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2); 2014 > Article
몇 가지 완효성비료가 채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vegetables. Leachate EC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fertilizers. As a result, leachate EC was higher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fertilizer, it was lower with the lapse of time. EC was higher than 3.5 ds·m-1 above Agroblen and Tobi 3g. Leaf length of endive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16.8cm of control. Leaf number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ontrol. Plants were withered above Agroblen and Tobi 3g fertilizations. Leaf length and width of lettuce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ontrol. Most of all, Agroblen 1g and Osmocote 3~5g treatments were the most increased more than others. Root length in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 except for Agroblen 3g and Tobi 1g treatments. Leaf length and width of mustard were similar to all fertilizations, except for Osmocote 1g. But, Agroblen 1g was the most long and big leaf. Leaf number of mustard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 Agroblen 1g had the most leaf number of 8.6. Plant height of tomamto in all fertilizations were increased more than 12.9cm of control. Flowering in all fertilizations were very similar. No fertilizing group showed no fruit. But fertilizing were in fruit. And MagampK 1~5g, Agroblen 1g and Osmocote 3~5g fertilizations were many in fruits more than others. As a result, agroblen 1g was very good fertilizer for the vegetables considering in leaf number, fruit number and fertilization amount.

서론

오늘날 현대인들은 도시발달 및 산업화로 인한 핵가족화, 대기 및 수질오염을 통한 먹거리 농산물의 오염, 도시의 열섬화, 녹지감 소 등에 따른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동반하며 살아가고 있다 (Cho and Oh, 2005).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 도시원 예, 원예 치료 등 원예 분야의 대한 관심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Ryu et al, 2013; Jang et al, 2013; Heo et al, 2010). 원 예 분야는 단순한 농산물 생산이 아닌 문화 사회의 발전과 함께 인 간과 상호 관계적 측면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어 심신건강 및 스트레스 해소와 사회복지에도 기여한다(Hwang et al, 2011; Kwack et al, 2007; Choi et al, 2010). 또한 최근 수입 농산물 및 농약 과다 처리 등에 대한 먹거리 불신으로 인해 가정 내 채소를 직 접 재배하는 원예활동이 증가하면서 원예 상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원예용 화분, 상토 및 비료 등이 개발되고 있다. Kim et al.(2014)은 재료비가 저렴하며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EPP(Expended Polypropylene)소재 화분에 적합한 배지 실험을 통하여 코코피트, 피트모스, 수태를 2:5:3의 비율로 혼합한 배지가 가볍고 보수성도 우수하며 엽채류의 생육에 적합하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에는 질소와 칼리의 성분을 전체 시비량 의 40~70% 기비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몇 차례 분시한다(Chang et al., 2007). 그러나 양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완효성 비료는 시비노력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 다. 마늘, 참외 재배에서 완효성비료를 전량기비로 시용하였을 때 관행시비에 비하여 양분흡수율과 수량이 양호해 추비시용에 드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였다(Song et al., 2001; Do et al., 1997). 또 고추와 같은 채소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등 벼과 식물들 의 생육 및 생산성을 위한 효과에 대한 실험도 시도되어 왔다 (Chang et al., 2007; Kim et al., 2009; Kim et al., 2009). 이와 같 이 대부분의 완효성비료 실험은 포장단위로 이루어져 왔으며 채소 재배 분화용 배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몇 가지 채소류를 대상으로 Kim et al.(2014) 이 개발한 채소재배용 배지에 적합한 완효성 비료를 알아보기 위하 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식물재료

본 실험에서는 엽채류인 엔다이브 ‘Green Curl’ (Cichorium endivia ‘Green Curl’), 상추 ‘청치마’ (Lactuca sativa ‘Chongchima’), 머스타드 ‘Gient’ (Brassica nigra ‘Gient’)와 과채류인 방울토마 토 ‘Tiny Tim’ (Lycopersicon esculentum ‘Tiny Tim’)을 사용하 였다.
50공 셀 트레이에 원예상토인 식물세계(주, 농우바이오)를 사용 하여 방울토마토는 7월 24일, 엔다이브, 상추와 머스타드는 8월 26 일에 종자를 파종하였다. 발아 후 피터스 액비(N:P:K=20:10:20) 를 질소 100mg·l-1의 농도로 주1회 시비하였다. 본엽이 2~3매 정 도 생장했을 때 직경 12cm 비닐화분에 코코피트, 피트모스, 수태를 2:5:3의 부피비율로 조제한 배지(Kim et al., 2014)를 사용하여 정 식하였다. 정식일은 토마토의 경우 8월 13일, 엔다이브, 머스타드, 상추의 경우 9월 17일 이였다. 정식과 동시에 완효성비료인 오스모 코트(N:P:K=11:11:17, Everris. Co.), 아그로블렌(N:P:K=18:8:16, Everris, Co), 마감프 K(N:P:K=6:5:3.5 Hyponex Japan), 토비 (N:P:K=10:2:5, (주)K&P 그린바이언스)를 화분당 각각 0g, 1g, 3g, 5g 씩 시비하였다. 정식 후 1주일 간격으로 최대엽장, 최대엽 폭, 엽수, 근장 그리고 토마토의 경우 초장, 엽수, 근장, 개화일, 과실 개수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유리온실에서 차광망으로 30% 차 광하였으며, 6반복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실시하였다. 방울토마토 는 10월 1일, 엔다이브, 상추와 머스타드는 10월 15일에 실험을 종 료하였다. 실험기간 중 온도는 Thermo Recorder TR-72U(T&D Corp. Japan)로 측정하였으며 최고 28.8°C, 최저 11.2°C, 평균 20.0°C였다. 실험장소의 평균 유효광량은 Spectrum 1000 Series(USA)로 측정하였으며 PAR 100.5 μmol·m-2·s-1였다.

2. 화분 침출수의 EC분석

재배중인 작물에 대한 비료의 종류 및 시비량에 따른 토양 침출 수의 EC의 변화를 실험개시 1주 후부터 1주일간격으로 3회에 걸 쳐서 조사하였다. 머스타드를 재배 중인 화분에 200mL의 증류수 를 관수 후 배수구로 부터 침출수가 나오지 않을 때 까지 받아서 Filter paper를 이용해 여과한 다음 EC(EC Testr 11, Oaktom instr.) 를 3반복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BM SPSS Statistic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던컨다중검정 (Duncan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화분 침출수의 EC분석

완효성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이 재배중인 머스타드 화분 침출수 의 EC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1과 같다. 시비 1주차의 EC는 비료 를 주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0.41 ds·m-1로 가장 낮았다. 시비구의 EC는 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특히 아그로블렌과 토비 3g과 5g 시비구의 EC는 각각 4.23, 5.07, 3.63, 4.40 ds·m-1 으로 식물 생육에 장해가 될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시 비 2주차의 EC는 1주차와 마찬가지로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지 만 1주차보다는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토비 5g 시비구의 EC는 3.63 ds·m-1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시비 3주 차의 EC는 2주차보다 더 낮아져서 모든 처리구가 2.00 ds·m-1이하 로 나타났다. 특히 1g 모든 시비구와 마감프K 시비구는 0.40 ds·m-1 이하로 비료가 거의 용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른 화분 침출수의 EC를 정
Table 1.
Effect of the kinds and amounts of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leachate EC of pot growing mustard.
Fertilizer EC(ds·m-1)

1 weekz 2 week 3 week

Control 0g 0.41 gy 0.45 f 0.24 c

Osmocote 1g 1.31 e~g 0.87 ef 0.40 bc
3g 2.33 de 1.84 b~e 1.17 a~c
5g 3.03 cd 2.30 bc 1.57 ab

Agroblen 1g 1.75 ef 0.93 d~f 0.27 c
3g 4.23 ab 2.17 b~d 1.36 a~c
5g 5.07 a 2.43 a~c 1.85 a

MagampK 1g 0.61 fg 0.60 ef 0.23 c
3g 0.90 fg 0.85 ef 0.47 bc
5g 1.15 fg 1.15 c~f 0.32 bc

Tobi 1g 1.53 e~g 1.19 c~f 0.34 bc
3g 3.63 bc 2.77 ab 1.16 a~c
5g 4.40 ab 3.63 a 1.76 a

z Number of weeks after fertilization.

y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2.
Effect of the kinds and amounts of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Cichorium endivia‘Green Curl’.
Fertilizer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h(cm) Withering rate(%)

Length (cm) Width (cm)

Control 0g 16.8 fz 5.1 de 9.5 d 29.7 ab 0.0

Osmocote 1g 21.6 a~d 6.6 a 14.2 c 32.3 a 0.0
3g 22.8 ab 6.1 a~c 18.7 ab 26.4 ab 0.0
5g 22.7 ab 6.2 a~c 19.5 a 20.0 b~d 0.0

Agroblen 1g 23.3 a 6.5 ab 18.5 ab 23.7 a~c 0.0
3g 21.9 a~c 6.5 a 16.8 b 13.9 cd 16.7
5g - - - - 83.3

MagampK 1g 20.1 c~e 5.5 cde 11.7 d 29.7 ab 0.0
3g 20.1 c~e 5.9 a~d 16.2 bc 22.2 a~d 0.0
5g 21.1 b~d 5.7 b~d 18.2 ab 25.8 ab 0.0

Tobi 1g 19.7 de 5.6 c~e 16.2 bc 25.5 ab 0.0
3g 18.6 e 4.9 e 18.6 ab 12.4 d 16.7
5g - - - - 66.7

z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Sowing date was August 26th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October 15th.

Table 3.
Effect of the kinds and amounts of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Lactuca sativa‘Chungchima’.
Fertilizer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h(cm) Withering rate(%)

Length (cm) Width (cm)

Control 0g 11.7 ez 4.8 f 9.2 c 3.7 c 0.0

Osmocote 1g 18.7 bc 7.8 de 14.5 b 4.7 a 0.0
3g 22.2 a 9.5 ab 18.0 a 5.0 a 0.0
5g 21.7 a 9.8 a 18.2 a 5.0 a 0.0

Agroblen 1g 19.8 b 8.2 cd 17.7 a 4.7 a 0.0
3g 18.3 bc 8.2 cd 16.0 ab 4.0 bc 33.3
5g - - - - 66.7

MagampK 1g 17.3 cd 7.1 e 14.2 b 4.5 ab 0.0
3g 18.7 bc 7.9 cde 18.5 a 5.0 a 0.0
5g 18.5 bc 8.8 bc 17.7 a 4.8 a 0.0

Tobi 1g 16.1 d 7.3 e 16.3 ab 4.0 bc 0.0
3g - - - - 50.0
5g - - - - 83.3

z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Sowing date was August 26th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October 15th.

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EC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시간이 경 과할수록 낮아졌다. 또한 아그로블렌과 토비 3g 이상 시비구의 경우 초기에 비료분의 용출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Warncke and Krauskopf(1983)은 대부분의 온실작물의 생육의 적정 EC는 2.0~3.5 ds·m-1범위이며 0.75~2.0 ds·m-1범위에서도 재배가 가능 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아그로블렌과 토비 3g이상의 침 출수의 EC는 3.5 ds·m-1이상으로 식물생장에 장애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본 실험에서 아그로블렌과 토비 3g 이상에서 식 물이 고사하는 현상을 보였다(Table 2, 3, 4).

2. 엔다이브의 재배결과

완효성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이 엔다이브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은 Table 2와 같다. 고사율이 50%이상인 아그로블렌과 토비 5g은 통계에서 제외하였다. 엽장의 경우 대조구 16.8cm에 비해 모든 시
Table 4.
Effect of the kinds and amounts of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Brassica nigra ‘Giant’.
Fertilizer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h(cm) Withering rate(%)

Length(cm) Width(cm)

Control 0g 10.0 cz 5.2 c 5.8 b 17.6 d 0.0

Osmocote 1g 17.1 b 8.1 b 7.2 ab 27.3 bc 0.0
3g 20.9 a 10.0 a 8.6 a 29.0 a~c 0.0
5g 21.2 a 9.3 ab 7.0 ab 28.6 a~c 0.0

Agroblen 1g 21.4 a 10.6 a 8.6 a 28.9 a~c 0.0
3g 21.2 a 10.2 a 7.8 a 27.0 c 0.0
5g - - - - 50.0

MagampK 1g 19.5 ab 9.1 ab 7.2 ab 29.0 a~c 0.0
3g 20.5 a 9.8 ab 8.4 a 31.3 a 0.0
5g 20.1 a 9.6 ab 8.4 a 31.0 ab 0.0

z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Sowing date was August 26th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October 15th.

비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폭의 경우 대조구 5.1cm에 비해 토 비 3g을 제외한 모든 시비구가 증가하였다. 특히 엽장과 엽폭 모두 에서 오스모코트 1~5g과 아그로블렌 1~3g 시비구가 다른 처리구 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다음은 마감프K, 토비 순으로 나 타났다. 엽수도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오스모코트 3~5g, 아그로블렌 1g, 마감프K 5g과 토비 3g 시비구가 다른 처리 구에 비해 엽수가 증가하였다. 근장의 경우 엽장과 반대로 시비량 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아그로블렌과 토 비 3g 시비구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식물의 고사율은 아그로블 렌 5g 시비구가 83.3%로 가장 높았으며 토비 5g이 66.7%, 아그로 블렌과 토비3g이 16.7%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아 그로블렌과 토비 3g~5g 시비구는 고사한 작물도 있으며 엔다이브 의 생육에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엽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중 요한 엽수, 엽장과 엽폭 그리고 시비량 등을 고려할 때 엔다이브의 경우 아그로블렌 1g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3. 상추의 재배결과

완효성 비료의 종류 및 시비량이 상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3과 같다. 고사율이 50% 이상인 아그로블렌 과 토비 5g 시비 구는 통계에서 제외하였다. 엽장과 엽폭의 경우 대조구의 11.7cm, 4.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증가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오스모코 트 3g~5g 시비구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엽수의 경 우 마감프K 3g이 18.5장으로 가장 많았으나 오스모코트 3g~5g, 아그로블렌 1g~3g, 마감프K 5g, 토비 1g 시비구와 통계적으로 유 의차가 없었다. 근장의 경우 아그로블렌 3g과 토비 1g 시비구를 제 외한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도 길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식물체가 고사한 아그로블렌과 토비 3g~5g 시비 구는 상추의 생육에 부적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나머지 시비구에서 는 엽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엽수, 엽장과 엽폭 등 그리고 시 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엔다이브와 마찬가지로 아그로블 렌 1g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4. 머스타드의 재배결과

완효성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이 머스타드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은 Table 4와 같다. 고사율이 50% 이상인 아그로블렌 5g 시비구는 통계에서 제외하였다. 엽장의 경우 오스모코트 1g 시비구를 제외 한 모든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아그로블렌 1g이 21.4cm 로 가장 길었다. 엽폭의 경우도 엽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 며 아그로블렌 1g시비구가 10.6cm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엽수 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증가 하였다. 또한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아그로블렌 1g 시비구가 8.6장으로 가 장 많았다. 근장의 경우 처리 간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시비 구가 대조구보다 길었다. 실험 결과 머스타드는 아그로블렌 3g시 비에서 식물체가 고사한 엔다이브와 상추에 비해 내비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엽수, 엽장과 엽폭 그리고 시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머스타드의 경우에도 아그로블렌 1g이 머스타드 생육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5. 방울토마토의 재배결과

완효성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이 방울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 향은 Table 5와 같다. 초장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의 12.9cm 보다 증가하였으며 오스모코트 5g의 시비구가 47.9cm로 가장 컸 으나 오스모코트 1g, 마감프K 1g, 5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 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엽수의 경우 초장과 유사한 경향으로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의 8.0장보다 많았다. 근장의 경우 아그로블 렌 5g을 제외한 모든 시비구는 대조구 보다 길었다. 개화시기의 경 우 시비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과실의 경우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열리지 않았으며 시비구의 경우 오스모코트 3g 이상, 아그로블렌 1g, 마감프K 모든 시비구가 통계적으로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생장에 필수요소인 질 소가 많이 첨가 되어 있는 오스모코트, 아그로블렌은 생장에 더 영 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과실의 성장에 중요 요소인 인산이 많이 첨가되어 있는 마감프K는 과실의 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고사한 개체가 없었으며 방울토마 토는 엽채류에 비해 비료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 와 같은 결과로 부터 과실수, 시비량 등을 고려해 볼 때 다른 엽채류 와 마찬가지로 토마토의 경우에도 아그로블렌 1g이 가장 적당하다 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도시의 베란다와 옥상과 같은 가정에서 쉽게 채 소류를 재배하기 위해 이미 개발된 가볍고 보수성이 좋은 배지 (Kim et al., 2014)에 적합한 완효성 비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오스 모코트, 아그로블렌, 마감프K 그리고 토비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 시하였다. 시비한 처리구의 침출수의 EC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비구 에서 시비량이 늘어날수록 EC도 증가하였다. Kang and Lee(2008) 는 배지의 EC는 식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완효성 비료의 양이 증가 할수록 높았다고 하여 본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또한 시비 량이 늘어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ong et al.(2001)도 마늘 재배에 있어서 완효성비료 시비구가 생 육이 양호하여 초장이 4~6cm 더 길었고 엽초경이 2mm이상 두꺼 웠으며 엽수도 증가하였고, Kim et al.(2009)도 완효성 비료 2~3g 처리구에서 엽장과 위구경량이 1g 처리구에 비해 컸으며 분지수도 증가하였다고 하였다.
Table 5.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s and amounts on the growth ofLycopersicon esculentum‘Tiny Tim’.
Fertilizer Plant height(cm) No. of leaves Root length(cm) Flowering(M/D) No. of fruits

Control 0g 12.9 dz 8.0 e 25.7 ab - -

Osmocote 1g 30.2 c 14.3 d 28.2 ab 9/09 a 3.7 bc
3g 43.9 ab 23.8 b 30.3 a 9/10 a 5.8 abc
5g 47.9 a 26.3 b 32.9 a 9/07 a 6.2 ab

Agroblen 1g 41.8 ab 27.2 b 32.0 a 9/09 a 6.0 ab
3g 44.2 ab 28.7 b 27.9 ab 9/10 a 4.2 bc
5g 42.3 ab 34.7 a 18.6 b 9/10 a 2.7 cd

MagampK 1g 33.3 c 14.2 d 30.9 a 9/08 a 5.3 abc
3g 43.3 ab 22.7 bc 28.4 ab 9/09 a 6.7 ab
5g 38.2 bc 25.7 b 33.8 a 9/07 a 8.2 a

z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Sowing date was July 24th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October 1st.

그러나 과다한 시비는 토양의 EC를 높여서 식물체의 생리장해 및 고사의 원인이 된다. Cho at al.(2010)은 산마늘, 곰취, 곤달비를 대상으로 완효성 비료인 오스모코트 시비처리에 따른 광합성 특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 5g·L-1시비에 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10g·L-1시비에서는 과잉 시비로 인 한 생육저하 현상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일정 시비 량 까지는 생육이 증가하였으나 아그로블렌과 토비의 경우 시비량 이 증가할수록 생육저하와 식물이 고사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Table 2,3, 4). 엔다이브와 상추의 경우 아그로블렌과 토비 3g 이 상에서, 머스타드의 경우 아그로블렌과 토비 5g이상에서 생장억제 및 고사가 나타났다. 머스타드의 경우 5g부터 고사한 개체가 나타 난 것으로 보아 엔다이브와 상추에 비해 내비성이 크며 더욱이 과채 류인 토마토는 고사한 개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엽채류에 비해 내비 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Choi et al.(2003)도 EC가 3.00 ds·m-1부 터는 자엽과 본엽이 시들기 시작하고 EC가 3.50 ds·m-1이상이 되 면 생장이 중지되었다고 하여 본 실험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토양 의 염류농도가 증가하면 뿌리의 호흡증가, 세포벽의 신장성, 황산 화 효소활성 등과 세포의 삼투조절의 기능상실에 의하여 조직 탈수 의 원인이 되며 인공적으로 근압을 높여도 생장이 회복되지 않았다 고 하였다(Choi ei al, 2003). 본 실험에서도 EC가 3.5ds/m 이상의 시비구에서는 이식 후 바로 자엽 및 본엽이 시들기 시작하며 고사 하였다. 이에 따라 완효성 비료의 경우에도 각 작물의 내비성 및 생 육을 고려하여 시비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적요

본 실험은 몇 가지 완효성 비료가 채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른 화 분 침출수의 EC를 정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EC는 시비량이 많을수 록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아그로블렌과 토비 3g 이상의 침출수의 EC는 3.50 ds·m-1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엔다이 브는 엽장의 경우 대조구 16.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수도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 아그로블렌 과 토비 3g이상 시비구에서는 식물이 고사하였다. 상추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대조구의 11.7cm, 4.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증가 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 시비구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근장의 경우 아그로블렌 3g과 토비 1g 시비구를 제외한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도 길게 나타났다. 머스타드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오스모코트 1g 시비구 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아그로블렌 1g이 21.4cm, 10.6cm로 가장 길었다. 엽수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 구보다 증가 하였으나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고 아그로 블렌 1g 시비구가 8.6장으로 가장 많았다. 방울토마토는 초장의 경 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의 12.9cm보다 증가하였으며 오스모코트 5g의 시비구가 47.9cm로 가장 컸으나 오스모코트 1g, 마감프K 1g, 5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개 화시기의 경우 시비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과실의 경우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열리지 않았으며 시비구의 경우 마 감프K 모든 시비구,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이 다른 시비 구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많이 열렸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엽채 류 및 과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엽수, 과실수 그리고 시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그로블렌 1g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 되었다.
V.
V.

References

Chang H.L, Lee H, Ha B.H, Kang C.S, Lee Y.B, Kim P.J. Evaluation of fertilization effect of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on pepper cultivation. Kor. J. Env. Agr 2007;26(3): 228–232.
crossref
Choi I.Y, Lee Y.i, Kim Y.S, Soh I.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emotion al chomges of the ag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Kor. Inst. Forest Recreation & J. Kor. Soc. People Plants Envron 2010;158–159.

Choi Y.J, Won D.C, Chung H.D. Effects soil EC on emergence rate, seedling growth, and physiological disorders of leafy and root vegetable crops, and diminishing effect of soil EC level by washing with water or manure adding. J. Kor. Soc. Hort. Sci 2003;44(5): 575–581.

Cho M.S, Kim G.N, Park G.S, Lee S.W. Physiological respon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eheri and Ligularia stenocephala growing at different fertilizing schemes. J. Bio Env. Cont 2010;19(2): 97–108.

Cho S.W, Oh S.G. A study on the user's opinion of introducing interior landscape into apartment housing. J. Architecture. Institute. Kor 2005;25(1): 99–102.

Do H.W, Yeon I.K, Shin Y.S, Choi S.K, Choi B.S. Effec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on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in greenhouse. J. Kor. Soc. Hort. Sci 1997;15(2): 172–173.

Heo B.G, Park Y.J, Oh D.M, Park J.S, Yun S.Y, Cho J.Y. Development of marketing technique for the mugwort seedlings for the use of urban agricultur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J. Kor. Soc. People Plants Envron 2010;13(4): 29–43.

Hwang H.J, Jang E.J, Park C.H.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applied creativity techniqu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J. Kor. Soc. People Plants Envron 2011;14(3): 155–162.

Jang T.K, Kim H.Y, Lim K.B. Selection of artificial media suitable for the growth of foliage plants for indoor vertical garden. Flower Res. J 2013;21:11–16.
crossref
Kang J.G, Lee I.H.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a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on the changes in medium EC and growth of subirrigated vinca and salvia. Flower Res. J 2008;16(2): 112–117.

Kim D.H, Cha M.S, Son B.G, Kim H.Y, Lim K.B. Selection of artificial media suitable for the growing vegetables of EPP pot. J. Kor. Soc. People Plants Envron 2014;17(1): 51–56.
crossref
Kim S.D, Lee H.D, Kim J.H, Kim T.J. Effec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Oncidium 'sweet sugar'. Flower Res. J 2009;17(4): 246–250.

Kim Y.S, Kim T.S, Ham S.K, Bang S.W, Lee C.E.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kentucky bluegrasss and on nitrogen change in root zone. Kor. Turfgrass Sci 2009;23(1): 101–110.

Kim Y.S, Kim T.S, Ham S.K, Bang S.W, Lee C.E.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Creeping bentgrasss and on change soil nitrogen. Kor. Turfgrass Sci 2009;3(1): 111–122.

Kwack H.R, Han S.W, Lee E.S. Reorganization of horticultural practical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urban horticulture. J. Kor. Soc. People Plants Envron 2007;10(3): 53–64.

Ryu B.Y, Cho Y.U, Kim Y.S. Selection proper artificial media and rootzone depth for constructing wetlands on the rooftop greening. Flower Res. J 2013;21(2): 69–74.
crossref
Song Y.S, Choi I.H, Chung B.C, Choi W.Y. Effets of applying slow-release fertilizer on southern type garlic (Allium sativum L.). Kor. J. Hort. Sci. Tech 2001;19(4): 471–475.

Warncke D.D, Krauskopf D.M. Greenhouse growth media: Testing and nutrition guidelines. Michigan State Univ 1983; Ext. Bul. E-1736.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