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4); 2016 > Article
울산광역시 대왕암 공원의 관속식물상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est by analysis the vascular plant in Daewangam park. The vascular plant in Daewangam park was 204 taxa, 73 families, 156 genera, 183 species, 2 subspecies, 4 forma, and 15 varieta. Among them, seashore plants accounted for 6.4% of total plants and they were 13 taxa such as Andropogon ischaemum and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the Pteridophyte index (Pte-Q) was 0.49. The plants of Compositae, Rosaceae, Graminea, Leguminosae, and Liliaceae showed high distribution. Korean endemic species were 3 taxa such Campanula takesimana, Aster koraiensis and Forsythia koreana. Three rare species of Campanula takesimana, Magnolia kobus and Glehnia littoralis listed as rare plants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found in Daewangam park.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18 taxa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Bidens frondosa, and so on, and Naturalization index was 8.8%. The specific species of I~V grades by phytogeography were 28 taxa including Campanula takesimana, Magnolia kobus, Rubus ribisoideus, and so on.

서론

21세기는 경제성장・문명의 발달 등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이 풍 요로워져 여가・휴양・산림치유(therapy)등 자연자원의 이용과 활 용에 의한 삶의 질 향상을 더욱 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추 세는 도시생활의 정신・육체적 피로 및 각종 질병에 따른 결과일 것 이다. 도시 숲, 휴양림을 포함한 산림은 자연치유의 역할을 담당하 고 있으며, 시민들의 수요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도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산림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도 증 가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 주변 산림의 필요성이 증가할수록 자연 환경 파괴는 비례적으로 극심해지고 있는데, 특히 해안지역은 각종 개발과 탐방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생태계의 건강성이 지속적으 로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안림은 바닷가에 인접한 산림으로 식물, 생물, 인간 등이 해안 의 파도, 염분, 바람 등의 환경에 적응하여 여러 생물종으로 이루어 진 숲으로, 인간의 정주생활 보호, 자연재해 방지 또는 완충, 생물서 식, 목재생산, 레크리에이션, 경관보호, 전통신앙 등의 중요한 공간 이다(Kim and Kim, 2015). 해안림은 내륙부의 숲과는 다르게 영 향 범위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물리적 특징이 있어 작은 변화에도 생태계 균형이 붕괴될 가능성이 높아 장기간에 걸쳐 생태계에 영향 을 미치게 되며, 해안식생은 내륙부의 산림생태계에 비해 환경변화 에 의한 생물상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된다(Oh et al., 2005). 곰솔(Pinus thunbergii)은 내염성과 내조성이 강하여 해안지역에 서의 생육이 양호하여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 에(Kim, 2010; Kim et al., 2012), 우리나라 해안림의 주요 우점수 종은 곰솔이며(Kim, 2004), 교목층은 곰솔 단순림으로 이루어져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해안림의 자연재 해 예방과 관련된 연구로 Im et al.(2009)은 해안림에 의한 풍속저 감 효과를 보고한 바 있으며, Lee and Kim(2014)은 폭풍해일이나 지진해일에 대한 해안림의 방재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하지만, 최 근 급증하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등에 의한 피해로 다양한 공익적 기능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생태적 특성이나 임분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Park et al., 2008, Kim et al., 2015).
식물종은 기상인자, 생물인자 등 다양한 환경인자의 영향과 이 들 인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일차적인 종구성이 결정되어 그 환 경에 적응한 생태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생태계에 대한 육성, 보 호, 관리는 자연환경 유지 및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도 아주 중요하 며(Otto, 1994), 이를 위해서는 해당 생태계의 생물상을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해안림에서의 연구는 주로 생태적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대한 조사가 많이 이루어졌다. Kim et al.(2012)은 우리나라 동위도지역(동해 안, 서해안) 해안림의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Shin et al.(2015)은 중․서부 해안식생의 식생유형과 식물상, Kim(2015)은 서해안 주 요 해안림의 식생, Song(2011)은 경남 남해군 일대의 생태적 특성, Kim(2004)은 강원도 동해안 해안림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를 조사 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우리나라 해안림의 향후 천이과정을 예측함 에 있어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고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곰솔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Kim and Choi(2007)은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생태적 특성 에 대한 연구에서 교목층은 곰솔, 아교목층은 사스레피나무와 천선 과나무가 우점종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대왕암공원의 곰솔림은 1906년 울기등대 건설 당시 식재된 장령림으로, 수관층 발달이 빈약하고, 수목 생리 적으로 쇠퇴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내・외부의 요인으로부터 민 감하다. 또한 최근의 소나무재선충병, 태풍 등으로 토사유출의 문 제가 발생하고 있고, 해일, 염해 등의 피해는 물론 기후변화에 의한 해송림의 쇠퇴・노령화에 의한 숲 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대왕암공 원은 식생・경관・휴양 등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 히 대도시의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장기적이고 효율 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본적인 생태정보가 제공되어야 하지만, 대왕암공원 곰솔림의 생태적 특성을 구명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항구도시인 울산광역시의 대표적 해안림인 대왕암공 원 내의 식물상 현황을 조사하여, 해안공원의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대왕암공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06 년 울기등대 건축과 함께 러・일전쟁 당시 해군부대가 이곳에 상주 하면서 인공적으로 곰솔 15,000본을 식재한 인공해안림이다. 1962 년부터 울기공원으로 불리다 2004년 대왕암공원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 942,000m 3의 면적에 삼면이 해안으로 둘러싸인 절경으로 울산 12경 가운데 한 곳으로 경승지이다. 대왕암공원은 왕벚나무 등 낙엽활엽수와 혼효 되어 있는 구역, 곰솔 대경목 중심의 구역 그리고 해안가의 곰솔 묘 목 식재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사는 대왕암공원 전체를 대 상으로 하였다(Fig. 1). 대왕암공원은 전국에서 연간 200만명 이상 의 탐방객이 찾아오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시해안공원이며, 지 속적으로 증가하는 많은 탐방객으로 인해 생태교란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주된 탐방로 이외의 소로, 체육시설 및 편의시 설 확충, 공원 입구의 어린이 체험공간 확대, 주차장과 상가신축 등 으로 2004년 71.4%(Ulsan Metropolitan City, 2004)였던 녹지 면적이 2015년 GPS CM90+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4.7%로 줄 어드는 등 개발압력이 지속적으로 가중되고 있다. 최근 30년간 (1986~2015)의 기상자료에 의하면 대왕암공원의 연평균기온은 14.4°C, 연강수량은 1275.5mm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The survey area of this study.
KSPPE-19-363_F1.gif

2. 조사방법

대왕암공원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는 2015년 5월부터 12월 까지 현지조사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하여 주요 탐방 로 부근에 식재된 식재종을 포함한 모든 관속식물을 기록하였고, 일부 종은 채집 혹은 사진으로 기록하여 실험실로 운반 후 동정하 였다. Fuller와 Tippo의 관속식물계를 따른 원색대한식물도감(Lee, 2003)에 준하였고, 속 이하의 분류계급은 알파벳 순으로 기록하였 으며, 이때 사용된 학명은 Korea National Arboretum(2007)에 따랐다. 특정 지역의 식물상은 해당 지역의 생태계적 위치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생태적 지표이며, 식물상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 인 분석과 평가를 위해서는 식물상을 활용한 지수개발이 필요하다 (Oh and You, 2012).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귀화율, 양치식물계수 등이 사용되었다. 작성된 소산식물목록을 기초로 하여 특산식물은 Oh et al.(2005), 희귀식물은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귀화식물은 Lee et al.(2011)을 이용하였다. 환경의 교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치식물계수[(Pte-Q: 25x(양치식물 종 수/총 분류군 수)]를 구하였으며(Raunkiaer, 1934), 귀화식물에 의한 환경교란 및 간섭을 해석하기 위하여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귀화식물종수/관속식물종수×100)을 산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식물상

대왕암공원의 산림 및 녹지의 식물상은 73과 156속 184종 2아 종 3품종 15변종 등 총 20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분류 체계별 현황은 양치식물과 나자식물이 4분류군, 단자엽식물이 27 분류군, 쌍자엽식물이 16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중 해안성 식 물은 바랭이새, 번행초, 꽝꽝나무, 팔손이, 송악, 섬초롱꽃, 해국, 목 련, 구골나무, 갯질경이, 갯까치수염, 다정큼나무, 계요등 등 총 13 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수종의 6.4%에 해당하였다. 관속식물의 구 성 비율은 양치식물 1.96% : 나자식물 1.96% : 단자엽식물 13.2% : 쌍자엽식물 82.8%로 우리나라 전체 구성비율인 6.88% : 1.56% : 69% : 22.62% : 69%(Korea National Arboretum・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와 비교하면 양치식물과 단 자엽식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쌍자엽식물 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를 북부, 중부, 남부로 구분 할 때 쌍자엽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중부지역의 특성이 나타 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08). 양치식물은 비교적 교 란이 적은 고온다습한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자연파괴 정도를 확 인하고자 할 때 이용되는 분류군이다(Oh and You. 2012). 양치식 물계수(Pre-Q=양치식물종수/관속식물종수×25)는 0.49로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서해안 주요 해수욕장 부근(Kim, 2015), 동위도 지역인 태안과 울진, 강화와 강릉(Kim et al., 2012), 남해 일대(Song, 2011) 해안림 지역의 0.2-0.5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산림지역의 1.0(Kim et al., 2012) 전후와 비교하면 아주 낮은 것으 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해안림을 찾는 탐방객으로 인한 교란과 교 란지에는 분포하지 않는 양치식물종의 생태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별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국화과가 가장 많은 31분류 군(15.2%), 장미과 14분류군(6.9%), 벼과 11분류군(5.4%), 백합 과 9분류군(4.4%), 콩과 8분류군(3.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안 림에서 국화과, 벼과, 백합과 식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우리나라 남해안(Song, 2011), 서해안(Kim, 2015), 동위도(同緯 度) 지역의 동해안과 서해안(Kim et al., 2012)에서도 동일한 결과 가 보고된 바 있어 본 조사지도 전형적인 해안림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국화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국화과 식물 은 결실량이 많고 종자의 산포에 유리한 날개가 달려 있어 멀리 퍼 지기 쉬워 상대적으로 번식에 유리한 조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 다. 종/속 비율은 식물의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한 방법으로 본 조사 지에서는 1.31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동위도 지역의 동해안 과 서해안의 1.52-1.53(Kim et al., 2012)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 고, 서해안의 1.34(Kim, 2015), 남해안의 1.24(Song, 2011)과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조사지의 인근지역인 목도의 1.19(Kim et al., 2001)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The taxonomic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study area.
Taxa Fam. Gen. Sp. Subsp. For. Var. Total

Pteridophyta 4 4 3 0 0 1 4
Gymnospermae 2 3 4 0 0 0 4
Angiospermae
 Monocotyledonea 9 21 24 0 0 3 27
 Dicotyledoneae 58 128 153 2 3 11 169

Total 73 156 184 2 3 15 204

2. 특산식물

대왕암 공원의 특산식물(Endemic plants)은 식재종인 개나리 를 포함하여 섬초롱꽃, 벌개미취 등 3분류군으로 조사되어(Table 2), 전체종의 1.5%에 해당하는 아주 적은 분류군이었다. 산림지역 에서의 소산식물 대비 특산식물 비율(Kim et al., 2012; Choi et al., 2015) 보다도 아주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대왕암 공원뿐 만 아니라 기존 해안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Song, 2011; Kim et al., 2012). 이는 환경조건이 다양한 산림지역에 비해 해안림은 비교적 균일한 환경특성에 의한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한 반도라는 특수한 환경에 적응하여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해 온 다 양한 유전정보가 새겨진 분류군이다. 종다양성 및 유전적 다양성은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한 자원이며 대왕암의 고유한 환경특성 을 반영한 중요한 지표종이기도 하기 때문에 식재종을 포함한 특산 식물 3분류군의 생육상황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 한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탐방로 주변에 인위적으로 식재 된 개나리의 경우 탐방객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주요 탐방로 이외 구역에 대한 이용제한 등의 관리 및 안내판 등을 이용하여 특 산식물에 대한 기본 정보를 탐방객에게 제공하여 식물자원의 중요 성을 알릴 필요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The list of endemic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Campanulaceae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Compositae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3. 희귀식물

희귀식물(Rare plants)은 아주 국한된 지역에서 최소한의 개체수 가 생육하여 흔히 볼 수 없는 식물을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Korea Forest Service(2008)가 지정한 희귀식물인 섬초롱꽃, 목련, 갯방 풍 등 총 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Table 3) 전체 조사지역에 출현 한 204종의 1.47%에 해당한다. 본 조사지는 다른 해안림에 비해서 도 희귀식물 분류군이 아주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은 군 집 크기가 작고 경쟁력이 약하며, 지리적 범위가 상대적으로 협소 하여 경쟁력이 약하고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손실에 민감하게 반응 하기 때문에 보전을 위해서는 유전적 다양성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한 조사가 필요한 종이다(Walck et al., 1999; Huang et al., 2008). 대왕암 공원 내 3종의 희귀식물을 대상으로 생육상황 조사 와 병행하여 분포지 주변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희귀식물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목련은 숲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인접지에 위치하고 있 어 토양답압이 아주 심하기 때문에 희귀식물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개체목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하여 토양 견밀도를 완화시키는 등의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3.
The list of Korean rare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Rare plant list (2010)
Campanulaceae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Least Concerned (LC)
Magnoliaceae Magnolia kobus A.P. DC. 목련 Critically Endanegred (CR)
Umbelliferae Glehnia littoralis F. Schmidt ex Miq. 갯방풍 Least Concerned (LC)

4. 귀화식물

귀화식물(Naturalized plants)은 외국을 원산지로 하는 식물이 어떤 매개체에 의해 국내에 들어와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 대부분 양지식물로서, 주로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한 직사광선이 잘 닿는 도시내부, 도로변, 하천변, 황무지, 임도주변에서 발견된다. 귀화식 물의 분포는 자연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간섭정도를 직접적으로 반 영하는 지표이며 식물상 조성의 변화와 자생식물과의 경쟁관계 등 을 나타내기도 한다(Oh and Kim, 2008). 본 연구에서 확인된 귀화 식물은 유럽점나도나물, 미국가막사리, 망초, 주홍서나물, 붉은서 나물, 개망초, 털별꽃아재비, 방가지똥, 오리새, 족제비싸리, 아까 시나무, 달맞이꽃, 미국자리공, 애기수영, 소리쟁이, 가죽나무, 도 깨비가지, 종지나물 등 총 18분류군으로 전체 귀화식물 321분류군 (Lee et al., 2011)의 5.6%에 달한다(Table 4). 본 조사지의 귀화율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물의 전 종수)은 8.8%로, 중・서부 해안림 의 6.6%(Shin et al., 2015), 동위도 지역 동・서해안 해안림의 7.1%(Kim et al., 2012), 남해안 해안림의 3.7%(Song, 2011) 보 다는 높았으나, 인근 지역인 목도의 10%(Kim et al., 2001) 보다는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귀화도는 2등급이 2분류 군, 3등급이 5분류군, 4등급이 1분류군, 5등급이 10분류군이었으 며, 귀화시기는 1기가 9분류군, 2기가 1분류군, 3기가 8분류군으 로 조사되었다. 귀화도가 4등급 이상이면서 이입시기가 3기인 식 물은 전국적으로 분포가 확산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한 종으로 알려지고 있는데(Lee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유럽 점나도나물과 종지나물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의 침입 은 모든 생태군집이 취약하지만 해안공원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많 은 사람들의 접촉에 의해 귀화식물 종수와 개체수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자생식물 위주의 생태계 유지를 위해 귀화식물 제거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Table 4.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N.Dz Int.P.y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5 3

Composit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5 3
Conyza canadensiss L. 망초 5 1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주홍서나물 2 3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3 3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5 1
Galinsoga ciliata (Raf.) Blake 털별꽃아재비 3 3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3 1

Gramin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5 1

Leguminos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5 2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5 1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Jacq. 달맞이꽃 5 1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3 3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3 1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5 1

Simaroubaceae Ailanthus altissima Swingle 가죽나무 5 1

Solanaceae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2 3

Violaceae Viola papilionacea Pursh 종지나물 4 3

z N.D.: Naturalized degree (2: local and not abundant, 3: common but not abundant, 4: local but abundant, 5: common and abundant).

y Int.P.: Introduced period (1: 1876-1921, 2: 1922-1963, 3: 1964- the present).

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Specific plant species)은 식물이 분포 하는 지역의 범위에 따라서 5개 등급으로 구분한 것으로, 우리나라 4,200여종의 관속식물 중 1,258분류군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에 해당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2). 이러한 등급 구분 은 서로 다른 지역의 환경을 서로 다르게 표현해주고, 서로 유사한 지역의 환경은 서로 유사하게 표현해 주는데 이용된다(Takthajan, 1986). Kim(2000)은 식물구계를 중부아구, 남부아구, 남해안아 구 및 제주아구 등 4개 아구로 구분하여, I등급은 4개 아구 중 3개의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 II등급은 1,000m 이상인 지역에 분 포하는 분류군, III등급은 4개 아구 중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 군, IV등급은 4개 아구 중 1개의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V등급 은 고립 또는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포가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V등급은 섬초 롱꽃, 목련, 섬딸기 등 총 3분류군, III등급은 꽝꽝나무, 팔손이, 털 머위, 가시나무, 다정큼나무, 탱자나무 등 총 7분류군, II등급은 톱 풀 1분류군, I등급은 번행초, 송악, 초롱꽃, 사철나무, 해국, 돌외, 보리장나무, 가래나무, 광나무, 전나무, 돈나무, 개대황, 까치수염, 갯까치수염, 동백나무, 갯방풍, 거지덩굴 등 총 18분류군이 나타나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특이성이 높고 분포지에 대한 상세한 조사가 필요한 III~V등 급은 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종 보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기도 하며(Ko et al., 2013), 해안림의 식물상 조사 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목록을 제시하 고 점수를 부여하는 등 생태적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어(Song, 2011; Shin et al., 2015) 많은 탐방객에 의한 인간의 간섭이 심한 본 조사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을 분류하기 위해서라도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Table 5.
The list of floristic special plants in the investigated area.
Family name Scientific-Korean name Degree
Campanulaceae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IV
Magnoliaceae Magnolia kobus A.P. DC. 목련
Rosaceae Rubus ribisoideus Matsumura 섬딸기
Aquifoliaceae Ilex crenata Thunb. 꽝꽝나무 III
Araliaceae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팔손이
Compositae Farfugium japonicum Kitamura 털머위
Fagaceae Quercus myrsinaefolia Bl. 가시나무
Rosaceae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Makino 다정큼나무
Rutaceae Poncirus trifoliata Rafin. 탱자나무
Compositae Achillea alpina Ledeb. 톱풀 II
Dryopteridaceae Cyrtomium falcatum (L. f.) Presl 도깨비쇠고비 I
Pinaceae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Aizoaceae Tetragonia tetragonoides O. Kuntze 번행초
Araliaceae Hedera rhombea Bean 송악
Campanulaceae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Celastraceae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
Compositae Aster sphathulifolius Maxim. 해국
Cucurbitaceae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돌외
Elaeagnaceae Elaeagnus glabra Thunb. 보리장나무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Oleaceae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
Pittosporaceae Pittosporum tobira Ait. 돈나무
Polygonaceae Rumex longifolius DC. 개대황
Primulaceae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까치수염
L. mauritiana Lam. 갯까치수염
Theaceae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Umbelliferae Glehnia littoralis Fr. Schm. 갯방풍
Vitaceae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거지덩굴
대왕암공원의 식물상을 분석한 결과, 특산식물, 희귀식물 및 식 물계학적 특정식물에 비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현장조사를 통해 특산식물,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귀화식물은 주 로 탐방로 부근에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지 속적인 이용객의 증가와 공원의 시설 증축・개발과정에서 인위적 인 간섭이 늘어나 귀화식물의 침입이 가능해졌을 것이라 판단된다. 대왕암공원은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으로 풍해, 염해 등 자연적 요인과, 탐방객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인간의 접촉과 개발의 인위적 요인 때문에 귀화식물의 개체수가 일반적인 산림에 비하여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 여 특산식물, 희귀 및 멸종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귀화식물 을 관리하여야 하고, 대왕암공원이 지니는 해안림으로서의 생태 적, 문화적 가치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변화를 위해 힘써야 할 것으 로 사료된다.

적요

본 연구는 대왕암공원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해안림의 합 리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 왕암공원의 관속식물상은 73과 156속 184종 2아종 3품종 15변종 등 총 20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안성 식물은 바랭이새, 번행 초 등 13분류군으로 전체 소산식물의 6.4%의 비율로 나타났다. 과 별 분포현황은 국화과, 장미과, 벼과, 콩과, 백합과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치식물계수는 0.49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섬초롱꽃, 벌개미취, 개나리 등 3분류군으로 전체 출현 종의 1.4%에 해당하였다. 희귀식물은 섬초롱꽃, 목련, 갯방풍 등 3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유럽점나도나물, 미국가막사리 등 1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8%로 나타났다. 식물구 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IV등급은 섬초 롱꽃 등 3분류군, III등급은 꽝꽝나무, 팔손이, 털머위 등 7분류군, II등급은 톱풀 1분류군, I등급은 번행초, 송악, 초롱꽃 등 18분류군 이 나타났다.

REFERENCES

Choi, D.S. Son, D.C. Park, B.K. Ko, S.C. 2015. Flora of Mt. Hambaek-san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Korean J. Plant Taxon. 45: 72-9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 Precision investigation for designation of scenic beauty of excellent resourc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aejeon, p. 202-216.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2011. Guideline and fundemental concepts for the management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control of the number of trees and utilization of invading broadleaved trees. Tsukuba, Japan. p. 55.

Huang, Y. Ji, K. Jiang, Z. Tang, G. 2008. Genetic structure of Bexus sinica var. parviflora, a rare and endangered plant. Sci. Hortic. (Amsterdam) 116: 324-329.

Im, S.J. Lee, S.H. Kim, D.Y. Hong, Y.J. 2009. Numerical simulation of the wind speed reduction by coastal forest belts. J. Korean Env. Res. Tech. 12: 98-105.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 163-198.

Kim, D.G. 2010.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Kor. J. Env. Ecol. 24: 209-221.

Kim, D.G. Kim, Y.S. 2015.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coastal forests in Korean Peninsul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5: 41-42.

Kim, H.J. Jeong, S.H. Hwang, C.H. Kim, H. Choi, S.M. Lee, S.H. 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J. Agric. Life Sci. 46: 71-81.

Kim, I.S. 2004. Flora and stand structure of coastal forests on the east-coast in Gangwon-do. MS thesis, Kangwon Natl. Univ., Chuncheon, Korea.

Kim, J.H. Kim, Y.H. Yoon, C.Y. Kim, J.H. 2008.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Kor. J. Env. Eco. 22: 481-504.

Kim, M.H. 2015. The study on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west coast. MS thesis, Chonbuk Natl. Univ., Jeonju, Korea.

Kim, N.Y. Choi, H.J. Kim, Y.S. Lee, H.B. Son, H.J. Park, W.G. 2012. Flora of the coastal forests on the same latitude of east and west coast in Korea. J. For. Sci. 28: 118-136.

Kim, S.H. Choi, S.H. 2007. The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21: 67-73.

Kim, S.W. Chun, K.W. Park, K.H. Lim, Y.H. Yun, J.U. Kwon, S.M. Youn, H.J. Lee, J.H. Teramoto, Y. Ezaki, T. 2015. The necessity and method of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the shape ratio of Pinus thunbergii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s in South Korea. J. Korean For. Soc. 104: 411-420.

Kim, Y.S. Kim, N.Y. Kim, Y.S. Lee, H.B. Kim, S.C. Kim, J.H. Park, W.G. 2012.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J. Korean For. Soc. 101: 226-235.

Ko, S.C. Choi, D.S. Son, D.C. Park, B.K. Kim, T.H. 201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hwang (Gyeongsangnam-do). Korean J. Plant Taxon. 43: 146-16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Actual condition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in Korea. Research material no. 483. p.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33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y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534

Lee, S.D. Kim, M.J. 2014. Effects of disaster prevention of a coastal forest considering wave attenuation ability. J. Korean Soc. Hazard Mitig. 14: 381-38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ant Taxon. 41: 87-101.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Gwacheon and Incheon. p. 114-155.

Oh, B.U. Jo, D.G. Kim, K.S. K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Oh, H.K. Kim, H.J. 2008. The plant resources of the sand dune on southern coast and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our. 21: 374-387.

Oh, H.K. Kim, Y.H. Lee, W.K. 2005. Studies on the vascular plants of the seashore Baeklipo-Uihangri. Taean Peninsula. J. Kor. Insti. For. Recre. 9: 37-46.

Oh, H.K. You, J.H. 2012.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plant ecological indices of Sacheon-si, Gyeongsangnam-do. J. Env. Imp. Assess. 21: 509-523.

Otto, H.J. 1994. Waldokologie. Ulmer Verlag, Stuttgart. p. 391.

Park, M.S. Lee, S.T. Park, J.Y. Shin, H.C. Lee, K.J. Jeon, K.S. Park, N.C. 2008. Stand dynamic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by regions. Proc. Ann. Meeting. Korean For. Soc. 2008:206-209.

Raunkaier, C. 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Introduction by A.G. Tansley. Oxford Univ. Press, Oxford. p. 632.

Shin, H.S. Kim, T.G. Yun, C.W. 2015.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flora for the mid-west coast in Korea. J. Apic. 30: 315-329.

Song, D.O. 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astal groves type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Korea. PhD Diss., Chung-Ang Univ., Seoul, Korea.

Takhtajan, 1986. Floristic regions of world. Univ. of California Press. 20:51-75.

Ulsan Metropolitan City 2004. Master plan for Daewangam Park. Ulsan Metropolitan City. p. 216.

Walck, J.L. Baskin, J.M. Baskin, C.C. 1999. Effects of competition from introduced plants on establishment,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rare plant Solidago shortii (Asteraceae). Biol. Conserv. 88: 213-219.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137 View
  • 6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