연스러운 현실세계와 우측의 환상적인 도원의 세 계가 현저한 대조를 보이고 있는데,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점 차 상승하는 운동세(運動勢)를 보이고 있으며 수직적인 요소와 수 평적인 요소가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Ahn, 1996).
Fig. 1.
Spa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Mongyudowondo(夢遊桃源圖)╝. Angyeon. 1447. Light coloring in silk fabrics. 38.6×106.2cm.
KSPPE-17-143_F1.gif
전체 화폭은 연구자에 따라서 3개의 공간, 또는 4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오세권, 장경연, 조은실, 홍선표 등이 3 개의 영역으로 구도를 파악하고 있는데 각 영역을 표현한 용어들은 유사하다. Oh(2011)는 왼쪽은 현실세계, 중간부분은 현실세계에 서 도원경으로 연결되는 부분, 오른쪽은 도원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고 주장하고 있다. Jang(2003)에 의하면 현실세계인 좌측에는 외 부도화림, 중심부에 산악군, 우측에 도원이 배치되어 있다. Cho (2006)는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어 현실세계와 도원의 세계를 표현 하였으며 가운데는 현실에서부터 도원에 이르는 여정을 표현한 것 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Hong(2010)은 도입부, 중간부, 중핵부 등 3영역으로 분석하였는데, 왼쪽 골짜기의 오솔길 정경이 도입부 이고, 도중의 험하고 기괴한 바위산과 절벽의 산악군(山岳群)이 중간부이며, 산들이 사방을 벽처럼 둘러싸고 있는 골 안에 복사꽃 이 만발한 도원동(桃源洞)이 중핵부이다. 한편, Ahn(2009)은 이 작품은 네 무더기의 커다란 경군(景群)으로 짜여져 있는데, 제1군 은 왼쪽 하단의 나지막한 야산들, 제2군은 도원으로 접근되는 외곽 지역으로 도원의 바깥쪽 입구, 제3군은 도원의 안쪽 입구, 제4군은 그림의 핵심인 도원의 경치를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 경군들은 각각 분리된 듯 독립성이 강하고 흩어진 듯 하지만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상단으로 전개된 강력한 사선운동 혹은 대각선 운 동으로 화면 전체가 하나로 꿰어 엮어져 있다(Ahn, 2002).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화폭은 왼쪽 하단부(이하 하단부), 중 간부, 오른쪽 상단부(이하 상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현 실세계, 상단부는 이상세계를 나타내며, 중간부는 현실세계와 이 상세계를 이어주는 전이지대이다. 또한 중간부는 상단부인 도화원 (또는 도원경)이라는 이상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역할을 하는 곳으 로서 두 개의 입구가 있다. 하나는 현실세계에서 전이지대로 들어 가는 입구인데 ‘도원바깥입구’이고, 다른 하나는 전이지대에서 도 화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서 ‘도원안쪽입구’이다. 도원안쪽 입구 를 지나면 밝고 넓은 도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이 도화원으로서 가장 안쪽에 있으며 복사꽃이 떨어져 물에 떠내려오는 곳의 근원이 라는 뜻이다(Rim, 2010).

3 공간분화를 위한 개념설정과 공간체계 구상

1) ╔桃花源記╝와 ╔夢遊桃源圖╝로부터 추출한 대상지 마을의 이미지와 공간 구현

향도원을 산림치유마을로 조성하는데 있어서 이념적으로 개발 개념의 토대를 삼을 수 있는 것을 모색한 바 마을의 이름에서 찾았 다. 마을의 이름은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다. 마을 이름은 향도원 (香桃院) 또는 도원리(桃院里)라고 불리는데 어느 것이든 모두 복숭아나무와 관련이 있는 곳이다. 도원(桃院), 도원(桃源), 도원 (桃園), 도원경(桃源境), 도화원(桃花源) 등 모든 용어들은 도연 명의 ╔桃花源記╝ 로부터 출발한 것으로서 이들을 통합하는 단어 는 武陵桃源이라고 할 수 있다. ╔桃花源記╝ 에 등장하는 어부가 무릉지방에 살았고 어부가 찾은 마을이 도화원이라는 데서 이곳을 무릉도원이라고 부른다. 무릉도원은 도연명이 살고 싶어 했던 곳이 었고 이상향이었다.
인류가 희망하는 최고의 소원 중 하나는 심신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무병장수이다. 인류는 최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곳에서 살 아가기를 원한다. 그곳을 이상향이라고 부른다. 이상향은 최고의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곳임에 틀림없다. 이처럼 무병장수와 이상향 의 공통인자를 가진 곳이 도연명이 꿈꿨던 무릉도원으로 여겨진다 (Fig. 2).
Fig. 2.
Image extracted from village name.
KSPPE-17-143_F2.gif
무릉도원은 도가가 추구하는 이상세계이기도 하다. 앞 항에서 Park(2012), Kim(2002), Bae(1985) 등이 주장한 것처럼, 도연명 이 동경한 이상세계로서의 무릉도원은 낙토요 낙원이며, 장생불사 의 선계이고, 심리적 정신적 안식처이다. 또한, 현실로부터 자유로 워지고 싶은 도가적 세계이며(Ahn, 2009), 결국 이곳은 노장(老 莊)사상의 무위자연이나 물아일체, 절대자유의 경지를 말한다 (Kwon, 1993). 이러한 사상적 배경은 우리나라에도 크게 영향을 끼쳤고 ╔夢遊桃源圖╝라는 대작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夢遊桃 源圖 는 비록 꿈에서 본 무릉도원의 세계를 그린 것이지만 구도가 독특하고, 도연명이 글로 표현한 무릉도원의 세계를 구체적으로 현 실감있게 묘사하고 있어서 치유공간계획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귀 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서 ╔夢遊桃源圖╝는 도연명이 이상향으로 동경한 무릉도원의 세계를 구현한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Fig. 3).
Fig. 3.
Meaning of Shangri-la(武陵桃源) and relationship with ╔Mongyudowondo(夢遊桃源圖)╝
KSPPE-17-143_F3.gif

2) ╔夢遊桃源圖╝의 구도에서 도출한 공간분화를 위한 개념

╔夢遊桃源圖╝의 공간구조상 특징

무위자연과 물아일체의 노장사상을 함의하고 있는 夢遊桃源 圖 는 산수자연에 귀의하고자 도원을 꿈꾼 것으로 세속적인 현실 에서의 욕망을 무욕과 무위로 전환하고 자연과 벗 삼아 노니는 삶 을 추구한 것이다(Cho, 2011). 여기서 말하는 무욕과 무위의 삶을 누리는 자연과 벗삼는 최고의 공간은 무릉도원이고 도화원이며 夢遊桃源圖 의 중핵공간이다. 현실세계에서 전이지대를 지나 중 핵공간으로 오면 세상의 모든 번뇌와 고통을 잊고 자유로운 절대경 지의 세계와 만나며 이것은 莊子가 말하는 소요유(逍遙遊)의 세 계이다. 소요유란 절대자유의 경지를 말한다(An, 2010; Kim, 2010).
╔夢遊桃源圖╝에 나타난 풍경의 축은 왼쪽 아래에서 시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쪽으로 올라가면서 전개되어 있다. 공간구조 는 하단부, 중간부분, 상단부 등 크게 세 영역으로 되어 있다. 하단 부는 현실세계로서 평상의 세계이고 바깥세상을 말하며, 상단부는 이상세계로서 도원경(桃源境)을 말한다.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있는 중간부는 전이지대인데 하단부에서 전이지대로 들어가는 입 구부분이 도원바깥입구이고, 전이지대에서 상단부 도원경으로 들 어가는 입구부분이 도원안쪽입구이다.
╔桃花源記╝ 라는 문학 속 도원에 도연명의 생사관(生死觀)이 반영되어 있고, 이는 전통적인 도원도에서 재해석되며, 연구자의 桃源境으로 독창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Jang, 2013). 이제 본 논 문에서는 ╔夢遊桃源圖╝라는 도원도에서 재해석되었던 의경(意 境)을 산림치유라는 개념으로 치유공간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夢遊桃源圖╝의 공간구조상 시사점

무릉도원의 이상향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夢遊桃源圖╝로부 터 향도원을 산림치유마을로 개발하는데 필요한 이념의 출발점으 로 삼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① 이념적인 면에서 공감: 무릉도원이나 몽유도원은 무병장수 와 이상향의 세계로서 이것은 바로 산림치유마을이 추구하고자 하 는 것이다.
② 공간구도 면에서 공감: ╔夢遊桃源圖╝에 그려진 공간 구도 는 향도원 전체 계획 대상지의 공간적인 특성과 매우 흡사하다. 또 한 향도원의 자연환경이 매우 청정하고 아름답다.
③ 복숭아나무에 대한 공감: 무릉도원과 몽유도원 모두 복숭아 나무 꽃동네로서 향도원(도원리)은 이들과 마을이름에서 있어서 서로 맥이 닿아있다.

개발개념

무릉도원이나 몽유도원은 이상향이고 무병장수의 세계이다. 이 것은 향도원을 산림치유마을로 조성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목적과 부합한다. 즉, 향도원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치유요소가 풍부하 여 심신의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산림치유마을로 적격이다. 또한 계획부지의 공간적인 특징이 ╔夢遊桃源圖╝에서 보여주는 구도 와 매우 흡사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향도원 산림치유마을의 개발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① 이념적으로: 아름다운 자연(숲)과 벗하며 소요유(逍遙遊)하 는 무병장수의 무릉도원 추구
② 공간적으로: 몽유도원도 구도의 공간모델을 구현
③ 공간적으로: 몽유도원도 구도의 공간모델을 구현 ③ 내용적으로: 닥터발트(Dr. Wald)의 산림치유활동으로 심신 건강증진
궁극적으로, 향도원을 산림치유마을로 개발하는데 있어서 무병 장수를 추구하는 무릉도원의 이념을 도입하고, ╔夢遊桃源圖╝에 구현된 공간구도체계를 중첩시키며, 이러한 체계로 개발된 공간에 치유활동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도록 한다.
Ahn(2009)은 ╔桃花源記╝ 는 도연명의 정신세계를 잘 반영하 고 있으며, 현실세계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보는 이상향으로서의 측면과 ‘현실세계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도가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도가에서 말하 는‘현실세계로부터의 자유’는 곧 도가를 대표하는 장자가 말하는 절대자유의 경지, 즉, ‘소요(逍遙)’를 말한다. 장자는 지진으로 산 이 무너지고 천둥, 번개가 쳐도 조금도 마음에 두지 않으며, 어떠한 구속도 받지 않는 진정한, 절대의 자유를 동경하였는데 이러한 자 유를 소요(逍遙)라고 불렀다. 그러나 장자가 말한 소요는 실제적 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환상이며 동경일 뿐이다(Kwon, 1993)라고 는 하지만 추구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며 가치가 있다.

3) 치유공간체계 설정 및 구상안

공간체계 설정: ╔夢遊桃源圖╝에 중첩시킨 향도원의 공간 적 위치

╔夢遊桃源圖╝에 그려진 세 영역에 대한 향도원의 위치는 다음 과 같다.
① 하단부: 현실세계, 평상세계
현재 마을에서 여름철에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장소로서 마을 입 구에서 구름다리까지를 말한다.
② 중간부분: 전이지대
구름다리에서부터 원터 직전의 개울까지를 말한다. 이곳은 여름 철 방문객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곳이고 마을 사람들만 들어올 수 있는 곳으로서 선녀폭포와 임도교량 등이 있다. 구름다리는 도원경 의 바깥입구이고 원터 직전의 개울은 도원경의 안쪽 입구이다.
③ 상단부: 이상세계, 도원경
원터에서부터 굴바위가 있는 곳까지를 말한다. 공간의 특성상 원터지역과 삼거리에서 굴바위 지역까지 두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원터지역은 제1도원경, 삼거리~굴바위는 제2도원경으로 구 분한다. 제2도원경은 굴바위가 있는 심원경(深遠境) 지역과 삼거 리에서 굴바위에 이르기 직전까지의 숲길로 구성된다(Fig. 4).
Fig. 4.
Overlapping ╔Mongyudowondo╝ with the plan site.
KSPPE-17-143_F4.gif

공간체계별 개발 구상

하단부:

현실세계, 평상세계
마을의 입구이고 동적활동공간으로서 물놀이, 산책, 마을사람 들과 교류활동하는 공간이다.

중간부분:

전이지대
도원경 내외 입구로서 정적활동공간이다. 숲길 산책과 해설, 조 망, 음이온산책, 산림욕 등 숲속에서의 치유활동이 활발하게 일어 나는 공간이다. 그러나 이곳은 도원경으로 들어가기 직전의 공간인 전이지대로서 도원경에서 최종적인 치유활동을 하기 위한 준비가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상단부:

이상세계, 도원경
도원경지역으로서 도원경의 풍경을 적극적으로 연출해야 하는 곳이자 동시에 치유의 최종 마무리 공간으로서 닥터발트(Dr. Wald, 숲의사) 지역으로 설정되는 곳이다. 제1도원경과 제2도원 경으로 구분한다.

도원경

원터에 복숭아나무를 심어서 봄철 복숭아꽃이 만발하여 시각적 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도원경

숲(Wald)이 인간심신의 문제를 치유하는 의사라는 뜻으로 닥터 발트 구역이라 명명하고 두 군데로 나눈다.
  • 삼거리~굴바위 직전: 숲길을 따라 굴바위까지 명상과 사색으 로 소요하는 소요유(逍遙遊) 구역이라고 한다. 우거진 숲으로 아 늑하게 나있는 숲길을 걸으면서 사색과 명상을 통해 심신치유의 최 종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공간이다.

  • 굴바위 주변: 심원경, 도화원, 요람(cradle)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곳으로 도화원 구역이라고 한다. 도원경지역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조용한 곳으로 굴바위가 있는 곳이다. 심원경(深遠境)이라 고 하며, 복숭아꽃이 떨어져서 물에 떠내려오기 시작한 곳이라 하 여 도화원(桃花源)이라고도 한다(Rim, 2010). 굴바위가 있는 곳 이기 때문에 생명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어서 요람(搖籃)이라고 이 름을 붙였다. 이곳은 가장 거룩한 곳이어서 치유활동의 최종 단계 인 명상과 사색으로 영적 체험에 이르게 하는 곳이다(Fig. 5).

Fig. 5.
Spatial activity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the plan concept by area.
KSPPE-17-143_F5.gif

지구별 순차적 치유활동 및 공간구상안

몽유도원도상에서 도출된 공간구상에서 전개한 개념들을 더욱 발전시켜(Fig.6)과 같은 지구별 계획을 수립하였다. 전체 공간은 치유서비스지구, 물놀이지구, 물치유지구, 솔밭치유지구, 도원경 지구 등 5개 지구로 구분하고, 도원경지구는 제1도원경지구와 제2 도원경지구인 닥터발트(Dr. Wald) 지구로 세분한다. 닥터발터는 ‘숲의사’라는 의미답게 산림치유활동을 마무리하는 활동공간이 다. 닥터발트 지구는 숲길지대인 소요유(逍遙遊) 구역과 굴바위 가 있는 도화원 구역으로 세분한다. 소요유 구역은 제1도원경에서 벗어나서 사색과 명상을 하면서 도화원으로 들어가는 숲속산책로 이며, 소요유 구역을 지나면 도화원(桃花源)으로 들어가게 된다. 솔밭치유지구는 풍욕장, 일광욕장, 임내풍경감상활동 등 일반적인 산림치유활동이 진행되는 지역이다.
Fig. 6.
Consecutive healing activities by area and spatial plan idea. *)T: touching, S: seeing, H: hearing, Sm: smelling, Tt: tasting, S&M: speculation & meditation, SH: spiritual healing, 6SE: 6th sensible experience, exp: experience
KSPPE-17-143_F6.gif

지구별 체험활동 단계

향도원을 산림치유마을로 개발하는데 있어서 초점은 방문객들 을 일련의 의도된 치유활동을 통해서 마을 입구(현실세계)에서부 터 순차적으로 굴바위(이상세계)에 이르게 하고 그곳에서 치유활 동을 마무리함으로써 심신의 치유를 체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러한 일련의 활동을 지구별로 단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 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치유서비스지구:

마을 입구에서부터 건강증진센터(치유센 터)에 이르는 곳으로 체험을 준비하거나 저수지에서의 수상레포츠 가 일어나는 곳이다.

물놀이지구:

저수지 상단에서부터 구름다리까지의 지역으로 계류에서 물놀이를 하는 곳으로서 물에 의한 피부촉각체험 활동이 중심이다.

물치유지구:

구름다리에서부터 임도교량까지로 계류변을 중 심으로 산책 및 물요법 활동 중심으로 정적활동이 일어나는 곳이 다. 선녀폭포, 음이온광장, 음이온길이 있어서 시각, 청각, 촉각, 후 각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솔밭치유지구:

솔밭에서 일광욕, 풍욕, 경관감상, 조망, 간단 한 운동 등을 하는 곳으로서 시각, 청각, 촉각, 후각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도원경지구:

제1도원경인 원터에서는 봄철에 복숭아나무꽃 을 감상하거나, 열매 감상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각, 미각, 후각체 험활동이 중심이 된다. 그러나 소요유 구역에서부터는 도화원으로 가는 숲길이어서 소요유 구역은 사색과 명상, 6감체험활동(정서적 체험활동)이 일어나게 된다. 도화원 구역은 마무리 활동을 하는 곳 으로서 영성 체험, 즉 치유하는 곳으로 유도된다. 지구별 내용을 도 시하면 다음 Table 1과 Fig. 6과 같다.
Table 1.
Consecutive healing activities by district and spatial plan idea.
Area District Mongyudo-wondo Function Organic experience Main facilities
I : Healing service area Entrance~healing center Real world (lower area) Reception Introduction Ticket office, visitor center(healing center), parking, lodgings, dock
II : Waterfront area Lake~fly over Real world (lower area) Dabbling in water Touching Waterside for dabbling
III : Hydro-therapy area fly over~Dowon-brdige Middle area Silent activities Seeing, Hearing, Touching, Smelling Fall, ⊝ion square, waterside for excursion
IV : Pine forest healing area Pine forest Middle area Silent activities Seeing, Hearing, Touching, Smelling Sites for sunbathing & windbathing, scenery landscape in forest, viewpoint, healing forest trails etc.
V: Shangri-la area 1. Shangri-la 1. Shangri-la ~ 3-forked road Shangri-la (upper area) Shangri-la Seeing, Smelling, Tasting Peach field, mt. vegetable garden
2. Shangri-la (Dr.Wald area) Xiaoyaoyou district(3-forked road~cave) Deep Shangri-la (abysmal landscape) Walk in speculation & meditation Meditation, 6th sensible Experience 1. Shangri-la ~ 3-forked road
Cradle Final healing activities Spiritual experience Cave, Shangri-la pavilion

적요

이 연구는 산림치유마을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치유공간의 위계 를 구성하는데 요구되는 개념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을 다 룬 것이다. 여기에 필요한 개념은 사례연구 대상지인 향도원 마을 의 원형을 엿볼 수 있는 ╔桃花源記╝ 로부터 추출하였으며, 이 개념 을 회화로서 구현하고 있는 ╔夢遊桃源圖╝의 구도를 치유공간의 위계로서 적용하였다. 도연명이 도화원기 를 통해서 노래한 동양 적 이상향인 도화원(또는 도원경)의 의미는 장생불사, 무병장수의 선경으로 해석한다. 이것을 공간적으로 구현한 것이 몽유도원도 이다. 현실세계-전이지대-이상세계에 이르도록 표현한 몽유도원 도 의 구도는 산림치유마을이 지향해야 할 구도와 매우 흡사하고 대상지의 현실적 상황에도 매우 근사하다. 이에 도원도의 구도를 향도원 마을에 중첩시킴으로써 산림치유마을의 공간분화에 적용 하였다. 분화된 산림치유마을의 공간구도는 몽유도원도 와 같은 현실세계-전이지대-이상세계 등 3개 구역으로 자연스럽게 구분되 었다. 현실세계는 치유서비스지구와 물놀이지구, 전이지대는 물치 유지구와 솔밭치유지구, 그리고 이상세계는 도원경지구 등 5개 지 구로 세분하여 치유활동을 배분하였다. 도원경지구는 원터가 있는 제1도원경과 굴바위가 있는 제2도원경으로 구분하고 두 지역을 닥 터발트(Dr. Wald) 숲길로 이어지도록 구상하였다. 각각의 지구는 오감체험을 중심으로 활동이 일어나도록 구상하였다. 도원경지구 의 굴바위지역은 심원경이고 도화원으로서 가장 고요한 곳이어서 굴바위 이야기를 듣고 영적 치유의 세계로 몰입이 가능한 곳이다.치유의 마지막 단계가 진행되는 곳이다. 따라서 제1도원경지구를 지나서 닥터발트 숲길을 통과할 때는 명상과 사색으로 소요유(逍 遙遊)함으로써 마지막 치유단계로 가기 위한 준비를 하도록 유도 하여야 한다. 이 연구가 아직 준비 단계인 산림치유마을 조성계획 에 있어서 치유공간구도와 공간별 치유활동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V
V

References

Ahn HJ. Landscape paintings in the first and middle age of Joseon dynasty. Beauty of Korea 12-landscape paintings 1996;Seoul: Joongangilbo; 163–190.

Ahn HJ. A study on history of Korean art 2002;Seoul: Sigongsa.

Ahn HJ. An Gyeon and a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Mongyudowondo) 2009;Seoul: Society Criticism.

An DR. Zhangzi 2010;2nd. Seoul: Hyunamsa.

Bae BK. Opinion on Tao Hua Yuan poem. J. Chin. Lang. & Lit 1985;7:41–66.

Choi HJ. A study on reality and ideal by Mong-Yu-Do-Won-Do. MS thesis. Hongik Univ. Seoul 2011.

Choi HJ. A study on Utopia expressed in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MS thesis. Hongik Univ. Seoul 2011.

Goseong county.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rest healing application for activation of local economy. Kor. For. Heal. For. Seoul 2013.

Hong SP.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 reappearance of paradise and establishment of classical landscape paintings. A. His. For 2010;31:29–54.

Huh Y. The peach blossom spring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MS thesis. Korea Univ. Seoul 2006.

Hwang YC. A public hearing on the special law for construction and supporting of forest welfare site. Congressman Young-Chul Hwang's Office. Seoul 2013.

Jang KY. A study on the painting of peach blossom land. MS thesis. Hongik Univ. Seoul 2003.

Jang KY.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peach-blossom spring as the paradise of life. PhD diss., Hongik Univ., Seoul 2013.

Kim HJ. Zhangzi 2010;Seoul: Yeonamseoga.

Kim JS. A study on background of writing double consonants for Tao Hua Yuan Poem. J. Chin. Lang. & Lit 2002;39:139–159.

Kim KW, Shin WS, Woo JM, Park BJ, Park BW, Yeon PS. Project for master plan of Hyangdowon peace-eco village(forest healing village). Goseong county, Gangwon province 2012.

Kim SH. Two types of image-making Murengdowon and its meaning. Kor. Lang. Lit 2008;148:65–89.

Korea Forest Service. Forest welfare general plan. Kor. or. Ser. Seoul 2013a.

Korea Forest Service. Forest master plan(changed) 2013- 2017. Kor. For. Ser. Seoul 2013b.

Korea Forest Service. Korean forest healing content and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ory and clinical trial. Kor. For. Ser. Seoul 2013c.

Korea Forest Servic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roval system for construction plan of healing forest. Kor. For. Heal. For. Seoul 2011a.

Korea Forest Service. Development of the therapeutic program in forests. Kor. For. Ser. Seoul 2011b.

Korea Forest Service. Master plan for construction of national therapeutic site at Baekdudaegan. Kor. For. Ser. Seoul 2010.

Kwon DJ. Confucianism and Taoism in China 1993;Seoul: Donga Publishing.

Lee JW, Yoo RW, Kim KW, Chung SA, Koo BH. Master plan for healing forest. Kor. For. Res. Ins. Seoul 2008.

Lee PS. A study on the site location of Tao Hua Yuan. The His. J 2002;18:105–124.

Lee SK. Shangri-la and Utopia. Theol 2004;8:200–201.

Lee YH. A Study on the forest management methods for therapeutic forest. PhD diss, Kookmin Univ, Seoul 2011.

Lim YS. A study on planning guidelines for therapeutic fores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2008.

Mun HR.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work for 'returning to nature'. MS thesis. Hongik Univ. Seoul 2004.

Oh SK. A study of the land of peach blossoms(Tao Hua Yuan) in Korean contemporary art. Kor. Soc. Bs. Des. & A 2011;12(6 ): 267–278.

Park DH. A study about a metaphor and ametonymy in Mongyudowondo of An Gyeon. MS thesis, Hongik Univ., Seoul 2007.

Park HS. Opinion on Tao Hua Yuan(桃花源記 論). Department of Asian history. Seoul National Univ. Res. Rev 1986;10:1–27.

Park SH. A study based on faciliti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forest healing villages. MS thesis, Chungbuk Univ., Cheongju 2013.

Park WS. The modality of thoughts on peach blossom valley, Utopia by Asians, shown on Chinese poem. Dong. Chin. St 2012;34:203–230.

Rim DS. Taoyuanming's collection. Donseomunhwasa Seoul 2010.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706 View
  • 6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