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20(1); 2017 > Article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과 원예선호도간 관련성 분석

초 록ABSTRACT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in terms of MBTI personality types and horticultural preferences, where the MBTI personality types were obtained from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typical expression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s self-speculation MBTI preference indicator.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wo types: intuition type and sensing 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uition type preferred the herbs with fragrances, while the sensing type showed their preference towards flowering plan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uitive and sensing types with respect to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plant characteristics’ and ‘interesting horticultural activities’, which imply that different types have different choice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the thinking type showed their interest in the overall shape of the plant, while the feeling type showed their first interest in the flowers of the pl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degree of preferences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itially interested plant tissues’,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and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Regarding the judging type and perceiving type in their choices of plant characteristics, the judging type preferred flower plants, while perceiving type preferred herbs with fragrances. The results of self-speculation MBTI personality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regarding the most interested plant tissue and plant characteristics, which leads to a difference in their choices.

서론

원예활동을 대상자들에게 실시한 후 유의적 효과, 원예치료 프 로그램 실행 전과 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연구가 주로 이루 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들의 수적, 질 적 증가에 비해 원예치료의 이론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Choi et al., 2009). 또한 원예치료 관심 범주도 변해가고 있으며, 동시에 목적에 대한 규정이나 효과에 대한 기대도 다양해지고 있는 경향이 다(Im, 2010). 따라서 최근 들어 보다 구체화된 기본 자료와 응용 방법을 연구 개발 하려는 추세로 단순한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연 구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Choi et al., 2009; Han et al., 2009; Lee, 2002).
심리유형이론에서는 인간이 태어나면서 갖게 되는 선천적 선호 경향과 성격유형이 무관하지 않다(Lee and Ko, 2011)는 점과 어 린이가 태어날 때부터 특정 기능을 선호하는 경향을 가지고 태어난 다(Kim et al., 1995)고 하였다.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대표적 인 시각적 상징이나 사물이 다르고(Chung, 1999), 개성의 시대에 자신의 표출에 적극적인 20대들은 동조성과 개성을 동시에 추구하 며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은 가장 보편적인 성격분류로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 른 선호 컬러 및 톤에서 남여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성격에 따 라 다르다고 하였으며(Han, 2011), 대화나 업무처리 방식뿐만 아 니라 그림이라는 회화적 표현 속에서 나타난다고 결론 내릴 수 있 다(Chung, 1998).
원예치료가 성립되려면 식물과 원예활동, 원예치료사, 대상자 의 세 요소와 이러한 세 가지 역동성이 함께해야 하는데, 원예치료 사와 식물과 원예활동으로 대상자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심리적 요 인을 적용시켜 차별적인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응시키는 것 이 필요하다(Son et al., 2006).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가지의 요소 중 식물과 원예활동에 대한 구 체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추측에 따른 MBTI 성격유형, 원예선호도를 조사・분석하고 성격유형과 원예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구명하는 것으로 개인의 성격에 기초한 식물 및 원예활동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원예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경상남도 소재의 K대학교와 J대학교에 재학하고 있 는 학생 중 무작위로 선발하여 조사에 참여할 것에 동의한 학생 85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잘못된 답변을 제외한 778명 학생의 자 료를 분석하였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의 성 별은 남자가 53.6%(412명), 여자가 46.4%(356명)였고, 나이는 19세에서 29세로 20세 대학교 1학년 학생이 33.5%(260명)로 가 장 많았으며, 21세 16.5%(128명), 22세 12.6%(98명)순으로 나타 났다(Table 1).
Table 1
Gender and age of subjects.
Item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412 53.6
Female 356 46.4
Total 768 100.0

Age 19 14 1.8
20-22 486 63.3
23-25 223 29.0
26-28 42 5.5
29 2 0.3
Etc. 1 0.1
Total 768 100.0

2. 조사방법

설문조사는 연구의 목적과 설문조사방법을 충분히 숙지 교육된 연구원이 조사대상자에게 개별 설명을 한 후 학교 내에서 이루어졌 다. 설문지는 원예선호도(원예에 대한 일반적 선호도, 특성이 다른 식물 사진 선택), 자기추측 MBTI 4가지 선호지표의 대표적인 표 현 선택 순서로 진행되었다.

1) 원예선호도 조사

원예선호도는 원예에 대한 일반적 선호도와 잎의 모양, 꽃의 모 양, 특성이 다른 식물 선택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조사내용은 다음 과 같다.

원예에 대한 일반적 선호도

원예 관심도로 원예치료 인지여부, 원예활동 경험 유무와 원예 활동 선호정도, 선호하는 원예활동 장소, 생활 장소의 식물 수를 조 사하고, 원예 분류에 따른 선호도는 선호하는 식물, 식물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지는 조직, 좋아하는 채소, 과실, 꽃에 대해 설문하였 다. 색과 향에 대한 선호로 선호하는 색채, 식물이 나타내는 색 중 선 호 색, 식물의 오감자극, 선호하는 향을 조사하고, 원예활동 선호조 사를 위해 원예활동의 흥미, 원예활동 체험, 고효율성 원예치료프 로그램, 원예활동의 효과, 스트레스 해소방법으로 구성하고, 형태 적 특성은 잎의 크기와 무늬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특성이 다른 식물 사진 선택

특성이 다른 식물은 원예식물의 분류 중 화훼에서 일・이년생 초 화류, 다년생 초화류, 구근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과 선인장, 화 목류, 분화식물, 난과식물, 허브식물로 분류 되어진 것(Suh et al., 2008)에서 꽃을 관상하는 식물, 잎을 관상하는 식물, 가시가 있는 식물, 향기가 있는 식물로 나누어 사계절 푸른 관엽식물(쉐프렐라 홍콩), 향기가 있는 허브(로즈마리), 꽃이 있는 화분(노란색 국화), 가시가 있는 선인장(대봉룡)을 선정하였다.

2)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

자기추측 MBTI는 한국심리검사연구소 (주)어세스타의 MBTI 4가지 선호지표의 대표적인 표현들을 조사 대상에게 제시하고, 조 사대상이 자신의 성격과 가장 가깝다고 추측되는 쪽을 선택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3. 분석방법

85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한 설문조사 중 잘못된 답변을 제외한 778명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로 얻어진 결과는 SPSS 18.0(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원예에 대한 일반적 선호도와 특성이 다른 식물 사진 선택에 대해서는 빈도분 석,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원예선호도와 자기추측 MBTI에 대한 상관관계는 chi-square test(X2 )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MBTI 성격유형 지표

MBTI 성격유형 지표에 따른 원예활동 선호정도는 Table 2와 같다. MBTI 4가지 선호지표의 대표적 표현들에서 자기에게 가까 운 쪽을 선택하여 얻은 선호지표에 따른 원예활동을 좋아하는 정도 이다. 에너지 방향을 나타내는 외향・내향, 인식기능인 직관형・감 각형, 생활양식에 따른 판단형과 인식형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으며, 판단기능인 사고형과 감정형에 원예활동을 좋아하는 정도 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P=0.008).
Table 2
Level preferred horticultural activities of MBTI personality type.
Item Level preferred horticultural activities Frequency (N) Percentage (%) χ2

Highly A lot Usual Not much Poorly

Self guess MBTI Extraversion 28 104 176 31 8 347 45.4 1.824 (P=0.768)
Introversion 24 123 220 41 10 418 54.6

Intuition 19 73 157 29 9 287 37.5 4.773 (P=0.311)
Sensing 33 153 240 43 9 478 62.5

Feeling 45 159 283 46 8 541 70.6 13.922 (P=0.008**)
Thinking 7 67 115 26 10 225 29.4

Judging 16 76 115 28 8 243 31.7 4.789 (P=0.310)
Perceiving 36 151 282 44 10 523 68.3

** Significant at p<0.01 leveled by Chi squire test.

전체에서는 감정형이 70.6%, 사고형이 29.4%로 적게 나타났다. 각 문항별로 ‘매우 좋아한다’의 답변에서 감정형이 86.5%이고, 사 고형이 24.5%이며, ‘좋아한다’에서는 감정형이 70.3%, 29.7%인 데 반해 ‘매우 싫어한다’를 답한 학생의 44.4%만 감정형이고 55.6%는 사고형이었다. 감정형과 사고형에서의 원예활동 선호도 는 감정형보다는 사고형이 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2).
Kim et al.(1995)은 사고형은 사고를 통한 논리적 근거를 바탕 으로 판단하고, 감정형은 정서를 통한 사람과의 관계나 상황을 고 려한 판단을 한다고 하였으며, 원예활동에 대한 선호도는 감정형보 다 사고형이 낮았다.
Park(2005)의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학업성취도가 높다고 한 결 과로 사고형의 대상자에게는 원예활동을 객관적인 정확한 목표를 가지고 목표에 대한 언급과 달성을 할 수 있도록 원리 원칙적이며, 객관적이고 학업적 성취도와 연관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거 부감이 적고 효과적인 원예치료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자기추측 MBTI의 선호 지표에 따라 식물에서 가장 먼저 관심를 가지는 조직은 Table 3과 같다. 에너지 방향을 나타내는 외향・내향 (P=0.076), 인식기능인 직관형・감각형(P=0.077)에서 5%범위에 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10%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 내었다.
Table 3
The first organization of interest in a plant of MBTI personality type.
Item The first organization of interest in a plant Frequency (N) Percentage (%) χ2

Flower Fruit Leaf Fragrance Form of whole plant Use of plants

Self guess MBTI Extraversion 120 32 20 64 95 17 348 45.4 9.973 (P=0.076)
Introversion 105 41 36 76 138 22 418 54.6

Intuition 66 28 23 57 96 18 288 37.5 9.942 (P=0.077)
Sensing 159 45 33 83 137 21 478 62.5

Feeling 180 47 42 96 159 18 542 70.6 23.788 (P=0.000***)
Thinking 45 26 14 44 75 21 225 29.4

Judging 79 23 20 39 71 11 243 31.7 3.002 (P=0.700)
Perceiving 146 50 36 101 163 28 524 68.3

*** Significant at p<0.001 leveled by Chi squire test.

판단기능인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는 사고형인 학생 33.3%가 식 물전체의 형태를 선택하고, 감정형의 학생은 33.2%가 꽃을 가장 먼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식물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가 지는 부분에 따라 판단기능인 사고형과 감정형이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P=0.000), 식물의 용도에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지는 것은 감 정형보다 사고형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에 원예치료에는 감정 형보다는 사고형에게 식물의 꽃, 과실, 잎, 향기, 식물전체의 형태 뿐 만 아니라 식물이 어떠한 용도를 사용되는지 까지 설명을 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리라 생각된다.
MBTI 성격유형 지표에 따른 식물의 오감자극은 Table 4와 같 다. 자기추측 MBTI의 지표에 따른 원예식물의 가장 큰 자극에 대 한 결과 인식기능인 직관형・감각형(P=0.047)과 판단기능인 사고 형과 감정형(P=0.016)에서 원예활동 오감자극에 대한 생각이 다 름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Five senses of MBTI personality type.
Item Five senses Frequency (N) Percentage (%) χ2

Sight Hearing Touch Smell Taste

Self guess MBTI Extraversion 207 11 15 107 7 347 45.4 2.34 (P=0.673)
Introversion 248 11 28 121 9 417 54.6

Intuition 173 8 19 75 11 286 37.5 9.62 (P=0.047*)
Sensing 282 14 24 153 5 478 62.5

Feeling 336 13 22 159 10 540 70.6 12.194 (P=0.016*)
Thinking 119 9 21 70 6 225 29.4

Judging 132 6 18 81 6 243 31.7 5.436 (P=0.245)
Perceiving 323 16 25 148 10 522 68.3

* Significant at p<0.01 leveled by Chi squire test.

직관형 37.5%, 감각형 62.5%로 나타났으며, 시각・청각・촉각・ 후각에서 직관형보다 감각형이 전체 분포가 많이 나타난 반면 미각 자극에서는 직관형이 감각형보다 선호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 다. 오감 자극 중 미각의 경우 감각형보다는 직관형에게 원예치료 에는 더 효과적 일 것으로 생각된다. 감정형과 사고형에서는 촉각 에 대한 자극 정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MBTI 성격유형 지표에 따른 특성이 다른 식물선택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 지표 선택 결과 에너지 방향을 나타내는 외향・내향, 선호하는 식물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5
Choice of plant characteristics of MBTI personality type.
Item Choice of plant characteristics Frequency (N) Percentage (%) χ2

Foliage plants Fragrant with herbs Flowering plants Spiny cactus Etc.

Self guess MBTI Extraversion 58 136 128 17 9 348 45.4 2.556 (P=0.635)
Introversion 85 145 154 21 13 418 54.6

Intuition 65 98 95 18 12 288 37.5 10.696 (P=0.030*)
Sensing 78 184 186 20 10 478 62.5

Feeling 91 198 212 28 13 542 70.6 8.161 (P=0.086)
Thinking 52 85 69 10 9 225 29.4

Judging 52 83 91 17 0 243 31.7 15.347 (P=0.004**)
Perceiving 91 199 191 21 22 524 68.3

**, * Significant at p<0.01, 0.05 leveled by Chi squire test.

인식기능인 직관형・감각형에서는 오감에 의존해 사실적 사건 을 묘사하는 감각형은 꽃이 있는 식물을 38.9%, 향기가 있는 식물 을 38.5%순으로 선호하고, 영감과 육감에 의존하는 직관형은 향 기가 있는 허브를 34%, 꽃이 있는 식물을 33%순으로 선호하였다.
생활양식에 따른 판단형・인식형에서 판단형에서 꽃이 있는 식 물을 37.4%, 향기가 있는 식물을 34.2%순으로 선호하고, 인식형 은 향기가 있는 허브를 38%, 꽃이 있는 식물을 36.5%순으로 선호 하여 선호하는 식물군에 따라 직관형・감각형(P=0.030), 판단형・ 인식형(P=0.004)의 선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판단기능인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0% 유의수준에서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0.086).
MBTI 성격유형 지표에 따른 흥미로운 원예활동은 Table 6과 같다.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 지표와 흥미를 가지는 원예활동에 대한 결과 인식기능인 직관형・감각형에서는 오감에 의존해 사실 적 사건을 묘사하는 감각형은 만들고 꾸미기를 39.5%가 가장 선호 하고, 영감과 육감에 의존하는 직관형은 식물 느끼기를 37.5%가 가장 선호하였다. 이는 인식기능에 따라 기르기, 만들고 꾸미기, 느 끼기에 대한 선호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P=0.038).
Table 6
Interesting horticultural activity of MBTI personality type.
Item Interesting horticultural activity Frequency (N) Percentage (%) χ2

Grow Decorate Feel Et cetera

Self guess MBTI Extraversion 89 128 118 13 348 45.4 0.388 (P=0.943)
Introversion 115 148 140 15 418 54.6

Intuition 79 87 108 14 288 37.5 8.401 (P=0.038*)
Sensing 126 189 149 14 478 62.5

Feeling 140 210 175 17 542 70.6 6.809 (P=0.078)
Thinking 65 66 83 11 225 29.4

Judging 68 95 73 7 243 31.7 3.077 (P=0.380)
Perceiving 136 182 185 21 524 68.3

* Significant at p< 0.05 leveled by Chi squire test.

Kim et al.(2015)은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 도 차이를 본 결과, 감각형과 직관형은 물 흐르는 소리, 허브차 마시 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으며, Han et al.(2009)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원예활동 중 꾸미기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기르기, 느끼기 순이라고 하였다. 감각형을 위한 프로그 램으로 실내에서 꾸미기는 효과적이지만 직관형에게는 전체의 10% 만 차지하는 느끼기 활동을 가장 선호함으로 대상자가 직관형이 많 을 시에는 꾸미기보다는 느끼기 활동을 하는 것이 긍정적인 치료효 과를 가져오리라 생각된다.
판단기능인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는 사고형은 식물 느끼기를 36.9%가 가장 선호하고, 감정형은 38.7%가 만들고 꾸미기 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 유의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0% 유의수준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78).

적요

대학생 대상의 MBTI 성격유형, 자기추측 MBTI 성격유형, 원 예선호도 조사・분석, 성격유형과 원예선호도와의 관련성 구명, 개 인의 성격에 기초한 식물 및 원예활동을 파악하여 원예치료에 활용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심리검사연구소 MBTI 선호지표의 대표적인 표현들에서 자기에게 더 가깝다고 추측한 결과로 얻어진 자기추측 MBTI 성격 유형과 원예선호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직관형과 감각형에 따라 직 관형은 향이 있는 허브를 가장 선호한 반면 감각형은 꽃이 있는 식 물을 선호하였다. 원예활동 시 가장 자극이 되는 오감, 식물의 특성, 흥미로운 원예활동에서도 직관형과 감각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 어 선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는 사 고형은 식물에서 가장 먼저 식물의 전체적인 형태에 관심을 보인반 면, 감정형은 식물에서 가장 먼저 꽃에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고형과 감정형에 따라 원예활동 선호정도, 식물에서 가 장 먼저 관심을 가지는 조직, 원예활동 시 가장 자극이 되는 오감, 원 예활동 효과에 있어 유의차를 보여 선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판단형과 인식형에서는 식물의 특성 선택에서 판단형은 꽃이 있는 식물을 선호한 반면, 인식형은 향이 있는 허브를 선호하였다.
자기 추측 MBTI 성격유형 결과 식물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가 지는 조직과 식물의 특성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선택이 다 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Choi, M.H., Lee, I.S., Lee, S.M., Suh, J.K., 2009 A hypothetical graphic representation of the client responses on the plant and the horticultural therapist in horticultural therap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2 7-17.

Chung, E.E., 5 A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BTI and pictorial expression. J. Kor. Acad. Psychological Type 1998 81-111.

Chung, E.E., 6 Preferred materials and differences in pictori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MBTI personality types. J. Kor. Acad. Psychological Type 1999 149-175.

Han, C.H., 2011 Relevance of the preferring color & tone and personality type from MBTI b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 Kor. Soc. Design Culture 17 642-653.

Han, K.H., Lee, S.M., Suh, J.K., 2009 Analysis about therapeutic objective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t developmental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2 21-29.

Han, K.H., Lee, S.M., Suh, J.K., 2009 An analysi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elements on horticural therapy research paper.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2 21-29.

Im, E.A.,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examination of its efficacy. PhD Diss., Konkuk Univ., Seoul, Korea.

Kim, J.T., Sim, H.S., Je, S.B., 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BTI.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Kim, Y.H., Kim, D.J., Yeoun, P.S., Choi, B.J., Kim, E.J., 2015 The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personality typ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4 394

Lee, D.J., Ko, E.H.,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terior style preference. J. Archit. Inst. Korea Plan Des. 27 99-106.

Lee, J.H., 2002 A study on the planning of special branch hospital for alternative medication: focused on the connecte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MS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Park, S.H., 2005 The relevance of MBTI personality types to mathematics prefer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MS thesis, Kookmin Univ., Seoul, Korea.

Son, K.C., Cho, M.K., Song, J.E., Kim, S.Y., Lee, S.S., 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icultural therapy. Kubook, Seoul, Korea.

Suh, J.H., Kim, O.K., Yeo, H.S., 2008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the display type of outdoor floral sculpture.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1 11-26.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