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3); 2014 > Article
CCGIS를 이용한 기후 변화 대응 전국 232개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

ABSTRACT

Vulnerability of garlic productivity against climate change using CCGIS (Climate Change adaptation toolkit based on GIS) program was evaluated for 232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The vulnerability index was calculated from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nd adaptive capacity index, adding with weight value for each index. The climate exposure index was highest at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and followed by Goheung, Changnyeong, Seoguipo City, JSSGP and Shinan by 0.9283, 0.9237, 0.8564, 0.8215, and 0.8136. Among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Gangwon was the highest province, and followed by Chungbuk, Jeonbuk, Gyeonggi, and Chungnam. However, JSSGP was the lowest. Sensitivity index for climate change was highest in JSSGP, and adaptive capacity index in Gyeonggi province. The vulnerability index was highest in JSSGP, and followed by Gangwon, and Gyeonggi province (lowest ). Contribution degree to sensitivity index was low from most of various variables. Contribution degree to adaptive capacity index was highest from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of agro-forest industry and GRDP, and low from agriculture population per arable land area, no. of government officials related with land preparation per arable land are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limate exposure variables and climate exposure was highest between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1°C from Sept. to Oct. and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4°C from Sept. to Oct. (r2 = 0.949). The result showed that low temperature during seeding or transplanting time affects severe reduction of early growth of garlic plants. Sensitivity variables and index directly affected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amount. Adaptive capacity index and GRDP (r2 = 0.610) or agriculture population per arable land area (r2 = 0.511) was highly correlated. Conclusionally, vulnerability index was highly correlated with adaptation ability index (r2 = 0.424), with sensitivity index (r2 = 0.333), and with climate exposure index (r2 = 0.225), showing that the most significant index for vulnerability overcome would be the adaptive capacity against climate change prepared at each city or county.

서론

최근 30년간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0.1-0.5°C 상승하여 지 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Yun and Lee, 2001), 기후 변화 정 부 간 패널에서도 지구의 온도가 매 10년마다 0.1-0.2°C 상승하여 향후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이 최대 5.8°C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를 제시하였다(IPCC, 2001). 20세기에는 온난화, 여름 일수 등 고온과 관련된 기후 지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IPCC, 2007), 기온 상승은 자연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과 사회 경제적 활 동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농작물의 분포, 생육 및 생산에 다 양한 영향을 미친다(Yun and Lee, 2001; Lee and Lee, 2003).
최근 기후 변화에 대한 농작물 생산성에 관한 연구들은 지역 및 지구적 규모 관점에서 국내 ․ 외적으로 많이 연구되었다(Sinclair and Seligman, 1996; Singh and Padilla, 1995; Yoshino, 1988; Lee et al., 1991; Yun and Lee, 2001; Yun et al., 2001; Sim et al., 2003; Park et al., 2006). 이러한 연구 중에서 Yun and Lee(2001) 는 기온과 일조 조건이 작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 며, Yun et al.(2001)은 향후 기후 변화에 의해 제주도는 아열대 기 후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Shim et al.(2003)은 기후 변화에 따른 농업 기상 재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지역별 현황 파 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였다.
기후 변화의 주요 현상인 온난화의 진행에 따라 재배지의 북상, 노지 월동 작물의 생육 부진과 추대 발생으로 수량과 상품성 저하 는 물론 경쟁력 약화가 예상된다. 또 원예작물 재배지 변동, 생육 변 화, 품질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며, 이상 저온에 의한 피해도 회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기후 변동성이나 극단적인 기상 현상을 포함하는 기후 변화의 악영향에 대하여 어떤 시스템이 받아 들일 수 없는 정도, 혹은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기후 변화 취약성이 라고 한다(Füsel and Klein. 2006). 기후 변화 취약성은 지역별로 기후 변화의 영향에 저항하고 자율적으로 적응하는 능력과 각각의 생태계와 인간 사회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모든 지역에서 공통 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Smith and Wandel, 2006), 대응 전략에 도 차이가 있으므로, 취약성 평가는 취약성이 큰 부문과 지역(장소) 을 중심으로 적응 전략 수립이 바람직하다(Füsel and Klein. 2006).
이에 본 연구는 온난화에 따른 재배지 북상으로 기존의 온대성 채소류의 경쟁력 약화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점유율이 높으 며 월동 작물인 마늘을 대상으로 전국 광역 및 시군 지자체별 기후 자원, 민감성에 해당되는 농업 자료와 기후 변화에 적응 및 대처할 수 있는 행정 자료를 수집하여 재배 지역별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 였다. 동시에 전국 광역 및 지자체 시군별 10년간 기후 자료, 농업 자료 및 행정 자료를 바탕으로 세부 항목별 기후 변화, 민감도 및 적 응 능력에 관한 대용 변수 목록을 선정하여 현재 및 미래 시나리오 별 취약성을 평가함으로써 기후 변화 대응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 수립차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1. 마늘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및 지수 개발

전국 시도별 자동기상관측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 및 우량 관측소 자료를 활용해서 2001-2010년의 232개 시군별 최고, 최저 평균기온, 강수량, 일조 시간, 적설량, 토양 온도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위한 지수들은 Jhon and Norah(2007)의 문헌을 참고하여 마늘의 기후변화 노출 지수, 민감 도 지수 및 적응능력 지수에 관한 항목을 조사하고 평가 지표를 선 정하기 위해 현재의 기후 변화에 주요한 영향 변수를 선정하고 세 부 항목, 대용 변수 및 영향력이 큰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선정 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기후 노출, 민감도 및 적응 능력의 카테고 리 내의 세부 대용 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전문가 회의를 통해 도출 시켰다.
선정된 기후노출 지수는 12-2월 일평균 기온(°C), 9-10월 일평 균 기온이 11°C 이하인 날의 횟수(회), 4-6월 일평균기온이 13°C 이하인 날의 횟수(회), 일 최고 기온이 30°C 이상인 날의 횟수(회), 일 최고 기온이 33°C 이상인 날의 횟수(회), 일 최저 기온이 영하인 날의 횟수(회), 9-10월 일 최저 기온이 11°C 이하인 날의 횟수(회), 9-10월 일 최저 기온이 14°C 이하인 날의 횟수(회), 9-11월 강수량 (mm), 적설량이 20cm 이상인 날의 횟수(회) 및 토양온도 10cm (°C)가 선정되었고 민감도 지수로는 2001년, 2005년 및 2010년도 의 마늘 재배 면적(ha)과 마늘 생산량(M/T)을 조사하였다. 적응 능 력 지수는 재정자립도(%), 지역내 총생산(GRDP(백만원) (2010 년 당해연도 기초가격), GRDP 농림어업 (2010년 당해연도 총 부 가가치), 농경지 면적당 농기계 보유 대수(대/ha), PC활용 농가 수/ 총 농가 수, 농경지 면적당 농업 인구수(명/ha), 경지 면적당 정비사 업관계 직원(명/ha), 도로면적 비율(%) 및 트랙터+경운기 보유대 수(대)를 조사하여 이용하였다.

2. 마늘 최종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기후 변화 노출, 민감도 및 적응 능력 지수의 자료 수집은 국립환 경과학원의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기후 인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CCGIS v3.1, 2011)을 가동 하여 A1B시나리오에 따라서 현재 시점은 2000년에서 2010년까 지를, 미래시점은 2020, 2050, 2100년을 각각 선정하였고 공간적 범위로서 전국 16개 광역시도 및 232개 시군구를 범위로 정하였다.
작목별 취약성 지수의 산정을 위해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 진 마늘을 선정하였다. 대용 변수 즉, 기후 노출, 민감도 및 적응 능 력을 평가 식에 도입하고 연산하기 위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대용 변수들의 실제 값들을 표준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일단, 대용 변수 들을 0-1의 범위를 갖는 값으로 표준화 하였고, ‘표준화 식 =(대상 대용 변수의 값 - 대상 대용변수 값 중 최소 값) / (대상 대용 변수의 최대값 - 대상 대용변수 값 중 최대값)’에 의했으며, 대용 변수로 선 정된 기후노출, 민감도 및 적응 능력은 “취약성 지수 = (αx 기후노 출지수) + (βx 민감도 지수) - (γx 적응능력)” 식을 통해 취약성 지 수를 산출하였는데, 이 때 α, β, γ는 가중치를 의미한 것이다. 전문 가 그룹으로부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기후노출, 민감도 및 적응 능 력의 카테고리 내의 세부 대용 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다(Myeong and Yi, 2009).
작물별 취약성 평가는 취약성 분포도 작성, 취약성 기여도 분석, 지자체별 취약성 평가지수, 취약성의 그룹화, 지자체간 비교 · 분석 하였고 시점별 취약성 평가는 현재시점과 미래 예측(2020, 2050, 2100년) 시점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지수들은 최종 노출, 민감도, 적응 능력 및 취약성 지수 분포도를 각각 작성하는데 이용 하였고 취약성 등 지수에 대한 항목별 기여도, 지역별 순위와 지수 간, 대용 변수 간, 대용 변수와 지수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전국 지자체 시군별 마늘 생산성 관련 항목별 지수 및 취약성 평가

GIS기반 기후변화 적응도구(CCGIS)는 지자체단위 부문별 취 약성평가가 가능하도록 개선 ․ 보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전국지자체별 마늘 생산성 관련 항목별 지수를 조사한 결과 기후 노출은 강원도 태백시,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원도 정선군이 높았고, 전라남도 여수시, 부산광역시 사하구, 부산광역시 영도구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민감도 지수에서 전라남도 고흥 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전라남도 신안군이 높았고, 경상남도 진해시, 경상남도 마산시,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 도 파주시가 낮게 나타났다. 적응 능력에서 경기도 안양시, 서울특 별시 강남구, 경기도 수원시가 높았고, 광주광역시 동구, 부산광역 시 서구, 부산광역시 영도구가 낮게 나타났다. 마늘 생산성의 취약 성 지수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전라남도 고흥군, 경상남도 창 녕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전라남도 신안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92826, 0.92374, 0.85635, 0.82150, 0.81360으로 높았고, 경기도 안양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등포구, 서초구, 경상남도 진 해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가 0.03990, 0.09540, 0.12412, 0.13194, 0.1354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Fig. 1).
Table 1.
Ranks in vulnerability of garlic productivity against climate change at 232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No. Region Vul. No. Region Vul. No. Region Vul.

1 Jeju Jeju-si 0.92826 31 Jeonbuk Muju-gun 0.55088 61 Jeonbuk Wanju-gun 0.49450
2 Jeonnam Goheung-gun 0.92374 32 Chungbuk Jecheon-si 0.54660 62 Daejeon Daedeok-gu 0.49389
3 Gyeongnam Changnyeong-gun 0.85635 33 Jeonbuk Jinan-gun 0.54575 63 Incheon Seo-gu 0.49366
4 Jeju Seogwipo-si 0.82150 34 Chungbuk Goesan-gun 0.54088 64 Jeonbuk Gimje-si 0.49325
5 Jeonnam Sinan-gun 0.81360 35 Gangwon Sokcho-si 0.53705 65 Gwangju Gwangsan-gu 0.48673
6 Gyeongbuk Uiseong-gun 0.79741 36 Jeonbuk Jeongeup-si 0.53596 66 Daejeon Jung-gu 0.48528
7 Jeonnam Muan-gun 0.77137 37 Gwangju Dong-gu 0.53155 67 Incheon ganghwa-gun 0.48473
8 Chungnam Taean-gun 0.75470 38 Gangwon Chuncheon-si 0.53112 68 Gyeongbuk Yecheon-gun 0.48470
9 Gangwon Jeongseon-gun 0.70891 39 Chungbuk Jeungpyeong-gun 0.52855 69 Gyeongnam Geochang-gun 0.48453
10 Incheon Ongjin-gun 0.69216 40 Chungbuk Boeun-gun 0.52735 70 Gwangju Nam-gu 0.48284
11 Gangwon Taebaek-si 0.69039 41 Incheon Dong-gu 0.52332 71 Daegu Buk-gu 0.47863
12 Gangwon Inje-gun 0.67458 42 Gyeongbuk Bonghwa-gun 0.52092 72 Gyeongbuk Mungyeong-si 0.47639
13 Gangwon Pyeongchang-gun 0.67452 43 Jeonnam Hampyeong-gun 0.52071 73 Chungnam Yesan-gun 0.47505
14 Jeonnam Haenam-gun 0.67319 44 Chungbuk Yeongdong-gun 0.52058 74 Gangwon Donghae-si 0.47492
15 Gyeongnam Namhae-gun 0.64209 45 Jeonbuk Sunchang-gun 0.51756 75 Jeonnam Damyang-gun 0.47305
16 Gangwon Yanggu-gun 0.63667 46 Gyeongnam Hamyang-gun 0.51132 76 Incheon Gyeyang-gu 0.47190
17 Chungbuk Danyang-gun 0.62472 47 Chungbuk Gungju-si 0.51074 77 Daegu Seo-gu 0.47137
18 Gangwon Samcheok-si 0.61876 48 Chungbuk Okcheon-gun 0.50941 78 Chungnam Cheongyang-gun 0.47089
19 Gyeongbuk Yeongcheon-si 0.61200 49 Gyeongnam Hapcheon-gun 0.50886 79 Daejeon Seo-gu 0.47067
20 Gangwon Yeongwol-gun 0.60576 50 Gangwon Wonju-si 0.50880 80 Daegu Suseong-gu 0.47013
21 Gangwon Goseong-gun 0.60160 51 Daegu Nam-gu 0.50712 81 Gyeongbuk Yeongyang-gun 0.46828
22 Incheon Jung-gu 0.59585 52 Jeonbuk Namwon-si 0.50670 82 Gyeongnam Sancheong-gun 0.46770
23 Gangwon Yangyang-gun 0.59425 53 Jeonbuk Imsil-gun 0.50602 83 Daegu Dalseo-gu 0.46719
24 Gangwon Cheorwon-gun 0.59409 54 Gwangju Buk-gu 0.50511 84 Jeonnam Jangseong-gun 0.46672
25 Gangwon Hwacheon-gun 0.58988 55 Gyeongbuk Gunwi-gun 0.50372 85 Incheon Yeonsu-gu 0.46333
26 Gangwon Hongcheon-gun 0.58585 56 Daejeon Dong-gu 0.50008 86 Chungnam Gongju-si 0.46185
27 Chungnam Seosan-si 0.57691 57 Chungbuk Eumseong-gun 0.49990 87 Gyeongbuk Yeongju-si 0.46145
28 Gangwon Hoengseong-gun 0.57626 58 Daegu Dong-gu 0.49837 88 Gwangju Seo-gu 0.46011
29 Jeonbuk Jangsu-gun 0.55965 59 Chungbuk Jincheon-gun 0.49761 89 Gyeongbuk Andong-si 0.45857
30 Gangwon Gangneung-si 0.55961 60 Chungbuk Cheongwon-gun 0.49542 90 Incheon Bupyeong-gu 0.45569
91 Incheon Nam-gu 0.45274 139 Gyeongnam Hadong-gun 0.37606 187 Busan Yeongdo-gu 0.25975
92 Jeonnam Gurye-gun 0.45192 140 Gyeonggi Yeoju-gun 0.37591 188 Gyeongnam Gimhae-si 0.25776
93 Jeonbuk Buan-gun 0.45153 141 Gyeongbuk Gyeongju-si 0.37134 189 Gyeonggi Goyang-si 0.25680
94 Chungnam Buyeo-gun 0.45074 142 Ulsan Ulju-gun 0.37095 190 Seoul Nowon-gu 0.25596
95 Chungnam Hongseong-gun 0.44969 143 Ulsan Buk-gu 0.36607 191 Jeonnam Wando-gun 0.25281
96 Jeonnam Gokseong-gun 0.44872 144 Gyeongbuk Uljin-gun 0.36514 192 Gyeonggi Seongnam-si 0.25252
97 Daegu Dalseong-gun 0.44861 145 Busan Yeonje-gun 0.36010 193 Busan Nam-gu 0.24298
98 Daegu Jung-gu 0.44756 146 Busan Suyeong-gu 0.35888 194 Gyeongbuk Pohang-si 0.24263
99 Chungnam Geumsan-gun 0.44401 147 Jeonnam Yeongam-gun 0.35584 195 Gyeongnam Masan-si 0.24138
100 Jeonbuk Iksan-si 0.44218 148 Gyeonggi Anseong-si 0.35512 196 Gyeonggi Gwangmyeong-si 0.23621
101 Daejeon Yuseong-gu 0.44203 149 Gyeonggi Yangju-si 0.34928 197 Gyeongnam Changwon-si 0.23428
102 Gyeongbuk Cheongsong-gun 0.44140 150 Gyeongbuk Yeongdeok-gun 0.34913 198 Seoul Dobong-gu 0.23418
103 Gyeongnam Uiryeong-gun 0.44131 151 Gyeonggi Icheon-si 0.34861 199 Seoul Eunpyeong-gu 0.23355
104 Chungnam Nonsan-si 0.44068 152 Gyeonggi Paju-si 0.34712 200 Seoul Gwangjin-gu 0.23237
105 Jeonbuk Jeonju-si 0.43979 153 Gyeongnam Jinju-si 0.34394 201 Ulsan Dong-gu 0.22738
106 Gyeongbuk Goryeong-gun 0.43818 154 Gyeongnam Goseong-gun 0.34196 202 Seoul Guro-gu 0.22626
107 Chungnam Gyeryong-si 0.43761 155 Gyeonggi Pyeongtaek-si 0.33901 203 Seoul Gangdong-gu 0.22337
108 Chungnam Yeongi-gun 0.43658 156 Jeonnam Yeonggwang-gun 0.33867 204 Seoul Yongsan-gu 0.22326
109 Chungnam Seocheon-gun 0.43559 157 Gyeongnam Tongyeong-si 0.33795 205 Ulsan Nam-gu 0.22250
110 Gyeongbuk Sangju-si 0.43406 158 Gyeongnam Yangsan-si 0.33758 206 Seoul Dongjak-gu 0.22162
111 Incheon Namdong-gu 0.43355 159 Busan Busanjin-gu 0.33527 207 Busan Dong-gu 0.22137
112 Gyeongbuk Cheongdo-gun 0.43219 160 Gyeonggi Namyangju-si 0.32706 208 Busan Gangseo-gu 0.22112
113 Chungnam Asan-si 0.42622 161 Gyeongbuk Ulleung-gun 0.32545 209 Seoul Jungnang-gu 0.21972
114 Gyeongbuk Seongju-gun 0.42498 162 Jeonnam Suncheon-si 0.32125 210 Seoul Seongbuk-gu 0.21850
115 Gyeongbuk Gimcheon-si 0.42380 163 Busan Gijang-gun 0.32085 211 Jeonnam Gwangyang-si 0.21023
116 Jeonnam Hwasun-gun 0.42338 164 Jeonnam Jangheong-gun 0.32029 212 Seoul Gangbuk-gu 0.20712
117 Jeonbuk Gochang-gun 0.42010 165 Gyeonggi Gwangju-si 0.31971 213 Gyeonggi Gwacheon-si 0.20400
118 Gyeonggi Gapyeong-gun 0.41944 166 Gyeongnam Sacheon-si 0.31932 214 Busan Saha-gu 0.20057
119 Chungbuk Cheongju-si 0.41437 167 Busan Haeundae-gu 0.31862 215 Seoul Geumcheon-gu 0.19685
120 Gyeongbuk Chilgok-gun 0.41394 168 Gyeonggi Gimpo-si 0.31592 216 Jeonnam Yeosu-si 0.19623
121 Jeonbuk Gunsan-si 0.41385 169 Gyeonggi Guri-si 0.31590 217 Seoul Songpa-gu 0.19437
122 Gyeonggi Pocheon-si 0.40965 170 Jeonnam Mokpo-si 0.31453 218 Seoul Yangcheon-gu 0.19339
123 Gyeonggi Yangpyeong-gun 0.40887 171 Gyeonggi Siheung-si 0.29396 219 Gyeongnam Geoje-si 0.19285
124 Gyeonggi Yeoncheon-gun 0.40756 172 Gyeonggi Uiwang-si 0.29175 220 Seoul Dongdaemun-gu 0.19196
125 Chungnam Boryeong-si 0.40700 173 Gyeonggi Hwaseong-si 0.29143 221 Seoul Mapo-gu 0.18911
126 Chungnam Dangjin-gun 0.40356 174 Gyeonggi Osan-si 0.28985 222 Seoul Seodaemun-gu 0.18487
127 Gyeongnam Haman-gun 0.40080 175 Gyeonggi Yongin-si 0.28562 223 Gyeonggi Suwon-si 0.17489
128 Busan Geumjeong-gu 0.39976 176 Gyeonggi Uijeongbu-si 0.28195 224 Seoul Seongdong-gu 0.17130
129 Jeonnam Naju-si 0.39321 177 Jeonnam Jindo-gun 0.27511 225 Seoul Jung-gu 0.15455
130 Gyeonggi Dongducheon-si 0.39123 178 Gyeonggi Bucheon-si 0.27506 226 Busan Jung-gu 0.14714
131 Gyeongbuk Gumi-si 0.39106 179 Gyeonggi Ansan-si 0.27449 227 Seoul Jongno-gu 0.13686
132 Jeonnam Boseong-gun 0.39001 180 Seoul Gangseo-gu 0.27094 228 Gyeongnam Jinhae-si 0.13546
133 Busan Buk-gu 0.38918 181 Gyeonggi Gunpo-si 0.26974 229 Seoul Seocho-gu 0.13194
134 Gyeongbuk Gyeongsan-si 0.38915 182 Gyeonggi Hanam-si 0.26820 230 Seoul Yeongdeungpo-gu 0.12412
135 Gyeongnam Miryang-si 0.38853 183 Busan Sasang-gu 0.26145 231 Seoul Gangnam-gu 0.09540
136 Jeonnam Gangjin-gun 0.38410 184 Seoul Gwanak-gu 0.26127 232 Gyeonggi Anyang-si 0.03990
137 Chungnam Cheonan-si 0.38304 185 Ulsan Jung-gu 0.26080
138 Busan Dongnae-gu 0.37878 186 Busan Seo-gu 0.26052
Fig. 1.
Distribution (current) in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ive capacity index and vulnerability index for garlic productivity.
KSPPE-17-219_F1.gif
광역시도별로 구분하여 본 결과 기후 노출 평균 지수는 강원도 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충청북도, 전라북도, 경기도, 충청남도 순 이었고 제주도가 가장 낮은 지수를 보였다(Table 2). 기후변화 민 감도 평균지수는 제주도가 가장 높은 지수를 보였고, 기후 변화 적 응 능력 평균지수는 경기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경상남도, 경 상북도, 충청남도 순이었고 제주도와 강원도가 낮은 지수를 보였 다. 한편, 취약성 평균지수는 제주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강원 도였고 경기도가 가장 낮은 지수를 보였다. 2020, 2050, 2100년도 의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Fig. 2에 표시 한 것과 같이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이는 예상되는 결과인데, 보 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Averaged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ability index and vulnerability index of garlic productivity against climate change in provinces of Korea.
Province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ability index Vulnerability index

Gyeonggi 0.39165±0.02 bz 0.00516±0.01 b 0.40481±0.04 a 0.30563±0.06 d
Gangwon 0.47560±0.01 a 0.01171±0.01 b 0.17389±0.03 d 0.59795±0.04 b
Chungbuk 0.40957±0.01 b 0.02145±0.03 b 0.18054±0.03 cd 0.51801±0.03 bc
Chungnam 0.38580±0.00 b 0.07705±0.05 b 0.25758±0.02 bc 0.46699±0.04 bcd
Jeonbuk 0.39408±0.02 b 0.02331±0.00 b 0.19322±0.02 bcd 0.49010±0.03 bcd
Jeonnam 0.29863±0.02 cd 0.16576±0.12 b 0.22811±0.02 bcd 0.44607±0.08 bcd
Gyeongbuk 0.38297±0.01 b 0.05603±0.04 b 0.26350±0.03 bc 0.44378±0.03 bcd
Gyeongnam 0.31718±0.04 c 0.09141±0.06 b 0.26669±0.02 b 0.38518±0.11 cd
Jeju 0.24870±0.02 d 0.76136±0.04 a 0.14616±0.00 d 0.87488±0.05 a
LSD (0.05) 0.06 0.17 0.08 0.19
Mean 0.36713 0.13480 0.23494 0.46651

z Mean separation within rows by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Fig. 2.
Future prediction (Years 2020, 2050 and 2100) in vulnerability evaluation for garlic productivity according to A1B scenario.
KSPPE-17-219_F2.gif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에 대한 기여도는 기후 노출 지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기후 변화 적응 능력 지수, 기후 변화 민감도 지수 순 으로 나타났다(Fig. 3). 기후 노출 변수 중에서는 9-10월 일 최저 기 온이 14°C 이하인 날의 횟수, 토양온도 10cm, 9-10월 일 최저 기온 이 11°C 이하인 날의 횟수, 일 최저 기온이 영하인 날의 횟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일 최고 기온이 33°C 이상인 날의 횟수, 적설량이 20cm 이상인 날의 횟수, 9-11월 강수량, 일 최고 기온이 30°C 이상 인 날의 횟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파종 및 정식기의 이상저 온과 같은 변동은 마늘의 생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보여 주고 있다. 기후변화 민감도 지수에 대한 기여도는 모든 변수에서 적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후변화 적응 능력 지수에 대한 기여도는 Fig.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GRDP 농림 어업, 지역내 총생산(GRDP) 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 수 및 경지 면적당 정비 사업 관계 직원 변수는 가 장 낮게 나타났다.
Fig. 3.
Contribution degree of various variables for vulnerability for garlic productivity in Korea.
KSPPE-17-219_F3.gif

2. 광역지자체 시도별 마늘 생산성 관련 항목별 지수 및 취약성 평가

마늘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적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 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를 제 외한 232개 지자체를 광역시도별로 구분하여 취약성 평가를 한 결 과 경기도 지역은 가평군, 포천시, 양평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41944, 0.40965, 0.40887로 높았고, 안양시, 수원시, 과천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 0.0990, 0.17489, 0.20400으로 낮게 나타났다 (Table 1). 강원도는 정선군, 태백시, 인제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70891, 0.69039, 0.67458로 높았고, 동해시, 원주시, 춘천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 0.47492, 0.50880, 0.53112로 낮게 나타났다. 충청북도는 단양군, 제천시, 괴산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62472, 0.54660, 0.54088로 높았고, 청주시, 청원군, 진천군이 각각 취약 성 지수 0.41437, 0.49542, 0.49761로 낮게 나타났다. 충청남도 지역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은 태안군, 서산시, 예산군이 각각 취약 성 지수 0.75470, 0.57691, 0.47505로 높았고, 천안시, 당진군, 보 령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 0.38304, 0.40356, 0.40700으로 낮게 나타 났다. 전라북도는 장수군, 무주군, 진안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55965, 0.55088, 0.54575로 높았고, 군산시, 고창군, 전주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 0.41385, 0.42010, 0.43979로 낮게 나타났다. 전라남도 지역 은 고흥군, 신안군, 무안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92374, 0.81360, 0.77137로 높았고, 여수시, 광양시, 완도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19623, 0.21023, 0.25281로 낮게 나타났다. 경상북도 마늘 생산 성의 취약성은 의성군, 영천시, 봉화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79741, 0.61200, 0.52092로 높았고, 포항시, 울릉군, 영덕군이 각각 취약 성 지수 0.24263, 0.32545, 0.34913으로 낮게 나타났다. 경상남도 는 창녕군, 남해군, 함양군이 각각 취약성 지수 0.85635, 0.64209, 0.51132로 높았고, 진해시, 거제시, 창원시가 각각 취약성 지수 0.13546, 0.19285, 0.23428로 낮게 나타났다. 끝으로 제주도는 제 주시와 서귀포시의 경우 취약성 지수가 각각 0.92826와 0.82150 로 전국 순위 각각 1위와 4위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취약성을 보였 다. 이러한 취약성은 기후 변화의 영향에 저항하고 자율적으로 적 응하는 능력이 각각의 생태계 및 인간 사회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 기 때문에 그에 맞는 적응 전략도 차이를 둘 수밖에 없다(Füsel and Klein. 2006)는 점을 고려해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3. 취약성 평가에 따른 각 지수와 변수의 상관 분석

기후 노출 변수와 기후 노출 지수와의 상관 계수는 9-10월 일 최 저 기온이 11°C 이하인 날의 횟수(회) 및 9-10월 일 최저 기온이 14°C 이하인 날의 횟수(회)와 사이에서 각각 r2 = 0.949와 0.925로 가장 높은 계수로서 파종 및 정식기 마늘이 저온에 의한 피해정도가 심 각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Table 3). 민감도 변수와 민감도 지수에 서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관성을 나 타냈다(Table 4).
Table 3.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limate exposure variables and its index.
(1)z (2) (3) (4) (5) (6) (7) (8) (9) (10) (11) (12)

(1) 1.000 0.691 0.270 0.150 0.083 0.925 0.731 0.639 0.222 0.061 0.239 0.682
(2) 1.000 0.687 0.000 0.021 0.643 0.859 0.847 0.062 0.126 0.017 0.882
(3) 1.000 0.034 0.041 0.197 0.495 0.619 0.089 0.188 0.014 0.600
(4) 1.000 0.706 0.179 0.031 0.008 0.272 0.007 0.440 0.033
(5) 1.000 0.048 0.005 0.017 0.289 0.002 0.239 0.001
(6) 1.000 0.758 0.639 0.123 0.033 0.280 0.700
(7) 1.000 0.947 0.087 0.111 0.166 0.949
(8) 1.000 0.078 0.102 0.111 0.925
(9) 1.000 0.071 0.094 0.070
(10) 1.000 0.004 0.196
(11) 1.000 0.141
(12) 1.000

z ① Daily average temp. Dec.~Feb.(°C), ② No. of days with daily average temp. below 11°C Sept.~Oct., ③ No. of days with daily average temp. below 13°C April~Jun. ④ No. of days with daily max. temp. above 30°C, ⑤ No. of days with daily max. temp. above 33°C, ⑥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0°C, ⑦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1°C Sept.~Oct., ⑧ No. of days with daily min. temp. below 14°C Sept.~Oct., ⑨ Precipitation(mm) Sept.~Nov., ⑩ No. of days with snow depth above 20 cm, ⑪ Soil temp. under 10cm ( C), ⑫ Climate exposure index T

Table 4.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sensitivity variables and its index.
(1)z (2) (3) (4) (5) (6) (7)

(1) 1.000 0.931 0.806 0.978 0.909 0.725 0.938
(2) 1.000 0.913 0.925 0.988 0.838 0.986
(3) 1.000 0.776 0.888 0.963 0.940
(4) 1.000 0.928 0.717 0.935
(5) 1.000 0.831 0.978
(6) 1.000 0.891
(7) 1.000

z ① Garlic field area in 2001 (ha), ② Garlic field area in 2005 (ha), ③ Garlic field area in 2010 (ha), ④ Garlic production amount in 2001 (M/T), ⑤ Garlic production amount in 2005 (M/T), ⑥ Garlic production amount in 2010 (M/T), ⑦ Sensitivity index

적응 능력 변수와 적응 능력 지수의 상관관계에서는 재정 자립 도(%)와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 수(명/ha)가 각각 r2 = 0.610과 0.511로 적응 능력 지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 다(Table 5). 최종적인 취약성 지수는 적응능력 지수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r2 = 0.424), 그 다음이 민감도 지수(r2 = 0.333), 기후 노출 지수(r2 = 0.225)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Table 6). 결론적으로 전국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 결과 기 후 노출 지수, 기후 변화 민감도 지수, 기후 변화 적응 능력 지수가 가중치와 함께 도출되었고 각 지수 도출을 위한 변수들도 가중치별 로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성 평가 지수로서 많지 않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제한적인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취약성 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 료를 통한 지수를 개발해야 한다는 점(Chae et al., 2007)에서 마늘 생산성에 미치는 각 지수별로 다양한 영향력 있는 변수개발을 통해 계속적으로 개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마늘의 난지형과 한지형 품종 간 구분을 통한 지역별 분석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5.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adaptation ability variables and its index.
(1)z (2) (3) (4) (5) (6) (7) (8) (9) (10)

(1) 1.000 0.572 0.088 0.115 0.136 0.323 0.276 0.229 0.109 0.610
(2) 1.000 0.021 0.053 0.060 0.200 0.171 0.145 0.025 0.351
(3) 1.000 0.066 0.026 0.206 0.243 0.171 0.482 0.033
(4) 1.000 0.074 0.361 0.294 0.005 0.006 0.334
(5) 1.000 0.085 0.073 0.029 0.057 0.180
(6) 1.000 0.850 0.333 0.268 0.511
(7) 1.000 0.258 0.276 0.348
(8) 1.000 0.335 0.145
(9) 1.000 0.014
(10) 1.000

z ① Financial reliance (%), ② GRDP in local area (million won) (2010), ③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parts among (million won) (2010), ④ No. of agricultural machine in arable land (no./ha), ⑤ No. of farm with available PC among total farms ⑥ Agricultural population in arable land (no./ha) ⑦ No. of people related with land preparation per arable land (no. person/ha), ⑧ Road area ratio (%), ⑨ No. of tractor and power tiller("Gyungungi"), ⑩ Adaptation ability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ability index and vulnerability index.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daptation ability Vulnerability

Climate exposure 1.000 0.049 0.003 0.225
Sensitivity 1.000 0.015 0.333
Adaptation ability 1.000 0.424
Vulnerability 1.000

적요

전국 시군별 마늘 생산성에 관한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후 노출 지수, 기후 변화 민감도 지수, 기후 변화 적응 능력 지수를 가중치와 함께 도출하였으며, 각 지수 도출을 위한 변수들도 가중치별로 산 정하여 최종적으로 평가하였다. 마늘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제주 시, 고흥군, 창녕군, 서귀포시, 신안군이 각각 취약성 0.92826, 0.92374, 0.85635, 0.82150, 0.81360으로 높았다. 기후변화 민감 도 평균지수는 제주도가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균지수 는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순으로 높았고, 제주도와 강원도가 낮았다.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수에 대한 기여도는 GRDP 농림어업, 지역내 총생산(GRDP)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경지 면적당 농업인구수, 경지면적당 정비사업 관계직원이 가장 낮게 나 타났다. 기후노출 변수와 기후노출 지수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 과 파종 및 정식기 마늘이 저온에 의한 피해정도가 심각할 수 있음 을 보여주었다. 민감도 변수와 민감도 지수에서는 재배면적과 생산 량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능력 변수와 적응능력 지수의 상관관계에서는 재정자립도(%)와 농경지 면적 당 농업인구수(명/ha)가 각각 r2 = 0.610과 0.511로 적응능력 지수 와 가장 높은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취약성 지수는 적응능력 지수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r2 = 0.424), 그 다음이 민감도 지수(r2 = 0.333), 기후노출 지수(r2 = 0.225) 순 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구비는 취 약성을 극복하는 중요한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V.
V.

REFERENCES

Chae H.M, Lee H.J, Um G.H.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analysis of Gangwon provincial forest sector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J. Florest Sci 2012;28(2): 106–117.
crossref
Füsel H.M, Klein R.J.T. Climatic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Climatic Change 2006;75:301–329.
crossref
IPCC.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IPCC.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Jhon R.P, Norah A.M. Assession community vulnreability; A study of the mountain beetle outbreak in British Columbia, Canada. Global Environ. Change 2007;17:460–471.
crossref
Lee B.W, Shin J.C, Bong J.H. Impact of climate change induced by the increasing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on agroclimatic resource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rice yield potential in Korea. Kor. J. Crop Sci 1991;36(2): 112–126.

Lee S.H, Lee K.M. The trend on the chang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J. Environ. Impact Assessment 2003;12(1): 45–54.

Myeong S.J, Yi D.G.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in Korea through a survey of professionals. J. Environ. Impact Assessment 2009;18(6): 347–357.

Park H.K, Lee K.B, Choi W.Y, Choi M.G, Kim S.S, Kim C.K, Migging. X.u. Comparison of Rice Growth under subtropical and temperate environments. Kor. J. Agri. Forest Meteorology 2006;8(2): 45–53.

Sim G.M, Lee J.T, Lee Y.S, Kim G.Y. Traits of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in 20th century Korea. Kor. J. Agri. Forest Meteorology 2003;5(4): 255–260.

Sinclair R.T, Seligman N.G. Crop modeling: From infancy to maturity. Agronomy Journal 1996;88:698–704.
crossref
Singh U, Padilla J.L. Simulating rice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a Special Publication 1992;59:99–122.
crossref
Smith B, Wandel J. Adaptation, adaptive capacity and vulnerability. Global Environ. Change 2006;16:282–292.
crossref
YoshinoM. Development of climate scenarios. In: Parry M.L, Carter T.R, Konizn N.T, editors. The Impact of Climatic Variations on Agriculture. 1988. 1:p. 751–772.

Yun S.H, Lee J.T.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 J. Agri. Forest Meteorology 2001;3(1): 55–70.

Yun S.H, Im J.N, Lee J.T, Shim K.M, Hwang K.H.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 J. Agri. Forest Meteorology 2001;3(4): 220–227.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2 Crossref
  •    
  • 1,509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