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5); 2014 > Article
코리아 가든쇼 치유정원 작품의 선호도와 치유감 분석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how people perceive a sense of healing from healing gardens and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designers and garden use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a sense of healing but the effects of gender and childhood environment.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a sense of healing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reference. Second, there is a discrepancy in gender; for female a sense of healing is more associated with rich and colorful garden while nature/wildlife and activeness appealed to male respondents. Third, respondents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rural area felt more healing from traditional gardens than those in urban areas. Last, comfort and nature were common vocabularies for both designers and users, but it appeared that people did not get a sense of healing from memories of play or nostalgia as much as designers' inten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help designers have better understanding about users' perceptions regarding healing gardens.

서론

현대인들은 물질문명의 급속한 발달과 무분별한 자연 파괴 등의 많은 부작용 중에 각종 정신적, 신체적 질환을 자연환경 속에서 치 유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와 치 유정원에 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치유정원(healing garden, therapeutic garden, restorative garden)은 육체에는 에너지를, 정 신에는 활기를 불어 넣어 궁극적으로는 허약한 신체와 마음을 본래 상태로 회복시키는 리듬을 끌어내는 정원을 의미한다(Marcus, 1999).
치유정원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은 주로 환자와 질병, 병원에 집 중되어 있다. 병원에서의 환자의 회복(Ulrich, 1984; Kim, 2011) 에 긍정적인 효과가 크며, 간병인(Adevi and Lieberg, 2012) 그룹 을 통해 이것이 재활 및 환자의 회복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장애아동(Lee, 2012)과 노인시설(Kim et al., 2008; Cho, 2010; Cha, 2012)에서 치유정원의 효과성과 시설 단위 요소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이미 조성되어 있는 치유정원을 대상으로 환자 와 특정계층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치유정원은 단지 질병으로부터 의 회복과 휴식을 위한 공간에서 주변의 청정한 환경요소와 어울려 도시민들의 여가공간을 활용하는 곳으로 자연과 함께하며 건강에 도움을 주고 작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곳으로 의미를 확대하여 포괄 적인 의미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치유정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과 관련된 의학부분과 농산물 원예의 농업분야, 여가 및 레저 분야 등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면서 그 의미가 난립하고 있 어 정작 작가와 이용자 사이의 개념 간에 큰 간극이 생기고 실제 치 유정원을 설계하고자 할 때 반영할 수 있는 작가와 이용자 간의 설 계언어와 선호도, 치유감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치유정원으로서의 선호도와 치유감을 분석하기 위해 ‘힐링’을 주제로 전시한 정원을 사례로 하여, 치유정원에 있어 작가 와 이용자의 인식 차이여부를 알아보고 치유정원 유형별에 따른 선 호도와 치유감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성별 및 유년시절을 보낸 장소에 따라 치유정원에 대한 선호도 및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치유정원 의 설계 시 기초자료로서 유용성을 가지며, 특히 치유정원 인식 차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용자 특성에 맞는 치유 정원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4 고양국제꽃박람회’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코리아 가든쇼(Korea garden show)’ 작가부문에 출품된 17개 작 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힐링가든, 도시민에게 휴식을 주는 정원’ 이라는 주제로 4월 25일부터 17일간 진행된 전시회에는 치유정원 에 대한 작가의 다양한 해석이 반영된 작품이 전시되었다. 본 연구 는 17개 작품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Fig. 1). 작가의 작 품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 1
Images of healing gardens selected for the study.
KSPPE-17-379_F1.gif
‘시경원(時景園), 기억과 흔적이 있는 정원(Image No. 1)’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자취를 추구하고자 본래 땅이 갖고 있던 것의 재료와 성질을 이용해 기억과 흔적이 있는 힐링정원으로 표현하였다. ‘마음이 자라나는 플레이 가든(Image No. 2)’은 정원 속에서 놀이가 있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것으로 공공정원으로서 치유 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Outdoor Living을 통한 열린 정원(Image No. 3)’은 휴가를 위해 떠난 해외 휴양지, 리조트 등의 정원에서 휴 양을 경험한 사람은 더욱 정원을 꿈꾸게 된다. 이런 모든 것을 포함 한 열린 정원 속에서 힐링이 되도록 하였다. ‘The 향수(Image No. 4)’는 한국인의 정서가 묻어나는 힐링정원의 모습을 연출하기 위 해 우리네 어머니 삶 속, 특히 빨래터의 모습에 나오는 정원의 향수 를 그려냈다. ‘화계비원(Image No. 5)’은 50줄을 넘어 갱년기를 맞이하는 우리네 어머니, 작가가 겪는 세월의 신체반응에 흥분하고 주체할 수 없는 우울함과 감정들을 치료할 수 있는 비밀의 정원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놀멍쉴멍 정원놀이(Image No. 6)’는 놀면서 쉴 수도 있는 정원으로 참여하는 셀프 가드닝(Self-Gardening)으 로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잊고 있었던 것을 생각하는 차원의 힐링이 다. ‘오! 평창(Image No. 7)’은 바람과 물소리, 향기 나는 나무와 꽃 으로 숲 속의 정원을 만들어 힐링되도록 하였다. ‘진흙밭 정원 (Image No. 8)’은 봄의 풍경과 기운, 모내기 경험을 담은 습지와 진 지함 보다는 경쾌하게, 산뜻한 분위기로 치유되는 정원을 연출하였 다. ‘걸음을 멈추어라(Image No. 9)’는 몸보다는 마음의 치료가 이 뤄지는 힐링의 개념을 정원에 적용했다. 코티지 가든의 혼합식재를 바탕으로 소소한 일상의 정원을 통해 주위를 돌아보는 과정자체가 힐링이 되는 시간이다. ‘광풍제월(光風霽月, Image No. 10)’은 힐링을 한국 전통정원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소쇄 원의 요소를 끌고와서 현대정원으로 해석하고 있다. ‘내려놓음 (Image No. 11)’은 신발을 벗고 데크 위로 올라가 사회적인 무게, 욕심과 복잡함을 내려놓고 나가는 공간으로 힐링정원을 연출하였 다. ‘건조한 일상에 작은 사건(Image No. 12)’은 어디든 찾아갈 수 있는 정원, 도시민 또는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카(service car)개 념의 깜짝쇼가 되는 정원으로 지친 관람객에게 편안함과 호기심을 주는 치유정원을 조성하였다. ‘Outernet Garden(Image No. 13)' 은 인터넷 매체 속 공허함을 갖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에 인터넷과 상반되는 아웃터넷 가든으로 벤치에 앉아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잉태, 그 아름다운 시작(Image No. 14)’은 자연의 일부 를 그대로 가져와서 이끼와의 연결고리를 고려해 음양의 조화를 바 탕으로 최대한 자연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힐링을 표현하였 다. ‘자연과의 조우(Image No. 15)’는 정원에서 언덕에 비치는 나 무와 풀 등 자연과 만났을 때, 그리고 그 속에서 투영되는 나 자신의 모습에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착시를 일으키며 치유되는 개념으 로 조성하였다. ‘쉬고 쉬는 작은 정원 휴휴소원(Image No. 16)’은 전통정원을 테마로 햇빛과 달빛, 비와 눈, 바람소리 등 자연요소를 바탕으로 오감을 활용해 의경(意景)을 작품에 반영하여 치유하고 자 하였다. ‘윤회(Image No. 17)’는 돌아오는 인연, 식물의 찬란한 꽃이 만발하다가 그 생을 다하고 시들어 처참한 모습을 자아내지만 겨울을 이기고, 다음해에 다시 피는 것을 볼 때 희망을 느끼게 되는 따뜻함을 전하는 모티브로서 치유정원을 설명하고 있다.

2. 연구방법

1) 작품 유형화 및 분석

치유정원의 작품경향 및 유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통된 키워 드 분석을 통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에서 배포된 자료집, 조경 전문잡지 ‘가드닝(gardening)’ 및 신문 보도자료, 고 양국제꽃박람회 및 코리아 가든쇼의 홈페이지(http:// gardenshow.kr)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하여 각 작품의 작가의도 및 작품해설의 내 용을 분석하였다. 조경 전문가 5인과의 자문회의를 통하여 분석결 과 및 유형화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유형화 된 치유정원의 주 제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healing gardens by design keyword.
Type Keyword Image(No.)

1 Natural / Wild 7, 14
2 Cottage / Daily 9, 12, 17
3 Play / Active 6, 2, 8
4 Tradition 4, 16
5 Rest / Seating 3, 5, 11
6 Interpretation of Nature 1, 10, 13, 15

2) 사진촬영 및 슬라이드 구성

설문조사를 위한 이미지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조사원 2인이 2014년 5월 10일 전시회장을 방문하였으며, 각 작품 당 10여개 이 상의 사진을 다양한 지점에서 촬영하였다. 유효화소 1,010만 화소 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의 질을 1600F 모드로 설정하였 으며, 촬영거리는 정원의 전체적인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지점에 서 1.2미터 높이로 촬영하였다. 설문조사 시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요인은 촬영할 때 최대한 배제하도록 하였다. 이미지 선정은 밝 기나 선명도 등 사진의 질이 유사하고, 각 정원의 공간적 특성 및 전 체적인 분위기가 잘 보여주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3) 설문자료 수집 및 분석

조사 집단은 충청남도의 환경조경학과와 경기도의 조경학과 학 부생 1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4년 6월 17일, 18일, 20일 총 3일의 기간 동안에 집단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한 집단은 20-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강의실에서 빔프로젝트를 이 용하여 17개의 이미지를 임의의 순서로 보여주며 개별 정원에 대하 여 선호도와 치유느낌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미지의 관찰 및 설 문지 응답시간을 포함하여 하나의 이미지당 약 15-20초 간격으로 진행하였으며, 전체 설문 시간은 약 20-25분 정도였다. 응답자는 이미지를 보고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와 치유느낌의 정도를 7점 리커트 척도로 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격적인 이미지 평가 이전에는 연령, 성별, 유년시절 보냈던 곳, 거주지 등의 일반적 사항 과 치유정원과 연상되는 단어를 주관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 후, SPSS for Windows Releas 21.을 이용하여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치유정원과 연상된 단어의 빈도 를 분석하였으며, 치유정원의 유형별 차이 분석을 위하여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와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 별 및 유년시절을 보낸 곳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 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 특성

전체 108명의 응답자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81명과 27명으로 남학생의 수가 전체 75.0%를 차지하였다. 유년시절을 보낸 장소에 대하여 85명(78.7%)이 도시지역으로, 나 머지 23명(21.3%)이 농촌지역이라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연령 은 19세부터 최고 26세까지이며 평균연령은 21.8세이다(Table 2).
Table 2.
Demographical data of the respondents.
Division Freq. Per.(%) Total(%)

Gender Male 81 75.0 108(100)
Female 27 25.0

Hometown Urban 85 78.7 108(100)
Rural 23 21.3

Age <20 years old 34 33.3 108(100)
21-22 years old 38 35.2
>23 years old 36 31.5

2. 치유정원과 연상되는 단어의 빈도분석

치유정원과 연상되는 단어를 주관식으로 기록하게 한 결과 총 343개를 기록하였고, 167개의 다양한 단어가 나왔다. ‘편안함’, ‘휴식’, ‘자연’, ‘숲’, ‘녹색’, ‘안정’, ‘나무’, ‘향기’, ‘여유’, ‘평화’ 등의 순위로 높게 나타났다(Table 3). 이러한 단어들을 분류하여 유형화 해 본 결과 자연, 식물, 물 등과 관련된 ‘자연성’, 휴식, 치료, 걷기, 차 마시기 의 ‘활동과 관련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 편안함, 안정, 녹색, 여유, 평화 등의 ‘분위기 및 느낌에 관련된 것’으로 구분 되었다. 또한 이용자에서는 혼자보다는 ‘가족’, ‘친구’에 대한 단어 들이 많이 나타났다.
Table 3.
Respondents' vocabularies in regards to healing gardens and their frequency.
Rank Vocabulary Freq. Per.(%)

1 Comfort 36 10.49
2 Rest 22 6.41
3 Nature 14 4.08
4 Forest 12 3.50
5 Green 11 3.21
6 Water 11 3.21
7 Relief 10 2.92
8 Plant 10 2.92
9 Fragrance 10 2.92
10 Relax 9 2.62
11 Peace 9 2.62
12 Walking 8 2.33
13 Tea 8 2.33
14 Family 7 2.04
15 Friend 7 2.04
Etc 159 46.36

Total 343 100

3. 치유정원에 대한 선호도 및 치유감

1) 개별 작품에 관한 선호도 및 치유감

총 17개의 이미지에 대한 응답자의 선호도 및 치유감의 평균값 은 Table 4와 같다.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는 치유감 역시 높게 나타 나 서로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미지 중 No. 11이 선호도 및 치유 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No. 14, No. 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유감에 있어서는 No. 16, No. 5, No. 13, No. 7의 이미지도 높은 값을 가졌다.
Table 4.
Mean values of preference and healingness for the selected healing garden images.
Image(No.) Preference Healingness

Mean SD Mean SD

1 3.71 1.53 3.45 1.50
2 3.90 1.59 3.31 1.63
3 4.56 1.59 4.31 1.51
4 3.69 1.53 3.56 1.69
5 4.54 1.55 4.58 1.58
6 3.40 1.43 2.90 1.52
7 4.06 1.66 4.49 1.77
8 3.43 1.49 3.18 1.51
9 4.65 1.54 4.69 1.55
10 4.51 1.51 4.16 1.52
11 4.99 1.53 4.96 1.43
12 4.37 1.64 4.20 1.60
13 4.28 1.61 4.50 1.63
14 4.94 1.62 4.74 1.54
15 3.19 1.43 3.06 1.55
16 4.42 1.53 4.60 1.56
17 3.29 1.60 3.30 1.61

Total 4.11 1.64 4.00 1.70

2) 주제별 유형화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

앞의 Table 1의 치유정원을 주제별로 유형화하여 6개 타입으로 분류한 후, 각 타입에 대한 선호도 및 치유감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선호도에 있어서는 ‘휴식’을 주제로 하는 정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자연/야생’, ‘코티지 정원’의 순서였다. 치유감에 있어서는 ‘휴식’과 ‘자연/야생’의 값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코티지 정원’과 ‘전통’ 주제의 정원이 4.07로 같은 값을 보였다. 유형별 평균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한 결과, 선호도 및 치유감에 있어 집단 간 유의적 인 차이를 보였으며,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연/야생’ 주제와 ‘휴식’ 주제의 정원 이 다른 정원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와 치유감을 갖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놀이/동적’ 주제의 정원은 가장 낮은 선호 도와 치유감을 보였다.
Table 5.
Results of ANOVA among different types of healing gardens.
Category Type Mean SD F-value P-value Scheffe

Preference 1 4.50 1.695 19.725 0.00 1>3, 6 2, 4>3 5>2,4,6
2 4.11 1.693
3 3.57 1.519
4 4.06 1.567
5 4.70 1.564
6 3.92 1.599

Healingness 1 4.62 1.664 35.832 0.00 1>3, 6 2, 4>3 5>2,3,4,6
2 4.07 1.687
3 3.13 1.558
4 4.07 1.703
5 4.62 1.524
6 3.79 1.647

3) 성별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의 차이

치유정원에 대한 남녀 간의 선호도 및 치유감의 차이를 비교하 였을 때, 선호도는 남녀 모두 ‘휴식’ 주제의 정원이 가장 높았으나 치유감이 높은 정원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선호도는 ‘휴식’, ‘자연/야생’, ‘코티지 정원', '전통' 순으로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 ‘휴식', ‘코티지 정원’, ‘자연/야생' 순이었다. 치유감에 대 해서는 남 성은 ‘자연/야생’, ‘휴식’, ‘코티지 정원’, 여성은 ‘휴식’, ‘자연/야 생’, ‘전통’ 순으로 나타났다(Table 6). 또한, 성별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의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남성의 경우 ‘자연/야생’, ‘놀이/동적’ 정원에 대하여 여성보다 유 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놀이/동적’ 정원 에 대한 치유 감이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Table 6.
Results of t-test between male and female.
Catogo Type Male (n=81) Female (n=27) T-value P-value

Mean SD Mean SD

Preference 1 4.64 1.667 4.07 1.725 2.150 .033*
2 4.10 1.681 4.13 1.738 -.120 .905
3 3.71 1.559 3.16 1.318 2.861 .005**
4 4.10 1.601 3.92 1.466 .702 .483
5 4.67 1.585 4.79 1.506 -.615 .539
6 3.98 1.596 3.76 1.605 1.216 .225

Healingness 1 4.69 1.609 4.39 1.816 1.158 .248
2 4.07 1.712 4.08 1.621 -.042 .966
3 3.29 1.572 2.64 1.417 3.281 .001**
4 4.06 1.767 4.13 1.507 -.283 .777
5 4.58 1.531 4.73 1.508 -.757 .450
6 3.82 1.656 3.70 1.625 .640 .522

* : p < 0.05

** : p < 0.01

4) 유년시절을 보낸 지역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의 차이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경험 즉 유년시절을 보낸 곳의 환경이 경 관 선호도 및 치유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갖고, 유년시 절 장소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역 출신 학생은 ‘휴식’, ‘자연/야생’, ‘코티지 정원’ 순인 반면, 농촌지 역 학생은 ‘자연/야생’, ‘전통’, ‘휴식’ 순의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도시출신 학생은 ‘휴식’, ‘자연/야생’, ‘코티지 정원’ 순인 반면, 농 촌출신 학생은 ‘자연/야생’, ‘전통’, ‘휴식’ 주제의 정원에 치유감을 갖는다고 응답하였다(Table 7). 또한, 유년시절을 보낸 지역에 따 른 선호도 및 치유감의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 시한 결과, 휴식정원에 대하여 두 집단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도시출신 학생이 농촌출신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와 치유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Results of t-test between male and female.
Catogo Type Urban (n=85) Rural (n=23) T-value P-value

Mean SD Mean SD

Preference 1 4.51 1.724 4.48 1.602 .098 .922
2 4.14 1.679 3.97 1.749 .742 .458
3 3.59 1.544 3.52 1.431 .322 .748
4 3.99 1.545 4.28 1.642 1.108 .269
5 4.87 1.476 4.07 1.726 3.819 .000**
6 3.90 1.640 3.99 1.441 -.456 .649

Healingness 1 4.69 1.654 4.33 1.687 1.333 .184
2 4.10 1.715 3.96 1.585 .619 .536
3 3.07 1.573 3.33 1.492 1.244 .214
4 4.02 1.720 4.28 1.642 -.935 .351
5 4.75 1.501 4.13 1.523 3.028 .003**
6 3.76 1.701 3.92 1.431 -.868 .386

** : p < 0.01

4. 고찰

20세기에 이르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자연 으로의 복귀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의 개념을 단순히 질병이나 부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육체 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벽하게 온전한 상태라 정의하고 있다 (Lee, 2013). 치유정원은 현대에 와서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 속 에 점차 그 역할이 강조되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치유정원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다양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가든쇼에 출품된 작가작품을 통해 치유정원에 대한 작가의 시각이 일반인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작가 들은 과거에 대한 향수나 어린 시절의 놀이 및 추억, 전통 등을 ‘힐 링’의 주요 컨셉으로 하여 정원을 조성하거나 야생성 등의 자연적 요소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들 정원에 대한 선호도 및 치유감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향수나 어 린 시절의 추억보다는 자연, 식물, 물 등 자연성과 휴식이 강조된 정 원에 대하여 높은 선호도 및 치유감을 보였다. 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눈길을 끌어야 하는 가든쇼의 특성상 (Park, 2011) 뚜렷한 키워드와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작가들 의 설계언어가 반영되었을 것이라 판단되며, 대상자 일부와의 인터 뷰 결과 놀이나 향수가 강조된 정원의 경우 인공적인 색과 시설물 들이 치유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성별, 유년시절 경험에 따른 선호도 및 치유감을 비교 한 결과 각 요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성의 경우 화려한 색의 초화류 정원에서 치유감을 많이 느끼는 반면, 남성은 ‘자연/야생’, ‘놀이’ 주제의 정원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Park et al., 2008)에서도 여성들은 색과 야생화로 된 정원을 선호하는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농촌에서 유년시절 을 보낸 응답자는 전통을 주제로 한 정원에 대한 선호도와 치유감 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와 치유감은 대체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선호도에 있어서 ‘휴식’을 주제로 하는 정원 의 경우 벤치를 가장 선호하는 시설물로 꼽으며 이를 통해 휴식과 감상을 하고자 하는 기존연구(Kim, 2013)와 일치하였다. 이것은 일반인의 정적인 활동을 치유정원에서 기대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 순위였던 ‘자연/야생’을 주제로 하는 경 우에서는 화려한 색감보다는 전체적으로 녹색이 부각되는 정원을 선호하고 있었다.
치유에 대한 인식은 연령, 문화적 배경 등에 의해 차이를 보일 것 으로 판단되며, 이후 연령을 포함한 다양한 인구사회적 배경을 가 진 대상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이용자에 적합한 치유정 원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요

본 연구는 치유정원으로서의 선호도와 치유감을 분석하기 위해 ‘힐링’을 주제로 전시한 정원을 사례로 하여 작가와 이용자의 설계 언어의 차이점에 대한 정리와 함께 개별 작품과 유형별에 따른 선 호도와 치유감의 상관관계, 남녀 간의 차이, 유년시절에 따른 차이 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선호도와 치유감의 상관관계를 입 증할 수 있다. 선호도가 높은 경우 대부분 치유감도 높게 나타났다. 개별 작품과 주제별 유형화의 경우 둘 다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선호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치유감은 여성은 초화, 색깔에 더욱 반응하고, 남성은 자연/야생, 놀이의 정원에 대 해 반응하였다. 세째, 유년시절의 경험에 대해서는 농촌과 도시에 서의 차이에서 농촌출신이 선호도와 치유감에서 ‘전통’에 대해 더 욱 크게 반응하였다. 넷째, 작가와 이용자의 설계언어는 ‘자연/야 생’, ‘휴식’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작가의 ‘놀이/ 동적’에 비해 이용자들은 ‘정적/ 편안함’을 더욱 원하고 있었다. 현 재 우후죽순으로 치유정원의 이름을 달고 조성되고 있는 정원은 점 점 많아지고 있다. 치유정원을 주제로 조성한 실제의 사례에 대해 선호도와 치유감의 정도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차후의 설계를 하 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References

Adevi A.A, Lieberg M. Stress rehabilitation through garden therapy: A caregiver proces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012;11:51–58.
crossref
Cha I.S.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healing garden and the status of spatial and using programs in the outdoor space of elderly care facilities. MS Thesis. 2012. Gwangju, Korea: Chonnam Univ.

Cho J.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procedure for therapeutic environment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with dementia. MS Thesis. 2010. Gwangju, Korea: Chonnam Univ.

Jung S.H, Moon N.R. Healing garden. Gardening 2014;13:12–47.

Kim H.S.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based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hotel roof garden. MS Thesis. 2013. Cheoan, Korea: Sangmyung Univ.

Kim M.Y. Analysis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utilizing hospital roof garden. Ph Diss. 2011. Seoul, Korea: Univ. of Seoul.

Kim S.Y, Joo H.J, Sim H.S, An D.S. A basic survey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08;12(1): 11–20.

Korea garden show. http://gardenshow.kr .

Lee B.R. A study on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MS Thesis. 2012.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

Lee S.S.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direction of healing garden based on residential Feng Shui. MS Thesis. 2013. Yangsan, Korea: Youngsan Univ.

Marcus C.C. Healing garden. . New Yo USA.. 1999. New Yo 가, USA: John Wiley & Song, Ind.

Park E.Y. A study on the artistry of objects presented in gardens: Focused on the Chelsea Flower Show2010.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11;12(2): 215–223.

Park S.H, Ahn D.S, Park J.M.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women on the healing garden. J. Kor. Institute of Forest ecreation 2008;12(2): 11–20.

Ulrich R.S. Effects of healthcare interior design on wellness: Theory and recent scientific research 1984;In: Third Symposium on Healthcare Design; SF, CA. pp 88–89.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