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 분석

Analysis of Horticultural Elements in Fairytale Books for Childre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3):209-216
1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2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정 윤호1, 박 천호2, 장 유진2,
1 Department of Horticultural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Life &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2 College of Life Sciences &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Corresponding author: flolin@daum.net
Received 2015 July 24; Revised 2015 December 9; Accepted 2016 June 15.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horticultural elements expressed in fairy tale books for preschoolers, a total of 318 books were analyzed from the top 150 books borrowed at the Seoul City Children’s Public Library and the books classified at the three major online bookstores in Korea. Horticultural element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horticultural plants,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information of authors. The result pursuant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horticulture appeared to be highest for flowering trees 77%, and the instances in which the name of the plants appeared in writing in the stories appeared to be 36% and regarding the diversity of plants, appearance of six species or more occupied the highest rati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eight of horticultural elements expressed in fairy tale books, there appeared to be a total of 56 books in which the horticultural elements were expressed 100%. The horticultural elements expressed in fairy tale books mostly appeared to be highly expressed when the author had horticultur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xpression frequency of horticultural elements appeared to be high overall, but it has been appeared passive expressions.

Ⅰ. 서론

현대사회에서 유아는 생활 속에서 자연을 체험하는 기회가 감소 하고 있으며, 조기교육으로 인하여 발달과 개인의 성향에 맞지 않 게 활동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Kown, 2014).

이에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자연친화적 교육에 대 한 관심 높아졌다(Kim, 1998; Woo, 2012). 하지만 자연교육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현장에서의 한계성 때문에 관리가 용이 한 탐구 및 표현, 입체 조형 활동과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 요구가 높 은 상황이다(Kim, 2012).

또한 유아에게 이상적인 교육은 유아의 발달에 맞추어야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적합해야 하는 것으로(Cheon and Trostle, 1990) 인지적 상태와 생태학적 교육과정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Walsh, 1980).

따라서 우수한 문학작품을 활용이 효과적(Kim, 2003)인 매체 로 발전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Fig. 1).

Fig. 1

Flow chart for the accomplishment goal of study.

지금까지 유아를 위한 동화책에 관한 선행연구는 미국의 Goins (2004)에 의해 어린이 문학에서 이야기와 인물로 등장하는 식물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됐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원예적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 해 유아에게 친밀한 매체인 동화책을 통하여 원예적 요소가 표현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에게 친숙한 원예활동 주제 및 소재 선택을 통하여 효과적이며,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동화 기획자 및 작가들에게 다양한 원예활동을 제안하여 문학을 통한 원예경험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 요소를 조사하 기 위하여 인터넷서점의 판매순위와 도서관 대출순위를 기준으로 많이 읽히는 도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서점은 예스24, 교보문고, 알라딘의 베스트셀러와 스테 디셀러 순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대출순위의 경우 관외대출이 가 능한 서울시립 어린이 도서관의 유아책 누리실 자료를 기준으로 하 였다.

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의 판매량과 대출순위 상위 150위까지의 통계자료를 각 해당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참 조하였다. 도서 선정기준은 놀이 및 학습으로 분류된 도서, 애니메 이션을 편집하여 출판한 도서는 제외하였으며, 이야기와 그림을 포 함하고 있으며, 외국도서의 경우 한국어로 번역되어 국내에서 출판 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총 318권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내용

최종 선정된 도서를 2015년 4월 1일부터 31일까지 국립중앙 청 소년・어린이도서관에서 관내대출 및 서울시 성동구립도서 관외대 출, 개인구매를 통해 연구도서를 수집하여 진행하였다.

분석의 기준 준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random하게 표집된 30권 의 동화책을 통하여 예비 test를 거쳤으며, 이를 통하여 분석의 기준 을 마련하였다.

분류표를 기준으로 120권의 도서를 2반복 분석을 진행하여 분 석결과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최종으로 2반복 분석에 진행한 도서 를 포함하여 대상도서 총 318권을 진행하였다.

분류 항목은 글과 그림을 통해 표현된 원예요소를 원예식물, 원 예활동, 작가의 정보로 대분류하여 세분하였다(Table 1).

Classification for the research.

1) 원예식물에 대한 분류

(1) 이야기 주제 및 소재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주제별 로 분류하였다. Yoon(2003)의 생태동화 내용분석에서 제시한 생 물종의 분류표를 수정 하였다. 생물계를 동물, 식물로 분류하였고 인간은 생물계에 포함된 별도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외 의 영역은 무생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실재하지는 않지만 동화에 등장하는 도깨비, 괴물 등 환상적 요소에 대해서는 살아있는 생물 로 간주하여 동물로 분류 하였다.

또한 원예식물이 유아문학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 보고자 이야기를 만드는 주된 구성요소 중 소재의 기능(Lee, 1996) 을 바탕으로 주 모티브의 기능을 주인공과 주 소재로 세분화 하였 으며, 그 밖에 부 소재, 배경으로 분류하였다.

(2) 원예학적 분류

식물의 원예학적 분류는 생육습성과 용도에 따라서 구분하는 실 용적인 방법으로, 위도나 기후대에 따라 같은 종이지만 서로 다르 게 분류 될 수도 있다(KFS, 200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적용하 는 원예학적 분류기준에 따라 동화에 표현된 식물을 과수, 채소, 화 훼로 나누어 분류하였으며 그 밖에 종자, 기타영역으로 나누었다 (Table 2). 과일 영역 열대과수와 온대과수를 포함한 목본성 과수 영역은 Kim et al.(2013)의 과실분류를 바탕으로 Park(2008)의 어린이를 위한 세밀화로 표현한 과일 도감과 자연관찰 동화에 표현 된 자연탐구도감(EDH, 2015)을 기준으로 하였다. 초본성 잎줄기, 뿌리, 열매채소는 채소원예로 분류하여 Park and Kim(2012)이 제시한 기능성 채소와 과일 중 채소류에 한하여 적용하였으며, 허 브류는 ‘허브 및 아로마테라피’(Park, 2012)를 기준으로 분류하였 다. 화훼의 경우 600가지 꽃 도감(FAK, 2014)을 바탕으로 분류하 였으며 Kang(2014)이 원예요소 분석연구에서 활용한 분류표를 수정, 보완 하였다(Table 2).

Classification of plants by horticultural factors.

동화에 표현된 식물 이름, 생김, 문맥 또는 주변 상황 묘사를 통한 서식지 파악 등을 토대로 분류 하였으며, 꽃과 줄기, 잎의 형태가 일 치 하지 않는 경우는 꽃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였다. 화훼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유사한 꽃이 여러 종으로 파악된 경우, 분석에 참여 한 원예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모두 일치한 경우에 한하여 분 류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타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기타 영역은 꽃, 줄기, 잎, 가지 등 식물의 형태적 요소는 갖추고 있 으나 표현에 있어서 장식적, 추상적 표현으로 인해 실재 원예 종으 로 분류할 수 없는 대상으로 하였다.

(3) 식물의 다양성

동화책의 표지 및 본문에 식물의 명칭 기재의 유무와 동화책 한 권에 표현된 식물 종의 다양성 파악을 위하여 본문을 기준으로 식 물이 등장하지 않은 경우, 1종, 2~5종, 6종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2) 원예활동에 대한 분류

(1) 원예활동 프로그램

동화책 속의 원예활동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Kim(2012)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제시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주제별 분류와 Seo(2015)가 사용한 분류표를

참조하여 재배, 공예, 요리, 학습, 야외 항목으로 나누었으며, 열 매종류의 경우 조리하지 않고 먹는 장면도 요리활동으로 포함하였 다(Table 3).

Classification by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2) 환경 교육적 요소

본 연구에서는 동화책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원예교육이 이루어 지고, 그 활동이 유아에게 자연스럽게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 경교육과의 연계한 활동을 제안하고자 동화책에 표현된 환경 교육 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제시한 유아 환경교육 목표에 따라 Yoo(2007)가 환경동화 분석연구에서 사용한 분류기 준을 수정하여 보살핌, 관찰, 보호와 개선의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Ⅲ. 자료의 분석

수집된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에 코딩 하였으며, SPSS 12.0 Ver. 프로그램을 통해 원예식물, 원예활동, 작가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 해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작가의 원예경험에 따른 원예요소 의 표현특징과 원예식물과 활동에 따른 표현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유의 수준은 0.05이었다.

Ⅳ. 결과 및 고찰

1.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 현황

1) 원예식물에 대한 분석

분석 동화책 318권의 주제를 생물학적 분류에 근거하여 분류한 결과 인간 38.1%, 동물 28.3%, 무생물 25.2%, 식물 8.5%로 어린 이의 경우 동물과 식물 중에서 동물과 관련한 내용을 선호 한다는 연구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Goins, 2004).

원예식물이 문학적 소재기능 중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조 사한 결과로는, 배경의 기능이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Yoo et al.(2004)이 세계 전래동화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인공이 동 물, 초현실적 존재, 무생물 순으로 식물이 주인공인 경우는 나타나 지 않았다. 하지만 국내 유아에게 많이 읽혀지고 있는 동화를 대상 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주인공인 경우가 1.9%로 ‘도토리’, ‘나무사 람’ 등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이 주인공으로 의 발전을 나타내고 있다.

동화책에 등장한 식물을 원예학적 분류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화목류가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숙근류 52.2%, 관엽류 50.3%, 기타 46.9%, 1・2년 초화류가 39.6%, 과일이 30.5%, 채소 가 29.6%, 알뿌리27.4%, 수생식물 17%, 허브류가 7.9%, 선인장 및 다육 식물이 6%, 종자가 5.7%, 특수식물이 2.2%로 나타났다 (Fig. 2).

Fig. 2

Analysis by horticultural elements classification.

도서의 경우 형태는 일반적으로 평면적이나 그 기능에 있어서는 독자가 상상력을 동원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장이 가능하다(Ham, 2012). 따라서 등장빈도가 낮게 나타난 수생식물, 선인장 및 다육 식물, 특수식물의 경우 생육환경 및 형태의 독특함, 강한 번식의 특 성을 바탕으로 한 문학적 표현이 요구된다.

또한 Sin et al.(2012)의 연구 따르면 유아는 허브에 대하여 정보 가 없을 때는 무관심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지만, 정보습득 후에는 관심도가 높아지는 변화와 함께 자연 경험의 한 방법이 되며, 탐구 력 및 집중력 향상과 원예활동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졌다. 이에 허 브의 경우 현재까지는 문학적으로 활용도가 낮지만, 그 특징인 향 기를 이용한 표현은 유아의 오감을 발달시키며, 동화 속에서 정보 를 전달한다면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요소로 발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식물 이름의 표기의 경우 35.8%가 식물명이 기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Ahn(2002)의 연구에 따르면 유아들은 표현할 때 이미 획득된 언어내용과 수준을 기초로 표현하며 수많은 반복과 학습을 통해 바른 표현을 터득하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식물명을 글로 표현한다면 전달자로 하여금 유아에게 정확한 정보 전달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므로, 동화책이 자연스러운 원예활동 도 구로의 개발이 요구된다.

식물의 다양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6종 이상의 경우가 59.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가지 식물에 대해 표현한 책은 3.5%로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1가지 종류만 표현할 경우 그 식물 에 대한 원예학적 지식이 바탕을 이루어야 식물의 형태, 성격 등의 특징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소재의 기능 또는 캐 릭터화 하였을 때 성격을 부여하는 것(Lee, 1996)이 가능하기 때 문이라고 생각한다.

2)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원예활동을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야외 63.5%, 장식 57.9%, 학습 41.8%, 요리 36.8%, 재배 29.2%의 순서로 야외활동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Kim(2012)의 연구에 따르면 유아 원 예 프로그램 중 식물심기 및 가꾸기가 가장 많이 진행하였고, 야외 활동에 해당하는 숲 체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4).

Analysis according to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본 연구결과와 대조 되는 경향으로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활동을 실재 활동과 연계하여 진행한다면 원예활동의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교육적 요소를 분석한 결과로는 식물이 관찰의 대상으로 나타 난 경우가 252회로 가장 많았으며 보살핌의 대상이 74회, 보호 및 개선의 대상이 63회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경우 자신 이 본 것에 대하여 서술, 전달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Kang, 2002), 관찰의 대상으로 표현된 원예식물을 활용 한다면 교육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3) 동화 작가에 대한 분석

작가의 원예활동의 경험 유무를 동화책에 소개된 작가의 약력정 보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전체의 15.4%가 경험을 언급, 교육, 관 련도서 출판의 경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의 특징

1) 저자의 원예경험에 따른 표현의 특징

동화작가의 원예경험 유무와 이야기 주제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 과 원예경험이 있는 경우가 식물을 주제로 한 책이 5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동물, 인간, 무생물 순이었다(Table 5). 하지만 작가의 원예 경험이 없는 경우는 무생물, 인간, 동물, 식물 순이었다(Table 5).

Analysis of author’s experience by topic.

식물의 소재기능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작가의 원예경험이 없 는 경우 배경으로 기능이 90.2%로 가장 높았던 반면 경험이 있는 경우는 주인공으로의 기능이 66.7%로 가장 높았다(Table 6).

또한 작가의 원예경험이 있는 경우 식물을 소재로 사용하지 않 은 경우는 0%로, 모든 책에서 기능으로 차이는 있었지만 소재로 모 두 사용하였다.

Analysis author’s experience by literature material for plants.

원예프로그램 주제에 따른 결과는 작가의 원예경험이 있는 경우 모든 영역에서 높은 표현을 보였으며 특히 재배, 학습, 야외활동에 서 큰 차이를 보였다(Fig. 3).

Fig. 3

Analysis according to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uthor’s horticultural experience.

이와 같은 결과는 Jang(2004)의 연구에 의하면 원예활동 지도 교사의 경우 출신 지역 및 부모에 의해 아동기에 원예활동의 기회 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환경교육 요소에 따른 분석에서도 작가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전체적으로 표현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ae(2011)의 연 구에서 농어촌 출신이 주말농장 이용률이 높은 것과 같은 결과로 원예활동 경험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문학적 체험으로 의 확장이 가능한 동화책을 통하여 유아에게 자연스러운 원예활동 의 경험제공을 위해 유아문학과 원예학 간의 교류가 요구된다.

2) 원예학적 분류에 따른 표현의 특징

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책 총 318권에 표현된 원예식물을 분류 하여 동화책의 이야기 주제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과일의 표현은 인간주제에서 35.1%, 무생물 28.9%, 동물 25.8% 식물 10.3%의 순서로 다른 영역에 비해 고르게 표현되었다.

채소의 경우 인간 45.7%, 무생물 22.3%, 동물 18.1%, 식물 13.8%의 순서였다. 허브류는 인간에서 40%, 무생물 32%, 식물 20%, 동물 8%로 동물영역에서의 표현빈도가 가장 낮았다.

1・2년 초화류에서 인간을 주제로 한 동화에 38.1%로 가장 많이 등장 하였고 그 다음이 무생물을 주제로 한 동화에 25.4% 등장하 였고 동물 23.8%, 식물 12.7%의 순서로 나타났다. 숙근류의 경우 는 인간 36.7%, 동물 27.1%, 무생물 22.9%, 식물 13.3%의 순서 였다. 알뿌리류의 경우는 인간 44.8% 그 다음이 무생물 28.7%(25 회), 동물 19.5%, 식물 6.9%의 순서였다. 화목류는 인간에서 39.1%, 동물 26.2%, 무생물이 25%, 식물이 9.7%로 나타났으며, 관엽류 의 표현은 동물에서 40.6%, 무생물 24.4%, 동물 28.1%, 식물 6.9% 의 순이었다. 선인장 및 다육식물은 인간에서 42.1%, 무생물 26.3%, 동물 21.1%, 식물 10.5%, 수생식물은 동물주제에서 44.4%로 가 장 많이 표현되었으며, 인간에서 25.9%, 무생물 22.2%, 식물 7.4% 순서였다(Table 7). 특수식물의 경우는 인간 37.5%, 식물과 무생 물에서 각각 25%로 동일 하였으며, 동물주제에서 12.5%로 표현 빈도가 가장 낮았다. 종자는 무생물에서 42.2%, 동물과 식물에서 동일하게 23.5% 표현되었으며 그 다음은 인간 11.8%로 나타났다. 기타에서는 인간 40.3%, 무생물 31.5%, 동물 22.1%, 식물 6%의 순서였다(Table 4). 수생식물과 종자를 제외한 영역에서 모두 인 간을 주제로 한 동화에 표현이 높았다.

Analysis of horticultural elements by topic.

이와 같은 결과는 Lewington(1990)이 식물들은 인간의 문화와 관계하며, 식물들이 동물들보다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요소라 고 언급한 것과 유사하다. 반면 수생식물의 경우에는 동물을 주제 로 한 책에서 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서 목록을 살펴본 결 과 ‘으뜸 헤엄님’, ‘어쩌다 여왕님’ 등으로 물가에서 서식하는 개구 리와 같은 생육습성을 가지고, 서로 공생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동화책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Kim(2006)의 연구와 Cho(2002)의 자연 친화교육 목표에 관한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공생(共生)과 공존(共存)’의 삶을 유아에 게 전달해야 한다는 목적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동화책에 주로 등장하는 물, 공기, 공간, 햇빛 등과 같은 자 연 교육요소(Goins, 2004)의 단순한 표현을 넘어 자연친화적 표현 을 통한 인간의 삶의 가치(Seo, 2011)를 전달하는 동화책의 궁극 적인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문학의 소재기능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부소재로의 기능에서 1・2년 초화류 36.5%, 알뿌리류 43.7%, 선 인장 및 다육식물 42.1%, 허브류 44%, 과일 42.2%, 채소 34%가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으로써는 숙근류 39.2%, 화목류 40.7%, 수 생식물 44.4% 순서였다(Table 7). 특수식물의 경우 주 소재, 부 소 재, 배경에서 모두 동일한 표현 빈도를 보였으며,

종자의 경우 유일하게 주 소재로의 기능이 38.9%로 높았다. 종 자가 주소재의 기능으로 표현된 도서의 목록을 살펴보면 ‘민들레 는 민들레’, ‘꽃이 핀다’, ‘너는 어떤 씨앗이니’ 등으로 유아가 종자 를 통하여 배울 수 있는 개념인 ‘씨앗의 종류에 따라 색, 모양, 크기, 조직, 무게는 모두 다르다’, ‘씨앗이 이동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Lee, 2004)와 같은 특성을 문학적 모티브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 났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른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면 화목 류의 경우 재배, 장식, 학습, 요리, 야외 전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선인장 및 다육식물, 특수식물, 종자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 타났다. 1・2년 초화류, 숙근류, 관엽류, 수생식물, 종자, 과일은 야 외활동이 높았다.

알뿌리류, 다육식물, 기타 영역은 장식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대 부분 재배활동이 가장 낮았으나 특수식물의 경우 재배, 학습, 요리 활동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장식, 야외활동과의 차이도 낮았다. 허브류의 경우에는 요리영역에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나타내고 있 는 것은 Kim(2012)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연구에서 요 리활동이 정서와 인성을 위하여 허브 차 프로그램을 많이 한다고 보고 된 것과 동일하였다.

유아의 환경 교육적 목표에 따라 분석한 결과 관찰 의 대상으로 의 표현이 뚜렷하게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Yoo(2007) 가 생태동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관찰의 대상이 16.7%로 보살핌의 대상 43.9%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대조적인 결과이다. 또한 유 아 원예프로그램에 대한 연구(Kim, 2012)에서 교사들이 원예활 동을 선호하는 요인 중 관찰활동에 적합한 계절을 언급 한 것은 관 찰활동에 대한 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난 동화책을 활용하여 유아의 흥미 유발과 동시에 교사가 원활히 진행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의 연계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유아는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를 통해 지면에서 전달되는 형 태, 색감, 질감 뿐 만 아니라 내재된 생명체와 관계하게 된다. 그 중, 원예요소는 인류 모두에게 안정감을 제공해 주는 존재로, 인생의 첫 단계에 있는 유아에게 아름답고, 건강한 형태의 원예식물을 친 숙한 존재로, 바르게 표현해 줄 수 있는 매체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에 동화출판 관계자, 유아교육, 원예 전문가 간의 교류가 증대 되기를 바라며,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에 대해 보다 정밀한 분 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Ⅴ. 적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책에 표현된 원예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표 인터넷 서점 3사(예스24, 교보문고, 알라딘)의 판매순위 와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대출순위 기준으로 총 318권의 유아도 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원예요소는 크게 원예식물, 원예활동, 작가의 정보로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화책의 이야기 주제는 인간을 주제로 한 도서가 38.1%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물을 주제로 한 도서가 8.5%로 가장 낮았다. 문학적 소재의 기능으로는 식물이 표현된 형태는 배경이 41.8%로 가장 높았으며, 주인공으로 표현된 경우는 1.6%로 가장 낮게 나타 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원예요소의 문학적 활용도가 현재까지는 미미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주인공으로 표현된 도서가 포 함되어 있다는 것은 향후, 이야기 주제 및 주 소재 등으로의 발전가 능성 있다고 판단한다.

원예학적 분류에 따른 결과로는 화목류가 77%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화목류의 표현이 높은 것은 나무라는 원예요소가 인간에게 있어서 자연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원예요소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서 책의 전 체에 원예요소가 표현된 도서는 총56권(17.6%)으로 위와 같은 맥 락으로 표현된 것이라 판단하다.

식물이름은 전체의 36% 책에서 표현되었다. 정확한 이름이 기 재되어 있는 도서의 경우 학습매체로 전환이 효율적이므로 기존 도 서의 활용과 더불어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예활동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는 야외활동이 가장 높았으 며, 교육적 요소는 관찰, 돌봄, 보호 및 개선의 대상의 순이었다. 저 자의 원예경험이 있는 경우는 모두 식물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원예학적 분류에 따른 특징으로는 인간을 주제로 한 영역에서 표현 빈도가 대부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생식물의 경우 동 물 주제에서, 종자의 경우에는 무생물 주제에서 표현의 빈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화책에서 원예요소 표현은 기능 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현재까지는 문학의 기능에 있어서 주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원예와 문학과의 교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동화 기획자 및 작가들에게 원예요소 표현을 제안하여 동화책을 통한 원예경험의 확장과 교육매체로의 발전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References

Ahn YK. The effect of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ough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moral ability. MS Thesis 2002. Wonkwang Univ; Seoul, Korea:
Cheon S, Trostle SL. This land is our land: Promoting ecological awareness in young children. J. Childhood Education 1990;66(5):340–310.
Cho H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ture friendly program for young children. J. KSECE 2002;25(5):343–366.
Editorial Department of Hyundai Publishing (EDH). The pictorial book of nature research and world composing with fairytale books about nature observation 6: Fruit, berry, grass, grain, vegetable. 2015. Hyundai Press. Seoul:
Floristry Association of Korea (FAK). 600 species pictorial book of the flora 2010. Buminmunhwa Press. Seoul:
Goins SL. Botany in Children’s literature: a content analysis of plant-centered children’s picture books that have a plot and characters. PhD Diss 2004. Louisiana State Univ; USA:
Ham YH. A study on the blind person and tactile memory strategies. MS Thesis 2012. Hongik Univ; Seoul, Korea:
Jae MB.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horticulture in Korea through horticultural activity analysis of citizens. PhD Diss 2011. Korea Univ; Seoul, Korea:
Jang YJ. Analysis on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MS Thesis 2004. Korea Univ; Seoul, Korea:
Kang YE. Status of horticultural plants and floral design in the TV commercials shown. MS Thesis 2014. Korea Univ; Seoul, Korea:
Kang YH.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response on appreciative activities with picture storybooks. MS Thesis 2002. Tamna Univ; Jeju, Korea:
Kim EJ.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y using photography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MS Thesis 2013. Korea Natl. Univ. of Edu; Chungbuk, Korea:
Kim J H, Go GC, Kim GL. General theory of fruit tree 2013. Hyangmun Press. Seoul:
Kim JY. Changes of children’s understanding to plants by creating mini-garden. MS Thesis 2006. Chungang Univ; Seoul, Korea:
Kim JW.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for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J.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003;24(6):95–115.
Kim MJ. A study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pproach based on eco centrism. PhD Diss 1998. Pusan Natl. Univ; Pusan, Korea:
Kim NH.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MS Thesis 2012. Korea Univ; Seoul, Korea:
Korea Floriculture Society (KFS). General theory of floriculture science floristic 2007. Munundang Press. Seoul:
Kwon R.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and concentration of preschoolers. MS Thesis 2014. Kookmin Univ; Seoul, Korea:
Lee JS. What is the subject in literature 1996. Minum Press. Seoul:
Lee KH. Sci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nature and interaction 2004. Jungmin Press. Seoul:
Lewington A. Plants for people 1990. Oxford Univ., Press. NY:
Park KW, Kim GH. Functionality vegetables and fruits good for our bodies 2012. Sunjin, Press. Korea:
Park KW. Herb and aroma therapy 2012. Sunjin, Press. Korea:
Park SM. My favorite fruit 2008. Hobakflower Press. Seoul:
Seo YA.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the disabled. MS Thesis 2015. Korea Univ; Seoul, Korea:
Seo MJ. A study on literary education for acceptance of valu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PhD Diss 2011. Korea Natl., Univ. of Edu; Chungbuk, Korea:
Sin SH, Jo MS, Kim TY. Response to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herb plants of kindergarten children. J. Kor. Soc. for People Plants Environ 2012;15(1):1–8.
Walsh HD. Introduction the young child to the social world 1980. Macmillan Press. NY:
Woo ES. The effect of natural play activity experience of walking on child’s emotional competency emotional competency. MS Thesis 2012. Paichai Univ; Korea:
Yoo AJ, Seo JY, Sung MY. Analysis of traditional fairy tales focused on Asian, European, Ameriacn, and African fairy tales. J. KHEA 2004;42(5):77–91.
Yoo LN. Analysis of cont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modern creative tales. MS Thesis 2007. Ulsan Univ; Ulsan, Korea:
Yoon MK. Contents analysis on ecological subjects in Korean picture books for children. MS Thesis 2003. Kyunghee Univ; Seoul, Korea: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Flow chart for the accomplishment goal of study.

Table 1

Classification for the research.

Classification Sub classification Description

Horticulture plant Function of literature Topic of story
Material

Plant Horticultural factor
Name of plant.
Frequency

Horticultural activities Theme of program Art and activities, cooking, growing, learning, outdoor
Environmental education Caring, observation, protection & improvement

Author’s Info. Experience of horticulture
Nationality

Table 2

Classification of plants by horticultural factors.

Classification
Fruit

Horticulture plants Vegetable Vegetable
Herb

Floriculture 1~2years herbaceous

Perennial plant Perennial
Bulbs& tubers

Foliage plant
Flowering tree
Cactus/succulent
Aquatic plant
Special plant

Seed

Others

Table 3

Classification by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ategory Item

Arts and crafts Flower decoration
Decoration items
Practical items
Craft material
Craft cultivation

Cooking (Drinking, jam, vinegar)

Cultivation Normal cultivation
Special container cultivation
Garden cultivation

Learning activities Observation, collection

Outdoor (Garden party, camp)

Fig. 2

Analysis by horticultural elements classification.

Table 4

Analysis according to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ategory Sub classification N %

Activities themes Outdoor activities No 116 36.5
Yes 202 63.5
Total 318 100.0

Art & craft activities No 134 42.1
Yes 184 57.9
Total 318 100.0

Learning activities No 185 58.2
Yes 133 41.8
Total 318 100.0

Cooking activities No 201 63.2
Yes 117 36.8
Total 318 100.0

Growing activities No 225 70.8
Yes 93 29.2
Total 318 100.0

Table 5

Analysis of author’s experience by topic.

Category Author’s experience Total χ 2 (p)

No Yes

Plant N 13.0 14.0 27 30.738 (0.000***)
% 48.1 51.9 100

Animal N 77.0 13.0 90
% 85.6 14.4 100

Human N 107 14.0 121
% 88.4 11.6 100

Inanimate N 72.0 8.0 80
% 90.0 10.0 100

Total N 269.0 49.0 318
% 84.6 15.4 100
***

p<0.001 by χ 2 test.

Table 6

Analysis author’s experience by literature material for plants.

Author’s experience χ 2 (p)

No Yes

Main character N 2.0 4.0 27.771 (0.000***)
% 33.3 66.7

Main object N 41.0 17.0
% 70.7 29.3

Sub object N 85.0 15.0
% 85.0 15.0

Surrounding N 120.0 13.0
% 90.2 9.8

None N 21.0 0.0
% 100.0 0.0
***

p<0.001 by χ 2 test.

Fig. 3

Analysis according to them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y author’s horticultural experience.

Table 7

Analysis of horticultural elements by topic.

Topic Total X 2 p

Human Animal Plant Inanimate

Aquatic 25.9 44.4 7.4 22.2 100 8.814 0.032**
Seed 11.8 23.5 23.5 41.2 100 10.022 0.018**
**

p<0.001 by χ 2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