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4); 2015 > Article
회상을 활용한 원예치료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on institutionalized demented elders’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For this study, 21 elders participated and they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lders’ quality of life was enhanced significantly from 24.6 before horticultural therapy to 29.8 after. Their self-esteem wa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from 22.7 before horticultural therapy to 31.0 after. In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nine factors, which are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cognitive and problem-solving ability, perceptual ability, self-concept and subjectivity, desire and impulse control ability, and skillfulness and work adaptability. As presented above, when a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was applied to demented elders as an indoor activity for their convenience, it was found effective in enhancing the demented elders’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노인장기요양시설이란 의한 노인 의료복지시설로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 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 요양과 그 밖의 일상생활에 필요 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노인요양시설이다(노인복지 법, 2015).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은 가족들과 지인들과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환경적 이유로 교류와 외출이 어려워 고립감이 증대되어 불안, 우울, 삶의 질 저하 등을 경험한다(Ha, 2011).
치매는 정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부 원인에 의해 기질적으로 손상 내지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이 감퇴되는 기질성 정신 장애이다(Lee et al., 2002). 치매는 하나의 원인을 공유하는 질병 이라기보다는 공통된 증상을 포함하는 증후군이다(Cho, 2009). 치매는 대부분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악화되며 인지기능의 저하와 우울감, 불안, 자신감 저하 등의 심리적 요인이 나타나게 된 다. 따라서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 대부분은 신체적, 정신적 상실에 서 오는 심리적 위축으로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삶에 대 한 부정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Jin, 2009).
Carmel(1991)은 회상요법에서의 회상은 어떤 사건을 단순히 기억해 내는 것뿐만 아니라 그 사건과 연관된 상황을 되살려 당시 상황의 감정이나 느낌이 들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치매 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유용하다고 하였다. Lee(2005)는 일반노 인에게 일반 원예치료를 이용한 경우와 회상을 도입한 원예치료를 이용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전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회상을 도입한 경우에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하였다.
치매노인의 경우 단기기억력은 현저히 떨어지지만 장기기억은 오랫동안 남아 있으므로 어린 시절을 회상할 수 있는 식물이나 기 타 재료 등을 활용하여 치매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장기기억을 자극 하는 것이 필요하다(Son, 2010).

2. 연구 목적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정단계에서 대상의 과거 병력 및 현재 나타나는 주요 증상 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관을 방문하 여 사회복지사와 대상자와의 면담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대상 자들이 치매와 여러 환경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이 결여되어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과 같은 평소 익숙한 자연물을 매 개로 회상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들의 자아존중 감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의 E노인요양시설과 S노인요양시설에 입 소하고 있는 26명의 노인 중 이송이나 다른 이유로 2회 이상 결석한 5명을 제외하고 21명으로 노인 장기요양보험 인정점수 및 기능형 태에서 요양등급 2등급과 3등급의 경증 치매로 기본적인 원예 작업 을 수행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었다. E노인요양원의 평균 연령은 79.67±5.97세였고, S노인요양원의 평균연령은 79.44±11.73세 였으며, 전체 평균 연령은 79.33±10.72세였다. 전체 대상자들의 인 지점수(MMS-K) 중 최저점수는 30점 만점에 4점이었으며, 최고 점수는 29점이었다, 전체 인지 평균점수는 19.14±6.60점이었다.

2. 연구도구

1) 원예치료 프로그램 설계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Kim(2003)의 치매에 대한 원예치료 고려 사항을 근거로 활동능력에 맞추어 손쉽게 접근하고 간단한 활동들 로 계획하였다. Hamacheck(1990)은 회상이 강한 감정의 표현, 미 해결된 문제, 억눌려 있던 감정 등에 대한 출구를 제공하고 정체감 유지 및 자아존중감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자아통합감을 이룰 수 있는 방법으로 과거의 기억을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고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매 회기마다 회상을 자극하 기 위해 과거에 있었던 경험들을 서로 이야기하고 또 회상을 자극 할 수 있는 소재들로 봄꽃심기, 카네이션 바구니 만들기, 테라리움, 행잉가든, 포푸리 만들기를 하였다. 특히 재료들은 어르신들이 주 변에서 만나기 쉬웠던 재료들이나 화려한 색의 꽃을 주로 사용하였 다. You(2011)는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원예활동은 노인의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능력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고 하 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매 회기마다 회상할 수 있는 소재와 활동을 통해서 오감을 자극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2)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행

본 연구는 주치료사인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보조 치료사 5명과 사회복지사 1명이 진행을 도왔다. 원예치료 프로그 램 실행은 2014년 4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매주 1회씩 금요일 에 실행하였으며, E노인요양원은 원내 프로그램실(약 26.45m2)에 서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1시간동안 실시하였고, S노인요양원 에는 원내 작업치료실(약 49.59m2)에서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1 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상할 수 있는 소재와 주제를 활용하여 실행한 세부적인 원예치료 프로그 램은 Table 1과 같다. 재료비는 매회기 1인당 평균 5,000원의 비용 이 들었다.
Table 1.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tilizing of recalls for this study.
No. Date Program Recall theme Recall materials

1 4/18 Attach a flower stickers to one s cheek Wedding Cheek rouge
2 4/25 Plant a garden with flowering plants Gardening Flower bed
3 5/02 Mini flower basket Our lovely children Dianthus caryophyllus
4 5/09 Make a flower brooch Our lovely parents Dianthus caryophyllus
5 5/16 Grow a barley sprout Farm hardship period. Gumshoes, Hordeum vulgare
6 5/23 Terrarium We played over the fields Stratum, Rainbow
7 5/30 Flower arrangements using clay. We made pancake, noodles with dough Clay
8 6/13 Hanging garden Our lovely parents Ceropegia woodii
9 6/20 Potpourri We played with a wild flowers over the field Dry flower
10 6/27 Make a smiley face with a grain Good memories and beatific look A variety of grain
11 7/04 Flower arrangements in mini vase We walked in the woods Bamboo leaves, Paper boat
12 7/11 Wreath mobile Good memories and beatific look Euonymus alatus

3) 평가도구

본 연구는 회상을 활용한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자 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에 삶의 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원예활동평가표를 측정하였다. 체크할 때 개별적으로 글을 읽어 드리고 이해가 되면 답을 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담당 사회복지사가 하였다.

삶의 질 척도(Quality of life scale)

Neugarten 등(1961)이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20문항의 7점 척도인 Life Satisfaction Index-A(LSI-A) 를 Wood 등(1969)이 13문항의 3점 척도인 Life Satisfaction Index-A(LSI-A)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후 Choi(1997)가 수정한 12문항을 사용하였다. 부정 문항은 역순으로 채점하였고, 점 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는 기존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정된 구조화 된 설문지로 Choi(1997)에 따르면 삶의 질의 Cronbach’s α는 0.77이었다.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자신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개인의 전반적인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Geon(1974)이 번역한 것 을 이용하였다. 긍정적 5문항과 부정적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Lee(1994)에 따르면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는 0.79이다.

원예활동평가표(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Oseas(1961)가 작업치료에서 집단 활동 시 대상자의 참여도와 작업태도 및 흥미 등을 알아보기 위해 만든 것을 Lee(1999)가 번안 한 것이다. 이것은 참여성, 관심과 조력성, 언어 소통 능력, 대인 관 계 능력, 인지 및 문제 해결 능력, 운동지각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 성, 욕구 충동적응력, 숙련도와 작업적응력으로 되어져 있으며 5단 계 평점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활동의 참여도가 바 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IBM SPSS statistics 19 program을 사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삶의 질의 변화

삶의 질은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22.67점이었으나 실시 후는 평 균 30.95점으로 8.28점이 향상되었다. 비모수검정 결과 연구대상 21명 모두가 양의 순위로 나타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Table 2).
Table 2.
The results of changes in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Quality of life

N Mean rank Rank sum

Negative rank 0a .00 .00
Positive rank 21b 11.00 231.00
Same rank 0c

Total 21

Z= -4.018d

Approximate significance probability (two sided) = .000

a Post quality of life × Pre quality of life

b Post quality of life < Pre quality of life

c Post quality of life = Pre quality of life

d Based on negative ranks

이는 Kim(2008)의 원예활동이 개인의 상태와 환경에 대한 새로 운 인식을 하게 한다는 것과 유사하고 Do(2007)과 Jung(2006)는 원예치료가 노인들의 심신을 건강하게 하고 무기력 해소에 도움을 주며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을 증가시켜 전체적으로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2. 자아존중감의 변화

자아존중감은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24.57점이었으나 실시 후는 평균 29.76점으로 5.19점이 향상되었다. 비모수검정 결과 연구대상 21명 모두가 양의 순위로 나타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Table 3).
Table 3.
The results of changes in self-esteem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elf-esteem

N Mean rank Rank sum

Negative rank 0a .00 .00
Positive rank 21b 11.00 231.00
Same rank 0c
Total 21

Z=-4.046d

Approximate significance probability (two sided) = .000

a Post self-esteem < Pre self-esteem

b Post self-esteem > Pre self-esteem

c Post self-esteem = Pre self-esteem

d. Based on negative ranks

이는 Kim(2003)이 스스로 원예작업을 통해서 얻어지는 산물은 성취욕과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이는 자아존중감을 높여 줄 수 있었 다고 한 결과와 유사하다. 그리고 Chon(2008)도 장기요양시설 치 매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활동한 산 물을 가지고 가서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거나 자랑하고, 본인이 가진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면서 본인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 자신 감과 자부심이 증가되어 자아존중감이 증가되었다고 한 것과도 일 맥상통한다.

3. 원예활동평가의 변화

원예활동평가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21.90점이었으나 실시 후는 평균 33.71점으로 11.81점이 향상되었다. 비모수검정 결과 연구대상 21명 모두가 양의 순위로 나타나 유의한 변화가 있 었다(Table 4).
Table 4.
The results of changes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N Mean rank Rank sum

Negative rank 0a .00 .00
Positive rank 21b 11.00 231.00
Same rank 0c
Total 21

Z=-4.018d

Approximate significance probability(two sided) = .000

a Post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 Pr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b Post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 Pr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c Post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 Pr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d Based 3. on negative ranks

대부분의 대상자는 처음엔 주춤하고 관망하는 분위기였다가 회기 가 늘어날수록 참여성도 늘어나고 관심과 조력성도 향상되었으며, 특 히 회상을 주제로 하여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원예활동을 실시한 결과 언어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많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Lee(1999)가 치매노인에게 원예치료를 실시한 후에 언어 소통능력, 자아 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 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 등 6개의 영역에 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 것과 일치한다. Yun(2002)도 원 예치료는 경증 치매노인들의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여 주는데 효과 적이었고 작품을 구상하여 다듬고, 자르고, 꽂고 하는 반복적인 활 동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이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라고 한 연구결과와도 유사하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서 볼 때 회상을 활용한 원예치료가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 다. 특히 기억력 장애를 가진 치매노인에게 회상을 활용하는 것은 인지기능과 정서기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선행연구(Lee, 2005; Oang, 2006; Cho, 2008; Kim, 2010)와 본 연구에서도 알 수 있었듯이 그나마 보유하고 있는 장기기억을 자주 회상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은 경증치매의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명확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통제집단을 두고 실험집단과의 비교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도출 해야하나 본 연구에서는 통제집단을 두지 못하였으므로 연구결과 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적요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거주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총 대상자는 21명이었 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로 측정하였다.
삶의 질의 변화는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24.6점에서 실시 후 평 균 29.8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의 변화도 원예치 료 실시 전 평균 22.7점에서 실시 후 평균 31.0점으로 유의하게 향 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평가도 참여성, 관심과 조력성, 언어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 해결능력, 운동 지각 능 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 능력, 숙련도와 작업 적응력 등 9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회상 요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치매노인들이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실 내 활동을 실시한 결과 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V.
V.

REFERENCES

Cho MG. Horticultural therapy a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BPSD in dementia. PhD Diss. Konkuk Univ. Seoul. Korea 2008.

Cho M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korean elder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6:43–48.

Chon SY.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mall muscles and emotional stability of senile dementia for long-term. MS Thesis. Wonkwang univ. Iksan. Korea 2008.

Do RJ.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life quality improvement on elderly peoples in the health-longevity rural community. M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2007.

Ha HM. Effects of group art treatment reflecting reminiscence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health care centers. PhD Diss. Daegu Univ. Daegu. Korea 2011.

Hamacheck D. Evaluating self-concept and ego status in Erikson's last three psychosocial stages. J.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0;68:677–683.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univ. proceedings. Seoul. Korea 1974.

Jeong JO. A study on therapy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disorders through tour recreation. MS Thesis. Sangmyung Univ., Seoul, Korea esis.

Jin SH.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improvements of the life quality with seniors who has been mild dementia in day care center : focusing in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MS Thesis. Wonkwang univ. Iksan. Korea 2009.

Kim HY. Horticultural therapy theory and practice. 2003;2th ed. Korea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center; Daegu. Korea.

Kim KJ.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MS Thesis. Honam univ. Kwangju. Korea 2003.

Kim ML.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ith reminiscence o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focusing on ego integrity and self-esteem. MS Thesis. Uiduk univ. Gyeongju. Korea 2010.

Kim T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 empowerment program using horticultural therapy for the elderly. MS Thesis. Soongsil Univ. Seoul. Korea 2005.

Kim YK.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work satisfaction on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08.

Lee DY, Lee JH, Ju YS, Lee KU, Kim KW, Jhoo JH, Yoon JC, Ha J, Woo JI.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The Seoul study. J. Amer. Geriatrics Soc 2002;50:1233–1239.

Lee ES. Effect of HT program based on reminisc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integration of the aged.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05.

Lee SH.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1999.

Lee YJ.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PhD Diss. Seoul Women's Univ. Seoul. Korea 1994.

Oang GS.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elderly people's self-integra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 Pusan. Korea 2006.

Son GC, Jo MK, Song JE, Kim SY, Lee SS. Fact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Kubuk. Seoul. Korea 2010.

Wilson HS. Family care giving for a relative with Alzheimer's dementia: coping with negative choices. J. Nursing research 1989;38(2): 94–98.

Yun SY.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and decrease of depression in the demented old adults. MS Thesis. Catholic Univ. of Daegu. Korea 2002.

You KO.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nursing home elders'ability to respond to external stimuli and emotion. Ms thesis. Catholic univ. of Daegu. Korea 201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