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2); 2014 > Article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및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P)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lower and upp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fteen lower grade and fifteen higher grade students using the B library in Mokpo 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HAP. The program were performed 1 time per week from March 3 to July 14. The HAP were composed of making vegetable garden, making herb soap, planting a floricultural crops, and pressed flow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y,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ean value of the lower grade students showed high score of 111.3 after HAP compared to 91.6 before HAP, and mean value of the upper grade students showed high score of 114.0 after HAP compared to 106.2 before HAP. In social competency, mean value of the lower grade students was higher by score of 131.7 after HAP than score of 118.0 before HAP, and mean value of the upper grade students was higher by score of 137.8 after HAP than score of 122.8 before HAP. And, social competency of all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grades. In school adjustment, mean value of the lower grade students was higher by score of 117.6 after HAP than score of 106.6 before HAP, and mean value of the upper grade students was higher by score of 119.9 after HAP than score of 111.6 before HAP. And, school adjustment of all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regardless of grades.

서론

초등학교 시기에는 성격의 틀이 형성되고, 자아개념이 싹트며, 여러 학교 친구들과 사귀면서 사회성을 키우는 시기이다. 그렇지만 학업부진이나 부적절한 친구관계, 충동적인 행동, 학교생활 부적 응 등의 정서적인 문제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성인이 되고 나서도 지속적으로 부적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Park, 2001).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은 지나친 입시경쟁, 막대한 사 교육비 지출, 공교육의 붕괴, 창의성이 결여된 암기위주의 교육이 오랫동안 실시되어 왔다. 높은 교육열은 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급 속한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자녀 교육을 위해 맞벌 이 가정이 늘어나고 여성이 사회에 진출하면서 맞벌이 가정 및 저 소득층 자녀의 방과 후 보육을 위한 사교육 수요가 많이 증가하였 다. 성적 중심의 입시 정책이 아동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학교폭력 의 근본적인 원인을 유도했고, 그 결과 인내심, 자기희생정신, 약자 에 대한 배려와 같은 인성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정서지능에 대해 Goleman(1995)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 식하는 능력, 자신을 동기화하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다루 는 능력을 통해 자기 자신의 정서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줄 알고, 그 정서를 타인에게 적절하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충동과 분노를 자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개인의 정서지능은 유 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이지적 지능에 비해 유익한 환경요 소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계발될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에서 정서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Salovey and Mayer, 1990).
인간은 끊임없이 타인이나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행 동하고, 가치관과 지식을 습득하는 등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자신 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하며, 사회에서 수용하는 방식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며, 그 사회에 적합한 구성원이 되어 간 다. 이러한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 아동들의 사회적능력이 발달하는 데, 사회적능력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호 목적을 달성하 며,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Anderson and Messik, 1974; Koo, 2010, Oh, 2005). 최근 초등학생들은 인터넷 사용이 나 사교육 등으로 인하여 친구들과의 접촉이 약화되어 대인관계를 통해 얻어야 하는 사회적능력이 부족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능력 부족은 적절한 교우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 라 협동심과 자기 표현력이 낮아져 학교생활 적응력이 낮아지고, 신체적, 언어적 폭력성을 보이게 된다(Hartup, 1989; Jang and Lee, 2010; Uh, 2001).
이러한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및 학교적응력은 서로 밀접한 상 관관계를 지니는데, 아동의 경우 학교에서의 학업부진, 친구들과 의 관계에서의 충돌, 충동적이면서 위축적인 행동 등과 같은 문제 들은 정서와 사회적능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 국 학교생활 부적응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Parker and Asher, 1987). 그러므로 초등학생 시절에는 학업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올바 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한 교육이나 체험 활동도 함께 추구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Yoon, 2009).
원예식물을 매개체로 이루어지는 모든 원예활동은 인간의 정서 를 안정시키고 자제력을 증진시키고 책임감을 기르며, 자신감과 성 취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과 재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창의력과 자기 표현력을 기르고 나아가 자아발견과 개발 에 도움을 준다. 또한 집단 내에서의 원예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대 화 기회가 증가되며 대인관계 발달에 도움이 되고, 책임감을 기르 고 서로 도와주며 배려하는 과정에서 인간존중과 남을 배려하는 마 음을 배우며 협동심을 기를 수 있고, 식물이 잘 자라도록 돌보는 경 험을 통하여 양육을 체험하고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켜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 준다(Son et al., 2002; Shin 2008). 또한 원예 활동은 아동이 식물을 가꾸면서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긍정적 정서 를 경험하게 하고 다른 대상자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사회성을 향상 시킨다. 원예활동은 정서지능의 감수성이나 정서, 우뇌의 공간 지 각력이나 형태력, 직관력, 창의력과 직결되는 활동으로 정서지능 과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로 밝혀지고 있다(Jo,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생과 고학년생을 대상으 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및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B도서관을 이용하는 초등학생 1~3학년 15명과 4~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3월 31일부터 7월 14일까지 총 15회기를 주 1회에 1시간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
Table 1.
Horticultural activity used in this study.
No. Date Program Purpose

1 March 3 Talking about flowers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2 April 7 Making vegetable garde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3 April 14 Dyeing flowers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4 April 21 Making grass doll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5 April 28 Talking about appl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6 May 12 Making natural pesticides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7 May 19 Planting Vinca rosa in pot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8 May 26 Planting flowers the shape of Hangul letter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9 June 2 Fertilization and weeding in vegetable garden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10 June 9 Harvesting vegetabl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11 June 16 Expressing children's poem about vegetable garde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12 June 23 Making natural herb soap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13 June 30 Flower arrangement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14 July 7 Talking about vegetable garden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15 July 14 Making fan with press flower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시하였다. 원예활동팀은 주진행자 1인, 보조진행자 1인으로 구성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Table 1과 같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삭제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 지능과 사회성 발달 및 학교적응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3가지 척 도를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척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 음과 같다.

1) 정서지능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Salovey and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Moon(1997)이 제작 한 정서지능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신의 정서지능에 대 해서 지각하고 있는 바를 스스로 보고 하는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 며, 전체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서지능 척도의 1~37번 문 항까지에 대한 응답, 즉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에 대한 응답은 ‘그렇다’(3점), ‘가끔 그런 편이다’(2점), ‘그렇지 않 다’(1점)로 구분하여 해당되는 곳에 표시하도록 하는 3점 Likert식 척도이다. 한편, 정서활용에 대한 38~47번까지의 문항은 모두 보 기 중에 자신에게 더 가깝다고 생각되는 곳에 표기하도록 하는 선 택형 척도로 보기①은 3점, 보기②는 1점을 부여하였으며, 각 영역 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각 영역의 정서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Seo(2007)의 연구에서는 .70의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a)를 보고하였고, Ryu(2008)의 연구에서는 문항내적합치도 계수 .87이다.

2) 사회적능력

아동의 사회적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는 Roh(1995) 의 아동용 사회적능력 척도를 참고하여 개발한 Park(1998)의 사회 적능력 검사로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사회적능력이란 인간이 환경 과의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특히 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한 개념으로 자신이 소속된 사회에서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면서 필요 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이라 정의한다.
본 검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사회적능력의 하위요인은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및 인기도이다 Likert식 5점 척도 로 모두 긍정문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능력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낸다.

3) 학교적응력

아동의 학교적응력에 관한 질문지는 Lim(1993)의 ‘아동의 학 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를 참고로 32문항으로 수정·보완한 것 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교 적응 질문지는 아동이 학교·학급 에서 생활을 얼마나 잘 해 나가고 있는가를 묻는 것으로 그 하위영 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으로 되어있으며, 각 문항은 Likert식 척도로 나타나며, 학 하위영 역별 문항수를 각각 8문항으로 하여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총점은 160점으로 한다. 이 검사에서 높은 점수는 학교적응력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낸다.

3. 분석방법

평가를 통하여 측정된 자료를 이용해 사전·사후로 나누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각 요인별 변화에 따른 차이 검증을 위해 Paired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0.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1) 원예활동 실시 전·후 저학년 정서지능 비교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 전·후 1학기 저학년 정서지능을 비교 하였을 때 Table 2와 같이 정서인식이 17.6에서 19.4로, 정서표현
Table 2.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low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Emotional intelligence Before HAP After HAP Prob.


Mean SD Mean SD

Emotion recognition 17.6 3.64 19.4 3.75 .016
Emotion expression 14.3 2.94 18.2 2.12 .000
Empathy 13.5 3.81 16.6 2.43 .007
Emotion control 28.6 7.17 35.2 5.63 .000
Emotion application 17.6 3.94 21.8 4.00 .000
Total 91.6 15.90 111.3 12.21 .000
이 14.3에서 18.2로, 감정이입이 13.5로 16.6으로, 정서조절은 28.6에서 35.2로, 정서활용은17.6에서 21.6으로 증가하여 긍정적 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정서지능 전체적으로도 사전 91.6에서 사후 111.3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유의한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원예활 동이 저학년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원예활동 실시 전·후 고학년 정서지능 비교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 전·후 고학년 정서지능을 비교하였을 때 Table 3와 같이 정서인식이 18.1에서 22.2로 정서표현이 15.6 에서 18.5로 감정이입이 14.1로 17.0으로 정서조절은 29.2에서 34.7로 정서활용은 23.0에서 26.0으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정서지능 전체적으로도 사전 106.2에서 사후 114.0 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유의한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원예활동이 고 학년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원예활동은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 하여 감각반응을 향상시키고 그 느낌을 표현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 할 수 있게 된다(Jung, 2002; Seo, 2004). 또 한, 원예활동 과정 중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 내에서의 관 계가 형성되고, 자신의 역할을 알게 되고, 생산물을 공유하고 나눔 으로써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정서인식과 저서 표현 능력이 향 상된다(Jung et al., 2013). Park and Kim(2010)의 연구에서도 시 설아동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은 자신감이 향상되고, 자의식 발달에 도움이 되어 정서안정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원 예활동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뇌파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알 수 있는데, Song(2004)은 식물을 바라볼 때 감정표현을 담 당하는 측두엽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알파파가 증가하여 정서적 안 정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압화작품만들기, 허브 비누만들기, 꽃꽂이, 텃밭가꾸기 등의 다양한 원예활동을 하면서 자신만의 정서를 담아 완성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자신있게 표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정서지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저학년과 고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실시하기 전 과 후의 사회적능력을 대상자별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
Table 3.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upp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Emotional intelligence Before HAP After HAP Prob.


Mean SD Mean SD

Emotion recognition 18.1 2.09 22.2 5.04 .006
Emotion expression 15.6 3.48 18.5 2.79 .001
Empathy 14.1 2.35 17.0 1.60 .000
Emotion control 29.2 5.93 34.7 3.05 .001
Emotion application 23.0 3.34 26.0 3.03 .006
Total 106.2 9.36 114.0 9.88 .000
Table 4.
Changes in social competency by subjects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f lower and upp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Lower grades Difference (B-A) Upper grades Difference (D-C)


Before HAP (A) After HAP (B) Before HAP (C) After HAP (D)

A 102 116 +14 129 163 +34
B 116 134 +18 111 132 +21
C 103 112 +9 104 121 +17
D 112 120 +8 107 129 +22
E 162 167 +5 123 136 +13
E 114 129 +15 117 121 +4
F 127 143 +16 128 131 +3
G 124 135 +11 146 154 +8
H 120 136 +16 144 156 +12
I 116 127 +11 123 135 +12
J 102 114 +12 155 157 +2
K 117 125 +8 117 148 +31
L 119 137 +18 124 133 +9
M 110 144 +34 102 103 +1
N 126 137 +11 112 149 +37
나 있다. 저학년이나 고학년 대상자 15명 모두 원예활동 전보다 실 시한 후 사회적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학년 전체 대상자의 사회적능력은 실시 전 118.0점 에서 실시 후 131.7점으로 약 13.7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도 유의성이 나타났다(Table 5) 고학년 전체 대상자의 사회적능 력도 실시 전 122.8점에서 실시 후 137.8점으로 15점이 증가하 였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원예활동이 사회적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Jung(2011)은 식물재배 경험을 가지고 있는 초등학생들이 그 렇지 못한 학생에 비해 사교성, 협동성, 안정성이 더 높다고 하였 고, 이러한 결과는 식물재배 과정에서 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교 성과 협동성이 향상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은 원예활동을 통해 궁금한 것에 대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하고, 직접 만든 결과물을 타인에게 선물하게 함으로써 사회성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Choi et al., 2013). 본 연구에서도 초등학생들이 텃밭 가꾸기 프로그 램에서 텃밭에 씨를 뿌리고, 잡초제거 및 물관리 작업, 천연농약 으로 벌레잡기, 채소 수확하기 등의 활동을 하면서 서로 도와주 고, 관심사에 대해 또래끼리 대화를 하게 됨에 따라 사교성이 증 진되어 사회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3.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저학년과 고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실시하기 전 과 후의 학교적응력을 대상자별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6에 나타 나 있다. 저학년이나 고학년 대상자 15명 모두 원예활동 전보다 실 시한 후 학교적응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학 년 전체 대상자의 학교적응력은 실시 전 106.6에서 실시 후 117.6 점으로 약 11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나타났다. 고학년 전체 대상자의 학교적응력도 실시 전 111.6점에서 실시 후 119.9점으로 8.3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다 (Table 7). 따라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원예활동이 학교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최근의 초등학생들은 학원, 과외 등으로 공부의 압박 에 시달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의 과다 사용으로 대인관계 에서의 부적응 및 학교생활에 부적응으로 학교생활 만족도가 크게
Table 5.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n social competency of lower and upp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competency Before HAP After HAP Prob.


Mean SD Mean SD

Lower grades 118.0 14.59 131.7 14.07 .000
Upper grades 122.8 15.69 137.8 16.46 .002
Table 6.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by subjects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f lower and upp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Lower grades Difference (B-A) Upper grades Difference (D-C)


Before HAP (A) After HAP (B) Before HAP (C) After HAP (D)

A 105 120 +15 116 126 +10
B 102 110 +8 119 124 +5
C 106 113 +7 100 105 +5
D 114 124 +10 103 128 +25
E 100 118 +18 110 117 +7
E 117 127 +10 104 119 +15
F 108 121 +13 112 112 +0
G 100 130 +13 120 128 +8
H 109 118 +9 122 128 +6
I 112 120 +8 117 124 +7
J 100 114 +14 109 118 +9
K 105 116 +11 113 125 +12
L 112 117 +5 105 109 +4
M 107 114 +7 117 122 +5
N 102 120 +18 108 114 +6
Table 7.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HAP) on school adjustment of lower and upp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hool adjustment Before HAP After HAP Prob.


Mean SD Mean SD

Lower grades 106.6 5.39 117.6 4.53 .004
Upper grades 111.6 6.78 119.9 7.31 .007
낮은 것이 현실이다(Jang and Lee, 2010). 일반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그룹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실시하는데, 이를 통해 협동 과 양보 및 배려 등의 자연적인 교류가 아동 간의 이해를 도와주며 교유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Choi, 2007). 본 연구에서도 교사와 대상자들이 함께 땀 흘리면서 텃밭을 만들어 씨앗을 파종하 고, 물관리와 병충해 관리 등의 작업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채 소를 수확하게 함으로써 수확의 기쁨을 서로 나눔으로써 교사와 대 상자들 간의 관계가 돈독해졌다. 또한 꽃꽂이나 압화작품만들기, 허브비누만들기 등의 과정에서 창의력과 자아표현력이 향상됨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적요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 들의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및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수행하였다. 목포시내에 있는 B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저 학년 15명과 고학년 15명을 대상으로 3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 주 1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텃밭가꾸기, 허브비누만들기, 꽃 묘종심기, 압화작품 만들기 등으로 구성되었 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학교적응력 검 사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서지능은 저학년의 경우 프로그램 전 91.6점에서 프로그램 후 111.점3으로, 고학년은 프로그램 전 106.2점에서 프로그램 후 114.0점으로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사회적능력은 저학년의 경우 프로그램 전 118.0 점에서 프로그램 후 131.7점으로, 고학년은 프로그램 전 122.8점 에서 프로그램 후 137.8점으로 향상되었고, 학년에 상관없이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점수는 유의성 있게 높아졌다. 학교적응력은 저학 년의 경우 프로그램 전 106.6점에서 프로그램 후 117.6점으로, 고 학년은 프로그램 전 111.6점에서 프로그램 후 1119.9점으로 향상 되었고, 학년에 상관없이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점수는 유의성 있 게 높아졌다.
Ⅴ.
Ⅴ.

References

Anderson S, Messick S.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Develpoment at Psychology 1974;282–293.

Choi H.J, Yoon S.Y, Choi B.J.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emot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16(5): 257–260.
crossref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1995;New York. USA: Bantam Books.

Hartup W.W.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American Psychologist 1989;44(2): 120–126.
crossref
Jang Y.A, Lee Y.J. A study on internet using and social competence, school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 J. Kor. Institute of Youth Facility 2010;8(4): 93–103.

Jo N.H.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low-income group childre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06.

Jung H.J.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anxiety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high school.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02.

Jung S.J, Son Y.A, Kim S.J, Kim H.S, Shim H.G, Choi Y, Baek J.P, Woo M.W, Kim Y.J, Jang E.J, Chiang M.H.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3;16(1): 9–15.

Koo J.E. The influence of the laughter gymnastic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Kor. J. Exercise Rehabilitation 2010 ;6(2): 3–12.

Lim C.S.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993.

Moon Y.R.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Korea new concept of intelligence research.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97.

Oh B.Y.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rural communities. M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005.

Park K.O. A study of adolescent's self regulated learning stretegies degree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competency. Ph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Pusan, Korea 1998.

Park M.J.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MS thesis, Jin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Jinju, Korea 2001.

Park Y.H, Kim H.Y.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the child welfare institution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0;13(2): 7–11.

Parker J.G, Asher S.R.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987;102(3): 357–389.
crossref pmid
Roh M.H.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social competence.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1995.

Ryu J.Y.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concept perceived by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8.

Salovey P, Mayer J.D. Emotional u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1990;9:185–211.

Seo J.K. Application and reality of horticultural therapyprogram. Dankook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2004.

Seo M.H. Effects of children's resilienceand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7.

Shin S.O.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s after school program for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reducing stress for after school. MS thesis, Honam University, Kwangju, Korea 2008.

Son K.C, Park S.G, Boo H.O, Bae K.Y, Baek K.Y, Lee S.H, Heo B.G. Horticultural therapy. Jungangsaenghwalsa, Seoul:, Korea 2002.

Uh H.E. An exploratory search for effects of 'learning-shelter' experience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1.

Yoon J.W.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009.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