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산림청은 휴양림, 수목원 등 다양한 산림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산림에 관한 빅 데이터 를 공개하였다(
Korea Forest Service, 2015). 보통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방식으로 저장, 관리, 분석하기 어려운 큰 규모의 데이 터를 말한다(
Yoon et al., 2014). 빅 데이터는 다양한 종류의 자료 가 수집되어 규모가 크고,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초고속으로 수집・발굴・검색・분석하도록 고안되었다(
Song, 2013).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데이터의 일정한 흐름을 포착해 미래의 예측 이 가능하다. 빅데이터는 개인 행동, 소비자 선택, 탐색 행동, 교통 흐름, 질병 관리 등에서 패턴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측까 지 할 수 있다(
George et al., 2014). 빅데이터 패러다임은 국가나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영향을 미쳐 미래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Lee and Yoon, 2014). 산림청에서도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산불예측 정 확도를 개선하여, 대형 산불 예방을 위한 대응체계를 마련하였다. 산불예측 시스템은 기상청의 기온・강수량・습도 등의 정보와 산 림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상도, 산악기상정보 등 빅데이터 자료 를 분석하여 현재의 산불위험 지역을 알려주고 있다(
Korea Forest Institute, 2015). 산림청은 2017년까지 공익과 개인 사생활을 침 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산림정보를 개방할 계획이다(
Korea Forest Institute, 2015).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방 법의 일환으로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모바일 인터넷과 소 셜 미디어의 확산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축적된다(
Song, 2012). 빅데이터 분석은 다양한 형태의 소셜 미디어에서 실시간으로 생성 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통찰을 이끌어내는 것 을 의미한다(
Hwang et al., 2013). 소셜 빅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들의 의견과 감정의 변화를 추적하거나, 사건과 이슈를 감지 하는데 유용하다(
Lee et al., 2014). 최근 들어 많은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에 올라오는 의견을 분석하고 의미를 추출하여 이를 활용하 려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문화산업 분야에 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Yoon et al., 2014). 소셜미디어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객들의 선호도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영화 흥행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시도 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Lee et al., 2014). 소셜 빅데이터 를 이용하여 관객들의 선호도를 미리 예측함으로써 일반 기업에서 도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시도들이 본격화되고 있다. 산림치유와 유사한 분야인 관광관련 분야에서도 빅테이터에 관한 연구가 상 당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공 빅 데이터 및 SNS를 활용한 지능형 관광지 추천 시스템(
Park et al., 2014), 소셜데이터 분석방법을 이용한 제주관광 트랜드 서비스 설 계 및 구현(
Kim et al., 2014), SNS 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마트 충 북관광 구축(
Cho, 2015),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철도 관광 이용 객들의 반응 조사(Jeong et al., 2014), 빅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 한 관광기반시설과 지역관광수요 관계 연구(
Kim, 2015), 관광분 야에서 SNS 빅데이터의 활용 방법 모색(
Lee and Yoon, 2014), 빅 데이터를 활용한 휴양림 이용객현황과 인터넷 검색어의 상관관계 를 분석한 연구도 있다(
Choi and Shin, 2015).
SNS 빅데이터의 미래 추세 예측과 마케팅 활용도가 높음에도 불 구하고 산림치유 분야에서의 연구 및 실무적 활용은 아직 초보적 수 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산림치유 빅 데이터 초기 연구로서 SNS 빅 데이터에 나타난 산림치유의 인식을 밝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에 대 한 일반 대중들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으로, 산림치유의 객관적인 인 지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SNS 빅데이터를 통해 산림치유 관련 연 관 키워드와 감성 키워드, 산림치유 관련 탐색어 여론을 살펴본 후, 분석결과 활용 방안에 대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및 고찰
1. 산림치유에 대한 분석
2015년 9월 8일부터 2015년 10월 8일까지의 기간 동안 트위터 (46건)과 블로그(63건)에 올라온 산림치유 관련 내용은 모두 109 건인데 이들의 구체적은 분석은 Figure
1과 같다. 산림치유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는 프로그램이었고, 5위권 내에 포함된 연관 키워드는 ‘다양한’, ‘숲’, ‘피톤치드’, ‘서울’ 순으로 나타났다. ‘서 울’이라는 단어가 5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30년 만에 개방되 는 서울대공원 치유의 숲에 관련된 기사와 서울시에서 서울 도시민 들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서울 둘레길을 활용한 자기 돌봄 프로 그램 (몸살林 마음살林)에 관한 홍보 관련 기사를 많이 노출시켰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탐색어 맵에서 속성(산림치유, 피톤치드, 운 영, 스트레스, 체험, 건강)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다음으로 심리 (다양한, 스트레스)와 장소(숲, 서울)와 관련된 키워드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1
Result of search using ‘Forest healing’ key word.
산림치유 탐색어 여론을 살펴보면 ‘좋은’, ‘풍부한’, ‘행복’, ‘쾌적 한’, ‘면역력 높이다’ 등의 긍정적인 여론과 ‘다양한’, ‘필요한’, ‘노 력하다’, ‘가득하다’ 등의 중립여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 여 론으로 ‘스트레스’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부정 여론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산림치유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트위터나 블로그 이용자들은 산림치유라는 키워드와 함께 ‘프로그램’이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숲’, ‘피톤치드’ 등의 단어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키워드들은 몸과 마음을 건강하고 풍요롭게 하는 느낌의 키워드들이 다. 따라서, 산림치유 관련 프로그램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홍보 시 위 에서 제시한 키워드를 활용한다면 포탈검색엔진에서 검색될 확률이 높아지고, 효과적으로 산림치유를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숲치유에 대한 분석
숲치유를 검색한 결과 트위터 82건, 블로그 15건이 검색되었다. 숲치유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는 ‘향상되다’이고, 5위권 내 에 포함된 연관키워드는 ‘사업’, ‘생활’, ‘예방’, ‘적응력’ 순으로 분 석되었다. 이들의 구체적은 분석은 Figure
2와 같다.
Fig. 2
Result of search using ‘Forest therapy’ key word.
탐색어 맵을 통해 살펴보면, 숲치유의 속성(학습, 예방, 적응력, 사업, 생활, 청소년, 프로그램, 학교)과 관련된 키워드가 가장 많았 고, 다음으로 심리 속성을 가진 ‘향상되다’, ‘기대하다’ 등이 숲치 유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치유 탐색어 여론을 살펴보기 위해 긍정・부정 연관어를 살펴 보면, ‘향상되다’, ‘기대하다’, ‘올바른’ 등의 긍정적인 여론과 ‘다 양한’, ‘새로운’, ‘소개하다’ 등의 중립여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부정 여론으로 ‘스트레스’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부정 여론으 로 판단하기 어렵고 숲치유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 로 해석할 수 있다.
3. 산림욕에 대한 분석
산림욕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결과 트위터 265건, 블로그 702건 이 검색되었다. ‘피톤치드’의 연관어 빈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 로 ‘숲’, ‘즐기다’, ‘효과’, ‘공기’ 순으로 분석되었다. 탐색어 맵에 서 연관어 중 속성이 5개, 장소가 2개, 심리가 2개, 취미/여가가 1 개로 나타났으며, 속성에서는 ‘피톤치드’, ‘공기’, ‘자연’ 등의 산림 치유 인자와 관련된 속성들이 많았다. 이들의 구체적은 분석은 Figure
3과 같다. 이는 삼림욕의 효과가 산림치유 인자와 관련이 있 음을 의미한다.
Fig. 3
Result of search using ‘Forest bathing’ key word.
산림욕의 탐색어 여론을 살펴보면 ‘즐기다’, ‘좋은’, ‘아름다운’, ‘멋진’ 등의 긍정적인 여론과 ‘가벼운’, ‘다양한’ 등의 중립여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 여론으로 ‘스트레스’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부정 여론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산림욕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 움이 된다는 긍적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4. 숲해설에 대한 분석
숲해설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결과 트위터(11건)과 블로그(89 건)으로 숲해설 관련 내용은 모두 100건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구 체적은 분석은 Figure
4와 같다.
Fig. 4
Result of search using ‘Forest interpretation’ key word.
숲해설과 가장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는 ‘다양한’ 이었고, 5위권 내에 포함된 연관 키워드는 ‘다양한 행사’, ‘아이’, ‘가을’, ‘산림청’ 순으로 나타났다. 탐색어 맵에서 속성(프로그램, 아이, 가을, 가족, 행사)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다음으로 심리(다양한, 멋진, 감사 하다)와 장소(서울), 단체(산림청)와 관련된 키워드가 연관성이 높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숲해설의 탐색어 여론을 살펴보면 ‘멋진’, ‘감사하다’, ‘즐기다’, ‘아름다운’, ‘진지한’, ‘좋은’, ‘시원한’, ‘알찬’ 등의 긍정적인 여론 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요
본 연구는 산림치유 영역에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 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소셜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SNS 빅데이 터를 이용해 산림치유에 관한 인식에 관해 알아보았다. 산림치유에 대한 현대인들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한 의미정보가 빅데이터에 의 해 도출되고 있다. 이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산림치유의 현재 인식의 정도를 알아내는 것과 동시에 향후 산림치유의 발전의 방향 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의 인식에 관 해 살펴봄과 동시에 산림치유의 발전 방향까지 모색할 수 있는 중 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산림치유, 숲치유, 삼림욕, 숲해 설의 4가지의 검색어에서 의미있는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같은 기간 동안 검색된 데이터 수를 살펴본 결과, 산림욕 967건, 산림치유 109건, 숲해설, 100건, 숲치유 97건으로 나타났 다. SNS 상에서는 삼림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삼림욕, 숲해 설, 산림치유는 블로그를 통해, 숲치유는 트위터를 통해 더 많이 사 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기・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 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산림 치유를 정의(
Korea Forest Institute, 2009)하고 있지만, SNS 상 에서는 산림치유라는 단어보다도 삼림욕이라는 단어가 더 적극적 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산림치유에 대한 보다 적 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연관 키워드 결과를 살펴본 결과, 산림치유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숲치유, 삼림욕, 숲해설의 연관어에 있어서 약간의 차 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어를 살펴본 결과, 산림치유는 ‘숲’, ‘피톤치드’ 등의 산림치유 공간과 산림치유 인자가, 숲치유는 ‘학 습’, ‘예방’, ‘적응력’, ‘사업’, ‘생활’, ‘청소년’, ‘학교’ 등 숲치유의 효과와 프로그램 대상이 연관어로 도출되었다. 삼림욕은 산림치유 와 마찬가지로 ‘피톤치드’, ‘숲’, ‘공기’ 등의 산림치유 공간과 산림 치유 인자가 연관어로 도출되었다. 숲해설은 ‘프로그램’, ‘아이’, ‘가 을’, ‘산림청’ 등의 산림치유 대상, 프로그램, 계절, 주관 기관이 연관 어로 도출되었다. 산림치유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스트레스 감소 를 위한 프로그램에서, 숲치유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 예방, 적 응을 위한 학교 프로그램에서, 삼림욕은 숲으로 여행을 갔을 때 피톤 치드나 음이온 등의 치유 인자를 느낄 때, 숲해설은 산림청 주관으로 하는 숲해설 프로그램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긍정・부정 탐색어 여론을 살펴본 결과, 일반인들은 산림치 유, 숲치유, 삼림욕, 숲해설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주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림치유에 대해서는 ‘좋다’, ‘풍부하다’, ‘쾌 적하다’, ‘행복하다’ 등, 숲치유에 대해서는 ‘향상되다’. ‘기대하 다’, ‘올바르다’ 등, 산림욕에 대해서는 ‘즐기다’, ‘좋다’, ‘아름답 다’, ‘멋지다’ 등, 숲해설에 대해서는 ‘멋지다’, ‘감사하다’, ‘즐기 다’, ‘아름답다’, ‘좋다’, ‘시원하다’, ‘알차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 이 주를 이루었다. 산림치유, 숲치유, 삼림욕의 검색에서 스트레스 가 부정적인 반응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는 부정 여론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 전략과 향후 사용자 맞춤의 프로그램 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SNS시대의 산림치유의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여 산림치 유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홍보,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 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간을 1개월로 한정 지음으로써 연 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한 한 계점을 반영하여 산림치유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좀 더 심층적 인 연구가 필요하다. 후속연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치유의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 치유의 숲, 자연휴양 림, 도시숲, 삼림욕장 등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공간, 산림 치유 프로그램, 숲해설 프로그램, 산림치유 지도사, 숲 해설사 등의 검색어를 통해 그 결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산림치유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숲치유, 삼림욕, 숲 해설의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림치유 인 식의 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림치유, 숲치유, 삼림욕, 숲해 설에 관한 정확한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