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4); 2016 > Article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 전략에 기반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암환자의 삶의 질, 스트레스, 세로토닌 변화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relaxation - cognitive behavior - social support’ strategy on quality of life, stress and serotonin of woman cancer patients. Subjects were 18 female cancer patients. Experimental group of 9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control group of 9 members did not receiv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total 8 times.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9. Nov. to 28. Dec. in 2015. As a result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d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al condition among sub-category of quality of life, nervousness, depression and frustration among sub-category of stress. Also the program decreased the total stress score with significant increased level of serotonin comparing to control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depression mood in cancer patients was improved.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based on ‘Relaxation-social support-cognitive behavioral’ strategy could be utilized as support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health for cancer survivors.

서론

암은 전 세계적인 건강문제이며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1위를 차 지하고 있지만, 최근 현대 의학의 발달로 환자의 생존기간은 연장 되고 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암은 신 체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초조함에서 쇠약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한 부작용을 경험하는 정서적 위기 상황을 유발한다(Lee, 2003).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 과정이나 길어진 생존기간 동안 신체적인 치 료뿐만 아니라 정서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여러 가지 진단도구와 통합의학으로서의 보 완 대체 의학적 치료가 병행될 필요성이 있다(Kim, 2014).
암환자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 한 치료중재가 이용된다. Weinmam et al.(1983)은 20명의 불안 신경증 환자에게 10회의 이완요법을 실시한 결과 불안, 우울증상 및 근전도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음을 보고하였다. 또 한 암환자에 대한 가족 구성원의 지지는 우울 및 극복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Tae, 1985; Ahn, 2014),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Kim, 2003; Kim et al., 2009).
또한 요양병원 암환자에게 16회기의 병원 옥상텃밭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불안, 우울이 감소하고, 희망이 증진되었으 며(Shin, 2014), 통원 암환자에게 18회의 실내원예치료 프로그램 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불안, 우울이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Jeong, 2011). 그러나 2016년 7월 현재 한 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연구는 약 20여 편으로 양적으로 부족하여 암환자에 적합한 프로 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의 일환으로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여성 암환자들에게 적용 하여 삶의 질, 스트레스,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암환 자의 회복관리를 위한 보완요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 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 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암환자의 삶의 질, 스트레스 및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통제집단 사전-사후 측정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Table 1).
Table 1.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E O1 X1 O2
C O1 O2

E: Experiment group, C: Control group.

O1Pre-test, O2Post-test.

X1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Relaxation-social supportcognitive behavior’ strategy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G도 S시에 소재한 지역암센터를 내원하고 있는 암환 자들을 대상으로 게시판 공고, 안내 문자메세지를 발송하였고, 이 에 자발적으로 연구자에게 연락을 취한 암환자들 중에서 연구기간 내 8회기 활동 참여여부, 신청 순위 등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을 배정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자들에게 연구와 관련한 설명을 제공 하고 동의서를 받았다. 연구대상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 험군 9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9명으로 대상자의 성별은 모두 여성, 평균 연령은 만 48.9세,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졸 업, 진단받은 병명은 유방암, 병기의 진행정도는 초・중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진단받은 병명은 복수응답을 포함하였다 (Table 2).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lients.
Item Sub-item Frequency %
T E C T E C

Age (n=18) 40~49 11 7 4 61 78 44
50~59 6 2 4 33 22 44
Over 60 1 0 1 6 0 11
total 17 9 8 100 100 100

School career (n=18) High school 8 4 4 44 44 44
College 4 2 2 22 22 22
University 6 3 3 33 33 33
total 29 15 14 100 100 100

Cancer stage (n=18) Early 10 4 6 56 44 67
Advanced 7 4 3 39 44 33
Terminal 1 1 0 6 11 0
total 46 23 23 100 100 100

Types of a cancer (n=20) Breast cancer 15 6 9 75 60 90
Colorectal cancer 1 1 0 5 10 0
Uterine cervical cancer 1 1 0 5 10 0
Ovarian cancer 1 1 0 5 10 0
Lung cancer 1 0 1 5 0 10
Cancer in situ 1 1 0 5 10 0
total 65 32 33 100 100 100

T: Total,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3. 연구 도구

1) 원예치료과정

본 연구에서 수행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Suh and Lee(2004) 가 제시한 원예치료과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사정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평가를 위하여 대상의 연령, 학력, 병기, 암종류가 포함된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질, 스트레스 및 세로토 닌 검사를 수행하였다.

계획 및 실행

원예치료적 진단은 ‘암 투병과정과 관련한 부정적 심리양상’으 로, 치료목적은 ‘심리・정서적 긍정성의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치 료목표는 매 회기별 2-3개로 설정하였다.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 원예 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11월 9일부터 2015년 12월 28일까지 주 1회, 총 8회 매회기 90분 실행되었다. 치료진은 주치료사 1인(한국 원예치료복지협회 1급 복지원예사), 보조치료사 3인(한국원예치 료복지협회 1, 2급 복지원예사)으로 이루어졌다.
수행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이완, 사회적지지, 인지의 재평가, 문제해결대처훈련, 스트레스 관리’ 전략을 포함하고 있는 암환자 를 위한 심리・사회적 치료중재모델(Fawzy, 1999)을 기반으로 이 완과 사회적지지 전략,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 파악하기,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하기, 긍정적으로 자기 재평가하기’의 과정을 포함하는 인지행동 전략으로 재구성하여 적 용하였다.
이완을 위해서는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독립된 활동공간 을 확보하여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고,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로 인한 체력 소진이 우려되어 바닥에 앉아 활동하였으며, 방 석 등을 활용하여 혈액순환장애를 예방하는 등 편안함을 증가하도 록 고려하였다. 또한 목표에 집중하는 상황은 오히려 이완을 유발 하므로 활동 중 불필요한 방해나 언어적 개입을 지양하여 활동에 집중하도록 도왔다.
사회적지지를 위해서 치료사는 수용, 신뢰, 애정, 공감, 친밀감 의 태도를 취했으며, Fawzy(1999)가 제시한 사회적지지의 방법 으로 질병 상황에 대한 지식 제공, 물질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식 물의 건강관련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가능한 매회기 식 물 또는 소재 등 결과물이 제공되도록 계획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 회기 완료 후 다음 회기까지 가족, 동료 등 주위의 사회・인적자원들 과 관계하는 과정에서 피드백과 사회적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일주 일 동안 수행할 과제를 제공하였다.
또한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 파악하기,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하기, 긍정적으로 자기 재평가하기’순 서로 각 영역을 순차적으로 성취하는 인지행동 전략이 제공되었다.
수행된 프로그램은 8회기 프로그램에서도 치료효과가 나타났 다는 Lee et al.(2015)의 연구와 두 달 이상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대상자 누락 등의 관리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G지역암 센터 관계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실외 활동에 비해 체력소모가 적고, 항암,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피부 가 예민한 대상들을 고려하여 실내활동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회기별 활동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1-2회기 는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 파악하기 단계로, ‘1회기 잔디인형 만들 기’에서는 긍정적, 부정적인 자신의 모습을 탐색한 후, 두 가지의 모습을 인형 앞뒤에 꾸며봄으로써 자신의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인식하는 기회를 가졌다. ‘2회기 허브식물 이식하기’에서는 이식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불필요한 뿌리 제거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불필요한 사고 및 감정을 인식하여 다듬는 경험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사용된 허브의 약리효과에 대해 전달하고 정보를 유인물로 제공하였다.
Table 3.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Relaxation-social support-cognitive behavior’ strategy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for woman cancer patients.
Session Date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apeutic intervention

1th Nov. 9 Making a grass doll KSPPE-19-277_T3-F1.gif
2th Nov. 16 Transplanting a herb
3th Nov. 23 Making a flower basket
4th Nov. 30 Making a succulent garden
5th Dec. 7 Making a herb tea
6th Dec. 14 Making a pressed flower tea mat
7th Dec. 21 Planting sprouts and making a corsage
8th Dec. 28 Garden party
3-4회기는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단계로, ‘3회기 꽃바구니 만들 기’에서는 중심꽃, 보탬꽃, 받침꽃 등과 같은 꽃의 역할처럼 삶 속 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아보고, 역할과 관련된 자신의 강점(또는 장 점)을 인식하도록 격려하였으며, 꽃꽂이 후 버려질 꽃과 잎을 압화 와 건조화로 만들어 추후 활동과 연계하였다. ‘4회기 다육식물 정 원 만들기’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는 강인한 다육식물과 투병생활을 잘 이겨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연결지어 자신의 강점 (또는 장점)을 인식하도록 하였다(Lee et al., 2015).
5-6회기는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하기 단계로, ‘5회기 허브 티백 만들기’는 2회기에 식재한 허브식물을 수확 후 건조하여 활용 하였다. 불필요한 뿌리를 제거한 후 성장한 허브식물이 티백으로 활용되는 것처럼 부적절한 자신의 사고 및 감정을 긍정적으로 해결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또한 허브의 약리 효과에 대한 정보를 반복 제공하였다. ‘6회기 압화 찻잔받침 만들 기’는 3회기 꽃바구니 만들기에서 남겨진 꽃과 잎을 이용해 만들어 둔 압화가 찻잔받침으로 재탄생되는 과정을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긍정적인 삶으로 통합을 이루도록 격려하였다.
7-8회기는 긍정적으로 자기 재평가하기 단계로, ‘7회기 새싹채 소 파종 및 건조화코사지 만들기’에서는 새싹채소의 효능을 익힘 과 동시에 새싹이 가지는 새로운 생명력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고, 3회기 꽃바구니 만들기에서 남겨진 꽃과 잎을 이용 해 만든 건조화를 활용하여 8회기 가든파티 때 착용 할 코사지를 만 들면서, 변화된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축하하는 시간을 가지게 됨을 인식하게 하였다. ‘8회기 가든파티’는 5회기의 완성품인 허브 티백으로 차를 준비하고, 6회기에 만든 압화 찻잔받침을 활용하여 테이블을 장식하였으며, 7회기에 파종하여 일주일 동안 기른 새싹 채소로 샐러드를 만들고, 7회기에 만든 건조화 코사지로 자신을 단 장하는 등, 프로그램의 의미와 목적을 정리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 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여 칭찬하고 더 나아가 타인의 변화된 모 습도 칭찬하며 긍정적으로 자신들을 재평가할 수 있도록 도왔다.

평가

매 회기별 평가는 원예치료 평가표(Suh and Lee, 2004)를 사용 하여 대상자, 활동 및 치료사 평가를 원예치료사가 기술하였고, 사 전에 실시했던 삶의 질, 스트레스 및 세로토닌 검사를 8회기 프로그 램 완료 후에 실시하였다.

2) 측정 도구

삶의 질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Cella(1993)가 개발한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FACT-G)을 Kim et al.(2003)가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FACT-G를 사용했 다. 이 측정 도구는 4개 영역으로 구분이 되는데, 신체적 상태 7문 항, 사회 및 가족적 상태 7문항, 정서적 상태 6문항, 기능적 상태 7 문항으로 총 27문항으로 5점 척도 도구로 측정하도록 되어있으며, 응답은 0-4점까지의 척도로 최저 0점에서 최고 10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위 문항 중 신체상태 7문항, 정서상태 1, 3, 4, 5, 6문항은 역코드 문항이다. 한국판 FACT-G의 내적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α=0.865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 구에서는 Cronbach’s α=0.862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상자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Koh et al.(2000)이 정신신체의학분야의 연구 및 임상환자 대상의 스트레스를 평가하 기 위해 개발한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는 총 39개 문 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이며, 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 로, 좌절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 0점에서 아주 그렇다 4점으로 측정되며, 점수 범위는 최저 0점 에서 최고 156점까지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α =0.970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0.953로 나타났다.

세로토닌

세로토닌 측정을 위해서 프로그램 전과 후, 15:00~16:00시 사 이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채혈을 위한 대상자들의 특이 주의사항은 없었다. 채혈은 (재)씨젠의료재단에서 파견한 간호사가 수행하였 으며, 이때 항암치료 등을 위한 정맥삽입관이 있는 팔에서는 채혈 을 금지하였다. 분석은 (재)씨젠의료재단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측정도구 부분에 Cronbach α값을 제시하여 응답의 신뢰성을 확인 하였고, 정규성 검증을 위하여 Shapiro-Wilk test를 실시하였다. 정 규성이 검증된 항목은 사전사후 평균비교를 위하여 Paired-t-teat 를 실시하였고, 정규성이 검증되지 않은 항목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는 항암, 방 사선 치료 등 암치료를 지속하였고 운동, 명상, 미술치료 등 자발적 으로 다른 보완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도 있었으나 중단을 강제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원예치료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 제가 어려웠다. 또한 조사대상자도 일개 지역암센터로 표본의 대표 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으므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6. 연구의 승인

본 연구는 아주대병원의 연구승인(AJIRB-MED-SUR-15-280) 을 얻어 수행되었다.

결과 및 고찰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 원예 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암환자의 삶의 질, 스트레스, 세로토닌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4, 5, 6, 7과 같다.
Table 4.
Normality of quality of life, stress and serotonin within groups.
Item Subject Statistic P

Quality of life E 0.953 0.615 NS
C 0.953 0.762 NS

Stress E 0.934 0.343 NS
C 0.874 0.285 NS

Serotonin E 0.920 0.219 NS
C 0.622 0.000 ***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NS,*,**,***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0.05, 0.01, 0.001 by ShapiroWilk test.

Table 5.
Mean comparison for quality of life at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ubject Item Pre-HT Post-HT t P

E (N=9) Physical condition 22.44 ± 2.92z 22.11 ± 4.20 0.258 0.803 NS
Social and familial condition 18.11 ± 2.20 19.44 ± 3.91 -1.234 0.252 NS
Emotional condition 17.11 ± 3.86 19.33 ± 2.92 -2.679 0.028 *
Functional condition 17.78 ± 3.35 18.67 ± 5.17 -0.791 0.452 NS
Total quality of life 75.44 ± 6.17 79.56 ±11.48 -1.578 0.153 NS

C (N=9) Physical condition 19.33 ± 6.40z 21.78 ± 5.21 -1.892 0.095 NS
Social and familial condition 14.00 ± 9.00 13.44 ± 7.55 0.316 0.760 NS
Emotional condition 16.78 ± 4.71 17.89 ± 3.18 -0.824 0.434 NS
Functional condition 14.78 ± 6.98 14.11 ± 7.67 0.504 0.628 NS
Total quality of life 64.89 ±14.25 67.22 ±14.24 -0.714 0.496 NS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H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 Nonsignificant at p < 0.05, 0.01 level by paired-t test.

Table 6.
Mean comparison for stress level at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ubject Item Pre-HT Post-HT t P

E (N=9) Offence 0.67 ± 1.12z 0.44 ± 0.53 0.800 0.447 NS
Nervousness 3.44 ± 1.51 2.00 ± 1.58 2.490 0.038 **
Anger 4.67 ± 2.00 3.56 ± 2.46 1.250 0.247 NS
Body 1.33 ± 1.41 0.78 ± 0.97 1.348 0.214 NS
Depression 4.00 ± 2.40 2.22 ± 2.39 4.880 0.001 **
Frustration 4.89 ± 3.44 2.78 ± 2.59 3.223 0.012 *
Tiredness 5.33 ± 1.66 4.22 ± 2.11 2.169 0.062 NS
Total stress 24.33 ±10.17 16.00 ± 9.38 5.000 0.001 **

C (N=9) Offence 2.11 ± 1.83z 2.44 ± 2.51 -0.500 0.631 NS
Nervousness 4.56 ± 3.40 5.22 ± 5.07 -0.853 0.419 NS
Anger 7.33 ± 3.87 7.78 ± 4.58 -0.503 0.629 NS
Body 2.00 ± 1.22 3.11 ± 2.42 -1.754 0.117 NS
Depression 8.89 ± 6.37 8.22 ± 6.20 0.482 0.643 NS
Frustration 7.33 ± 3.43 7.56 ± 5.88 -0.164 0.873 NS
Tiredness 5.89 ± 2.93 6.44 ± 2.79 -0.514 0.621 NS
Total stress 38.22 ±17.88 40.78 ±26.28 -0.492 0.636 NS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H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at p < 0.05, 0.01, 0.001 level by paired-t test.

Table 7.
Mean comparison for serotonin at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ng/ml).
Subject Pre-HT Post-HT t P

E (N=9) 0.05±0.03z 0.07±0.04 -2.630 0.030 *
C (N=9) 0.05±0.04 0.09±0.15 0.374 NS

E: Experimental group, C: Control group, H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z Mean ± Standard deviation

* Nonsignificant at p < 0.05 level by paired-t test.

NS Nonsignificant at p < 0.05, 0.01, 0.001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1. 정규성 검증

삶의 질과 스트레스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정규성이 검증되었 으나 세로토닌은 대조군에서 정규성이 검증되지 않았다(Table 4). 이는 표본의 수가 적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통계적 제한점을 인식하였으므로 사전・사후 평균비교에서 는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2. 삶의 질

삶의 질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험군에 있어서는 정서적 상태의 삶 의 질이 프로그램 전후에 17.11점에서 19.3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증가(p=0.02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이외, 신체 적, 사회 및 가족적, 기능적 상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Luoma and Hakamies-Blomqvist(2004)는 유방암 환자들과 의 면접을 통하여 좋은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핵심이 되는 세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는데, 첫째는 질병과 관련된 경험을 통제할 수 있 는 능력이었고, 둘째는 질병 경험이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느낌, 즉 개인적 성장이었으며, 셋째는 희망을 갖고, 특 히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었다. 회기별 원예치료평가표의 기술내용 에 따르면, 항암치료 과정에서 탈모를 경험한 대상자들은 잔디인형 에서 머리가 자라는 것을 보고 머리가 자란 자신, 또는 발모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였다. 또한 화분을 이식하는 과정에서 죽은 가지와 뿌리를 잘라내면서 암을 제거하고 회복하고 있는 자신과 연관을 지 었다. 이러한 대상자들의 표현을 통하여 질병경험을 개인적인 성장 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이는 ‘질병’이라는 요인과 통합 가능한 불필요한 뿌리,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탐색 하고 긍정적으로 자신을 재평가하는 단계적 접근이 이루어졌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3.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험군에서는 프로그램 후에 스 트레스 총합(p=0.001)과 긴장(p=0.038), 우울(p=0.001), 좌절 (p=0.012)의 하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Table 6).
긴장과 이완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상반된 속성을 가져서 한쪽 이 줄어들면 다른 한쪽이 자연스럽게 증가한다(Jacox, 1977). 따 라서 실험군의 긴장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은, 본 프로그램에 활용 된 이완 중재가 긴장완화에 적절히 기여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회 기별 원예치료평가표의 기술내용에 따르면, 대상자들은 허브티를 만들면서 허브의 향을 아름다운 향기로 표현하고 자신도 향기를 가 진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다짐과 바람을 표현하였다. 또한 새싹채소 를 파종하고 가꾸면서 씨앗의 싹튀움과 생명력을 직접 경험하고 자 신의 생명력과 긍정성, 치료의 가능성, 희망 등을 발견하는 기회를 가졌기 때문에 좌절감도 감소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4. 세로토닌

세로토닌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험군에서는 프로그램 전후에 0,05ng/ml에서 0.07ng/ml로 세로토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 가(p=0.030)하였다(Table 7). 본 결과는 중년여성에게 플라워디 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세로토닌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는 Jeong(2012)의 결과와 유사한 반면 원예치료와 로즈마리향을 처치한 원예치료를 받은 정신질환자의 세로토닌은 감소하였다는 Kim(2005)의 결과와는 반대된다. 일반적으로 세로토닌은 감정 이나, 식욕, 수면 등의 행동을 통제하는 대표적인 중추 신경계 전달 물질로서 기분장애 등의 정신질환의 병태 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Mann, 1999; Melzer, 1989; Benkelfat, 1993). 이러 한 세로토닌의 감소는 우울증과 수면장애, 무기력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세로토닌의 증가는 생활의 활력에 도움을 준다(Oh, 1994). 따라서 실험군의 세로토닌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 암환자의 우울이 감소되고 활력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여성 암환자의 삶의 질 향 상, 스트레스, 긴장, 우울 그리고 좌절감 감소, 세로토닌 증가에 유 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삶의 질이 높고 우울은 낮다는 Jeong(2011)의 연구와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말기암 환자 의 우울,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Kim(2008), 유방암 환자의 스 트레스를 감소 시킨다는 Shin(2012)의 결과들과 유사하다. 특히 스트레스, 긴장, 우울, 좌절 뿐만 아니라 정서상태에서 유의한 삶의 질 증가를 보인 것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 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심리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유의적 변화를 보인 지표들의 관계를 살펴보면, 스 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다(Jeon, 2010).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반응이 우울로(Silver and Wortman, 1980) 스 트레스가 우울을 유발(Jin, 2010)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Jin(2010) 은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 희망의 역할을 밝혔는데, 희망감이 증가할수록 우울이 감소(Kwon, 2006)하며 사회적지지 가 스트레스와 우울의 보호요인을 작용하여 우울과 스트레스를 완 충시키는 변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Ju, 2011).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조용한 환경, 편안한 자세, 집 중을 중재로 사용한 이완과 치료사 및 가족, 동료로 부터의 지지, 정 보, 결과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 사회적지지,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 파악하기,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 하기, 긍정적으로 자기 재평가하기’순서로 각 영역을 순차적으로 성취하는 인지행동 전략을 적용한 8회기의 실내활동중심 원예치 료 프로그램은 여성 암환자의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적절히 기능 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심리적 문제해결에 접근하기 위해 보완적으로 활용되어 질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적요

본 연구는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 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암환자들의 삶의 질, 스트레스,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 동’전략에 기반 한 실내활동중심 8회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 한 실험군 9명,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9일부터 2015년 12월 28일까지 주 1회, 총 8회 실행 되었다. 실험결과, 삶의 질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상태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긴장, 우울, 좌절 및 종합적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세로토닌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암환자의 우울감소에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완-사회적지지-인지행동’전략에 기반 한 실 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심리적 문제해결에 접 근하기 위해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적 은 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므로, 향후 확대,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Ahn, J.Y. 2014. The influence of symptoms, uncertainty,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Benkelfat, C. 1993. Serotonergic mechaanisms in psychiatric disorders new research tools, new ideas. Int. Clin. Psychopharmacol. 8:(2): 53-56.

Cella, D.F. Tulsky, D.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Silberman, M. Yellen, S.B. Winicour, P. Brannon, J. Eckberg, K. Lloyd, S. Purl, S. Blendowski, C. Goodman, M. Barnicle, M. 1993.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 Clin. Oncol. 11:570-579.
crossref pmid
Fawzy, F.I. 1999.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cancer : what works and what doesn ?(tm)t. J. Europ. Cancer 35:(11): 1559-1564.
crossref
Jacobson, S.E. 1974. Progressive relaxation. The Univ., of Chicago Press. Chicago, U.S.A.

Jacox, A.D. 1977. Pain: a source book for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Little Brown, Boston, U.S.A.

Jeon, Y.H. 2010. Influence of anxiety, stress and concern for recurrence on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mong cancer patients. MS thesis, Inje Univ., Busan, Korea.

Jeong, K.S. 2011.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tress, anxiety, depr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PhD Diss., Chungnam Natl. Univ., Daejeon, Korea.

Jeong, Y.H. 2012. Effects of flower design program on stress, selfesteem and hormone levels in blood of middle-aged housewives. MS thesis, Dankook Univ., Seoul, Korea.

Ju, T.H. 2011.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with different types of household environments. MS thesis, The Catholic Univ. of Korea, Seoul, Korea.

Jin, S.H. 2010.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hope. MS thesis, Ajou Univ., Suwon, Korea.

Kim, H.W. 2005.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ymptoms and serotonin levels of psychiatric inpatient. MS thesis, Dankook Univ., Seoul, Korea.

Kim, H. Yoo, H.J. Kim, Y.J. Han, O.S. Lee, K.H. Lee, J.H. Suh, C.W. Kim, W.K. Kim, J.C. Ahn, S.H. Chung, H.Y.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J. Kor. Clin. Psychol. 22:(1): 215-229.

Kim, K.S.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MS thesis, Daejeon Univ., Daejeon, Korea.

Kim, K.H.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flower color harmony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MS thesis, Paichai Univ., Daejeon, Korea.

Kim, K.H. Chung, B.Y. Kim, K.D. Byun, H.S. 2009.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Oncol. Nurs. 9:(1): 52-59.

Kim, M.S. 2014.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ing on KHTP by women patients with cancer. MS thesis, Busan Natl. Univ. of Education, Busan, Korea.

Koh, K.B. Park, J.K. Kim, C.H. 2000.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4): 707-719.

Kwon, O.J. 2006.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S thesis, Kosin Univ., Busan, Korea.

Lee, E.H. Counseling people with cancer. Hakjisa, Seoul, Korea. 2003.

Lee, S.M. Choi, Y.H. Jeong, S.H. Gim, G.M. 2015.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for self-integ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of cancer patie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8:(6): 503-508.
crossref
Luoma, M.L. Hakamies-Blomqvist, L. 2004. The meaning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being treated for advanced breast cancer : A qualitative study. Psychooncology 13:729-739.
crossref pmid
Mann, J.J. 1999. Role of the serotonic system in the pathogen of major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Neuropsychopharmacology 21:(2): 99-105.
crossref
Melzer, H.Y. 1989. Serotonergic dysfunction in depression. Br. J. Psychiatry Suppl. 825-31.

Norbeck, J.S. 1981. Social support, a model for clin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ANS. Adv. Nurs. Sci. 3:(4): 43-60.

Oh, S.D. 1999. The effect of endurance training during 6 week on the changes neuro-transmitters following maximal exercise. Exercise Science 8:(2): 175-182.

Park, J.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PhD Diss., Yonsei Univ., Seoul, Korea.

Severance Hospital 2010. The time is gone to die deapite getting cancer.http://tinyurl.com/h7xh7c7

Shin, H.M. 2014. Horticultural therapy for enhancing hope and reduc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cance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Shin, J.M. 2012.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e change of the blood pressure and the pulse in wome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MS thesis, Catholic Univ. of Daegu, Daegu, Korea.

Silver, R. Wortman, C. 1980. Coping with undesirable life events. Human helplessness: theory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UK.

Sim, M.S. 1990.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Suh, J.K. Lee, S.M. 2004. Application and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Dankook Univ. Press, Seoul, Korea.

Tae, Y.S. 198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cancer patients.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Weinman, M.L. Semchuk, K.M. Gaebe, G. Mathew, R.J. 1983. The effect of stressful life events on EMG biofeedback and relaxation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anxiety. Biofeedback Self Regul. 8:(2): 191-205.
crossref pmi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