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1); 2014 > Article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cused on four-season ornamental rooftop garden on both mental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quotient of preschoolers. Forty seven preschool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xperimental group of 26 members were subjected to do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and 21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were not applied with the program. This stud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15 times from May 2013 to September 2013. As a result, mental development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23, P=0.016)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owever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though mental development of both groups was improved as preschoolers grow,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ment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e intelligence quotient was also improved in both group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ly, we speculated that 15 weeks of research duration was not enough to gi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nking ability.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applying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using four-season ornamental rooftop garden to preschoolers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m. Further more various horticultural programs using four-season ornamental rooftop gardens should be developed.

서론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인간과 자연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 ‘상호 작용’에 초점을 둔 대표적 이론가로서는 Bronfenbrenner(1977)를 들 수 있다.
Bronfenbrenner(1977)는 유아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들 가운 데 물리적 환경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유아발달에 있어 환경과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성장, 특히 인지적인 측면의 성장에 필수적이라 는 것이다. 유아가 환경을 탐색하고 발견하고 환경에 참여하게 되 고 이것은 지식을 이루는 중요한 자원이 되며 또한 환경에 대한 자 신감을 증진시키며 나아가 수행능력을 강화하고 기술을 연마하는 데 자극이 된다고 주장했다.
식물을 이용한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주변 환경과 자연환경에 대 한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기초적인 사고능력과 창의적인 문 제해결능력을 함양시켜 줄 뿐만 아니라 아동들의 심성이 올바른 인 간으로 성장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Son et al., 1997).
유아에게 자연은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가장 쉽고 가까운 대 상이다. 아동들이 자연 속에서 놀 때는 대개 생각을 올바르게 하고 주위 사람들과 가깝게 있고 싶어하며, 일을 하면서 모든 것을 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식물의 생장과정을 지켜보면서 참고 기다릴 수 있는 자제력이 증진되고 스스로 식물을 돌봄으로서 식물 의 생명이 유지된다는 것을 깨달아 아동들은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배우게 되며 또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서로 권리를 존중하고 협력해 야 하며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된다. 한사람에게 그룹 의 일을 책임지게 하면 지휘자의 정신도 경험하게 되고 그 과정을 통해 자립정신도 길러 줄 수 있으며, 창의력과 자아표현을 개발시 킨다. 이러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취학 전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주의력 집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Choi, 1999).
놀이를 통한 식물실습은 유아의 호기심 유발과 실습허용으로 탐 구심을 갖게 도와주고, 관찰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감각을 통해 지 각을 훈련함으로 두뇌발달을 도와주며, 어휘와 의사소통 기술의 진 보를 도와준다(Kwack and Park, 2004).
유아의 신체활동은 뇌 발달과도 관련성을 가진다. 근육발달은 뇌 발달과 연합되어 자발적 운동이 증가한다. 뇌신경과 근육 조직 의 발달은 운동기능의 발달에 관계한다. 대뇌 발달기에 신체활동을 하면 대뇌에 좋은 자극이 주어지므로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유아들 의 뇌가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유아보다 뇌의 활성화가 왕성해져서 매우 좋은 효과를 얻는다. 특히 4~5세경에는 대뇌와 직결된 신경 계가 발달하는 시기로 신경계가 몸속에 그물처럼 둘러쳐져 있으므 로 이 시기의 신체활동이 대뇌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대뇌→몸 →대뇌’와 같이 몸을 중간에 두고 대뇌에 이중 작용을 줄 수가 있으 므로 이 시기의 신체활동은 대뇌를 보다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Hendrick, 1992).
자연물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비구조화된 놀이 감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으므로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유아의 창의성 발달 측면에서 볼 때 유아들이 구조화된 놀이감보다 는 비구조화 된 놀이감을 가지고 놀이하는 것이 교육적인 효과가 더 크다(Sawyers, 1994). 왜냐하면 비구조적인 특성을 갖는 놀이 감에서 사물 고유의 형태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들은 자신 의 뜻과 의지대로 다양하고 독특하게 사물을 변형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Montessori(1964)는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인 생활을 위해서는 아동 스스로의 힘으로 자연이 주는 보물을 얻도록 자연과 접촉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동기는 환경의 모든 인상을 자기 의사 와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받아들이므로 어떠한 환경조건을 제공하 는지에 따라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감각활동과 직접 체험의 장을 만들 것을 강조하였다.
지능은 유아기뿐만 아니라 일생동안 발달하나 창의력은 4-5세 경까지 증가하지만 유치원에 들어가면서 조금씩 내려가며 3~4년 후인 4학년이 되면서부터 창의성 지수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유아 기의 창의성 교육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고 효과적이다 (Torrance, 1963).
옥상정원은 숲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경관이면서 숲보다 접근성 이 더 뛰어난 점을 감안할 때 도시인들의 심신건강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정도면에서는 옥상정원이 숲보다 더 탁월할 가능성도 있다. 옥상정원이 휴식 및 재충전 기능과 관련 있는 회복환경 및 주 의회복 지표뿐만 아니라, 초월적 경험지표에서도 숲 못지않게 효과 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어 숲과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Lee, 2011). 접근성이 높고 매력적인 도시녹지공간을 많 이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도시생활의 질에서 매우 중요한 부 분을 차지한다(van Herzele and Wiedmann, 2003). 그러나 2002 년부터 2007년 까지 수행된 서울시 옥상녹화지 사례조사에 따르면 식재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부족하여 4계절 관상이 어려운 문제점 이 있었다(Jeong et al., 2013). 따라서 다양한 상록수의 도입으로 겨울철에도 관상이 가능하며, 야외 학습 및 체험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시설을 도입한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옥상에 조성되어 접근성이 용이한 4계절 관상용 옥상 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창 의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유아의 창의성 및 사 고력 향상프로그램으로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 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한 비처치 통제군 사전-사후 측정 설계를 이용하였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정원 및 원예활동에 참여한 경기도 수원시 소재 J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로 사전, 사후평가에 모두 참여한 26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대조군은 정원 활동 및 원예활동을 하지 않는 서울특별시 S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로 사전, 사후 평가에 모두 참여한 2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 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해서 관련기관장의 승인을 받았으며 관련 기관장은 부모에게 이 사실을 알려 간접적인 연구 동의 절차를 거쳤다.

3. 연구 도구

1)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

연구 대상기관의 유치원 옥상에 조성된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 은 2012년 주된 이용자인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형태 는 이용을 고려하여 관리혼합형 정원으로 조성하여 체험과 생태학 습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구성하였다. 옥상정원은 면적 141.60m2 (약42.90평)이며 방수와 방근은 자착식 부틸고무에 방근 겸용 방 수층인 필름을 부착하고 그 시트 상부에 FRP 도막을 형성한 FRP 방수 ・방근법을 활용하였고 배수가 원활하도록 구배를 최소 2% 이상 확보하였다. 식재의 디자인은 텃밭, 허브원, 습지비오톱, 잔디 마당, 산책로 등을 두어 체험과 생태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4계 절 관상을 하기 위한 식재수종은 잔디를 제외하고 총 52종 814주의 식물을 활용하였다. 그 종류로는 낙엽교목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외 2종 3주, 상록관목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외 3종 57주, 낙엽관목 낙상홍(Ilex serrata)외 11종 133주, 초화식물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외 36종 624본을 4계절 관상이 가능하도록 계절적 관상특성을 살려 배치하였다. 시설 물은 파고라(쉼터), 텃밭도구함, 수전과 개수대 등으로 구성하였다.

2) 원예활동의 진행 및 실시 방법

주진행자와 3인의 보조진행자로 구성하였으며 만 5세반 유아들 을 3개의 조로 나누어 보조진행자 1인씩 각조의 활동을 도와 소그 룹으로 실시하였다. 또래끼리 원활한 관계형성을 위해 유치원에서 활동하는 같은 조원들끼리 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원예활동은 2013년 5월 ~ 9월 매주 1회 화요일 오전에 옥상 정원에서 활동하였으며 원예활동이 실시하지 않는 다른 요일에 도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매일 20분씩 옥상정원을 자유롭게 산 책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식물들에게 관심을 갖도록 하였 다. 연구기간 중 3주의 여름방학 기간에는 유치원에서 기르던 국 화와 허브식물, 활동지를 여름방학 과제물로 내어주어 방학동안 에도 집에서 지속적인 원예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3) 원예활동의 구성

전체 원예활동은 계절의 변화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는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 Lee, 2006)’을 기본으 로 옥상정원에 식재된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하며 잘 자라도록 도움을 주며 그 수확물을 활용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회기별 활동 내용은 Table 1 같다.
Table 1.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cused on plant cultivation for preschoolers
Activity inning Date Horticultural activity

1 5.23 Sowing (radish, balsam)
2 5.30 Chrysanthemum propagation using stem cutting
3 6.11 Choosing my tree
4 6.13 Temporary planting
5 6.20 Radish harvesting
6 6.27 Dying using grass
7 7.4 Making herb vinegar
8 7.11 Chrysanthemum planting
9 7.18 Balsam dead
10 7.24 Chrysanthemum gardening
11 7.30 Chrysanthemum pinching
12 8.6 Herb gardening
13 8.22 Herb harvesting
14 8.29 Tree naming
15 9.5 Seed harvesting
매 회기 활동마다 옥상정원을 둘러보며 식물의 변화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재배공간에 무를 심고 중간 중간 솎아주고 수확하 는 등의 활동을 진행하였고 정원에서 자라는 국화와 허브를 삽목하 여 뿌리가 나오면 다른 화분으로 옮겨 심어주도록 하였다. 옥상정 원에 자라는 풀잎을 이용하여 손수건에 두드려서 염색하기도 하고 씨앗으로 심은 봉선화가 꽃이 피면 그 꽃으로 손톱에 봉숭아 물들 이기를 하였으며 마지막 회기에는 새로 생긴 봉숭아 씨앗을 채취하 여 씨앗볼을 만들어 봄으로써 씨앗을 심고 싹이 나고 꽃이 피고 다 시 씨앗이 맺는 전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매회기 활동이 끝나면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사고력 자극을 유도 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향상을 위해서 정원을 둘러보며 식물의 변화를 느끼고 식물이 자라는 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 아볼 수 있도록 하였고 소그룹으로 활동을 진행하면서 또래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였으며 작은 결과물에도 칭찬을 해주고 부 모님이나 고마운 분에게 선물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측정 도구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해 온라인 심리검사전문기관 사이트 ‘I-NOON’ (www.i-noon.com)에서 창의적 사고력검사 K-Raven CPM(coloured progressive matrices; Lim, 2003)을 온라인 검사 로 실시하였다. K-Raven CPM검사는 유아부터 아동까지 측정할 수 있게 개발된 검사방법으로 언어 이해력과는 무관한 비언어적 검 사로 다양한 사고의 뿌리인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추리능력(eductive capability)을 중점적으로 평가 한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정도이며 검사 문항이 칼라 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기에 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 점이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자동채점 방식을 채택하여 채점상의 오 류가 없이 객관적인 검사결과를 검사 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K-Raven CPM은 집중력과 지구력을 판단할 수 있는 지적발달 (mental development)과 창의적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사고력 지수(intelligence quotient)를 평가하도록 되어있다(Lim, 2003).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에서 사전, 사후 평균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원예활동 이외의 유아들이 하고 있는 다른 활동들에 대한 통제가 어려웠고 지역과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연 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 및 고찰

1. 원예활동 프로그램 효과의 집단 간 비교

1) 사전 동질성 검정

만 5세 유아를 위한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적발달의 사전 동질성을 검 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아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적 사 고력의 사전 동질성을 검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사이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일한 집단으로 볼 수 있었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test of mental development, intelligence quoti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groups befor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Experimental group (n=26) Control group (n=21) t p

Mental development 22.19±7.16z 18.64±6.32 1.89 0.077NS
Intelligence quotient 100.15±17.04 93.09±12.66 1.60 0.115NS

Z Mean±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at p <0.05 by independent t-test.

2) 사후 동질성 비교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지 적발달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 났다. 창의적 사고력 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Homogeneity test of mental development, intelligence quoti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Experimental group (n=26) Control group (n=21) t p

Mental development 25.19±7.31z 20.81±4.50 2.34 0.024*
Intelligence quotient 104.81±16.83 96.38±10.36 1.96 0.058NS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 significant at p <0.05 by Independent t-test.

2. 원예활동 프로그램 효과의 집단 내 비교

본 원예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점수를 집단 내에서 비교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Pre-post difference comparison for mental development, intellectual maturity for within group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pre-post difference t p

Experimental group (n=26) mental development -2.58±0.09z -2.47 0.023*
intelligence quotient -3.61±0.68 -1.57 0.132NS

Control group (n=21) mental development -2.61±1.61 -2.62 0.016*
intelligence quotient -4.19±2.00 -1.61 0.123NS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 significant at p <0.05 by Independent t-test.

지적발달을 보면 실험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에서도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원예활동 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향상되었으나 실험군의 지적발달의 값(25.19)이 대조군 (20.80)보다 높은 값을 가졌다. 이는 유아의 지적발달이 자연 발달 적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원예활동을 수행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더욱 높은 값(Table 3)을 가진 것으로 보아 원예활동이 지적발달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적발달은 집중력, 지구력, 추론능력의 발달을 의미하는데 씨 앗을 심고 싹이 트고 자라는 과정을 지켜보고 삽목 후 뿌리가 나오 기를 기다리는 활동을 통해 집중력과 지구력이 발달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씨앗 심기, 삽목 등은 정확한 신체동작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정확한 신체의 동작은 정밀한 조정과 조화를 필요로 하므 로 이때 인지능력 요소인 주의집중이 수반되어야 한다(Oh and Cho, 2001). 본 연구에서 유아들이 수행한 원예활동은 옥상에 조 성된 제한된 공간에서의 강도가 다소 낮은 정적 운동으로 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유아는 주변세계를 관찰하고, 탐색하고, 조사하면서 논리적 사고 범주에 속하는 추론 이 발달하게 되는데(Gwon, 2006), 4계절 관찰 및 활동이 가능하도 록 조성된 옥상정원의 환경과 식재된 식물을 이용한 탐색과 조사 활동이 추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식물관 찰중심의 원예활동 후 취학 전 아동의 집중력이 향상되었고(Jang, 2010),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개선에 효과적이었다(Lee, 2006)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식물이 자 라면서 적절히 개입되어야 하는 관리의 필요성, 예를 들면 모종을 솎아주거나 뿌리가 자란 화분을 옮겨 심어주기, 지주대 세우기 등 과 같은 필요성을 찾아보고 해결해주는 과정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 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옥상정원에서 유아 들은 또래집단과 다양한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창의적 사고력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 이 사물에 대한 관찰표현력을 증가시켰으며, 관찰력의 증가는 창의 적사고의 기본이 되는 민감성을 자극하여 유아들의 다양한 감각을 일깨우고 사고의 폭을 확장시켜 창의적 사고력이 향상시켰다 (Hwang, 2011)는 선행연구가 있다.
사고력 지수는 치료군과 대조군 모두 결과 값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132, P=0.123). 이 는 15주의 연구기간이 사고력의 유의한 변화를 갖기에는 짧았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 연구에서 6개월~12개월의 지속적인 자극을 주었을 경우 사고력지수의 변화가 있다고 하는 연구 결과 (Huh, 2001)가 있었으며 현장 심리검사 임상전문가들은 사고력의 변화에는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조언하였다(Lim, 2003).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에 시공된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이 접근 성이 용이하도록 옥상정원에서 식물을 관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식 물이 자라는 과정에서 필요한 옮겨심기, 지주대세우기와 같은 적절 한 관리와 허브차 만들기 등과 같은 수확물을 활용한 활동이 수행 되었다. 이와 같이 식물을 구입하여 활동한 것이 아니라 옥상정원 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을 활용하여 재배관리와 수확이라는 적극적 인 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는 오감과 감성을 자극하는 자연을 체 험하였고 이러한 정서를 바탕으로 식물을 직접 길러보고 돌보는 활 동을 통해 식물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거움과 보람과 같 은 정서적 감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정서적 경험과 또래와의 의 견교류가 정서지능 증진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 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Ryu et al., 2013)
그러나 본 연구는 4월부터 9월까지 수행되어 4계절 관상용 옥상 정원에서의 4계절 활동 가능성 및 4계절 활동으로 인한 효과를 제 시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에는 본 정원에서 의 4계절 원예활동 적용을 통한 효과를 구명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유치원 내 다른 특별활동이나 일 반 원예활동과 4계절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의 차이를 비교 하는 연구를 통하여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의 진보적 유용성 또는 기존 실내․외 원예활동에 대한 대체활동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 로 여겨진다.
향후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 램이 개발되어 옥상정원이 단순한 관상의 목적 뿐만 아니라 유치원 등 유아교육기관 내 부족한 녹지공간과 자연체험공간, 학습과 놀이 공간으로 연중 활용되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적요

본 연구는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이 유아의 지적발달과 사고력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 5세 유아 47명중 원예활동에 참여한 실험군 26명과 원예활동에 참 여하지 않은 대조군 21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총 15회기 실행되었다. 실험 결과 지적발달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원예활동 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p=0.023, p=0.016) 실험군의 지적발달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지적발달은 유아의 자연발달적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변화를 가져 왔으나 원예활동을 수행한 실험군이 더욱 높은 값을 가진 것으로 보아 원예활동이 지적발달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창의 적 사고력 지수는 치료군과 대조군 모두 결과 값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15주의 연구기간 이 사고력의 유의미한 변화를 갖기에는 짧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원예활동 이 유아의 지적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4계절 관상용 옥상정원을 활용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V.
V.

References

Bronfenbrenner U.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ical of human development. Am. Psychol 1977;31:431–513.

Choi Y.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MS Thesis 1999;Seoul: Konkuk Univ.

Chung YJ.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ed biotop on the emotional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 families. Theo. Prac. Edu 2009;14(2): 135–157.

Gwon GY.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activ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s on the young children’s logical reasoning. MS Thesis 2006;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edu. www.i-noon.com. 2013.

Kwack HR, Park MR.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change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ased on steiners anthroposophy. J. Kor. Soc. People Plant Env 2004;7(4): 7–17.

Lee ES.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preschoolers. J. Kor. Soc. People Plant Env 2007;10:1–6.

Lim HC. The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non-verbal Korean raven intelligence tes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3;10(1): 87–103.

Lee KS. Developmental trend i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PhD Diss 2003;Jinju: Kyungsang Univ.

Lee SH. The comparisons of urban, green roof, and forest scenes by rating psychological indices. Reserch of Seoul 2011;3:53–65.

Lee SM.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to each client and the economic value by income approach. PhD Diss 2006;Choenan: Dankook Univ.

Huh HG. A study about the nature of adult intelligence and the methodology of adult intelligence tes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1;39(1): 25–68.

Hong JW. Components and visitor evaluation of the roof garden.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2011;14(2): 117–122.

Jang HH.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focused to plant observation on preschooler’s emotion and ability to concentration rise. PhD Diss 2010;Daegu: Kyungbuk Univ.

Jeong MI, Han SW, Kim JS, Jang HK. Development of four-season ornamental rooftop garden model for nursery school. Kor. J. Hort. Sc. Tetechnol 2013;31:Suppl1. –185.

Hendrick J. The whole child 1992;New York: Macamillan publishing.

Hwang HJ.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applied creativity techniqu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1;14(3): 155–162.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hysical fitness promotion program of preschool children with family 2006;Seoul.

Montessori M. The Montessori method 1964;New York: –155.

Oh YJ, Cho BH.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al capability and athletic movement ability in early childhood. J. Kor. Asso. Child Phy. Edu 2001;2(1): 19–32.

Ryu SH, Park YY, Lee SW. The Effects of gardening activities promoting nature-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ature-friendly attitude. Kor. Edu. Inq 2013;31(3): 1–20.

Sawyers JK. The preschool playground : Developing skills through outdoor play. J. Physi. Edu. Rec. Dance 1994;65(6): 31–33.
crossref
Son BG, Ahn CK, Cho D, Choi YW, Kang JS. Horticultural therapeutic effect of lowers and herb plant. J. Agrl. Tech. & Dev. Inst 1999;3:1–21.

Torrance EP. Adventuring in creativity. Child Edu 1963;40(1): 79–87.
crossref
Van Herzele A, Wiedemann T. A monitoring tool for the provision of accessible and attractive urban green spaces. Lands. Urb. Plan 2003;63(2): 109–126.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