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3); 2016 > Article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의한 선유도공원 평가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sirable urban park planning which can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concerning activities and uses for all the people in a city. We chose the Seonyudo Park, a typical urban park in Seoul as an object for this study. As methods of this study, evaluation frame was made through reviews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manuals and guidelines and on-site surveys. On-site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the point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evaluation frame. Finally, We identified problems of the Seonyudo Park from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classified 9 evaluation sections, an evaluation frame of 83 sub criteria was made with a combination of 7 extracte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Secondly, evaluation of each Extracted Principles showed high scores in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among 7 extracted principles and low scores in “Amenity” and “Durability.” Evaluation results showed ±50 scores in other extracted principles with 56.7 points average meaning low in universal design adaptation. Thirdly, major problem identified from each section evaluations showed that parking for the disabled was the most unsatisfied se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niversal design. And the braille blocks and braille signs were barely installed in whole area. Also,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floors of most sections didn’t use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o an immediate repair and supplementation were required for these. Finally, there were many destroyed and improperly maintained parts which require more installations, repair and maintenance by managing authorities.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사회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 고 개인의 공간에서 공공 공간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하였다(Xu and Moon, 2012). 이에 따라 주거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에서도 질적인 가치관의 전환이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민 들에게 여가 및 문화를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Open Space)인 ‘도시공원’을 곳곳에서 늘려가고 있다(Park et al., 2015).
이러한 도시공원은 노인, 어린이, 장애인, 일반인 등 다양한 계층 의 도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도심 속 오픈스페이스이므로 공공시 설 측면에서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다양한 신체적 특성 고려와 이용 욕구를 충족 및 공공성과 보편성을 갖춘 환경의 필요성은 더욱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개념은 누구나 이용 및 접근이 쉽고 차 별이 없으며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디 자인 철학이 내포되어 있어, 도시공원 시설 평가 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Lee and Chung, 2010).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인증제도로서 물리적 장애의 해소라는 구체적인 실행방법으로 2008년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가 도입되었다. BF인증제도가 시행된 2008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예비 인증 및 본 인증을 합해 총 700건의 인증실적이 있었으며 그 중 공원부분에서는 광화 문광장, 여의도공원, 용소골어린이공원, 세종중앙호수공원, 부산 시민공원 이 5건의 인증실적만 있다(Seo, 2016).
이에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용자 들을 배려함과 동시에 보편성이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이 도시 공원에 있어 필요한 시점으로 본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평가연구, 지침과 가이드라인 개발, 디자인모델, 효과 및 인식, 원리의 이론연구로 분 류할 수 있으며(Lee and Kim, 2013), 본 연구와 관련 있는 평가연 구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박물관, 도서관, 지하 상업공간, 지 하공공보도시설, 아파트 주거환경, 도시도로, 대학교육공간 등을 대상으로 건축학 영역에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조경학 영역에서는 비교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조경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 설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Lee and Chung, 2010), 친 수공간에 대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평가 연구(Choi et al., 2012; Yoon and Kim, 2014), 자연생태공원에 대해 유니버설디 자인 관점에서 평가 연구(Lee and Kim, 2013),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도시공원의 평가 연구(Choi and Moon, 2012; Park et al., 2015) 등의 연구가 선행 되었다.
이상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평가 연구는 연구자들이 유니 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와 법규를 바 탕으로 나름대로 평가도구를 작성하여 평가하고 있으나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와 그에 대한 관련 연구는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양도 미흡한 실정이라 추가적 연 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평등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관점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고찰하고 관련법규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표를 작성하여 서울시의 대표적인 도시 공원인 선유도공원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여 모든 사람들의 활동과 이용을 배려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도시공원계 획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 343에 위치한 11만m2 면적의 선유도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유도공 원은 2000년 12월 폐쇄되는 선유정수장 이적지에 기존의 정수장 시설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공원으로 2002년에 개장하였으며 대표적 시민 휴식처로서 주말과 공휴일에는 많은 사 람들이 이 공원을 이용하고 있다.
선유도 공원이 가진 여러 가치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공원이용에 있어 안전이 기본이 된 디자인이 반영되어 있어야 하나 선유도공원 은 현재 유니버설디자인의 많은 요소가 미 적용되어 있는 공원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함에 있어 그 의의를 두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첫째, 선행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평 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문헌 조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와 유 니버설디자인 관련 매뉴얼, 가이드라인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 로 세부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유니버설디자인 평 가 틀을 토대로 대상지인 선유도공원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하였 다. 셋째, 현장 평가된 결과를 점수화하여 각 항목별 점수들을 합산 및 평균값을 추출하고, 그 값에 따른 항목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 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유도공원 한 곳을 평가한 연구로서 도시공원 전체 영역으로 일반화 하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선유도 공원의 지정학적 위치와 더불어 한강 주변의 자연 생태와 교육, 회의, 전시,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특 수한 주제를 가진 공원의 성격과 편리한 접근성으로 유니버설디자 인의 주된 대상인 어린이와 노인, 외국인뿐만 아니라 사진전문가 들과 방송국 관계자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이 용하고 있다.
이에 선유도공원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대한 평가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

1.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틀 도출

본 연구에 적용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틀 도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평가 구간 설정은 선행연구 및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매뉴얼(Kim, 2012)’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도시공원의 요소를 도출하여 ‘접근로, 출입구,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경고 및 안내시설, 위생시설, 휴식시설, 놀이시설, 보행 로, 계단 및 경사로’ 등 9개 평가구간으로 분류하였다.
평가항목에 있어 유니버설디자인 원리 도출은 Table 1과 같다. 유니버설디자인 방법론 초창기에 Mace(1970)가는 제시한 UD (Universal Design) 4가지 원리, 그 이후 Behar(1991)의 UD 4가 지 원리(Kim and Cho, 2006), Connel et al.(1998)에 의해 다시 정리된 UD 7가지 원리, 일본 유니버설디자인 전문기업인 Tripod design(2006)이 Connel(1998)의 원리에 3가지를 추가한 PPP (Product Performance Program) 가이드라인, Park and Lee(2001) 가 제시한 5가지 원리(Min et al., 2009)를 통합・정리하였다. 그 결 과 사용이 용이한가에 대한 기능성(Functionality), 모든 이용자가 같은 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한가에 대한 공평성(Fairness), 이용자 가 쉽게 인지하는가에 대한 인지성(Perception), 안전하게 이용이 가능한가에 대한 안전성(Safety), 육체적 피로를 최소화하도록 이 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쾌적성(Amenity),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접근 가능한가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 파손 없이 유지관리 가 용이한가를 평가한 내구성(Durability) 등 7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도출하였고 그 내용을 Table 2와 같이 제시하였다.
Table 1
Extraction process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Mace (1970) Behar (1991) Connel et al. (1998) Tripod design (2006) Park and Lee (2001) Extracted Principles


Supportive Design Simple and intuitive use Simple and intuitive use Supportiveness Functionality


Adaptable Design Adaptability Equitable use Equitable use Adaptability Fairness
Flexibility in use Flexibility in use


Safety-Oriented Design Perceptible information Perceptible information Communicability Perception
Tolerance for error Tolerance for error Safety
Low physical effort Low physical effort Pleasantness Amenity


Accessible Design Accessibility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Accessibility Accessibility


Affordability Durability and Production Economics Durability


Aesthetics Quality and Aesthetics Aesthetics*


Health and the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

* “Aesthetics” and “Environment” have difficulty in exporting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and survey, so they were excluded in this study. Reference: Min et al. (2009): 68; Kim and Cho, (2006): 246.

Table 2
Description of extracted universal design principles.
Extracted Principles Description
Functionality
  • - Convenient to use regardless of users' experience, knowledge, and linguistic abilities.

Fairness
  • - Designed to be used by everyone regardless of various factors of discrimination.

  • - Broadly accepts various tastes and abilities of individuals.

Perception
  • - Delivers in various ways easily recognized information regardless of users' level of comprehension or linguistic abilities.

Safety
  • - Removes the risk factors that may cause acciden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prevent accidents.

  • - Tolerance to errors.

Amenity
  • - Comfortable with minimum physical fatigue.

Accessibility
  • - Provides size and space that is accessible and manipulative regardless of users' size, position, or mobility.

Durability
  • - Installed for easy maintenance without damage.

세부 평가 항목은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Choi and Moon(2012), Park et al.(2015) 등의 연구와 관련 매뉴얼(Kim, 2012; Kang, 2012), 가이드라인(Seoul, 2009; Gyeonggi-do, 2011) 내용 중 유니버설디자인 기준에 부합한 동시에 본 연구 대상 지 특성에 맞는 내용을 추출하여 앞서 분류한 평가구간에 따라 세 부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종합하면, 예비조사를 통해 도시공원 구간을 9개로 설정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7개 추출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응한 세부 평가 항목을 83개로 확정하였다. 끝으로 9개 구간마다 7개의 유니 버설디자인 원리와 83개의 세부 평가항목을 접목시켜 최종 평가 틀을 완성하였다(Table 3).
Table 3
Universal design evaluation frame.
Section Detailed evaluation items Extracted principles Source*

(1) Access road 1 The valid width of access road is 1.8m or wider. Fairness A/B
2 The access road is finished flat with no step or gap (no wider than 2 cm). Safety, Accessibility A
3 Overall slope is smaller than 1/24 (4.17%/2.39°) and horizontal slope is smaller than 1/50 (2%/1.15°). Safety A/B
4 The access road is finished with anti-slip and shock-absorbent materials (grout should not be thicker than 0.5 cm). Safety A
5 Disability zone installed so that streetlights and vegetation do not become obstacles for pedestrians. Safety, Accessibility A
6 The border (side) between access road and vehicle road has blocks and fences for complete separation. Safety A
7 There is no difference in height at all with holeless covers. Safety A
8 If bollard is installed to keep vehicles out, the valid width of interval should be no wider than 1.5 m for strollers and wheelchairs. Accessibility, Fairness E
9 Handles along sloped access road (0.85 m ± 5 cm in height, 3.2 cm~3.8 cm in diameter of handle, 0.3 m horizontal at the start and end). Functionality, Safety B
10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2) Entrance/ Exit 1 Piles to keep vehicles out at 0.75 m~1.5 m interval and entrance/exit that is wide enough for wheelchairs. Safety, Fairness A/B
2 The difference between main entrance and pedestrian road shall not be greater than 2 cm for horizontal access. Fairness A/B
3 The slope of major entrance shall not exceed 1/18 (5.56%/3.18°). Safety A/B
4 The valid width of main entrance/exit of park shall be 1.5 m or greater. Fairness A
5 Braille blocks and warning finish at 0.3 m interval at the start and end of slope or stairs by the entrance/exit. Perception, Safety A/B
6 Access control, rails, or protection installed at areas with risk of collision or fall at the slope or stairs of entrance/exit. Perception, Safety A/B
7 Continuous handle along the side of stairs (0.85 m ± 5 cm in height, 3.2 cm~3.8 cm in diameter of handle, 0.3 m horizontal at the start and end). Safety B
8 The ends of steps on the stairs should be distinguished with distinct materials, colors, or brightness. Perception, Safety B
9 Lighting bright enough to see at night. Perception, Safety A
10 Floors are finished with gap-free,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afety A/B
11 CCTV with voice transmission is recommended to prevent crime through monitoring for 24 hours and preparation for disasters. Safety C
12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3) Parking for the disabled 1 Accessible through a slope that is less than 1/12 (8.33%/4.76°). Accessibility A
2 Outdoor parking lots should have roofs and indoor parking lots should be close to elevators that are accessible horizontally. Amenity A
3 Wheelchair zone greater than 3.3 m in width and 5.0 m in length marked on the floor per parking space. Accessibility A
4 Pedestrian safety zone (1.8 m or wider) install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lot. Safety, Accessibility A
5 Distinctiveness secured with ground or standing sign installation or colors. Functionality, Perception A
6 Continuous guiding mark. Perception, Accessibility A
7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4) Signs and warnings 1 Integrated functions on the sign board (Braille, voice, tactile signs, etc) Fairness, Perception A/B
2 Sign boards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accessible for the disabled, available trails, and degree of slope for sloped trails. Fairness, Perception C
3 Legible font types (Gothic or alike) and layout (within 1.0 m~1.5 m from the ground). Functionality, Perception A
4 Signs should combine images, symbols, and foreign language. Fairness, Perception A
5 Signs should be installed continuously on highly conspicuous places and install lighting for nighttime and clearly distinctive colors. Functionality, Perception A
6 Signs mark facilities and information about each facility. Perception A
7 Sign boards should not interfere with traffic. Safety, Accessibility A
8 Ris k areas should have continuously installed safety facilities such as safety rails and fences. Safety A/B
9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5) Sanitary facilities 1 One or more multipurpose restrooms. Functionality A
2 Conspicuous signs for men and women with Braille on the wall next to the entrance to restrooms, 1.5 m from the floor and Braille blocks installed 0.3 m ahead of Braille signs. Functionality, Perception A
3 The width of access to restrooms should be 1.5 m or wider. Fairness A
4 The access to restrooms should be finished flat with no difference in height or gap (2 cm or smaller difference and 1/12 (8.33%/4.76°) slope. Fairness, Accessibility A
5 Tactile signs installed inside restrooms for multifunctional guiding. Perception A
6 Trash cans installed along the pedestrian road at a certain interval and around crowded areas or where people stop. Functionality, Amenity C
7 Recycling trash cans i nstalled at crowded areas and simple trash cans for general trash installed at other places. Functionality, Amenity C
8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6) Rest facilities 1 Integrated facility accessible for everyone; a general lounge for both wheelchair users and ordinary people. Fairness, Accessibility A
2 Roof over lounge facilities (spaces). Amenity A
3 Lounge chairs with back and handles to make it easier to stand up. Functionality, Amenity A
4 Rest space 0.4m in height and 1.3 m 1.3 m on wide on the bottom of lounge chairs. Fairness, Accessibility B
5 Outdoor table easy for every user to access and use (2.2 m or greater interval, 0.65 m~ 0.75 m or greater in height, and 0.45 m or greater in depth). Fairness, Amenity B
6 Rest facilities are connected to pedestrian path and installed wher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raffic. Safety, Accessibility A
7 Rest facilities are installed at a certain interval. Functionality, Amenity A/B
8 Rest facilities should be cozy enough for users to stay for a long time and still feel comfortable. Amenity D
9 Rest facilities should be in forms and materials that are easy to maintain, repair, and manage. Amenity D
10 Floors should be finished with gap-free,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afety A
11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7) Entertaining facilities 1 All entertaining facilities should be conspicuous (information and guide). Perception E
2 Integrated facilities for any user to access and use. Fairness, Accessibility A
3 Connected to pedestrian path and installed wher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raffic. Safety, Accessibility A
4 Floors should be finished with gap-free,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afety A
5 Floor materials and colors should be varied to guide vision-impaired. Perception, Accessibility E
6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8) Pedestrian path 1 The valid width of access road is 1.8 m or wider. Fairness A/B
2 Overall slope is smaller than 1/18 (or 1/12 if inevitable). Safety A
3 Floors should be finished with shock-absorbent and anti-slip materials. Safety A
4 Finished flat with no difference or gap (no wider than 2 cm) and no covers. Safety, Accessibility D
5 All obstacles installed in the obstacle zone only. Safety, Accessibility A
6 The edges of pedestrian walkway should install borders with different texture, colors, etc. and the height of pavement should be between 6cm and 15 cm. Safety, Perception A
7 If sloped pedestrian walkway is continued, 1.5 m 1.5 m or larger horizontal charm installed every 30 m. Accessibility A/B
8 Space secured for 2.5 m or higher (branches). Amenity A
9 CCTV with voice transmission is recommended to prevent crime through monitoring for 24 hours and preparation for disasters. Safety C
10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9) Stairs and slopes 1 The valid width of stairs are 1.5 m or wider and 1.5 m or longer horizontal part or stair charm installed at the start and end points and where height is 1.8 m or lower. Fairness, Accessibility E
2 The width of each step of stairs should be 0.3 m or wider and the height of riser should be no greater than 0.16 m. The width of steps and the height of risers should not change. Fairness, Accessibility E
3 Finished to prevent slipping even when it rains and install lighting or vary the color or material of finishes to distinguish steps, risers, and nosing even at night. Safety, Perception E
4 Install Braille blocks about 0.3 m away from the start and end of stairs. Safety, Perception E
5 Install two-leveled handrails on both sides and add middle handrails if the stairs are 3.0 m or wider. Safety C
6 Extend the horizontal handrails by 0.3 m or longer at the start and end of stairs and add Braille with text information. Safety, Perception E
7 Valid width of slope sho uld be at least 1.5 m and secure consistent width with the pedestrian way, if possible. Fairness, Accessibility E
8 The end slope should secure moderate slope at 1/20 or smaller or 1/12 or smaller, if inevitable. Safety E
9 1.5 m or longer horizontal part or charm installed at the start and end of slope and where height is 0.75 m or lower. Accessibility E
10 Maintained fair and clean without depression or damage. Amenity, Durability A

2. 조사 및 평가방법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방법 및 본 연구의 목적을 미리 숙지한 4명 의 연구원이 평가항목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2015년 10월 22 일에 선유도공원에서 예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15년 11월 6일 에 보완된 평가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공원 내 시설물이 유니버설디자인 평가항목에 적합 하면 ‘적합’으로 평가하여 1점, 시설물이 2개 이상인 경우 일부 시 설만 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항목의 요건 중 일 부가 부적합하면 ‘일부 부적합’으로 평가하여 0.5점, 시설물 전체 가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항목에 부적합한 경우는 ‘모두 부적합’으 로 평가하여 0점 채점하였다.
좀 더 객관적인 평가 결과 도출을 위해 4명 연구원이 전체 구역 에 대해 각자 점수를 채점한 후 상의하여 최종 점수를 합산 및 평균 하였다. 평균값의 산출방법은 구간별/추출원리별 평가 받은 합산 점수를 세부 항목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였다. 예를 들면 구간별 세부 항목 평가에서 접근로의 세부 항목 수는 총 10개이며 모두 다 적합(1점)으로 평가할 때 최고점 10점이며 본 대상지에 대한 최종 평가합계 점수는 9점이므로, 그 평균값은 (9÷10)×100=90 점이 된다.

결과 및 고찰

1. 추출원리별 평가 결과

유니버설디자인 항목별로 분석하기 위해 평가 틀을 재분류하면 기능성 10개, 공평성 18개, 인지성 20개, 안전성 34개, 쾌적성 19 개, 접근성 21개, 내구성은 9개 세부 평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추출된 7개 원리에서 “기능성”은 사용자의 경험, 지식, 언어능 력과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하는가를 평가한 항목이다. 이는 평 균값이 가장 높은 80점을 보이고 있어 대상지 전체는 그 기준에 도 달 정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구성”은 파손 된 곳이 없이 쉽게 유지・관리하도록 설치하는가를 평가한 항목으로 가장 낮은 38.9점으로 조사되어 그 기준에 도달 정도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유도공원이 과거 정수시설의 기초 에서 조성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평균값은 56.7점으로 써 전반적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Table 4).
Table 4
Assessment of extracted principles.
Extracted principles Detailed items (number) Total (points) Mean* (points)

Functionality 10 8 80
Fairness 18 10 55.6
Perception 20 10 50
Safety 34 17.5 51.5
Pleasance 19 9 47.4
Accessibility 21 15.5 73.8
Durability 9 3.5 38.9

Overall mean 56.7

* How to calculate mean: If, for example, there are 10 items under functionality and all are fit (1 point), the highest possible score is 10 points and the total score for this site is 8 points, thus making the mean (8÷10)×100 = 80 points.

2. 구간별 세부 항목 평가

1) 접근로

접근로의 평균값은 9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이며 평가항목 중 2 개의 “일부 부적합”, 8개의“적합”의 결과로 평가되었다(Table 5).
Table 5
Assessment of access road.
Item 1 2 3 4 5 6 7 8 9 10 Total Mean

Score 1 1 0.5 1 1 1 1 1 1 0.5 9 90
접근로의 유효 폭을 충분히 확보하고 바닥은 미끄럼 방지 및 충 격 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평탄하게 마감하여 전체 구간 중 유니버 설디자인에 대한 적용성이 가장 좋은 구역으로 나타났다.
다만 접근로 중의 하나인 선유교의 기울기는 1/24(4.17%/2.39°) 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무지개의 조형성을 과도하게 추구하여 안전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노인, 장애인 등도 편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물리적 개선이 요구된다.

2) 출입구

공원의 출입구는 총 2개소인데, 12개 평가 항목 중 4개는 “적 합”, 3개는 “일부 부적합”, 5개는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 고, 평균값이 45.8점으로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Table 6).
Table 6
Assessment of entrance/ exit.
Item 1 2 3 4 5 6 7 8 9 10 11 12 Total Mean

Score 0 0 0 1 0 1 0 0.5 1 0.5 0.5 1 5.5 45.8
주출입구는 보행출입구와 차량출입구가 분리되어 있고 보행출 입구에 설치된 차량 진입 억제 말뚝의 간격은 0.75m 이하로 조사되 어 휠체어 통과가 불가능하였다. 보행로와의 단차는 0.2cm의 한도 를 초과하며 보행출입구와 차량출입구의 경사로 기울기는 모두 1/18(5.56%/3.18°) 이하의 기준에 부적합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사로, 계단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의 점자블록, 주의환기용 마감 재, 주출인구 계단 측면의 손잡이 미설치, 음성전송 기능이 누락된 CCTV 설치 등도 분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안전성과 인지성이 부 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출입구 전체에 안전성과 인지성이 결여된 것을 알 수 있 었고 출입구에 대해서는 휠체어 사용자, 시각 장애인, 노인 등 유니 버설디자인의 주된 대상들이 이용할 때 불편성과 위험성이 많으므 로 이에 대한 우선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장애인전용주차구역

현재 선유도공원 내에서는 장애인 주차만 허용하고 일반 주차는 금지되고 있으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7개 평가 항목 중 2개 “적 합”, 5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28.6점으로 조사대상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Table 7).
Table 7
Assessment of parking for the disabled.
Item 1 2 3 4 5 6 7 Total Mean

Score 1 0 0 0 0 1 0 2 28.6
외부주차장은 지붕이 미설치되어 있었으며, 주차장 1면당 폭 3.3m이상, 길이 5.0m이상, 휠체어 활동 공간 노면표시 등의 표준 에 도달하지 않아 평가항목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구간에 보행안전통로(폭 1.8m이상)가 연속적으로 미설치되었으 며, 바닥 및 입식안내 표시도 미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어서 바닥 색 상 등을 통한 식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 보아 장애인전용주차장으로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조건에 부적합한 상태이므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과거 일반 주차장을 개선 없이 그대로 장애 인 주차장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정비와 개선이 필 요하다.

4) 안내경고시설

안내경고시설에 대한 9개 평가 항목 중 3개 “적합”, 6개 “모두 부 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66.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 를 보였다(Table 8).
Table 8
Assessment of signs and warnings.
Item 1 2 3 4 5 6 7 8 9 Total Mean

Score 0 0 1 1 1 1 1 1 0 6 66.7
모든 안내판은 읽기 좋은 글자체와 읽기 쉬운 구성으로 설치되 어 있었으며 그림, 기호, 외국어 등을 병용하여 표기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모든 안내판은 점자, 음성, 촉지도식 안내 등 통합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 한 정보제공이 되고 있지 않으며, 이용 가능한 산책로가 표시되거 나 경사진 산책로의 경우 경사 정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노인, 어린이, 외국인들은 이용은 용이하나 장애인의 이용 에 있어 불편한 점이 다소 많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 단된다.

5) 위생시설

위생시설에 대한 평가는 주로 화장실 외부 공간과 휴지통에 집중하였으며, 8개 평가 항목 중 4개 “적합”, 1개 “일부 부적합”, 3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56.3점이었다 (Table 9).
Table 9
Assessment of sanitary facilities.
Item 1 2 3 4 5 6 7 8 Total Mean

Score 1 0.5 1 0 0 1 1 0 4.5 56.3
화장실의 접근 통로에 설치된 배수로 덮개의 구멍 크기가 2cm 를 초과하여 평가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화장실 은 내부의 위치 및 다기능을 안내 할 수 있는 촉지도식 안내표지가 미설치되어 있었고 출입문 옆 벽면의 1.5m 높이에 점자표기를 설 치하였으나 떨어져 나간 상황이었으며 휴지통 등도 파손된 것이 다 수 발견되었다. 이에 위생시설은 내구성과 쾌적성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배수로 덮개의 구멍으로 안전사고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유모 차나 휠체어사용자가 안전하고 편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로 덮 개에 대한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6) 휴식시설

휴식시설에 대한 11개 평가 항목 중 5개 “적합”, 2개 “일부 부적 합”, 4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56.3점이었 다(Table 10).
Table 10
Assessment of rest facilities.
Item 1 2 3 4 5 6 7 8 9 10 11 Total Mean

Score 1 0 0.5 1 0 1 1 1 0.5 0 0 6 54.5
휴식시설은 선유도공원에서 가장 많이 설치된 시설로서 방문객 들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거 의 모두 휴식시설에서 야외탁자 및 휴식시설 상부 지붕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바닥도 틈새 없이 시공되지 않았고 충격 흡수 및 미끄럼 방지가 가능한 재료로 마감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부분 휴게의자는 등반이가 미설치되어 있으며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적절한 형태와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 침하 및 파손된 상 황이 많아 전체적으로 쾌적성, 내구성, 안전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휴식시설은 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르는 곳으로 다 른 시설에 비하여 규모가 크다. 이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을 향 상시키는데 그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보완과 개선의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7) 놀이시설

선유도공원은 기존에 환경놀이마당과 환경물놀이터 등 2개 놀 이공간이 있었으나 조사 당시에는 환경놀이마당이 안전문제로 인 하여 폐쇄되어 본 연구는 환경물놀이터만 조사 평가하였다. 총 6개 평가 항목 중 2개 “적합”, 2개 “일부 부적합”, 2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50점이었다(Table 11).
Table 11
Assessment of entertaining facilities.
Item 1 2 3 4 5 6 Total Mean

Score 1 0 1 0 0 1 3 50
놀이시설은 부분적인 통합시설(장애인 비장애인의 구분 없이 모두가 이용하는데 차별이 없는 시설)로 설치되어야 하나 대부분 바닥은 틈새가 많고 기울기도 있어 유모차나 휠체어사용자 등에 대 한 접근 및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충격 흡수가 가능 한 재료로 마감하지 않아 안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놀이터라는 주제적 특성으로 인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 마감재의 무늬를 너무 깊게 만들어 틈새 발생과 충격 위 험성을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8) 보행로

보행로에 대한 총 10개 평가 항목 중 4개 “적합”, 3개 “일부 부적 합”, 3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55점이었다 (Table 12).
공원 내 보행로의 많은 구간의 기울기가 1/18 이하의 표준에 부 적합하였다.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 가능한 재료로 마감되어야 하지만, 대부분 모래로 마감되어 있어 이 또한 평가기준에 부합하 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분적 구간에 단차나 틈새가 있고, 전 체 보행구간에 CCTV가 미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또한 부족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부 보행로에 나뭇가지와 잡초를 제 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높이 2.5m이상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통행 하는데 불편한 점을 발생시킨 바, 쾌적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 였다.
Table 12
Assessment of pedestrian path.
Item 1 2 3 4 5 6 7 8 9 10 Total Mean

Score 1 0 0 0.5 1 1 1 0.5 0 0.5 5.5 55
따라서 보행로는 바닥의 마감재 및 단차, 틈새의 개선 필요성이 매우 높고 식재의 유지 관리를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9) 계단 및 경사로

선유도공원은 기존의 정수장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조성하였 으므로 계단 및 경사로가 많아 분리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 단하였다. 총 10개 평가 항목 중 2개 “적합”, 5개 “일부 부적합”, 3 개 “모두 부적합”의 결과로 나타나고 평균값 45점으로 상대적 낮 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Table 13).
Table 13
Assessment of stairs and slopes.
Item 1 2 3 4 5 6 7 8 9 10 Total Mean

Score 0.5 0.5 0 0 0.5 0 1 0.5 1 0.5 4.5 45
일부 계단은 유효 폭 1.5m 이상의 표준에 부합되지 않았고 디딤 판도 너비 0.3m 이상, 챌면 높이 0.16m 이하의 표준에 부적합한 것 으로 조사되어 공평성과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단은 미끄럼 방지와 계단코의 구별이 용이한 재료로 마감되어 있 지 않았으며, 모든 계단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점자블록 또한 미설치되어 있어 안전성과 인지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부 경사로는 ‘종단기울기는 1/20이하의 완만한 경사 를 권장하며, 지형 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1/12 이하로 설치’의 평가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어 안전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는 과거 정수장 계단과 경사로에 대해 아무런 개선 없이 그대 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비는 어렵더라도 주동선에 한정하더라도 그에 따른 보완책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 다고 판단된다.

10) 소결

선유도공원에 대하여 총 83개의 유니버설디자인의 전반적인 평 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9개 구간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은 구간은 90점의 접근 로이며 가장 낮은 구간은 28.6점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이었다. 그 리고 전체 평균값은 54.7점으로써 전반적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 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4). 그에 따른 현장조사 결과 유니버설디자인의 부적합 사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Table 15).
Table 14
Assessment of space.
Survey space Detailed items (number) Total (points) Mean (points)

Access road 10 9 90
Entrance/ Exit 12 5.5 45.8
Parking for the disabled 7 2 28.6
Signs and warnings 9 6 66.7
Sanitary facilities 8 4.5 56.3
Rest facilities 11 6 54.5
Entertaining facilities 6 3 50
Pedestrian path 10 5.5 55
Stairs and slopes 10 4.5 45

Total 83 46 491.9
Overall mean 54.7
Table 15
General examples of unsuccessful cases of universal design.
Space Access road Entrance/ Exit Parking for disabled Signs
Image KSPPE-19-229_T15-F1.gif KSPPE-19-229_T15-F2.gif KSPPE-19-229_T15-F3.gif KSPPE-19-229_T15-F4.gif
Problem Exceeds standard slope. Failed to secure interval for access control piles and exceeds standard slope. Failed to secure 3.3 m in width and 5.0 m in length per space and failed to mark wheelchair zone on the ground. Signs do not have integrated information with Braille, voice, and tactile text.
Space Restroom Rest facility Entertaining facility Pedestrian road
Image KSPPE-19-229_T15-F5.gif KSPPE-19-229_T15-F6.gif KSPPE-19-229_T15-F7.gif KSPPE-19-229_T15-F8.gif
Problem Gap on access road. No outdoor tables, no or damaged roof. No shock-absorbent material on the ground. Branches and weeds not managed.

적요

본 연구는 모든 사람들의 활동 및 이용을 배려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도시공원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선 유도공원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 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관련 매뉴얼(Kim, 2012; Kang, 2012), 가이 드라인(Seoul, 2009; Gyeonggi-do, 2011) 등의 검토와 현장조사 를 통해 도시공원을 9개 구간으로 나누었으며, 7개의 유니버설디 자인 원리를 접목시켜 총 83개의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 틀을 도출 하였다.
둘째, 유니버설디자인 평가결과, 추출된 7개 원리에서 “기능성” 과 “접근성”은 비교적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쾌적성”과 “내구 성”은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공원이 조성 된지 오래 되어 유 지관리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나머지 항목들은 50점 내 외의 점수를 보였으며 전체 평균값은 56.7점을 보여 전반적으로 유 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간별 평가를 통해 나타난 주요 문제점으로는 주요 접근 로인 선유교가 무지개의 조형성을 추구하여 기준 기울기를 초과함 으로써 안전성이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노인, 장애인 등 도 편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물리적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주출 입구는 휠체어가 통과할 수 없는 폭으로 말뚝이 설치되어 있고 기 준 경사로 기울기를 초과하였을 뿐 아니라 점자블록, 주의환기용 마감재 등도 기준 미달로 평가되어 안전성과 인지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휠체어 사용자, 시각 장애인, 노인 등 유 니버설디자인의 주된 대상들이 이용할 때 불편성과 위험성이 많으 므로 이에 대한 우선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장애인전용주차장은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가장 미흡한 구 간으로 판단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주차장 1면당 폭과 길이 폭을 확 보하지 못하였고, 휠체어 활동 공간 노면표시도 표준 미달이었으 며, 안내표시는 누락되어 안정성과 식별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 다. 이는 일반 주차장을 개선 없이 그대로 장애인 주차장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된 바, 이에 대한 정비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환경물놀이터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 마감재의 무늬를 너 무 깊게 만들어 틈새가 생겼으며, 충격 위험성도 높아진 것으로 판 단된다. 계단 및 경사로는 기존의 정수장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 본 대상지의 특성상 적극적인 개선은 어렵더라도 주동선에 한정지어 보완책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으로 본다. 끝으로 대상지 구 간에 전체적으로 점자블록과 점자표지판이 미설치되어 있었으며, 침하 및 파손된 곳이 많이 발견되어 담당 관리 기관에서는 보다 적 극적인 시설물 설치와 보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관련 법규 및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평가표를 작성 하여 서울시의 대표적 도시공원인 선유도공원에 대해 유니버설디 자인 관점에서 평가한 것으로 기존의 도시공원을 개선하고 추후 계 획적 측면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모든 도시공원에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다고 본다. 이에 추후 추가적인 사례조사와 실제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인식조사를 병행하 여 좀 더 폭넓게 적용과 실용적 대안이 가능한 도시공원에 대한 유 니버설디자인 평가기준 도출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이다.
Ⅴ.
Ⅴ.

References

Choi DS, Moon JW.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to the urban parks in Daegu. KALGS 2012;14(3): 227–251.

Choi DS, Moon JW, Kim SH. An assessment on the urban riverfront in Shincheon, Daegu: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concept. JKILA 2012;40(2): 1–14.
crossref
Gyeonggi-do. Gyeonggi-do unversal design guideline 2011.

Kang BG. The convenience facilities for handicapped installation manual 2012;Konkuk university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Kim HJ, Cho YH. A study on skilled nursing facilities assessment through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Busan. JAIK 2006;26(1): 245–248.

Kim IS. The Manual for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2012;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Lee HC, Chung K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assessment tool application to urban park. KSBDA 2010;11(5): 402–412.

Lee KC, Kim NJ. An visiting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ecological park of Sun-Cheon bay: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principle. KSEE 2013;27(6): 777–793.

Min BA, Lee SJ, Lee YS.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of ‘Design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s for public spaces. JAIK 2009;25(8): 65–72.

Park YK, Liu Y, Kim SW. An evaluation on universal design of Seoul Forest. KODDCO 2015;15(1): 775–784.
crossref
Seo ES. A study to improve indicators for certifying Barrier-Free environment in urban parks. MS Thesis. 2016. Sangmyung Univ; Cheonan, Korea.

Seoul. Design Seoul guideline 2009.

Xu YH, Moon JM. A study on the analysis of public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Centering on convenience facilities in Damyang, Jeollanamdo. KSDC 2012;18(3): 630–639.

Yoon MH, Kim SW. Universal design evaulation on the Anyang stream waterfront design. KODDCO 2014;14(1): 591–602.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