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5); 2015 > Article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비교분석

ABSTRACT

This study applies the results of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Sosaewon and Villa D’este’s constructed areas to the context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contemporary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writer’s own artistic context derived from writer’s own artistic works. This approach intends to develop and apply new forms of garden art and imagification into writer’s own artistic works by mixture and juxtaposition of these whole heterogeneous implications of Sosaewon and Villa D’est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new value in garden art by applying the diverse artistic aspects of Sosaewon and Villa D’este derived from their divers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seeking transition from current standardized garden planning system to compound and fusion system of garden art in the modern times. The study attempts to draw new flow of contemporary garden art. For this, de-constructivism perspective, which contains post-modern cultural characteristic, is applied to examine the Sosaewon and Villa D’este’s hidden but intended factors and spirits by the builders.

서론

소쇄원은 조선 중기의 선비 양산보에 의해 오랫동안 조영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소쇄원의 소쇄(瀟灑)는 공덕장(孔德璋)의 북 산이문(北山移文)에서 나온 말을 따온 것이며 ‘깨끗하고 시원함’ 을 이른다. 소쇄원은 정유재란 후 소실된 것을 후손들이 상당 부분 복구하였으나 원래의 모습을 완전히 찾을 수 없다. 소쇄원은 북쪽 장원봉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임천이 주된 경관적 요소로 다양하며 한국 최고의 별서정원 혹은 원림이라고 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정원 이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민간 원림으로서는 정원의 공간적 구성 과 자연의 사면을 무리없이 인공과 자연의 조화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소쇄원은 한국을 대표하는 별서정원과 전통 원림으로 오 늘날까지 보존되어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조화로움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원의 공간적 구성과 자연적 사면의 흐름은 무리가 없어 인공과 자연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공간적 구성 요소가 뛰어난 것 을 알 수 있다(Cheon, 1999).
빌라 데스테는 유럽의 전통정원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조성 되어 유럽정원 문화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르네상스시기 에 이탈리아에서는 새로운 형식의 주택인 빌라와 함께 정원이 활발 히 조성된 시기였다. 빌라와 정원의 입지적 요건은 평지보다는 약 간 높은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 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영되어 있다. 빌라 데스테는 기하학적 형태와 비례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 변 경관의 단일 건축적 구도로 계획되어 조성되었다. 비규칙적인 지형구조에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면적과 비율의 형식으로 구현 되는 공간구성에서 조영자는 인위적인 자연 경관의 재현과 내적 질 서를 신비로운 표상의 과정을 거쳐 이상적인 소우주관을 함의하게 되었다(UNESCO, 2001).
따라서 이 연구는 16세기 초·중기에 조영된 한국의 대표적인 정 원인 소쇄원과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정원인 빌라 테스테를 통하여 동·서양 정원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동·서양 정원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자 16세기 동양의 별서 정원을 대표하는 소쇄원과 서양을 대표하는 이탈리아 빌라 테스테 를 연구 모델로 선정하였다. 16세기 유럽은 르네상스의 전성기, 조 선은 성리학과 더불어 별서정원이 현저하게 발달하고 있던 시기로 서, 두 개의 철학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정원 예술적 가치가 인정되 며 조영과 건축에 알맞게 투영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 는 정원이다. 특히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역사적, 서술적, 신화적 요 소를 담고 있기 때문에 공간의 혁신적인 디자인과 구성으로 16세기 르네상스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후대 유럽정원의 발달에 영향을 끼친 정원으로 정원예술로써 그 가치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자료 및 문헌조사와 직접 현 장답사를 실시하였는데, 소쇄원은 2014년 9월 ~ 10월, 빌라 데스 테는 2014년 7월경에 이루어졌다. 비교 분석의 항목은 사회문화적 배경, 조성목적, 공간구성의 특성, 보전의 측면에서의 유지관리상 태, 이용의 측면에서의 이용관리상태 등을 조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소쇄원의 조영 요소

1) 위치적 조영

소쇄원은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위치하는 별서(別墅) 정원이다. 소쇄원은 북쪽 골짜기에서 흘러 들어오는 계류를 중앙에 놓고 서남쪽으로 넓게 펴져나가 전체적으로 역사다리 꼴을 하고 있 다(Joo, 2009). 정유재란 때 일부 소실되었던 건물은 다시 복원, 중 수하여 2동이 남아있고, 2008년 명승 제40호로 지정되었다(표 1).
표 1.
소쇄원 조영 개요.
분류 내용
위치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
조영시기/ 조영자 -16세기: 1532~1542, 정유재란 소실 후 복원 낙향한 선비 소쇄옹 양산보와 그의 후손
면적
  • -1,350평 등록: 입구에서부터 담장까지의 면적

  • -10,000여평: 소쇄공의 후손인 양재영, 확실한 근거는 없다 (Cheon, 1999)

구성 입구 -대나무 숲과 투죽위교
외원 -고암동, 황금정, 죽림재, 창암촌, 절등재, 한천정사, 독목교
내원 -광풍각, 제월당, 소정, 오곡문, 애양단, 대봉대, 매대 등
특징 -대한민국 명승 제40호
시대적 배경으로 성리학 발달로 형이상학적, 철학적인 새로운 유학사상의 수립이 성행하던 시기이며 소쇄원의 창시자인 양산보 는 도연명의 저서인 ⌈귀거래사⌋와 주무숙(주돈)의 ⌈애련설⌋의 영 향을 받아 도연명의 안빈낙도 사상의 밑바탕인 은일처사의 모범을 비유한 상징적 요소인 대봉대 아래쪽의 대나무와 오동나무가 식재 되어 있으며, 이는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뜻과 광풍각 옆의 가산은 자미 수립과 도요계곡 위의 매대와 같이 무릉도원의 선계를 나타내 려 하고 있다. 주무숙의 인품을 비유한 소쇄원의 ‘광풍각’과 ‘제월 당'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선비의 도를 유추하여 삶의 지표로 삼 아 소쇄원의 연못에 연꽃을 재배하였다는 연유는 당시 조선시대의 성향의 일부이다. 그러나 양산보는 도연명이 세속을 탈피하고 은둔 하는 것보다 초월하고자 하는 유교적 은일을 택한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Cheon, 1999).

외원(外園)

외원은 소쇄원으로 들어오는 길이 대나무 숲에서부터 오곡문 까 지의 공간이다. 내원까지 흐르는 계류를 따라 높이 2m. 길이 50m 정도의 흙돌담이 쌓아져 있다(Cheon, 1999).

계원(溪園)

내원과 외원의 연결부로서 오곡문의 약작 행교(行橋)과 하부 쪽 의 입구와 광풍각을 연결하는 위교가 역할을 하며, 담 아래에 뚫려 있는 유입구로부터 시작되는 계변공간(溪邊空間)으로 윗쪽의 계 류 방향과 직각으로 쌓아 놓은 높이 2.2m ,흙돌담 아래로 높이 1.5m. 1.5m x 1.8m의 두 수구를 통해 유입된 계류는 암반상에 패 인 오곡요부(五曲凹部)로 굽이쳐 흐른다. 조그만 폭포를 이루고 조담에 낙하하고 대봉대 앞을 통과하여 수대와 광풍각 사이를 빠져 나온 계류는 위교(危矯) 밑으로 경사져 흘려간다 계류공간의 특징 은 자측은 장원봉, 응정봉을 중심으로 하고 우측으로 까치봉 사이 고암동 계곡에서 단차 형태로 유입되고 작은 와류형태의 사행천 (蛇行川)이다. 이는 물의 유속을 완화시켜주는 형태이며 많은 물 을 자연적으로 가두는 구조이기도 하다(Jang, 2014). 그리고 장기 나 가야금을 타는 공간으로 연출되며, 오곡문 쪽의 7m x 7m 넓다 란 바위는 휴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상암(床岩), 탑암(榻岩), 광석 (廣石) 등의 이름이 있다.

내원(內園)

오곡문에서 제월당에 이르는 상위공간으로 제월당 중심의 후정 과 고암정사, 부훤당 일대의 내정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입구에서 2개의 다리에 의해 연결되며 하부는 계원에 인접하고 있다.

2) 공간 요소

김인후의 48영은 소쇄원에서 기거하며 소쇄원의 경치와 자신의 생각을 48영으로 지어 지금까지 내려져오고 있다. 이를 통해 임진 왜란과 전쟁을 겪으며 파괴되었던 건물을 예상함과 동시에 그 당시 의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소쇄원 48영은 건축-시 각적요소의 경관에 해당되며 주로 대상 소재를 바라보는 시점으로 쓰여 지었다. 이와 같이 소쇄원의 조영의 공간구성의 요소를 분리 하여 대상의 쓰임새를 분리하였다(표 2, 3, 4, 5, 6).
표 2.
소쇄원의 공간 요소구성.
요소명 요소구성
석물 요소 인간의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
수공간 요소 경관구성의 요체가 되었으며 여가활동의 장소
조경 식물 요소 대상으로 보는 심리적 상태 감상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소
건축 요소
  • 각. 당. 정. 정사. 대 등으로 나타나는 특별한 의미와 기능

  • 각-석축 이나 단상에 높게 지은 집

  • 당-주거형식의 건물로 방이나 대청이 있는 건물

  • 정-정사나 서재, 사숙인 경우

  • 대-높이 쌓아서 사방을 바라봄과 정자 형식의 건물 의미

표 3.
소쇄원의 행위요소의 적용.
명칭 위치 특징
수계산보 애양단 부근 계단 23영, 애양단 부근 계단을 오르내리는 모습
옥추황금 대봉대 아래 20영, 대봉대 아래에서 거문고를 빗겨 안는 모습
표 4.
소쇄원의 수 공간과 의미적 해석.
명칭 위치 주요목적 특징
물레방아 용운수대 8영
소당 소쇄운 입구와 대봉대 사이에 위치 네모난 연못으로 수경시설 6영, 소당어류; 물고기가 노닌다는 뜻
산지순아 소당 아래에 위치 넘치는 물이 흘러 내려가는 수대로 흐르는 역할 11영, 41영, 순채의 새싹이 못 속에 흩어져 있다는 의미. 연못가에서 더위를 식히는 모습
투죽위교 소정으로 향하거나 광풍각과 제월당, 고암정사와 부원당으로 진입하는 입구 각종 건물 쪽으로 가는 입구 9영, 39영 통대나무로 만든 위태로운 다리 높이 설치된 외나무 다리
협로수황 소쇄원 입구 소쇄원 입구쪽의 대나무 밭길이며 실제로 협로 수황이 있었다 29영, 수황은 왕대나무를 뜻함
약작 계곡 위 담장을 뚫고 흐르는 원규 투류의 계곡물을 건너기 위해 걸쳐 놓은 대나무 가느다란 목재로 된 다리로 계곡에서 흐르는 물위에 걸쳐져 독목교 형태
조담 오곡으로 흐르는 물이 모여 말 구유통 형상이 만들어진 곳 멱을 감는 연못 21영 복류전배(술잔과 물이 도는 모습) 25영, 조담방욕
소폭 조담에 고인 물 폭포모양 감상 39영, 오음사폭에서 폭포물 쏟아지는 모습을 봉황이 춤추는 모습에 비유
표 5.
소쇄원 내 건축요소와 특징.
명칭 위치 주요목적 특징
광풍각 계곡 가까운 곳 위치 침계 문방으로 객을 위한 방 아담하고 소박한 공간으로 맑고 깨끗함을 의미
제월당 소쇄원 내원에 위치 폐쇄공간으로 주인의 거처와 독서 공간 소쇄원 주인의 사상과 이상이 반영된 곳이며 원림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소쇄원 전체의 경관을 조망 할 수 있는 공간
소정 대봉대에 설치 초정 소쇄원 여덟 정자 중 하나
오곡문 외원과 내원을 이어 주는 협문 담 밑으로 흐르는 물길을 이어주기 위해 설치 15영 행음공류 무이구곡과 도교사상 반영. 계류가 암반 위를 之 자 모양으로 흘러내려간다는 뜻
애양단 소쇄원의 입구쪽 대봉대 바로 뒷편에 위치 겨울철 북풍을 막기 위해 만든 단으로 햇볕이 잘 드는 공간 47영의 양단도오(陽檀冬午) 라는 시제에서 인용한 명칭. 소쇄원의 입구와 계류쪽의 자연물과 인공물을 동시에 감상하는 공간으로 따뜻한 햇볕이 잘 들어 효(孝)의 상징적 의미
대봉대 애양단 바로 앞 정원 초입의 대나무 숲을 지나 담이 시작 되는 지점에 위치 귀한 손님을 맞기 위해 대를 쌓고 정자를 지음 37영 봉황새를 의미, 길조를 뜻함
매대 오곡문과 제월당 사이 매화나무의 식재 공간, 달맞이 공간12영 축조된 4단의 계단 중에서 상부 2단의 계단으로 주변에 매화나무를 식재. 봄을 상징. 고난과 인고의 세월을 이겨낸 선각자로 지조와 덕을 표상
도오 광풍각 뒷편 언덕 위에 위치 복숭아나무 식재 공간 36영, 도가와 신선사상 상징
담장 외원과 내원 구분공간 골바람을 막아주고 구역간의 한계를 지어 주는 역할 소쇄원이 지네 형국이라 강한기를 누르는 목적으로 담장을 쌓았다는 일설
괴석 매대의 맨 우측 느티나무 신선사상 배경 24영, 느티나무 옆 바위 남가일몽(南柯一夢)의 뜻이 들어 있음
오암 오곡문 담장 바로 밖 큰 바위 지칭 자라 혹은 거북 모양의 바위 4영 부산오암(負山鰲巖)
광석 소쇄원내 계곡 유흥의 장소 13영, 넓다란 바위
상암 광석 아래 부분의 평평한 바위 바둑판으로 사용 22영, 상암대기
석가산 광풍각 동쪽 인공적 산 16영, 가산초수
탑암 소폭 바로 아래에 위치 평상모양 19영, ‘탐암정좌' 사람이 정좌하고 있는 모습 표현
표 6.
소쇄원 외원의 건축요소
명칭 위치 주요목적 특징
고암동 소쇄원의 뒷산에 있는 큰 바위 이름 명상 양자징의 호를 딴 동굴
황금정 논 가운데 정자
죽림재 소쇄원 뒷산 소쇄원 뒷산의 동북방향에 위치
창암촌 소쇄원과 직선거리 지점에 위치 지석동으로 이주 소쇄원의 본가가 있었던 마을
절등재 교육 기관 ‘매우 뛰어나다’ 의미
한천정사 절터 교육 기관 ‘찬물이 솟는 샘’
독목교 ‘외나무 다리’

3) 조경 식물

김인후의 소쇄원 48영과 소쇄원도 중심으로 조경 식물을 시제로 표현된 것에서 소쇄원에 식재된 조경요소들의 분포와 식생의 의미 를 파악할 수 있다.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에 나타난 식물은 19종 이며 각종 시문에 나타나는 식물은 21종이다. 당시의 식물들은 새 로운 수종으로 대체가 많으며 조원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의 의미 와 2차적으로는 조경 식물이 갖는 관념적인 의미로서 뜻이 깊다 (Cheon, 1999). 이와 같이 19종의 조경 식물 중에서 우리나라 야생 종은 6종, 중국 원산 종은 12종, 인도는 1종인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철쭉, 등나무. 동백나무. 측백나무. 춘란, 등이 심어졌던 것으로 보 이며, 전체 식물은 21종으로 목본과 초본으로 구분되었다(표 7). 별 서정원의 수종과 배치공간 분석에 따르면 수종과 배식은 상징성과 기능성, 생태적 특징으로 유교의 영향과 도교사상, 신선사상의 영 향을 받아 미래의 부귀 번영, 불로장생의 의미가 포함되며 외부와의 경계 표석으로 작용되어 왔으며 즐겨 사용되었던 식물로 분석된다.
표 7.
식재 수종의 특징 및 이미지화와 상징성.
수종 종류 위치 특징
왕대나무 목본 제월당의 북쪽, 고암정사의 담 부근 등 원림 곳곳에 식재 되었던 것으로 기록 사군자 중 하나로 곳곳에 식재
조릿대 목본 고암정사와 남쪽 지당, 위교 부근 32영 총균모조에서 언급
살구나무 목본 외원과 내원: 오곡류 옆과 입구의 행정 15영
느티나무 목본 소쇄원 여러 곳에 식재된 흔적이 나타남 24영
소나무 목본 단교쌍송(斷橋雙松)에서 보듯 계정 바위틈과 주변 야산 에서 자생 17영, 선비의 고절함 상징
국화 초본 동쪽 울타리 부근에 식재 27영, 산애송국(散崖松菊)
매실나무 목본 제월당과 고암정사 조담 축대 등에 많이 심었다 28영, 석부고매와 매대요월에서 언급
복숭아나무 목본 광풍각 뒷편 도오에 군식 36영, 도호춘호–도가와 신선사상 상징과 이상향을 상징
사계화 초본 초정 근처에 심어진 것으로 예상 48영, 사철사계에서 언급–3,6,9,12월에 피는 꽃
배롱나무 목본 위치로 보아 소당과 수대 사이의 개울가에 식재 42영, 츤간자미
참오동나무 목본 대봉대 옆에 식재 37영, 동대하음(秱臺夏陰)
벽오동나무 목본 38영, 오음사폭(梧陰瀉爆)
수양버들 목본 전원: 위교 서쪽의 개울가 39영의 유정유객으로 보아
단풍나무 목본 도오북쪽 개울가 영학단풍
치자나무 목본 직사광선을 싫어하는 특성 때문에 제월당의 전정에 심은 것 46영, 대설홍치
창포 초본 전원: 계정안 폭포하류 34영, 격단창포
연꽃 초본 광풍각의 아랫단 안쪽에 연못을 파서 심은 것으로 예상 40영, 격간부거
파초 초본 상의 하지 근처 장원(長圓)입구 및 제월당 남쪽에 두 그루 식재 43영, 적우파초(適雨芭蕉) 노래됨. 재배가 까다로운 식 물로 양산보의 원림에 대한 관심을 파악
순채 초본 수련과에 속하는 다년생 수초 41영, 산지순아
난 (보춘화) 초본 매대의 두 번째 단 석부고매, 달맞이에서 언급
행음 목본 살구나무 그늘로 독목교 건너기 전에 심어져 있음 15영, 행음곡류
동백 목본 애양단 담장구석에 식재C 애양단을 반영
와송 목본 조담 위에 걸쳐져 있음 48영에 자주 언급
총균모조 대봉대 근처에 심어 짐 32영, 산죽류로 총균은 대나무와 새 표현. 대나무 열매는 새의 먹이
목본 오동나무로 대봉대 옆 소정 옆에 심어져 있음 봉황이 앉아 쉬는 나무로, 손님을 맞이한다는 뜻
자미 (목백일홍) 목본 소당 아래와 광풍각 뒷 편에 심어져 있다 42영, 츤간자미(櫬澗紫薇)
유정 목본 물가의 버드나무로 광풍각 아래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단 에 있다 39영, 유정유객; 손님 방문의 영역성 표현
천간 목본 대나무 숲으로 제월당과 매대 뒤쪽에 있다 10영, 천간풍향에서 대나무 소리를 ‘허공에 메아리 쳐 그 소리 따라가면 고요해. 무정한 바람은 대나무와 함께 밤 낮으로 피리소리 어울리더라’ 라고 표현

2 빌라 데스테의 조영 요소

1) 위치적 조영

빌라 데스테는 이폴리토 데스테 추기경에 의해 최초 조영되었 다(표 8). 이폴리토 추기경에 의한 빌라 데스테는 기본적으로 초기 르네상스 정원의 기하학적인 질서보다 매널리스트 회화의 왜곡된 구성법은 오래 전의 라파엘의 성취된 것에서부터 기인된 것을 알 수 있다. 라파엘과 리고리오의 공통적 요소들은 이중벽, 분수, 벽감 깊은 연못 같은 일차적인 건축적 요소들을 표현하였고, 경사진 지 형을 끌어들였으며 자연을 부단히 변화하는 생명체로 인식하며 건 축은 자연의 창조적인 영혼을 포착하려는 것임을 표현하였다(Yu, 2004). 빌라 데스테는 로마에서 북동쪽으로 16마일 정도 떨어진 근교의 라치오(Lazio) 주의 도시 티볼리에 위치하고 있다. 티볼리 는 라치오주 로마현에 속하며 로마에서 동쪽으로 약 17마일 거리 에 위치하여 있으며 사비니 구릉을 따라 흐르는 아르네에강 연안 에 있다. 티볼리는 세 개의 큰 별장인 빌라 데스테. 빌라 란테 그리 고 빌라 그레고리아가 자리 잡고 있는 고대의 유물 도시이다. 그 중에서도 빌라 데스테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정 원이다.
표 8.
빌라 데스테의 구성 및 조영 요소.
분류 내용
대상지 빌라 데스테 (Villa D'este)
위치 이탈리아 로마 캄파냐 지역, Lazio주, Tivoli시 위치 로마에서 동쪽으로 약 17마일
조영시기와 조영자 르네상스의 절정기인 16세기: 1550~1572 이폴리토 데스테(Ippolito d’Este) 추기경 설계가 피로 리고리오(Pirro Ligorio)
면적 4.5 헥타르, 14000평, 사비니 구릉을 따라 흐르는 아니에네(Aniene) 평원
구성 상부정원 테라스와 별장(궁전)
하부정원 동굴과 분수
특징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 공간 요소

공간의 주요 구성은 궁전. 분수, 정원 및 기타 부속물로 구성된다. 빌라 데스테는 도심 내 정원에 속하며, 산기슭에 위치하여 도심이 내려다보이고 도심의 중앙과 축이 이어져있는 형태로 조영되었다 (Choi, 2002). 이는 주위의 자연을 정원 안에 포함시키기 위한 목적 으로 볼 수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은 인간의 품위를 높이고 고상한 취미생활을 위한 것으로 엄격한 수학적 비례가 준수되었다 (Choi, 2011). 또한 16세기 중반부터 이탈리아 정원에 나타난 ‘대 칭적 공간분할’의 양식을 따라 축을 따라 대칭적인 공간 구성을 보 여 준다. 빌라 데스테는 단일 축을 가진 다른 정원과는 달리 직교축 형이며, 별장이 위치한 최상단 테라스 밑에 5단의 테라스로 구성된 경사진 상부정원과 그 밑에는 평탄한 하부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Choi, 2002).
빌라 데스테의 궁전건설 계획은 궁전 터에 이미 자리 잡고 있던 수도원의 제한 때문에 많은 한계가 있었다. 결국 궁전은 수직이 아 닌 C자 형태의 건물로, 중간 뜰을 주위로 짓게 되었다. 반면에, 북동 쪽 부분은 비스듬한 사각 형태이다(UNESCO, 2001). 궁전 전면의 중심 부분은 1565년에서 1567년 사이 지어졌고, 코너 부분은 1568년 정원 설계가 끝난 후 정원과 궁전을 연결하기 위해 지어졌 다. 정원의 중심축은 궁전에서부터 용의 분수로 이어지는 테마인 로지아 형에 집중 되어있고, 측면의 세로축은 궁전의 코너 부분 몸 통에 집중되어있는데, 이는 중심축의 테마에 복종하는 계층위치를 나타낸다. 뜰의 남동쪽 부분은 성 마리아 Maggiore 성당의 오른쪽 네이브의 담과 공유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비너스의 분수가 있다. 가장 중심에 잠자는 비너스가 대야 밑의 화분에서 물을 계속 붓는 형태의 동상이다. 이 분수의 배경은 Stucco relief로 장식되었다. 이 분수는 물의 근원이 미카엘 대천사가 발현했다는 천사의 산 이 라는 것을 나타내며, 천사의 산에서 흘러나온 물들이 빌라 곳곳에 흘러내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궁전의 메인 홀은 정원 앞까지 이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뜰과 연결된 층은 추기경의 개인 방이 있고, 아래층은 비밀 통로의 뒷부 분과 연결되어 있다. 이폴리토 추기경 2세가 건설한 빌라 데스테 궁 전 안 인테리어의 가장 화려하고 장대한 부분은 바로 다양한 홀들 에 자리 잡고 있는 다양한 작품들이다. 동 시대 유명한 화가, 건축가, 조각가, 분수 건설가 등의 다양한 팀들이 합세하여 티부르티나 지 역의 신화에서부터 이폴리토 추기경 자신을 상징하는 다양한 신화 와 문장을 암시하는 작품을 창조하였다.
이폴리토 추기경은 자신의 가문 문장(紋章), 도덕적 자성 등과 더불어 그의 정치적, 종교적 통치 아래에 있던 영지와 그가 고고학 발굴을 추진하였던 장소 등을 기념하는 작품들을 곳곳에 남겨놓게 하였다. 이 궁전 안의 상징적 요소들은 정원 속의 상징적 요소들과 도 매우 가깝게 연결되었다. 특히, 정원과 궁전 모두 현재와 과거의 티볼리를 묘사하는 요소들을 상징성 있게 나타내었는데, 이는 북동 쪽 홀의 아래층에 자세히 묘사되어있는 것처럼 특히 지역 신화 요 소들을 보여주었다(UNESCO, 2001). 궁전에서 기독교적 테마는 예배실과 Noah와 Moses의 홀과 추기경을 암시하는 인물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Piano Nobile에 있는 추기경의 개인 방의 그림들은 1568년에 그려졌다. 이 그림들은 선이 악을 이긴 일화들을 바탕으로 일관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주변의 방 프리즈 코너의 모든 부분에서도 이폴리토 추기경의 상징을 찾을 수 있다. 추기경의 문장(紋章)인 금사과를 지닌 나뭇가지, 프랑스의 백합들 그리고 에스테 가문의 하얀 독수리가 어느 곳에나 장식되어 있다. 응접실 건물의 천장은 치장 벽토로 된 천장 돌림띠로 장식되어있다. 가장 긴 측면 판넬에 는 티볼티나 지역의 시내, 다리, 유적 그리고 헤라클레스와 시빌 신 전이 그려진 4가지 이상적인 풍경이 그려졌다. 끝 부분의 삼각형 판 넬에는 그로테스크한 인물과 사계절을 그린 타원형을 프레스코 형 식으로 그렸다. 주변방과 달리 추기경의 침실은 훨씬 더 호화스럽 다. 천장은 목재 정간으로 장식되어있고 중심 8각형은 추기경의 문 장을 담고 있다. 동시에, 측면에는 추기경을 상징하는 금사과를 든 독수리와 ‘Ab insomni non custodia dracone’ 라는 모토가 장식 되어 있다. 아래층 홀의 도상학적 테마는 대부분 고전 신화에서 가 져온 것이지만 비밀 정원으로 향해있는 처음 두 개의 북동쪽 홀은 성경에 수록된 역사에서 테마를 가져왔다.
북동쪽을 향하는 첫 번째 홀은 ‘Sala di Noe’ 이라고 불린다. 벽 에는 1570년경에 그려진 환상적인 바다 풍경이 그려져 있고, 천장 에는 사계절의 화신과 중간 패널에는 ‘God’s Apparition to Noah’ 의 장면이 그려져 있다. 근접한 벽은 ‘Sala di Mose; Hall of Moses’ 로, 작은 단색 패널들이 모세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천장 중간의 프레스코는 모세가 바위를 치는 장면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폴리토 추기경이 예언자 마냥 자신의 사람들을 위해 돌에서 샘물을 만들어 주었던 것을 명백히 암시하는 것이다.
노아의 홀과 메인 응접실 사이의 두 개의 홀의 대부분은 티볼리 의 기원에 대한 신화적 장면을 암시하는 장면들로 꾸며져 있기 때 문에 Sale Tiburine 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중앙 응접실을 향하는 Prima Stanza Tiburtina의 아치 천장은 티볼리의 조영과 토대를 묘사한 장면들로 다채롭게 장식되어있다. 전설 속의 티볼리의 창설 자인 세 그리스 형제들인 Catillus, Cora 그리고 Tiburtus이 묘사되 어 있고 벽의 중앙에는 ‘암살자들과 맞서 싸운 그리스 형제들’, ‘승 리 후의 희생’ 그리고 ‘Albius와 Bergius에 맞서 싸우는 헤라클레 스 Saxanus의 전투’가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Tiburtine 홀은 무녀 Sibyl Abnuea에 대한 전설과 그녀 를 기리는 테마가 꾸며져 있다. 추기경의 상징은 조개, candelabra 마스크, 의인화된 인물로 대체 되어있다. 아치 천장의 중심부에는 이륜전차에 수금을 들고 앉아있는 아폴로 신이 태양의 화신으로 묘 사되어있고, 그 주변에는 ‘Tiburtine Sibyl와 Tiburtine 지역의 세 명의 강의 신’ 등 티부르티나 전설과 관련된 4가지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 홀은 시빌레 신을 숭배하는 장면, 조개 속의 비너스, 익사 한 Ino와 그녀의 아들 Melicerte를 바다의 신으로 변신시키는 넵튠 과 같은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다(UNESCO, 2001).
중앙 메인 salone은 북동쪽 벽의 반대쪽에 놓인 작은 분수 때문에 Sala della Fontana di Tivoli 라고 불린다. 전체적으로 모자이크와 에나멜로 덮힌 이 분수는 티볼리 시에 헌정한 것인데, 고대 유물, 시빌 레 신전, 그리고 타타로 바위에서 흘러나와 basin 밑으로 떨어지는 물 등 티볼리를 대표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새겨 넣었다. 그림 작품들은 의도적으로 착각 그림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였다.
원근법을 이용한 콜로네이드는 배경 하늘을 프레임 짓게 하여 ‘신 들의 연회’ 무대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로마 테베레 강 근처의 별장 건축인 빌라 파르네지나에 라파엘로가 그린 프레스코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 진 것이다. 천장의 중심에는 아폴로, 태양신 아폴로, 달의 여 신 다이아나, 풍작의 여신 케레스. 술의 신 바쿠스에게 희생하는 모습 이 경계선의 타원형 프레임에는 넵튠의 물, 쥬피터의 고익, 플루토의 불 그리고 주노의 지구 이렇게 네 가지 요소를 상징화하는 신들이 마 차에 앉아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코너 부근에는 추기경의 문장이 그려져 있고 벽 쪽에도 다양한 그림들이 있는데 그 중 몇몇은 빌라 데 스테의 풍경, 정원 그리고 분수들을 상세하게 그려놓아 빌라 데스테 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그림들이다(UNESCO, 2001).
그 다음 홀은 티볼리의 수호 영웅, 헤라클레스의 홀(Sala di Ercole)이다. Federico Zuccari에 의해 그려진 중간 패널에는 헤라 클레스가 이루어낸 성과 덕에 신들 사이에 앉은 헤라클레스를 신격 화하는 ‘신들의 의회’가 그려져 있다. 또한 ‘Sala della Nobilta’ 에 는 북쪽에서 동쪽의 시계 방향으로 우정, 절제, 신중, 기하학 등을 상징하는 장식들이 벽을 치장하고 있다. 진짜와 가짜 문 위에는 그 리스의 철학자와 법 제정자가 칠해져 있고 천장의 타원 프레임에는 영예와 사물의 본질 혹은 Diana Ephesia를 의인화한 형상이 그려 져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에는 풍요와 불멸이 자리잡고 있다.
중앙 판넬에는 세 가지 미덕인 관대, 고귀함, 관용이 의인화되어 나타나있다. 원근법으로 착각 기법을 사용해 그려진 찬장에는 이폴 리토 추기경을 상징하는 주교 모자와 추기경의 모자와 같은 다양한 상징물들이 그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창문 위 천장의 팔각형 프레 임에는 운명의 여신이 하늘에서부터 추기경의 모자와 교황관을 받 는 것을 의미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이폴리토 추기경이 갈망하는 교황의 자리를 모호하게 나타낸 것이다.
다른 팔각형 프레임에는 관대함을 의미하는 그림이 나타나있고 벽에는 추기경의 네 가지 덕목을 상징하는 그림 또한 나타나 있다. 빌라 데스테는 ‘물의 정원’ 이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다. 정원 곳곳 에 물을 이용한 분수와 연못이 조형되어 있다(Yu, 2004). 수원이 정원 안에 위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빌라 데스테는 밖의 산과 강 등지에서 수로를 이용해 물을 끌어와 정원 내에 공급한다(Choi, 2002). 빌라 데스테의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나 이를 정원 디자인에 활용한 방식은 16세기 세계 어느 정원에서도 볼 수 없는 최고의 작 품이다(UNESCO, 2001).
그 중 하층부 노단 연못 서쪽에는 넵튠 분수와 그 뒤에는 물 오르 간이 있는데 이 오르간은 물과 공기의 유압차를 이용해 오르간 소 리를 낸다. 이는 정원 설계에 과학적이자 획기적인 방법들을 도입 하게 된 선례가 되어, 이 후 유럽 정원에 과학적 기술의 도입의 전파 에 큰 역할을 하였다. 제2 노단과 제3 노단 사면의 중심축에는 '드래 곤 분수' 가 자리 잡고 있다. 제3 노단에는 100개의 분수가 일렬로 설치되어 산책로를 구성한다. 100개의 분수는 다양한 동물들의 표 정을 익살스럽게 하나하나 조각해 놓은 게 특징인데, 산책로 면이 아닌 반대 면의 분수는 로마분수로 연결된다.

티볼리 분수(원형 분수, 백 개의 분수)

티볼리 분수는 빌라 데스테 정원의 가장 메인 분수로서 언덕의 중간에 자리 잡고 있다. 티볼리 분수는 넓은 빌라 데스테 정원의 수 로의 시작을 알리며, 이 수로는 로마 호수가 자리 잡은 남서쪽 부근 에서 끝난다. 분수의 방향은 정원의 중심축과 직각으로 만나고 있 고, 도시로 향하는 아르네에 강의 하류와 평행하는 것을 반영한다. 원형 분수는 백합 모양의 물 폭포가 쏟아져 나오는 구조 등의 다양 한 모습 등을 통해 수작의 물의 동작을 보여준다. 윗 부분에는 초승 달 모양의 인공 산이 설치되어있는데, 산의 끝 부분에는 세 개의 작 은 동굴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에는 아들인 바다의 신, 멜리케르테 스와 그녀의 어머니인 Tiburtine Sibyl의 동상이 있고, 나머지 두 개에는 강의 신인 Herculaneus와 anius의 조각이 있다. 이 티볼리 원형 분수는 실제 티볼리 지형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세 개 의 동굴 속 세 개의 조각들은 티볼리의 세 개의 강을 대표하는 것이 다. 작은 폭포 또한 아르네에 강의 큰 폭포를 상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형 분수 앞쪽에 위치한 백 개의 분수는 전체 정원을 가로질 러 앞부분에 백 개의 다양한 모양으로 자리 잡고 있다.

로마의 분수

원형분수에서부터 시작하는 수로의 남서쪽에 로마의 분수는 자 리 잡고 있다. 원형분수가 티부르티나 지역의 자연과 물을 상징한 다면, 로마 분수는 고대 로마와 강을 상징한다. 로마 분수에는 연극 무대에서 가져온 그림들이 도상학적 서사방식으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티볼리 지역의 물과 강과 로마와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그림 에 따르면, 바위의 꼭대기에서 아르니 강의 신인 Anius가 Sibyl 신 전을 들고 있고, 그 아래에는 아페니노 산맥(Apennine)이 물이 발 현하는 곳인 산을 들고 있다. 그리고 바닥에는 아르네에 강에서 티 볼리 지역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상징하여 보여준다. 또한 단에 그려진 여러 개여 빌딩들은 로마의 7가지 대표적인 언덕과 그 것들의 가장 유명했던 순간을 상징하는 것이다. 분수의 중간에는 ‘영광스러운 로마’를 나타내는 조각상 또한 놓여있다.

오르간 분수

정원과 수직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오르간 분수는 분수와 함 께 뒷 편에는 오르간 음악이 나오는 3부로 된 정면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빌라 데스테의 가장 큰 분수 중 하나이다. 원래는 ‘폭우의 분 수’라고 불리던 것이 곧 유명한 오르간으로 인해 ‘오르간의 분수’로 불리게 되었다. 분수의 가장 꼭대기 부분에는 추기경을 상징하는 문장인 독수리가 자리 잡고 있다. 분수 뒤 건물의 붙임 기둥에는 로 마의 태양, 음악의 신인 아폴로 신과 하프의 명수인 오르페우스 신 의 조각상이 각각 조각되어있다. 그 외에도 음악가와 동물, 나무들 을 그린 장면들이 조각되어 있다. 22개의 소형 파이프 오르간은 시 간에 맞춰 음악을 연주하는데, 이는 물의 유압차를 통한 공기의 압 력으로 소리를 내는 것으로 빌라 데스테의 ‘물의 정원’ 이라는 이름 에 걸맞은 수력공학과 과학을 예술적으로 접목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오르간 음악뿐만 아니라 처마돌림 띠 위에 위치한 두 개의 Fama 신 조각상을 통해서 트럼펫 소리 또한 들리게 된다.

용들의 분수

정원의 중심축에 위치한 드래곤 분수는 전체 정원의 중심점이 다. 분수는 양 쪽의 경사진 층으로 둘러싸여 안에는 반원형 분수가 설치되어 있다. 양 쪽의 경사진 층은 반인 반수인 스핑크스로 연결 되어, 스핑크스의 젖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안쪽의 반원형 분수에는 이폴리토 추기경을 상징하는 문장과, 사이드 쪽에 는 두 마리의 돌고래 조각이 있고, 중앙에는 등을 맞댄 네 마리의 용 들이 조각되어있다. 각각 용들의 입에서는 풍부한 양의 물이 뿜어 져 나온다. 용의 분수는 백 개의 머리를 가진 용과 헤라클레스의 전 설을 담고 있다. 헤라클레스는 신으로부터 12가지의 과업을 받았 는데 그 중 열 한번째가 헤스페리데스 정원에 있는 잠들지 않은 용 들이 지키고 있는 황금사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헤라클레스는 지혜 와 미덕과 용기를 발휘 해 황금사과를 획득할 수 있었는데 빌라 데 스테의 용의 분수는 이를 바탕으로 주조된 것으로 분수 뒤에는 헤 라클레스 상 또한 설치되어 있다.

올빼미 분수

올빼미 분수는 드래곤 분수의 남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자연경 관을 차경 하였으며 자연적 지형의 단 차이를 이용하여 인공적인 형태를 구성 하였으며 축과 관련된 수목은 주로 박스 형태로 갖추 어져 있으며 축의 일치 개념이 강하다.

타원형 분수

빌라 데스테 정원의 공간 구성의 요소에는 물의 요소가 중요하 여 수로를 도입하여 연못과 분수가 곳곳에 설정 되어 있으며 연못 서쪽에는 물 오르간 이 있으며, 제2 노단과 제3 노단은 사면의 중심 축 선상에 타원형의 드래곤 분수가 설종 되어져 있다. 분수의 좌우 에는 총림이 자리 잡고 있다. 제3 노단을 따라 가면 100여 개의 분 수(Fountains of Hundred)와 동북쪽 끝에는 원형 분수(Oval Fountanin)가 있으며 길이 23, 폭 15의 거대한 타원형 연목 분수로 서 폭포수가 그곳으로 쏟아져 내린다. 서남쪽 끝에는 고대 로마의 축소 모형인 ‘로메타’가 설정되어 있다. 빌라 데스테는 아니에네 강 에서 물을 유입하여 정원 곳곳에 물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식물을 다량으로 식재하여 풍부한 감상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빌라 데스테의 특징적 요소이다.

노단

빌라 데스테의 공간 구조는 최상단 노단으로 포오치로 폭 12m의 평탄한 포상(鋪床)에 돌난간으로 부터 포오치로 오르게 되어 있다. 이어 3단의 노단으로 된 상부정원과 평탄한 하부 정원으로 구성되 어 있다. 최상단 노단에서 내려오면 넓은 테라스가 있고 로지아에서 보면 북동과 북서 방향으로 티볼리 주변의 경관을 접할 수 있다. 정 원의 규모는 14,000평으로 정원 내의 공간에는 다양한 디자인적 구 성요소로 조영되어 있으며 조영자는 명확한 중심 축선을 따라 노단 의 형식을 설정 하였으며 빌라 데스테의 대표적인 구조의 형태를 가 지고 있다. 이는 회화적 요소를 접목하여 라파엘의 마다마장의 회화 적 구조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최저 노단 중앙에는 분수와 분수를 둘러싼 사이프러스 서클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툰다 주위에는 자수 화단이 배치되어 있다. 북부 경계부에는 중세 말의 성벽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는 중세 말의 조경기법의 요소이며 성벽 옆의 길들은 대부분 덩굴식물의 식재로 트렐리스 터널이 높게 위치하고 있다.

3) 조경 식물

빌라 데스테 곳곳에 있는 조그마한 휴식 공간과 정원 건축 퍼걸 러, 미로 등은 15세기에 널리 사용되었던 정원 설계 구성 중 하나이 다(UNESCO, 2001). 빌라 데스테의 독창성과 참신함은 빌라 데스 테의 설계 당시 식물과 녹지의 기하학적 배치를 어떤 방식으로 하 였는가에서 드러난다(표 9).
표 9.
빌라 데스테의 조경식물.
식물이름 위치 특징
자스민 테라스 현관의 기둥들
단계목 두 개의 큰 나무로, 2년에 한번 꽃이 핀다
장미 호수 테라스 난간 옆 장식용으로 설치
사이프러 스 헤라클레스 상 옆 물 계단
목련 헤라클레스 상 옆 물 계단
도금양, 월계관 입구 중앙 남서쪽 느릅나무 근처 바다공기로부터 정원을 보호하기 위해 식재
포도 분수와 peschiere 사이 별장에 포도 공급
사이프러 스 하층부 정원의 남서쪽에 위치한 용들의 호수의 중심축을 따라 식재 용들의 호수에 담긴 에피소드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왕관 형태로 수많은 사이프러스들을 식재
털가시나 무 하층부 정원의 남서쪽의 Bollori 계단의 경계 방풍림의 역할
첫 번째, 두 개의 빈 공간 중 하나인 원형 분수와 오르간 분수 앞은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식물들이 횡단선을 따라 강조되어 있으며 또 다른 하나인 물고기 연못 뒷부분은 일렬로 배치된 느릅나무, 벽에 붙어 자라는 Viburnum, 그리고 월계수나무에 의해 횡단으로 길이 나누어져 있다. 이는 정원이 평평하지 않은 면에 설계되어 있으므 로 정원의 수평 시야를 더욱 강조하려는 의도로 설계된 것이다.
두 번째, 빌라 데스테의 정원은 경사와 가파름의 정도를 증가시 켜 별장이 더 멀리 있어 보이는 효과와 나무의 집합체들이 더욱 깊 고 풍부해 보이는 효과를 만들었다. 그리고 식물들을 수평평행 축 을 따라 식재하였다(UNESCO, 2001).
세 번째, 빌라 데스테의 녹지는 높고 잘 정돈된 회양목 에스파리 에 울타리에 의해 둘러져 광장과의 경계를 만들어낸다. 16세기 당 시 정원은 대부분 전형적인 지중해 식물들로 이루어지었다. 느릅나 무, 털가시나무, 플라타너스 등으로 구성된 나무들 삼나무, 회양목 등으로 구성된 관목들, 오렌지. 광귤 등의 감귤나무, 마르멜로, 석 류, 앵두 등의 과일나무, 포도덩굴 등의 덩굴식물, 향이 좋은 식물들 그리고 화분에 담긴 식물들 빌라 데스테에 심긴 지중해 식물들의 전형을 대표한다.
이 식물들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자라는 식물을 대표할 뿐만 아 니라, 고전적 정원 스타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소나무와 사이프러 스 종은 여기에 보이지 않는데, 이 두 가지 종은 후대에 도입되어 지 금 현대 정원에서는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털가시나무와 같은 낙 엽성 식물들은 16세기 정원 대부분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지만, 현 재는 빌라 데스테에서 대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초기 정원 설계 당시부터 16세기까지 유행했던 낙엽성 식물들은 17세기에는 사이프러스, 월계수 나무, 파이나 소나무 등으로 대체되었다. 특히 빌라 데스테는 바람을 막기 위한 설계를 중시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식재된 식물 종들의 선택은 정원의 방향과 바람의 노출에 따라 결정 되었다. 정원은 동서 방향에서부터 북서쪽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설 계되었는데, 이는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충분히 막아주는 역 할을 하였다. 그러나 여름에 부는 서남풍과 미스트랄은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층부 정원의 남서쪽에 위치한 볼로리 계단의 경계에는 털가시나무를 식재하여 방풍림의 역할을 하게 하였다.

적요

한국의 대표적인 별서정원인 소쇄원과 유럽의 대표적인 정원인 이 탈리아의 빌라 데스트는 공히 16세기 초·중기에 조영된 공간으로 조 영자의 중앙정치적인 환경으로부터 이탈한 은둔자들의 정신활동 공 간인 동시에 당대의 시대정신을 함의하는 공간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REFERENCES

Cheon DY. The most beautiful garden in Korea. Soswaewon. Balun. Seoul, Korea 1999.

Choi J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garden architecture in Italian roman campagna villas in 16th century. Sangmyeong Univ.,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Industrial Science Research 2002;13:1–9.

Choi J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architecture in Italian renaissance Villa Lante. J. Kor. Institu. Traditional Landscape Arcite 2011;29(2): 90–98.

Jang IS. A Study on the fence Structured form Ohgokmun Soswaewon: Fences(Soil and Stone a Wall), Stele Focus. PhD Diss. Sang-myeong univ 2014.

Joo NC. Garden of Korea. 2009;Korea Univ. Press; Seoul. Korea.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Proposal for including the Villa d'Este in the world heritage list of UNESCO Report 2001.

Yu JE.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Italian renaissance Villa Garden. Focused on Villa Lante and Villa d'Este. Master Thesis. Univ. of Seoul 2004.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618 View
  • 14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Comparative Analysis on Tourism Programs of Rural Experience Villages2016 ;19(2)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