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5); 2015 > Article
얼레지의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

ABSTRACT

The research was investigated to collect basic data in order to consumption expansion and processed product of Erythronium japonicum. Leaves of Allium japonicum were divided into 17 kinds of amino acid and 38 kinds of free amino acid. Total content of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showed 2,342 mg・100g-1 and 225 mg・100g-1 , respectively. Reducing DPPH radical scanvenging half, quantity (IC50 value) of Erythronium japonicum. extraxt 1,000 mg・L-1 were showed the methanol extract (30.8 mg・L-1), ethanol extract (34.1 mg・L-1), hot water extraction water (47.5 mg・L-1).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 1,000mg・L-1 of Erythronium japonicum leaf extraxt was followed the ethanol extract (75.0%), methanol extract (74.1%), hot water extraction water (70.3%), respectively. Methannol extract of Erythronium japonicum leaf at 400mg・L-1 inhibited over 99% lung cancer cell (Calu-6), breast cancer cell (NCF-7) and colon cancer cells (HCT-116). Likewise, investigated data will be utilized basic material, and intake of Erythronium japonicum will be enhancing physiological activity, and will be considered to prevent and remedy to lung cancer, breast cancer and colon cancer.

서론

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는 백합과(Liliaceae)에 속하 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2월부터 5월까지 깊은 산에서 화려하고 아름 다운 꽃을 피운다(Kim, 2013). 어린잎은 주로 나물로 이용되고, 지하 30cm 깊이에서 자라는 인경은 구황식품으로도 이용되었다 (Shin et al., 2004). 차전엽산자고, 산우두, 가제무릇, 비단나물로 도 불리는 얼레지는 다른 식물의 꽃이 피기 전인 이른 봄에 개화하 기 때문에 원예적인 가치가 높으며 인경은 소종, 화담, 해독, 하리, 복통, 자양 등에 효과가 있고(Kim, 2013), 자양, 전분 원료 등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Moon and Kim, 1992).
얼레지에 대해서는 형태와 자생지의 식생 및 환경분석(Miura et al., 1997; Kim, 2013; Sakai, 1998; Sawada et al., 1997a, b), 종 자와 발아(Ohkawara et al., 1996; Ohkawara et al., 2005; Kondo et al., 2002), 인경의 성분(Aikawa et al., 1993; Moon and Kim, 1992), 추출물의 효과(Shin et al., 2004)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가 이루어져 왔다. Kim(2013)은 전체 길이는 33±5.8cm이며, 화 경은 길이 16.8±2.9cm, 직경 3.9±2.4mm, 지하부는 길이 9.3±4.0 cm, 직경 4.8±2.4mm, 인경은 길이 7.0±1.2cm, 직경 13.2±4.2mm 로 전체 크기와 화관, 잎의 크기는 개체별 변이가 심했다고 하였다. Moon and Kim(1992)은 palmitic acid이 얼레지 인경의 주성분 이며, stearic acid, oleic acid, arachidic acid, behenic acid, tricosanoic acid 및 lignoceric acid도 함유되어 있다고 하였다. Shin et al.(2004)은 설악산에서 2-5월 사이에 얼레지잎나물을 채취한 다음 메탄올로 추출하여 Sarcoma 180으로 복수암을 유 발시킨 ICR 마우스에 대하여 경구 투여한 결과 143.7%에 이르는 생명 연장 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
얼레지에 대해서는 이처럼 생육지 환경, 형태적 특성, 성분, 효과 등에 대해 다소간의 연구가 되어 있지만 얼레지의 이용 시 도움이 되는 아미노산 함량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 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나물로 이용되고 있는 얼레 지 잎에 대한 일반성분, 아미노산 함량, 생리활성 효과 및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한 자료 축적과 소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시료 및 추출

시료는 전남 구례군에서 5월 하순경에 채취한 얼레지 잎을 이용하 였다. 생리활성 검정에 사용한 시료의 추출은 각 시료 200g를 잘게 썰 어 2L의 증류수, 에탄올 및 메탄올에 침지하여 실시하였다. 열수 추출 은 시료를 증류수에 넣고 100°C에서 30분간 끓였다. 에탄올과 메탄 올 추출은 각각 94% 용액에 침지하여 25°C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 였다. 추출액은 여과한 회전감압농축기(IKA-Werke GmbH & Co. KG)를 이용하여 증류수 추출물은 60°C에서,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 물은 40°C에서 농축하여 동결 건조한 다음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일반성분 함량

수분은 105°C 상압가열건조법, 회분은 550°C 직접회화법, 조 단백질은 자동질소증류장치(Kjeltec 2200 System, Foss, HӦgan äs, Sweden)를 이용한 Kjeldahl법, 조지방은 자동지방 추출장치 (Soxtec Avanti 2055 System, Foss)를 이용한 Soxhlet 추출법을 사용하였다(Kim et al., 2005). 탄수화물은 시료의 총 중량에서 수 분, 단백질, 지방 그리고 회분 함량을 제외한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3. 아미노산 함량

1) 구성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은 시료 0.1g을 가수분해용 튜브에 취하여 6N HCl 10mL을 가하고 질소가스로 치환한 다음 밀봉하여 110°C에 서 24시간 가수분해하였다. 완전히 가수분해 후 약간의 순수로 튜 브를 씻어 농축수기로 옮기고 산 냄새가 나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되게 감압농축 하였다. 건고시킨 시료용액을 Sodium Citrate Loading Buffer(pH 2.2)로 25mL 정용한 다음 자동아미노산자동 분석기(Biochrom 30, Amersham Biosciences Ltd., England)로 Table 1의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Table 1.
The analytic method of component amino acids and free amino acids.
Characters Component amino acids Free amino acids

Instrument Biochrom 30 Amino acid analyser Biochrom 30 Amino acid analyser
Integrator EZ Chrom Elite EZ Chrom Elite
Column Sodium Column Lithium Column
Column temperature 31~74°C 31~74°C
Flow rate Buffer 35 mL/hr, ninhydrin 25 mL/hr Buffer 25 mL/hr, ninhydrin 20 mL/hr
pH range 2.20~6.45 2.80~3.55
Buffer solution Sodium citrate buffer Lithium citrate buffer
Detection 440 nm, 570 nm 440 nm, 570 nm

2) 유리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은 시료 2g을 취하여 70% ethanol 50mL를 가하 여 환류냉각장치에 연결하여 100°C에서 1시간 가열환류 시킨 후 흡입여과(Whatman No.3) 하였다. 여액을 40°C이하에서 2-3mL 까지 감압농축 시키고 농축액과 농축수기는 소량의 증류수로 세척 하여 분액 깔대기로 옮긴 후 diethyl ether 20mL를 가해 2회 탈지 시킨 하층을 농축수기로 옮겨 농축 및 건고 시켰다. 건고시킨 시료 용액을 lithium citrate 완충용액(pH 2.2)으로 용해하고 25mL로 정용한 것을 자동아미노산 분석기(Biochrom 30, Amersham Biosciences Ltd., England)로 Table 1의 조건에 따라 분석하 였다.

4. 총 페놀화합물 함량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Folin-Denis 방법(Dewanto et al., 2002)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를 1mg·L -1 농도로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mL에 증류수 3mL를 첨가하고,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1mL를 첨가한 후 27°C 진탕수조에서 혼합하였 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mL를 넣어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nm에서 흡수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 Japan)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 chlorogen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 곡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 시료 0.1g에 75% methan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한 다음 이 검액 1.0mL를 시험 관에 취하고 10mL의 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의 NaOH 0.1mL를 잘 혼합시켜 37°C의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 다. 대조구는 시료 용액 대신 75%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 하였으며, 표준곡선은 naringin(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 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6.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은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에 의 한 시료의 라디칼(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Blois(1958)의 방 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10 -4 M DPPH와 각 시료 추출 물을 각각 100μL씩 취하여 혼합하고,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잔존 라디칼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 (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였고, IC50은 DPPH 농도가 1/2 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μg)으로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물 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비교하였다. 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 시 료 미첨가구의 흡광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7. 아질산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은 Gray and Dugan(1975)의 방법에 준 하여 측정하였다. 1mM NaNO2 20μL에 시료의 추출액 40μL와 0.1N HCl(pH 1.2)을 140μL 사용하여 부피를 200μL로 맞추었다. 이 반응액을 37°C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 acetic acid 1,000μL, Griess 시약 80μL를 가하여 잘 혼합 시키고,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Griess 시약은 30% acetic acid에 1% sulfanilic acid 와 1% 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 직전에 조제하 여 사용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은 “아질산염 소거율(%) = {1 - (1mM NaNO2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 도 - 시료자체의 흡광도) / 1mM NaNO2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 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8.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실험에 사용된 암 세포주는 모두 인체기원의 암 세포주로 Korean Cell Line Bank(KCLB)에서 구입한 폐암세포주인 Calus-6(ATCC, HTB-56), 유방암 세포주인 NCF-7 및 결장암 세 포주인 HCT-116을 사용하였다. 세포주의 배양 배지는 RPMI 1640이며 배지에 10% FBS(fetal bovine serum), peniciline G가 25unit·mL -1 그리고 streptomycin이 25mg·L -1의 농도가 되도 록 제조하였다. 이 세포라인은 37°C에서 5% CO2의 습윤화 된 배 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MTT assay (Tian et al., 2001)를 하였다. 즉, 종양세포들은 3×10 4 cells·mL -1 의 농도가 되도록 조정 후 96 well microplate에 90μL·welL -1씩 분 주하고 37°C, 5% CO2세포배양기(Mco-15AC, Sanyo, Japan)에 서 배양 후, 시료 추출물을 10% DMSO에 녹여 50, 100, 200, 400 및 800mg·L -1농도가 되도록 10μL씩 첨가하였고, 대조구는 시 료와 동일한 양의 10% DMS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 m bromide)는 Sigma Chemical Co.(ST. Louis, MI, USA) 제품 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각 plate well에 5mg/mL농도의 MTT 용액 을 10μL씩 넣고 세포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 후 MTT 용액이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50μL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여 각 세포를 용해시켜 microplate reader(PowerWave XS2, BioTek,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세 포생장률은 각 세포에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를 100%로 하 여 환산하였다(Mosmann, 1983).

9. 자료분석

각각의 조사 분석은 3반복 이상으로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AS 버젼 9.2(SAS Institute, Cary, North Carolin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95% 신뢰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일반 성분

얼레지 잎에 함유된 일반성분은 수분(85.31%), 탄수화물(9.70%), 조단백(3.25%), 조지방(1.16%), 조회분(0.59%) 순으로 많았다 (Table 2). 영양소의 함량을 평가 할 때에는 실제적인 고형물 함량 이 중시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얼레지 잎 의 일반성분을 건조물로 환산해 보면 탄수화물은 65.99%, 조단백 22.11%, 조지방 7.89% 및 조회분 4.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얼 레지 잎의 주된 성분은 식물체의 구성성분인 탄수화물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고 일반성분 중 조회분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Table 2.
General ingredients and contents in the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Ingredients Contents (%)

Moisture 85.31 az
Crude ash 0.59 de
Crude fat 1.16 d
Crude protein 3.25 c
Carbohydrate 9.70 b

Total (%) 100.00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2. 구성 아미노산

얼레지 잎에서는 17종류의 구성아미노산이 분리되었다(Table 3).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2,342.08 mg·100g -1이었으며, glutamic acid(268.74mg·100g -1 ), lysine(189.32mg·100g -1 ), valine(187.33mg·100g -1 ), aspartic acid(186.45mg·100g -1 ), alanine(176.61mg·100g -1 ), leucine(172.91mg·100g -1 )은 172.91 mg·100g -1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serine(96.15mg· 100g -1 ), tyrosine(95.10mg·100g -1 ), histidine(88.01mg·100g -1 ), methionine(34.44mg·100g -1 ), ammonia(30.06mg·100g -1 ) 은 96.15mg·100g -1이하를 나타냈다.
Table 3.
Component amino acids and contents in the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Component amino acids Contents (mg ·100g-1)

Aspartic acid 186.45 bz
Threonine 116.97 g
Serine 96.15 h
Glutamic acid 268.74a
Glycine 137.86 f
Alanine 176.61 c
Cystine 0.00 k
Valine 187.33 b
Methionine 34.44 j
Isoleucine 131.34 f
Leucine 172.91 c
Tyrosine 95.10 h
Phenylalanine 151.10 d
Histidine 88.01 i
Lysine 189.32 b
Ammonia 30.06 j
Arginine 145.85 de
Proline 133.84 f

Total 2,342.08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3. 유리아미노산

얼레지 잎에서는 38종류의 유리아미노산이 분리되었다(Table 4).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25.97mg·100g -1이었으며, 분리된 38종류의 유리 아미노산 중 α-aminoadipic acid, glutamic acid, α- aminobutyric acid 및 β-aminoisobutyric acid는 각각 36.79, 21.37, 17.84 및 13.07mg·100g -1을 나타내어 다른 유리아미노 산에 비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함량이 10.11mg· 100g -1 이상 된 것에는 6종류가 있었으며, 5.44-9.78mg·100g -1 범위의 것에는 11종류가 있었고, 나머지 21종류는 함량이 4.49 mg·100g -1 이하를 나타냈다.
Table 4.
Free amino acids and contents in the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Free amino acids Contents (mg ·100g-1)

Hydroxyproline 0.00 iz
proline 7.30 e
Phosphoserine 6.21 ef
Taurine 0.92 h
Phosphoethanolamine 0.84 h
Urea 7.06 e
Aspartic acid 2.27 g
Threonine 5.57 f
Serine 5.44 f
Asparagine 10.11 de
Glutamic acid 21.37 b
Sarcosine 6.25 ef
α-aminoadipic acid 36.79 a
Glycine 4.49 f
Alanine 17.84 c
Citrulline 0.00 i
α-aminobutyric acid 2.40 g
Valine 8.31 e
Cystine 2.52 g
Methionine 4.09 f
Dl+allocystathionine 0.53 h
Isoleucine 4.23 f
Leucine 9.48 de
Tyrosine 5.71 f
β-alanine 0.49 h
Phenylalanine 6.84 ef
γ-aminobutyric acid 0.12 h
Homocystine 0.97 h
β-aminoisobutyric acid 13.07 d
Ethanolamine 3.48 g
Ammonia 3.64 g
Dl+allohydroxylysine 0.46 h
Ornithine 0.33 h
Lysine 12.40 d
1-methylhistidine 1.07 h
Histidine 0.64 h
3-methylhistidine 1.45 h
Anserine 0.37 h
Carnosine 1.09 h
Arginine 9.78 de

Total 225.97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4.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얼레지 잎 추출물 1,000mg·L -1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은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5.0, 25.6 및 40.9mg·L -1을 나 타냈다(Table 5).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 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phenolic hydroxyl가 단백질 및 기타 거대 분자들과 결합하여 항산화, 항암, 혈압강화작용, 간보호작용, 진경작용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 진다(Heo et al., 2007; Heo et al., 2009a, b; Lee et al., 2005). 그 래서 최근 식물 중의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조사가 증가하고 있는데, 얼레지 잎의 경우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 메탄올 추출물 1,000mg·L -1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41.9, 59.8 및 42.8mg·L -1 였 다(Kim et al., 2009) 보고와 비교 해 볼 때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Table 5.
Effect of solvent extract method o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Erythronium japonicum leaves.
Solvent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mg·L-1) Total flavonoid contents (mg·L-1)

Hot water 25.0 bz 14.0 c
Ethanol 25.6 b 17.5 b
Methanol 40.9 a 21.1 a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한편, 플라보노이드는 현재까지 4,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Cha and Cho, 2001), 항산화 작용,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항염증, 항 알레르기, 항균, 항바이러스, 지질저하 작용, 면역증강 작용, 모 세혈관 강화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waguchi et al., 1997). 그래서 얼레지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한 결 과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4.0, 17.5 및 21.1mg· L -1을 나타냈다(Table 5). 이러한 결과는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 귀 메탄올 추출물 1,000mg·L -1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5.1, 48.7 및 28.9mg·L -1 였다는 Kim et al.(2009)의 보고와 비교 해 볼 때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 얼레지 잎의 총 페놀함 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과일인 한국산 참다래 4종류의 메탄올 추 출물 1,000mg·L -1 중의 총 페놀 함량은 5.2-17.3mg·L -1 , 총 플라 보노이드 함량은 0.0-9.0mg·L -1이었다는 Park et al.(2008)의 보 고와 비교해 볼 때는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Table 6.
Effect of solvent extract method on amount of (IC50 value) of Erythronium japonicum leaf extract.
Solvent IC50 z) (mg·L-1)

125 250 500 1000 2000

Hot water 10.6 ey 23.5 cd 29.3 c 47.5 b 67.5 a
Ethanol 2.9 d 20.6 c 22.1 c 34.1 b 53.0 a
Methanol 1.9 de 3.8 d 17.6 c 30.8 b 52.6 a

z) Extracting concentrations (mg·L-1), which show 5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by interpolation.

y) Mean separation within row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5. 전자공여능

인체에서 활성산소는 산소라디칼에 의하여 산화적 손상을 초래 함으로서 독성을 나타내며(Kappus, 1986),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 상은 glutamate 수용체의 과 활성 및 흥분성 아미노산의 분비를 유 도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Mattson et al., 1993), 전자공여능 의 작용은 자유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식품의 지방산화를 억제 하고 인체 내에서는 자유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으 로 주로 이용되어 진다(Heo et al., 2007; Heo et al., 2010). 그런 측면에서 얼레지 추출물 1,000mg·L -1을 이용하여 DPPH radical 이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양( IC50 값)을 조사한 결과 메탄올 추 출물에서 우수 해 30.8mg·L -1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34.1mg·L -1을, 열수 추출물에서는 47.5mg·L -1을 나타냈다(Table 6). 이러한 결과는 산마늘의 IC50 값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963.7m g·L -1을 나타냈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1,292.0mg·L -1을, 열 수 추출물에서는 1,592.7mg·L -1을 나타내었다(Cho et al., 2011) 는 보고 및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 추출물의 IC50 값을 조사한 결과 각각 856.5, 131.5 및 270.3mg·L -1 였다는 Kim et al.(2009) 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얼레지의 전자공여능은 매우 높은 편 이었다.

6. 아질산염 소거능

얼레지 잎 추출물 1,000mg·L -1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한 결 과 에탄올 추출물 75.0%, 메탄올 추출물 74.1%, 열수 추출물 70.3%순으로 나타났다(Table 7). 이는 나물로 많이 이용되는 방아 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의 메탄올 추출물 1,000mg·L -1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각각 73.3%, 78.2% 및 74.1%이었다는 Kim et al.(2009)의 연구 결과와 다소 유사하게 나타났다. 식품에 서 nitrite는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nitrate는 체내, 체외에서 효소 작용에 의해 nitrite로 환원되기 때문에 일정농도 이상 섭취할 경우, 식품내의 amine류와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nitrosamine을 생성하 고, 또한 혈액 중의 hemoglobin이 산화되어 methemoglobin을 형 성하여 methemoglobin 증 등 각종 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Na et al., 2004). 이러한 아질산염의 소거 및 제거는 그에 동반되는 질병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데, 얼레 지 잎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다른 나물류와 다소 유사 했으 며, 용매별로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지만 통계 적으로는 메탄올 추출물과 차이가 없었다.
Table 7.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of control) of 1,000mg・L-1 extract from Erythronium japonicum leaves.
Solvent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of control)

Hot water 70.3 bz
Ethanol 75.0 a
Methanol 74.1 a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7.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얼레지 잎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 과 폐암세포(Calu-6)와 결장암 세포(HCT-116)는 400mg·L -1 에서 97%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냈으며, 400mg·L -1에서는 폐암 세포(Calu-6), 유방암 세포(NCF-7), 결장암 세포(HCT-116) 모 두 99%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Table 8). 이러한 결과는 한 국산 산채 24종류 메탄올 추출물 200mg·L -1에서 폐암세포의 생존 율은 12.9-27.8%인 것이 5종류, 47.6-68.6%인 것이 10종류, 72.7- 100%인 것이 6종류, 102.2-127.3%인 것이 3종류였다는 Heo et al.(2009)의 보고 및 유럽산 고추, 마늘 및 양파 메탄올 추출 물 1000mg·L -1에서 폐암세포주(Calu-6), 유방암 세포주(NCF-7) 등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양파와 마늘은 84% 이상이었으며, 고 추는 79% 이상이었다는 Gorinstein et al.(2009)의 연구 결과와 비 교해 볼 때 얼레지는 항암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Shin et al.(2004)은 설악산에서 채취한 얼레지잎나물 항암효과를 조사 하였는데, 얼레지의 메탄올 추출물이 백혈병 암세포인 L 1210 세 포에 대해서는 최고 98.6%의 세포 수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정 상세포에 얼레지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세포 수 감소는 거의 일어 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얼레지는 항암효과가 높고 독성이 낮아 저독성 항암제로서의 개발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8.
Survival rate of cancer cell of methanol extract from Erythronium japonicum leaves.
Cancer cell line Survival rate of cancer cell by extract concentration (%)

50 mg·L-1 100 mg·L-1 200 mg·L-1 400 mg·L-1 600 mg·L-1 800 mg·L-1

Lung cancer (Calu-6) 69.8 az 26.7 b 0.3 c 0.4 c 0.3 c 0.0 d
Breast cancer (NCF-7) 97.6 a 67.9 b 12.1 c 0.9 d 0.5 d 0.0 e
Colic cancer (HCT-116) 79.0 a 41.1 b 2.6 c 0.2 d 0.2 d 0.0 e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적요

얼레지의 소비확대 및 가공품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 기 위해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얼레지 잎 에서는 17종류의 구성아미노산과 38종류의 유리아미노산이 분리 되었으며, 총 함량은 각각 2,342mg·100g -1 및 225mg·100g -1 이었다. DPPH radical이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얼레지 추출물 1,000mg·L -1의 양(IC50 값)은 메탄올 추출물(30.8mg·L -1 ), 에 탄올 추출물(34.1mg·L -1 ), 열수 추출물(47.5mg·L -1 ) 순으로 작았다. 얼레지 잎 추출물 1,000mg·L -1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 탄올 추출물(75.0%), 메탄올 추출물(74.1%), 열수 추출물(70.3%) 순으로 높았다. 얼레지 잎 메탄올 추출물 400mg·L -1은 폐암세포 (Calu-6), 유방암 세포(NCF-7), 결장암 세포(HCT-116)에 대해 모두 99%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조사된 자료는 얼레지의 이용 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얼레지의 섭취는 생리활 성 효과를 높이고, 폐암, 유방암 및 결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다소나 마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V.
V.

REFERENCES

Aikawa R, Akuzawa S, Sawayama S. Some rheological properties of Katakuri (Erythronium japonicum Decne.) starch pastes at low concentrations. J. Japanese Soc. Starch Science 1993;40(3): 291–298.
crossref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26:1199–1200.
crossref
Cha JY, Cho YS.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 Soc. Appli. Biol. Chem 2001;44:122–128.

Cho JY, Park YJ, Oh DM, Rhyu DY, Kim YS, Chon SU, Kang SS, Heo BG. Amino acid content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llium victorialis. Kor. J. Plant Res 2011;24(2): 150–159.
crossref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50:3010–3015.
crossref pmid
Gorinstein S, Park YS, Heo BG, Namiesnik J, Leontowicz H, Leontowicz M, Ham KS, Cho JY, Kang SG. A comparative study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frequently consumed raw vegetables. Eur. Food Res. Technol 2009;228:903–911.
crossref
Gray JJ, Dugan L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1975;40:981–984.
crossref
Heo BG, Cho JI, Park YS, Park YJ, Cho JY. Sensuous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heongtaejeon tea produced with the inoculation of microbial strains. Kor.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10;20(4): 549–558.

Heo BG, Chon SU, Park YJ, Bae JH, Park SM, Park YS, Jang HG, Gorinstein 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different human tumor cell lines. Plant Foods Hum. Nutr 2009a;64:257–263.
crossref pmid
Heo BG, Park YS, Chon SU, Cho JY, Gorinstein S.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2007;30:79–89.
crossref pmid
Heo BG, Park YS, Park YJ, Jung KJ, Cho JY, Oh KT, Chung US, Lee K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native pear c.v. 'Raekwoon'. Kor.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09b;21(1): 139–148.

Kappus H. Overview of enzyme systems involved in bioreduction of drugs and in redox cycling. Biochem. Pharmacol 1986;35:1–6.
crossref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1997;61:102–104.
crossref pmid
Kim GR. A study on analysis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rythronium japonicum Eecne. MS thesis. Semyung Univ. Chungcheongbuk-do 2013.

Kim YD, Choi OJ, Kim KJ, Kim KM, Hur CK, Cho IK. Component analysis of different parts of chestnut. Kor. J. Food Preserv 2005;12:156–160.

Kim YM, Choi MS, Bae JH, Yu SO, Cho JY, Heo BG.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 Bio-Environment Control 2009;18:60–66.

Kondo T, Okubo N, Miura T.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Erythronium japonicum (Liliaceae) with underdeveloped embryos. Am. J. Bot 2002;89(11): 1779–1784.
crossref pmid
Lee SO, Lee HI, Yu MH, Im HG, Lee I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 J. Food Sci. Technol 2005;37:233–240.

Mattson MP, Zhang Y, Bose Y. Growth factors prevent mitochondrial dysfunction, loss of calcium homeostasis and cell injury, but not ATP depletion in hippocampal neurons. Expt. Neurol 1993;121:1–13.
crossref
Miura O, Maekawa R, Hiratsuka A. Geomorphological and pedologic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habitat of Erythronium japonicum in hills. Ecological Review 1997;23(4): 273–282.

Moon YH, Kim YH.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from Erythronium japonicum. Kor. J. Pharmacogn 1992;23(2): 115–116.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Immunol Methods 1983;65:55–63.
crossref pmid
Na GM, Han HS, Ye SH, Kim HK.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 J. Food Preserv 2004;11:388–393.

Ohkawara K. Effect of timing of elaiosome removal on seed germination in the ant-dispersed plant, Erythronium japonicum (Liliaceae). Plant Species Biology 2005;20(2): 145–148.
crossref
Ohkawara K, Higashi S, Ohara M. Effects of ants, ground beetles and the seed-fall patterns on myrmecochory of Erythronium japonicum Decne. (Liliaceae). Oecologia 1996;106(4): 500–506.
crossref pmid
Park YS, Kim BW, Kim TC, Jang HG, Chon SU, Cho JY, Jiang SH, Heo BG.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kiwifruits. Kor. J. Hort. Sci. Technol 2008;26:495–500.

Sakai S. Female-biased sex allocation in relation to growth rate of fruit in Erythronium japonicum. Oecologia 1998;117(3): 391–395.
crossref pmid
Sawada S, Yamashita M, Kasai M. Photosynthesis and microenvironmental factors in a spring ephemeral, Erythronium japonicum, from native and open habitats. Ecological Research 1997a;12(1): 55–62.
crossref
Sawada S, Chida S, Sawaguchi Y. Dry matter produc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pring ephemeral Erythronium japonicum growing in various habitats differing in sunlinght exposure in cool temerate Japan. Ecological Research 1997b;12(1): 89–100.
crossref
Shin YJ, Jung DY, Ha HK, Park SW. Anticancer effect of Erythronium japonicum extract on ICR mouse and L1210 cells with alter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Kor. J. Food Sci. Technol 2004;36(6): 968–973.

Tian Q, Miller EG, Ahmad H, Tang L, Patil BS. Differential inhibition of human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citrus limonoids. Nutr. Cancer 2001;40(2): 180–184.
crossref pmid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1,243 View
  • 11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