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5); 2016 > Article
농촌교육농장 운영여건 및 치유체험 요구 조사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도입 방안

ABSTRACT

It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s utiliz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early application plan of ‘Agro-healing’.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farm was in order production· process·sales and education, and then, healing. The production·process·sales was the highest (p=0.000). All farms have had signs or bulletin board, parking. Gender-separated toilets, and basin was held 90% or more. The farm which was held cultivation facilities for disabled in wheelchair was found to be 9.6%. Regular employee was minimum 1 people including owner up to 10 people, an average of 3.7 people were working, a welfare horticultural therapist is the highest as a retain qualification. The purpose of operating program in the farm was education, it was the highest. The most utilizing resources were agricultural work for operation the programs (p=0.000).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owner themselves in the most of farms. Regular employment was found to be 6.7%. The age of participant was in order elementary schoolchild and then toddlers. Group form of visiting was school unit or work unit mostly. Target who needed help appeared to alcohol drug addicts and then handicapped, the number of people of participating at the same time was minimum 10 to 100 people. 79% of respondents had the intend of introducing healing program and transition to healing farm. Subject who respondents wanted to access for the next healing program was elementary schoolchild. Number of participants which respondents wanted as a group was 15. Most general people wanted the emotional experience which stimulated the emotion and mood such as positive emotions, joy, and pride. If we introduce the program for healing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rural education farm, it might contribute to explore new spaces for creative agriculture and the early settlement of ‘Agro-healing’.

서론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국민소득 증가는 도시민의 삶의 패턴에 변 화를 가져왔고 가족과 함께 주말을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다. 이로 써 여가 시간을 소비하는데 가족 관광 중심에서 체험과 학습 자기 계발과 성찰로 한 단계 성장하였다(Han 2016).
이러한 변화는 농촌 관광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관광지에 식상한 도시민들은 농촌에 새롭게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농촌마을은 방문 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왔는데, 궁극 적으로 방문자들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지향 서비스를 제공 할 콘텐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Kwak, 2015).
농촌교육농장 사업은 이와 같이 늘어날 농촌 관광 수요에 대응 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농촌교육농장은 농업활동을 하고 있는 농촌 의 모든 자원을 기반으로 하여 학교 교육과 연계된 교육프로그램과 체험활동 등을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교육의 장이다(RDA, 2008). 농촌교육농장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네트워크형 교육농장을 육성 하여 농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즉 농업농촌의 교육적 가치 를 실현함으로써 농촌을 찾는 도시민들과의 만남을 확대하고, 농업 농촌의 관점만이 아닌 교육적, 문화적, 환경생태적 관점 등 농업농 촌에 관한 다원적이며 복합적인 가치와 관점에 관심을 갖고 농촌지 역 고유의 특성을 살리고 농촌경제 활성화를 이루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Son, 2014). 이러한 농촌교육농장은 농촌체험학습의 공급을 확대하고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지만(Shin, 2007) 양적 성 장에 비해 경영의 내실이 부족하여 방문객 인원수에 비해 매출과 수익은 낮고 지속적인 고객 유치가 어려운 실정이다(Han, 2016). 또한 최근 체험자들의 체험욕구는 다양해진 반면 농촌마을의 체험 프로그램 운영 현황은 마을 주변 자연자원의 단순 이용과 운영자의 전문성 결여로 쉽고 간편한 체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운영여건과 전문성의 결여는 농촌체험에 대한 만족도를 저 하시킬 수 있다(Kim, 2011). 이에 농촌교육농장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 농업의 트렌드는 관광농 업의 단계를 넘어 국민의 건강과 농업체험을 연계하는 치유농업으 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다. 또한 새정부의 창조경제 활성화가 탄력 을 받으면서 농업과 농촌에 창조를 담는 6차 산업화 추진과정에서 치유농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Gim et al.(2013)은 치유농업을 농업・농촌 자원 또는 이와 관련 된 활동 및 산출물을 활용한 치유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심리적・사 회적・인지적・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치유농업은 유럽 등 외국에서 ‘care farming’ (Hassink, 2003), ‘farming for health’(Hassink & Dijk, 2006), ‘green care’(Europ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등으로 활발히 치유농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시작단 계이며, 치유농업과 유사한 범주인 원예치료, 산림치유와 동물매 개치료 등의 영역에서 식품, 농촌환경까지 그 범위를 확장, 통합시 키려는 시도의 단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국가차원의 치유농업 관련 역할과 책임, 정책근거로서의 법 마련, 실태 및 요구조사,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하다(Gim et al., 2013).
이에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조기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기존 농촌교육농장의 인프라를 활용한 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하여, 농촌교육농장의 운영여건 및 치유체험 내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농촌교육농장 운영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2년 이후 농촌 진흥청 인증 122개 농촌교육농장의 농장주 또는 경영주를 대상으 로 2015년 9월부터 10월까지 이메일 조사를 실시하여, 총 83부를 수거한 후 분석하였다.
또한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600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치 유 체험 내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2.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이에 농촌교육농장의 농장주 또는 경영주를 대상으로 농장운영 의 목적, 보유시설, 인력을 포함한 일반적 운영현황에 대해 조사하 였다. 또한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목적, 활용자원, 개발 주체, 진행주체, 수정 및 개선 주기, 만족도 평가 방법과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대상, 인원 및 치유 프로그램 도입 시 대 상과 인원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농장운영의 목적은 교육, 치유, 생산 및 가공판매로 총 3개의 문 항이 설문에 제시되었고 1~3순위를 매기도록 지시되었다. 이에 1 순위는 3점, 2순위는 2점, 3순위는 1점을 부여하여 총점과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각 문항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ANOVA와 사 후검증으로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농장 보유시설은 교육시 설로 안내판 또는 게시판, 휠체어 장애인 이용 가능한 재배시설, 주 차장 등 총 20개의 하위 문항으로 설문에 제시되었고 빈도수와 백 분율을 산출하였다. 조사된 빈도의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농장 운영 인력과 관련하여 “경영주 를 포함하여 상시 근무하는 직원은 몇 명입니까?”를 질문하였고, 상시근무 인력이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지, 보유한 자격의 종류 에 대해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조사된 빈도의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교육, 농산물판매, 도농교류(농업의 중요성 확산), 사회적 재활(사회통합), 신체적 재 활(기능회복), 심리적 치유(휴양), 음식(식생활 개선) 등 총 7개의 문항이 설문에 제시되었고, 복수응답을 허용하여 빈도수와 백분 율을 산출하였다. 조사된 빈도의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에 활용하는 자원으 로는 식물, 동물, 농산가공물, 농작업, 농촌환경 및 경관 등 총 5개 문항을 제시하고 순위를 매기도록 안내하여 각 문항에 대한 점수 를 산출하였다. 이에 각 문항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ANOVA 와 사후검증으로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주체 와 프로그램 진행 주체, 프로그램의 수정 및 개선주기와 프로그램 에 대한 만족도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 다. 조사된 빈도의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 을 사용하였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연령 대, 도움필요의 유형, 참여형태는 복수응답을 허용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조사된 빈도의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 여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도움이 필요한 유형은 정신장애 인, 지체장애인, 알콜/약물중독자, 수용자, 문제행동청소년, 기타 로 제시하였고, 참여집단형태는 혼자(개별적으로), 친구나 연인 (모임으로), 가족/친지 단위로, 학교나 직장단위로(단체), 기타로 제시하였다. 회기당 동시참가인원과 참가누적인원은 기술하도록 안내되었다. 특히 치유 프로그램 도입 또는 전환 의사와 도입한다 면 어떤 대상을 목표로 할 것인지? 동시에 참여 가능한 인원은 몇 명 이 적절할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농촌교육농장의 농장주 또는 경영주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은 성별, 연령대, 학력, 귀농여부 4항목을 조사하였다.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이 요구하는 치유 체 험 내용이 무엇일지 조사하기 위하여, 잠재적 농촌교육농장 이용자 인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어떤 체험을 하였을 때 ‘치유’되었다고 생각합니까?”하는 질문과 함께 ➀시각, 청각, 촉감, 미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는 감각체험, ➁긍정적 감정, 즐거움, 감동, 자부심 등과 같은 기분과 감정을 자극하는 감성체험, ➂놀라움, 호기심, 흥 미를 통한 창조성 발휘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체험, ➃육체적 경 험, 기능강화와 관련된 자극이 주어지는 행동체험, ➄대상자의 상 황이나 활동의 의미를 사회, 문화적 의미와 연결시키는 관계체험의 5개 문항을 제시하고, 전혀필요없다 1점, 필요없는 편이다 2점, 보 통이다. 3점, 필요한 편이다 4점, 매우필요하다 5점으로 점수화하 여 각 문항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ANOVA와 사후검증으로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1.0(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농촌교육농장 농장주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3곳 농장주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59.3%), 50대(67.5%), 학력은 전문대학교 졸업(34%)가 많았고, 귀농여부로는 귀농(71.1) 이 높게 나타났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 of owner for the rural education farm.
Item Frequency (n=83) %

Sex Male 48 59.3
Female 33 40.7

Age 30s 9 10.8
40s 10 12.0
50s 56 67.5
More than 60s 8 9.6

School career High school graduate 12 14.5
University student 34 41.0
University graduate 29 34.9
Master 7 8.4
Doctorate 1 1.2

Urban-rural migration Yes 59 71.1
No 24 28.9

2. 농촌교육농장의 일반적 운영 현황

1) 운영목적

농장운영의 목적은 Table 3과 같이 ‘교육’이 2.77점, ‘생산’이 1.95점, ‘치유’가 1.39점으로 교육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p=0.000) 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Purpose of operating the rural education farm.
Purpose Nz M±SDy F p

Education 83 2.77±0.45ax 87.814 0.000***
Production•process•sales 81 1.95±0.68b
Healing 81 1.39±0.90c

z Frequency.

y Mean±Standard deviation.

x Mean within colum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ANOVA.

Table 3.
Facility of the rural educational farms.
Items Nz %

Information or notice board 83 100
Parking lot 81 97.6
Male and female toilets 82 98.8
Washstand 81 97.6
Vegetable garden 73 88.0
Garden 72 86.7
Outdoor leaning space 70 84.3
Indoor leaning space 66 79.5
Outdoor lawn 66 79.5
Facilities for drinking water 62 74.7
Playground or daycare 60 72.3
Store and rest area 55 66.3
Concert hall 47 56.6
Animal breeding facility etc. 35 42.2
wheelchair disabled move ramps 30 36.1
Greenhouse 26 31.3
Compost 26 31.3
Raising seedling facilities 17 20.5
Cultivation facilities disabled for wheelchair 8 9.6

z Frequency.

2) 보유시설

농장 보유시설로는 교육시설 중 안내판 또는 게시판은 모든 농 장에서 보유하고 있었고, 주차장, 남녀 구분된 화장실, 세면대는 90%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휠체어 장애인이 이 용 가능한 재배 시설을 보유한 농장은 9.6%로 나타났다(Table 3).

3) 운영인력

농장 운영과 관련하여 경영주를 포함한 상시 근무하는 종사자 및 근무자 수는 최소 1명에서 최대 10명, 평균 3.7명으로 나타났고, 2명이 2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0)(Table 4).
Table 4.
Regular employee in rural educational farms.
Persons Nz (N=83) % χ2 p

Number of employees 1 1 1.2 56.855 0.000***
2 23 27.7
3 18 21.7
4 21 25.3
5 11 13.3
6 3 3.6
8 5 6.0
10 1 1.2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상시 근무 인력이 관련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농장은 77.1%였 고, 보유 자격으로는 복지원예사 18.6%, 조리기능사 16.8%, 숲해 설/산림치유지도사가 14.2%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6).
Table 5.
Retain qualification of regular employee in the rural educational farms.
Exist or none Nz (N=83) % χ2 p

None 19 22.9 24.398 0.000***
Exist 64 77.1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Table 6.
Kind of Retain qualification of regular employee in the rural educational farms.
Kind of Retain qualification Nz (N=113) %

Welfare horticultural therapist 21 18.6
Forest commentator 16 14.2
Horticultural technician 2 1.8
Organic agriculture technician 8 7.1
Urban agriculture experts 11 9.7
Landscape technician 1 0.9
Animal assisted therapist 10 8.8
Cooking technician 19 16.8
Wetland commentator 1 0.9
Experience instructor 8 7.1
First aider 5 4.4
Social worker 7 6.2
Care worker 4 3.5

z Frequency.

3. 농촌교육농장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현황

1) 프로그램 목적

농촌교육농장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목적으로 ‘교 육’이 37.2%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산물판매’가 24.6%, ‘심 리적 치유(휴양)’이 10.6%로 나타났으며, ‘도농교류’가 9%, ‘음 식(식생활개선)’이 8%, ‘사회적재활(사회통합)’이 6%, ‘신체적재 활(기능회복)’이 4.5%로 나타났다(p=0.000)(Table 7).
Table 7.
Purpose of the program.
Item Nz (N=199) % χ2 p

Education 74 37.2 121.910 0.000***
Agricultural products sales 49 24.6
Psychological healing (recreation) 21 10.6
Social rehabilitation (Social intefration) 12 6.0
Physical rehabilitation (Functional recovery) 9 4.5
Urban rural exchange 18 9.0
Food (Improve eating habit) 16 8.0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2) 프로그램 활용자원

농촌교육농장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자원으로 가 장 많이 활용하는 것은 ‘식물’이 4.5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농촌환경 및 경관(산, 들, 강 등)’ 3.71점, ‘농산가공물’ 3.67점, ‘농작업’ 3.49점으로 세가지 자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고, 마지막으로 ‘동물’이 2.73점으로 통계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0)(Table 8).
Table 8.
Utilizing resources for programs.
Item Nz (N=199) M±SDy χ2 p

Plant 83 4.54±1.90cx 9.449 0.000***
Rural environment & scenery 83 3.71±2.02b
Agricultural processed 83 3.67±1.38b
Farm working 83 3.49±1.92b
Animal 83 2.73±2.20a

z Frequency.

y Mean±Standard deviation.

x Mean within colum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ANOVA.

3) 프로그램 개발 주체

프로그램 개발 주체는 Table 8과 같이 농장에서 자체적으로 협 의해서 개발 하는 것이 79%로 농업기술센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 아서 개발하는 것의 21%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0)(Table 9).
Table 9.
Main agent of program development.
Main agent Nz (N=81) % χ2 p

Farmers themselves 64 79 27.272 0.000***
Professional help 17 21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4) 프로그램 진행 주체

현재 농장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람은 농장주 본인이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가 56.6%로 가장 높았고, 농장주의 배 우자 22.9%, 배우자 외의 가족・친지가 13.3%로 나타났으며 가족 외 정규고용인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은 7.2%로 나타났고, 외 부전문가를 초빙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0) (Table 10).
Table 10.
Main agent of program progressing.
Main agent Nz (N=81) % χ2 p

Farmer 47 56.6 48.422 0.000***
Spouse of farmer 17 22.9
Other family relatives except spouse 11 13.3
Regular employee besides family 6 7.2
External experts 0 0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5) 프로그램의 수정 및 개선 주기

현재 농장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수정과 개선은 어떤 주기로 이 루어지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한 회기를 마치면 바로바로 수정해서 보완 한다’가 5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이 ‘1년 정도 운 영해 보고 수정해서 보완 한다’가 37.3%, ‘가급적 초기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편이다’가 4.8% 로 나타났다(p=0.000)(Table 11).
Table 11.
Improvement and revise cycle of program.
Cycle Nz (N=83) % χ2 p

Per every session 47 56.6 70.590 0.000***
Per 1 year 31 37.3
Maintenance 4 4.8
etc. 1 1.2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6)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방법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 평가는 Table 12와 같이 ‘특별히 평가하지는 않는다’가 53.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으로 ‘형식은 없으나 프로그램 평가 시간을 편성하거나 평가하는 기회를 만든다’가 27.7%, ‘설문조사표를 이용하여 만족도를 평가 한다’‘특별히 평가하지는 않는다’가 8.4%로 나타났으며, ‘홈페이 지나 블로그 등 SNS를 활용하여 참여자가 평가한 후기를 정리한 다’가 7% 로 나타났다(p=0.000).
Table 12.
Satisfaction evaluation method of program.
Method Nz (N=83) % χ2 p

Survey questionnaire 7 8.7 71.639 0.000***
Without evaluation form 23 27.7
Not rated 44 53.0
Social network service 7 8.4
etc. 2 2.4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7) 프로그램 대상

현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령은 Table 13과 같이초등학생 30.1%, 유아 26.5%, 중고생 23.6%, 성인 17.2%, 노인 2.6%로 나 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 중 도움이 필요한 유형 으로는 알콜약물중독자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체장애인 26.5%, 문제행동청소년 20.4%, 정신장애인 12.2%로 나타났다 (Table 14).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참여 집단 형태로는 학 교나 직장 단위의 단체가 9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5).
Table 13.
Participation ages in programs.
Ages Nz (N=250) % χ2 p

Elementary schoolchild 73 30.1 89.080 0.000***
Toddler 80 26.5
Teenager 68 23.6
Adult 24 17.2
Senior citizen 5 2.6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Table 14.
Type of participation who need assistance in the program.
Type of participation Nz (N=49) % χ2 p

Mental disorder 6 12.2 8.551 0.036*
Handicapped 13 26.5
Alcoholics drug addicts 20 40.8
Youth behavior problems 10 20.4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Table 15.
Group form of participate in the program.
Group form Nz (N=83) % χ2 p

School or work unit 79 95.2 218.060 0.000***
Family, relative 2 2.4
Alone (Individual) 1 1.2
etc. 1 1.2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8) 프로그램 참가인원

현재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동시에 참가하는 인원은 최대 100명에서 최소 10명, 평균 49.53명으로 나타났다(Table 16).
Table 16.
Number of people of participating at the same time in program.
Nz Max. Min. M±SDy

Number 76 100 10 49.53±19.14

z Frequency.

y Mean±Standard deviation.

4. 농촌교육농장주의 치유프로그램 도입 의사 및 목표 대상

치유 프로그램의 도입 또는 치유농장으로의 전환 의사가 있는지 에 대한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95.2%가 치유 프로그램의 도입 및 치유 치유농장으로 전환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Table 17).
Table 17.
Intend of introduction or transition to healing opinions.
Intend Nz(N=83) % χ2 p

Program Introduction 58 69.9 55.108 0.000***
Conversion to healing farm 21 25.3
No transition 4 4.8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향후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어떤 대상을 목표로 할 것인 지에 대해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상과 일반인 중 노인을 선택 한 비율은 2%로 가장 낮았고, 초등학생이 35.5%로 가장 높게 나타 났고, 다음으로 유아가 31.7%로 나타났다(Table 18).
Table 18.
Introduced healing program targets from now on.
Targets Nz (N=183) % χ2 p

Toddler 58 31.7 7 0.000***
Elementary schoolchild 65 35.5
Teenagers 26 14.2
Adult 23 12.6
Senior citizen 2 1.1
Family 3 1.6
ones who need special help 2 1.1
Not applicable 4 2.2

z Frequency.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Chi squire test.

치유 프로그램 도입 시 적정하다고 예상하는 동시 참여인원은 15명이 30.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명이 29.3%로 나타났 다(Table 19).
Table 19.
Number of people of participating at the same time for healing program from now on.
Number Nz (N=82) % χ2 p

5 4 4.9 7 0.000
6 1 1.2
10 24 29.3
15 25 30.5
16 1 1.2
20 20 24.4
30 6 7.3
35 1 1.2

z Frequency.

5. 치유체험 내용에 대한 요구

일반인들이 요구하는 치유 체험의 내용은 긍정적 감정, 즐거움, 감동, 자부심 등과 같은 기분과 감정을 자극하는 감성체험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0), 다음으로 감각체험, 관계체험, 인지체험, 행동체험 순이었으나 네 가지 체험 유형 간 요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20).
Table 20.
Experience contents for healing in the general public population.
Experience type Nz M±SDyx F p

Sensory 599 4.21±0.83ax 15.365 0.000***
Emotional 598 4.51±2.19b
cognitive 594 4.04±.83a
Active 594 4.03±0.89a
Relative 594 4.11±0.87a

z Frequency.

y Mean±Standard deviation.

x Mean within colum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t p=0.05 according to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 Significant at p<0.001 level by ANOVA.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조기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치 유 프로그램을 농장 단위에 도입하기 위하여 기존 인프라로서 농촌 교육농장 운영여건을 파악하여 현재의 운영여건을 활용한 치유 프 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에 참여한 농촌교육농장주의 95.2%가 치유 프로그램의 도 입 및 치유농장으로의 전환을 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농촌교육농장 에 도입될 치유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결과에서 나타난 내용들 을 아래와 같이 고찰하고 제언하고자 한다.

1. 농촌교육농장의 운영목적을 고려한 치유 프로그램의 방향

조사대상 농장이 농촌교육농장임에도 불구하고 운영목적으로 ‘생산가공판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 로그램의 목적도 ‘교육’ 다음으로 ‘농산물 판매’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어떤 프로그램을 도입하더라도 농장의 운영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농업활동을 통한 수익의 창출이라고 여겨진 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 증대를 통 하여 경제적 안정을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Son(2007)의 연 구와 같이 향후 개발될 치유 프로그램을 통하여 대상자의 프로그램 참여에 의한 농장의 직접적 수익 뿐만 아니라 생산가공품의 구입 욕구가 향상될 수 있도록 농장 생산물을 프로그램에 연계 사용하 고, 치유 효과를 주관적, 객관적으로 검증 제시하여 프로그램에 대 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2. 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고려한 농촌교육농장의 기반 시설

농촌교육농장은 품질인증 과정으로 인하여 기본적인 교육환경 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안전관리 및 보험 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 서 치유농업 특히 치유농장 모델을 조기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자 원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함에 있어 치유환 경의 요소는 사용자의 신체크기, 자세, 이동성에 관계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손이 닿을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적정 크기와 공간 이 제공되어야 한다(Cha, 2012). 따라서 참여자들의 안전이 확보 된 기존의 농촌교육농장 인프라에 신체장애인의 재배활동을 고려 한 높임화단(raised bed) 또는 변형된 도구(adapted tool)를 도입 할 경우 신체장애를 가진 대상의 치유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므 로 치유농업 기반시설 확충 시 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3. 치유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농업농촌자원 활용방안

위 결과에 따르면, 농촌교육농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농업농촌자 원은 식물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의 대부분의 농장에서 식 물이 활용되어지고 있었고, 동물을 활용하는 농장이라고 할지라도 식물이나 환경/경관 자원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것으로 여겨 진다. 치유농업은 식물, 동물, 농산가공물, 농작업, 농촌환경/경관 등 다양한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데 그 범위가 다소 넓고 복잡하여 각 영역을 단기간에 충분히 정립해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 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식물자원을 중심으로 한 치유 프로그 램의 개발을 단기적으로 먼저 정리해 가는 것이 치유농업 조기 정 착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교육농장에 도입되어야 할 치유 프로그램은 새로운 분야의 개발이라기보다는 기존의 학문을 융복합 하고 기존의 산업분야를 확장, 보완하여, 이를 농업농촌자원과 통합한다는 의미가 더 크다. 따라서 식물자원을 중심으로 한 치유 프로그램은 기존 원예치료 학 문분야와의 통합 및 차용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지며, 농촌환경/ 경관이 자원일 경우에는 환경 심리학, 치유정원, 치유경관적 관점 의 접근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농식품 관련 자원을 활용할 경우에 는 약/특용 작물뿐만 아니라 치료식이/식단 연구, 영양학적 연구 분 야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동물자원을 치유 프로그램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동물매개치료 분야와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이 농촌교육농장에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하 기 위해서는 관련한 각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업 및 협력을 위한 개 방된 자세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농촌교육농장에 도입될 치유 프로그램 실시 대상 및 크기

1) 프로그램 대상

현재 농촌교육농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램의 대상은 특 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상이라기보다는 일반인들 전 연령대를 대상 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유아, 초등생을 대상으로 대 부분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농촌교육농장의 특성상 학교 교육과정 과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본래의 목적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유아, 초등학생 등은 이미 확보된 대상으로, 기 확보된 대상 을 위한 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도입과 함께, 중고등학생, 성인, 노 인,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까지 향후 확장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치유 프로그램 도입 시 주목표 대상으로도 유아 및 초 등학생의 선호가 유의하게 높았던 것으로 보아, 대상자 파악 및 다 루는 기술 등에 익숙한 기존 참여 인원에게 치유 프로그램을 먼저 도입하는 것이 부담이 적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들을 위한 치유 프 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상 보다는 일반인들이 선호되는 것으로 보아 단기적으로 초기단계에 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고, 중장 기적으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대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프로그램 참가인원

프로그램에 동시 참여하는 인원은 많게는 100여명까지인 것으 로 파악된다. 그러나 향후 치유 프로그램 도입 시 적절하다고 생각 하는 집단의 크기는 15명 정도로 나타났다. 집단상담에서는 6~12 명(Liebmann, 1986), 7~8명(Yalom, 1995)을 집단크기로 제안 하고 있는데, 이는 농장주가 생각하는 적절한 치유 프로그램 집단 규모와 일치하는 부분으로, 집단 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있는 농촌 교육농장주는 이미 적정 집단 크기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산림치유에서도 치유프로그램 개발 시 6-10명 또는 5명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고 있다(Kim, 2016). 따라서 치유프로그램 도입 시 적절한 집단 크기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농촌교육농장의 평균 동시 참여인원이 45명임을 감 안하면 15명은 3분의 1수준이 된다. 이때 프로그램 참가비가 기존 체 험비 수준이라면 수익이 3분의 1로 줄어든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 서 수익률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은 수가 참여하는 프로그램 임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를 높여야 하는 과제가 있다.
치유 프로그램으로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 특성 및 요구와 목적이 반영된 맞춤형 중재를 포함한 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그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질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반응을 반영하여 수시로 수정, 개선하며 프로그램 만족도 및 이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5. 농촌교육농장에 도입될 치유 프로그램 수행 인력

개발・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상시적 개선 및 객관적 평가를 통한 질 향상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는 프로그램의 운영인력 일 것이다.
현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인력은 상근과 비상근으로 나누 어지며, 상근, 비상근 모두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전문적 소양을 갖 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농장주나 농 장 내부인력이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 (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가 발행하는 민간자격인 복지원예사 자 격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사)한국원예치 료복지협회 발행 복지원예사 2급은 전문학사이상, 110시간의 이 론 및 60회 이상의 실습과 워크숍, 세미나 참석, 학회발표 등의 과정 을 거쳐 자격을 취득하므로(You, 2016), 농촌교육농장에서의 프 로그램 진행 소양을 이미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 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 순발력, 융통성 등과 같은 기본 소양 이외에 치유/치료 문제 파악, 중재에 대한 지식 및 기술습득을 보완한다면 현재 인력을 치유 프로그램 진행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치유 프로그램 초기 도입 단계에서는 현재 운영 인력이 치 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역량을 갖추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가정 하 에 외부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전 문가로는 복지원예사, 동물매개심리치료사, 푸드세라피스트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치유농업과 관련한 전문자격 제도가 정착되 기 이전에는 기존의 전문인력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기존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수정・보완하는 접근이 시간과 예산의 낭비를 막아 치 유농업 조기 정착에 기여하리라 여겨진다.

6. 농촌교육농장에 도입될 치유 프로그램 개발 방안

농촌교육농장에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 한 다양한 운영방안에 대한 고려 뿐만 아니라 어떤 내용을 담은 프 로그램을 적용할 것인지? 어떤 내용이 담긴 프로그램이 치유 프로 그램인지? 등에 대한 고려와 개발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반 이론을 사용할 수 있으 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하여 Schmitt(2003)가 제시한 ‘체험을 구성하는 5가지 전략적 체험모듈’에 기반하여 조 사를 진행하였다.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5가지 체험 모듈 모두가 마케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다는 Park & Hwang(2005)의 연구와 같이 각 각의 체험 모듈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는 긍정적 감정, 즐거움, 감동, 자부심 등과 같은 기분과 감정을 자극하는 감성체험을 경험했을 때 치유되었다고 느낀다고 유의하 게 응답하고 있고, 기존 농촌교육농장의 프로그램들은 교육목적으 로 교과과정과 연계되다 보니 인지체험이 강조되는 면이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농촌교육농장에 도입될 치유 프로그램 내용은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서 감성체험의 양을 늘리고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치유 프로그램 참여 대상이 가진 치유 문제가 신체, 인 지, 심리, 사회 등 어느 영역인지 등을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체험 내 용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는 개별적이고 대상자 중심형 프로그 램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치유농업활성화 전략 중 우리나라에서 추구해야할 목적의 우선 순위에 대한 분석결과, 치유농업 전담조직 구축 및 치유시설 확대 와 관련된 조직 차원의 전략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Gim et al., 2013).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담조직 구축 등 운영 시설에 대한 관리 경험을 가진 기관과 인력이 정책적으로 이를 풀 어가야 할 것이다. 이에 농촌교육농장은 농촌진흥청에서 인증하는 사업이니 만큼 조직, 운영, 관리라는 정책적 차원의 지원 뿐만 아니 라, 농업자원, 교육운영자,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육서비스와 관련한 기본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치유농업 특히 치유농 장 모델을 조기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진다. 이에 농 촌교육농장의 인프라를 활용하고 치유를 위한 체험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농촌교육농장의 새로운 활로 모색 및 치유 농업의 조기 정착에 이바지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적요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조기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기 존 농촌교육농장의 인프라를 활용한 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 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농장의 운영목적은 생산가공판매, 교육, 치유 순로 나타났으며, 생산가공판매(p=0.000)가 가장 높았다. 모든 농장에서 안내판 또 는 게시판을 보유하고 있었고, 주차장, 남녀 구분된 화장실, 세면대 는 90%이상 보유하고 있었다. 휠체어 장애인 이용가능 재배시설 보유 농장은 9.6%로 나타났다. 경영주를 포함한 상시근무직원은 최소 1명에서 최대 10명까지로 평균 3.7명이 근무하였고, 보유자 격으로는 복지원예사가 가장 높았다. 농장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의 목적으로는 교육이 가장 높았고, 농산물 판매, 심리적 치유・휴양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원은 농산물가공물(p=0.000)이며, 동물, 농작물 순으로 나타났 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이 농장에서 자체적으로 협의해서 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장주 본인이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정규고용은 6.7%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 령은 초등학생, 유아 순이고, 학교나 직장단위로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도움이 필요한 대상은 알콜 약물중독자, 지체 장애인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 농장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동시에 참가하는 인원은 최소 10명에서 최대 100 명으로 나타났다. 79%의 농촌교육농장주가 치유 프로그램의 도 입 또는 치유농장으로의 전환 의사가 있었고, 향후 치유 프로그램 도입 시 접근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 고 동시 참여가능 인원은 15명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인들이 요구 하는 치유 체험의 내용은 긍정적 감정, 즐거움, 감동, 자부심 등과 같은 기분과 감정을 자극하는 감성체험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p=0.000). 이와 같은 농촌교육농장의 인프라를 활용하고 치 유를 위한 체험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농촌교육농 장의 새로운 활로 모색 및 치유농업의 조기 정착에 이바지 할 수 있 으리라 여겨진다.

REFERENCES

1. Cha IS.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healing garden and the status of spatial and using programs in the ourdoor space of elderly care facilities. MS thesis Chonnam Natl. Univ. Gwangju Korea. 2012.

2. Europ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http:// www.cost.eu 2010.

3. Gim GM, Moon JH, Jeong SJ, Leem SM.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 - healing in Korea. J. Agr. Ext. Community Dev 2013;20(4): 909–936.
crossref
4. Han SR. Study on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rural educational farm on the visit intention. MS thesis Sangmyung Univ. Cheonan Korea. 2016.

5. Kim YH. The analysis od needs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2): 129–137.
crossref
6. Kwak BJ.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constraints affecting visit’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revisit educational farms. PhD Diss. Kumoh Natl. Inst. of Technology. Gumi Korea. 2015.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ttp://www.mafra.go.kr 2016.

8. Park SY, Hwang JE. Effect or in-store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digital experience center. J. Bus. Adm 2005;30(2): 69–92.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ural educational farm map using manual wor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008.

10. Schmitt BH.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a revolutionary approach to connecting with your customer. 2003. NJ USA: Wiley and Sons.

11. Seok H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based on Seochon-gun Chung cheong nam-do. MS thesis Kongju Natl. Univ. Kongju Korea. 2010.

12. Shin YS. Propulsion and direction of the rural education farm. Dairying and Beef 2007;27(8): 167–173.

13. Son GH. An activation plan of local economy based on th green-tourism. PhD Diss. Kumoh Natl. Inst. of Technology. Gumi Korea. 2007.

14. Son JD.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 attitudes, behavioral inten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S thesis Jeonju Univ. Jeonju Korea. 2014.

15. You NY. Analysis on the actual job performance for occupational specialization of horticultural therapist.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16.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1,779 View
  • 9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