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4); 2015 > Article
금강하구 군산지역의 광역 생태축 구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ing the sustainable ecosystem master-plan of the estuary area of Geumgang-River based on a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Seoungsan-myeon and Napo-myeon of Gunsan city in Jeollabukdo proivince are the target areas of the research with the 1km buffer from the riv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ikal Teal was selected as the target species of the study area. Second, through the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based on the UNESCO MAB program,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criteria of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experience & Usage regions. Main strategies and projects for theses 3 areas were set and suggested respectively. The Conservation region is ecologically important and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is needed and the biodiversity contract and landscape farming were suggested. In case of the restoration region, habitat rehabilitation and expansion is needed and biotope creation projects were proposed to fragmented and devastated habitats. The experience & usage region contains pre-developed area and can be developed to ecotourism places, and creation of eco-villages and wetland parks were suggested.

서론

금강 하류지역은 저어새, 개리 등 국제적 희귀조류를 포함한 야 생동물의 서식지와 월동지인 동시에 갈대와 억새 등 넓게 펼쳐진 자연경관 및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보호가치가 매우 높다. 금강 주 변지역은 지역주민 및 방문객들의 접근성이 높고 매년 10~20만 마 리의 가창오리가 연출하는 군무를 볼 수 있으며, 전 세계 30%의 가 창오리를 볼 수 있는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이다. 하지만 금강은 주변 지역에 관광지 개발로 인한 개발압력을 받고 있으며, 자연부 락과 농경지가 산재해 있어 비점오염물질의 유입 등으로 하천의 수 질오염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별 개발 압력이 증대됨에 따라 난개발을 방지하고 친 환경적 보존 및 이용을 유도하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연생 태환경가치를 보존·증진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 다. 금강 일대는 군산 시가지 및 농촌마을 등과 인접하여 산책로와 자전거길 등으로 지역민들의 이용 빈도가 높으며, 금강호 관광지 조성 등의 사업이 이미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군산 금강 에서는 생태적인 접근 방법은 물론 인간의 이용 측면까지 고려하 는 지속가능이용지역을 포함하는 생태축 및 생태관리권역의 조성 이 요구되어 진다. 생태축이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 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Clause 8 of Article 2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여기서, 생태축은 축이라는 개념보다는 축들 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012). 생태네트워크는 지역적인 맥락에 서 모든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상의 계획으 로, 일반적으로 사람이 자연을 이용하는데 있어 공간계획이나 물리 적 계획을 위한 모델링 도구로 이해할 수 있다(Cook and Lier, 1994; Kim and Cho, 2004). 지자체 차원에서의 관련연구로는 경 기도가 녹지보전가치 평가도를 작성·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 역녹지축’을 설정하였고(Sung, Lee and Ok, 2005), 부산광역시 는 생물자연지구와 주요통로지구 및 핵심지구, 거점지구, 완충지 구, 통로지구로 구성되는 부산광역시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 며(Oh, 2006), 충청남도는 산림, 연안 및 하천네트워크로 구성되 는 광역생태축 관리구역을 설정하였다(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8). 전라북도의 경우 비오톱 작성, 생태축 조성과 같 은 생태네트워크 관련 연구의 필요성은 제기되어 왔으나, 도 차원 의 광역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연구는 현재 없는 실정이다. 다만, 새 만금 지역에 대해서는 환경부가 2011년 ‘새만금 생태네트워크 구 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새만금 개발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단계부터 새만금 전 지역의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012).
이에 본 연구는 경관 생태학적 분석방법과 생태네트워크 개념을 도입하여 금강하구 군산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생태계보전을 위한 광역 생태축을 구상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광역 생 태축의 조성은 생태관리권역의 설정으로 구체화시켰으며, 이를 위 하여 우선 금강하구의 자연생태·인문환경에 대한 종합분석을 기반 으로 목표종을 선정하고, 유네스코 MAB모형을 기반으로 생태관 리권역을 분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3개의 생태관리권역 에 대하여 관리방향, 전략 및 주요 활용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범위

공간적 범위는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나포면 일대 금강 군산권 역 전체이다. 그 중에서도 제방을 중심으로 제내지 1km 이내 권역을 설정하였다. 금강하구둑을 하천 시점으로 설정하고 종점을 군산시 와 서천군의 행정경계로 설정하여 1km 버퍼구역을 대상하천의 시 점과 종점에서 하천중심선에 직각방향을 절단하여 수변지역의 공간 적 경계를 정하였다(Fig. 1). 1km 폭원은 환경부에서 수행한 광역생 태축 구축 연구의 기준을 따랐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7).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금강 군산권역 일대의 자연환경인 지형, 생 물 등에 대해 조사하고, 인문사회환경인 문화자원, 관광자원 등을 조사 및 분석한다.
Fig. 1.
Site map.
KSPPE-18-281_F1.gif

2. 연구의 방법

1) 목표종 선정

야생동물과 인간이 공존하기에 적합한 금강 광역 생태축의 조성 과정에 있어, 목표종의 선정을 통하여 금강 일대의 서식처 관리모 습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목표종의 선정은 금강 주 변에서 서식하고 있거나, 과거 출현했던 종을 중심으로 법정보호종 이거나 지역차원에서 보전가치가 있는 생물종을 선정하였다.

2) 광역 생태축 및 생태관리권역 설정

군산 금강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광역 생태축의 설정은 경 관생태학적 분석에 기반한 가치평가를 통해 도출했다. 생태축 조성 을 위한 생태네트워크는 Edward and Hubert(1994) Bennett (1998)에 따르면 핵심지역(Core area), 완충지역(Buffer Zone), 회랑(Corridor)로 제안하였으며, 대부분의 유럽국가에서 이를 활 용하고 있다. 핵심지역은 생태축의 핵심역할을 하는 지역으로서 야 생동물들의 번식 및 먹이확보, 휴식을 위한 장소이며, 필요한 경우 긴급 피난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생태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서식지다. 일반적으로 면적이 크고 오염 및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 는 질 높은 생태계지역으로 구성된다(Park, 200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완충지역은 생태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 하기 위한 지역으로 핵심지역 주변에서 외부의 부정적 영향으로부 터 보호하는 구역으로 외부로부터의 생태적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 는 곳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7). 회랑은 핵심지역간 의 생물종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주로 복원에 기여하는 지역 으로 강이나 하천과 같은 연속적인 서식지나 인공습지, 옥상 소생 태계 등을 말한다(Jeon et. al., 2010).
대상지의 보전가치의 평가는 크게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로 구분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절대평가기법을 이용한다. 절대평가는 보전가치평가 항목 중 국가적 차원에서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보 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우선보전지역으로 설정, 이를 절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기법으로, 평가에 필요한 주제도들을 중첩·평가하 고 그 결과를 각 권역으로 구분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Kim et. al.,(2013) 및 Jeon et. al.,(2010)의 연구방법론에 의한 절대평 가기법을 따르기로 한다. 주제도의 중첩 및 평가는 불린기법 (boolean logic)의 AND(논리곱) 연산을 이용한다. 자연환경의 가 치평가 기준의 경우 환경·생태적 기준 및 법제적 기준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유네스코 MAB기준에 따 라 크게 핵심지역, 완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및 지속가능이용 지역으로 세분화 한 후, 2차적으로 보전권역, 복원권역 및 체험·이 용권역으로 생태관리권역을 구분하였다. 우선 1차분석에서 핵심 지역은 생태자연도 1등급지역이며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지역 그 리고 국가하천 및 법정보호지역 등의 분석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완 충지역으로 생태자연도 2등급지역, 국토환경성평가 2등급지역 등 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결지역은 생태계가 연결되어 있거나 또 는 끊어져있지만 연결이 필요한 지역을, 복원지역은 생태계에 있어 심각한 오염 및 훼손이 이루어져 복원이 필요한 지역으로, 마지막 으로 지속가능이용지역은 시가지 및 농촌마을지역, 교통시설 등을 포함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1에 정리하였다.
Table 1.
Criteria for the ecological network analysis of the site.
Areas Criteria

Core Region
Ecological Zoning Map : 1st 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 1st Grade
National River and Legally Protected Area, Wetlands
Endangerd Species / Habitat or Detected Area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within 500m Radius)

Buffer Region Ecological Zoning Map : 2nd 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 2nd Grade
Riparian Area (500m buffer from National River, 50m from Agricultura Irrigation Canal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Outside the Ecologically Valuable Area

Corridor Ecological node, Interconnected Networks, Habitat Fragmented Area

Restoration Region Ecologically polluted and damaged area to be restored

Sustainable Usage Region Downtown, Villages and Traffic Facilities / Developed and Under-Construction Area
경관생태학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군산 금강지역의 생태적 건 전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태관리권역을 구분했다. 생태 관리권역의 설정은 경관생태학적 분석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적 여건과 관광·문화현황, 그리고 지역의 발전전략 등에 대한 종합적 인 분석과 검토를 바탕으로 보전권역, 복원권역, 체험·이용권역의 3개 권역으로 설정했다.
보전권역은 경관생태학적 분석의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인간의 이용 및 간섭을 최소화하며,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 는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으로, 핵심지 역의 배후부지로 완충지역 일부가 포함한다. 복원권역은 경관생태 학적 분석 결과, 생물서식공간의 확대와 생태계의 건전성 회복을 목표로, 기존 생태공간에 대한 기능향상 및 단절·훼손지역에 대한 생태복원 등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공간으로, 완충지역, 연결 지역, 복원지역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체험·이용권역은 기개 발지 및 접근성 우수지역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금강 의 셍태자원을 이용·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주변지역과의 연계 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으로 정의한다. 위의 내 용을 그림으로 정리하면 다음의 Fig. 2와 같다.
Fig. 2.
Clustering for the ecological regional analysis.
KSPPE-18-281_F2.gif

III. 결과 및 고찰

1. 대상지 종합분석

금강은 한반도생태 5대 권역 중 금강충청권 영산강호남권을 연 결하는 중요한 거점이며, 대상지역인 금강하류지역은 연안과 내륙 을 연결하는 중요한 생태축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군산지역은 농 경지가 발달하여 많은 저수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금강으로 유입되는 대상지 주변지역은 친환경농법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있어 비교적 오염이 적지만,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군산지역은 농경지 및 갈대군락 등 철새의 먹이 가 풍부하여 인근 해남 고천암호에 머물던 가창오리를 비롯하여 충 남 서산 등지의 철새가 상호 왕래하면서 장엄한 군무를 연출하고 희귀종으로 알려진 황조롱이, 노랑부리저어새, 검은 머리물떼새, 검은머리갈매기가 발견되어 철새탐조여행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금강하구에 서식하는 생물종은 다양한 겨울철새를 제외 하고 비교적 단순한 생물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하천변의 개발 압력으로 인하여 서식처의 훼손을 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대상지 주변 산림축으로는 크게 오성산에서 고봉산으로 연결되는 축과 망 해산에서 익산으로 연결되는 축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일부 도로와 석산개발로 인하여 생태축이 단절되어 있어 생태복원을 통하여 연 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ig. 3).
Fig. 3.
The holistic analysis map of the site.
KSPPE-18-281_F3.gif

2. 목표종 선정

넓은 배후농경지와 해수·담수가 교차하는 하구역인 군산 금강 일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철새도래지이자 조류서식처로, 생물다 양성이 풍부하며 다양한 법정보호종 및 멸종위기종이 관찰되고 있 어 이들 종을 중심으로 목표종을 선정하고자 한다. 군산 금강일대 에서 검토할 수 있는 목표종 선정대상은 다음과 같다(Table 2). 군 산 금강 수변지역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조류 서식처 및 관찰지역으 로 널리 알려져 있어 조류를 중심으로 생태축의 조성과 서식처 관 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에서 광역 생태축을 통한 서식 처의 보전·관리에 있어 중심이 되는 생물종인 목표종으로 가창오 리를 선정하였다.
Table 2.
Main candidates for the target species selection.
Species
Herptiles Chinemys reevesii, Kaloula borealis
Birds Anas platyrhynchos, Larus saundersi, Anser cygnoides, Cygnus cygnus, Cygnus, Anas formosa, Anser fabalis, Platalea leucorodia, Platalea minor, Buteo lagopus, Numenius madagascariensis,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Buteo buteo, Circus cyaneus,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 Falco columbarius, Pandion haliaetus, Anser fabalis, Gavia stellata, Podiceps cristatus
Mammals Apodemus agrarius ningpoensis, Apodemus speciosus, Lutra lutra
가창오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II급이자 국제 자연보존연맹(IUCN)에서 멸종위기 단계 중 취약종으로 분류되는 철새이다. 또한, 전 세계 개체군의 95% 이상이 월동을 위해 우리나 라를 찾고 있으며, 군산 금강 일대는 우리나라 최대의 가창오리 도 래지로,‘군산 가창오리 군무(群舞)’등으로 지역의 대표적 생태·관 광자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생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창오리 를 목표종으로 선정하여 금강 일대의 우수한 기존 서식환경을 적극 보전하고, 신규 서식처의 조성·복원을 목표로 수변지역 일대를 관 리하고자 한다. 즉 가창오리와 수금류가 직접적으로 머무르는 서식 처의 보전 뿐만 아니라, 이들 생물종을 부양하는 하위 생태피라미 드 및 서식기반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리를 수행한다(Fig. 4).
Fig. 4.
Target species and nature pyramid structure.
KSPPE-18-281_F4.gif

3. 금강하구 광역 생태축 구상

경관생태학적 분석결과

총 다섯 개의 경관 생태학적 분석 지역 중 핵심지역에는 금강 수 변과 십자들지역이 포함되어있고, 완충지역에는 군산온천 앞 부 지, 월포 하천부지가 포함되었다. 연결지역에는 서해안고속도로 하단 하천예정지 및 탐조회랑 등이 포함되었고, 복원지역에는 석산 개발지 2곳이 포함되었다. 마지막 지속가능 이용지역에는 금강철 새조망대, 오성산이 포함되었다.

생태관리권역의 설정

경관생태학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군산 금강지역의 생태적 건 전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태관리권역을 구분했다(Fig 5). 생태관리권역의 설정은 경관생태학적 분석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적 여건과 관광·문화현황, 그리고 지역의 발전전략 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검토를 바탕으로 보전권역, 복원권역, 체험·이용 권역의 3개 권역으로 설정했다(Fig. 6).
Fig. 5.
Result of Landscape Ecological Anlaysis.
KSPPE-18-281_F5.gif
Fig. 6.
Result of regional clustering.
KSPPE-18-281_F6.gif
  • 보전권역 : 경관생태학적 분석의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인간의 이 용 및 간섭을 최소화하며,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으로, 핵심지 역의 배후부지로 완충지역 일부가 포함됐다.

  • 복원권역 : 경관생태학적 분석 결과, 생물서식공간의 확대와 생태 계의 건전성 회복을 목표로, 기존 생태공간에 대한 기능향상 및 단 절·훼손지역에 대한 생태복원 등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공간 으로, 완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등이 포함됐다.

  • 체험·이용권역 : 기개발지 및 접근성 우수지역을 중심으로 체계적 이고 효율적으로 금강의 생태자원을 이용·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 로,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도모했다.

보존권역에는 십자들 지역이 포함되었고, 복원권역에는 월포하 천부지, 군산온천 앞 부지, 서해안 고속도로 하천예정지가 포함되었 다. 마지막 체험이용권역에는 금강철새조망대 맞은편 경작지, 군산 온천(금강랜드) 및 주차장 부지, 석산개발지 2곳이 포함되었다.

생태권역 구상 종합

군산 금강 광역 생태축에 설정된 3개 생태관리권역의 주요 프로 그램을 살펴보면, 총 8개 전략의 26개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Table 3). 각 권역별로 분석된 생태축과 각각의 프로그램을 공간 상에 표현하면 다음의 마스터플랜과 같다(Fig. 7).
Fig. 7.
Master plan of the ecological network analysis of the site.
KSPPE-18-281_F7.gif
Table 3.
Strategies and major projects for the ecological regions of the site.
Management Directions Stratagies Major Projects and Programs

Conservation Continuous Function Maintenance of Core Ecological Region 1. Conservation of Habitat and Function Improvement
  • -Expansion of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 -Construction of Rice-paddy Wetlands

  • -Bird Monitoring

  • -Eco-friendly Farming Methods


Habitat Conservation of Geumgang Wildlife 2.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 -Introduction of No Net Loss of Wetlands

  • -Establishment of Holistic Management Plan

  • -Long-term Monitoring

  •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


Restricted Ecotourism (Passive Bridwatching) 3. Vitalization of Ecotourism
  • -Landscape Farming

  • -Ecotourism considering Carrying Capacity


Restoration Restoration of Ecological Soundness through Selection of Target Species 4. Creation of New Habitat and Functional Reinforcement
  • -Reinforcement of Bird Habitats

  • -Newly Creation of Biotopes


Restoration of Fragmented Ecosystems and Creation of Ecological Resources 5. Ecological Restoration of Fragmented and Damaged Region
  • -Creation of small Biotope at Fragmented Habitats

  • -Recovery of Ecologically Damaged Regions

  • -Vegetation Recovery near Riparian Area


Water Quality Purification of Watercources through NPSP Reduction 6. Reservoir and Watercourse Repair for Water Quality Imrovement and NPSP Management
  • -Recovery to Natural Farming Watercourses

  • -Creation of Water Quality Purification Wetlands

  • -Water Quality Purification of Reservoirs

  • -Proliferation of Environment-friendly Farming


Experience Enhancement of Local Access and Usage 7. Sustainability Enhancement of Human Settlement
  • -Creation of Ecotourism Villages

  • -Introduction of Eco-friendly Material and Design

  • -Creation of Biotopes as Rest Areas in the Village


Tourism Vitalization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Ecological Resources and Expansion of Sustainable Usag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rough Eco-Tourism 8.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Eco-Tourism
  • -Creation of Geumgang Eco-Center

  • -Creation of Wetland Eco-park

  • -Training of Eco-Guide

  • -Development of Stay-type Tourism Programs

  • -Expansion of Public Relations of Migratory Bird Festival Fig. 7.

보전권역의 관리

생물다양성 관리계약의 확대 및 경관농업 활성화

나포면 십자들 일대는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사업(MOE, 2010) 의 시범대상지역으로 2002년부터 지금까지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사업이 진행되어, 지역생태계 보전에 기여하고 있다. 2009년 기준 6.06억원의 예산으로 1,695ha 1,116개 농가와의 관리계약을 통하 여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목표종인 가창오리를 비롯한 철새들의 안정적 먹이공급을 위하여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면적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오성산 정상에서 십자들 방향으로의 조망이 탁월하여 기존 ‘철새도래지쌀’을 형상화하는 경관농업을 활성화 하는 방안 또한 모색되었다.

무논습지 조성

십자들 동측 외곤제, 강정제 일대에 겨울철 상시 물이 차있는 무 논습지를 조성하여, 철새들의 먹이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조성하 였다.

친환경농법의 확대

기존 십자들 일대에서는 우렁이농법 및 쌀겨농법 등의 친환경농 법으로 벼를 재배(전체 십자들 430ha 가운데 220ha, 250여 농가 계약)하여‘철새도래지쌀’이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인센티브 제공 및 행정적 지원을 통하여 친환경농법의 계 약면적 확대를 유도한다.

녹지 및 습지총량제 등의 관리제도 도입

보전권역에서의 생물서식공간 및 생태공간의 총량적 관리를 위 하여 권역내에서의 녹지 및 습지총량제를 실시한다. 보전권역 내에 서의 각종 개발행위 및 지목·용도변경 등에 의한 농지, 습지, 산림 훼손시 이를 보상할 수 있는 대체서식처를 조성하여, 지역생태계의 기능을 유지·보전하고자 한다.

수용력을 고려하는 생태관광 운영

생태탐방의 적정 수용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동선변경 및 출입제한구역 설정 등 서식처 질적 향상 방안을 마련하며, 적정 탐 방객 수용을 위한 예약프로그램 도입 및 체험·이용권역의 연계·활 용방안을 모색한다.

복원권역의 관리

조류 서식기반의 강화

하구둑 건설 이전 조류의 서식처로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던 하 천변 모래톱 지역에 식물섬 및 모래톱을 복원하도록 했으며, 부유 섬 형태로 조성되는 식물섬 및 모래톱은 은신처 기능 및 먹이공급 을 위해 수초를 주로 식재한다.

생물서식공간의 신규 조성

현재 금강하구 군산권역의 경우 하천선형 및 하구둑 수문의 위 치 등으로 인해 유속이 빨라 기존의 하천 모래톱 및 둔치들이 사라 지고 있는 실정이다. 생태계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천변의 맹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휴식할 수 있는 습지를 조성하여 서식공간을 확대하고자 한다.

단절지역 소규모 비오톱 조성

군산에서 익산으로 연결되는 지방도706호선으로 인해 나포리 지역 및 군산톨게이트 인근지역에서 산림패치의 파편화가 일어나 고 있어 생물이동통로조성을 통하여 생태계 연결성 확보가 필요하 다. 또한, 망해산 지역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지방도744호선에도 생 물이동통로를 조성하여 생태축의 단절구간을 복원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수질정화습지의 조성

십자들 하천변지역의 현재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맹지를 수질 정화습지로 조성하여 농수로에서 금강으로 유입되는 수질을 개선 하도록 했다. 수질정화력이 높은 식물들을 이용하여 부영양화를 일 으키는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생물종의 서식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체험·이용권역의 관리

생태체험마을 조성

십자들 일대의 농촌마을(교동마을, 둔기마을, 내촌마을)을 친환 경농법을 체험할 수 있는 생태체험마을로 운영한다. 또한, 십자들 에서의 조류관찰과 친환경농법 체험을 연계하는 생태·체험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하여 시설지원 및 교육기회를 제 공한다.

친환경 소재 및 디자인 도입

금강 생태축 일대의 보행시설(탐방로, 가로등 등)과 탐조시설 (탐조대, 해설판 등)에 대하여 환경친화적 소재 및 디자인으로 정비 하도록 한다. 콘크리트 포장 등으로 조성된 기존 탐방로 대신, 비포 장 또는 식생포장 등으로 변경하여 환경성을 향상시킨다.

습지생태공원 조성

채석장이 위치하고 있는 계곡부는 오성산과 금강이 만나는 연계 점으로 생태적 중요성이 높은 지점이지만, 현재 2개소의 채석장 개 발로 기훼손된 지역이다. 이에 따라, 채석장 사이에 입지한 산림·농 지·군산온천 일대를 다양한 생태체험 및 교육, 양묘 등이 가능한 습 지생태공원으로 조성하여 기훼손에 따른 난개발과 훼손지역의 연 담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생태해설사 양성 및 활성화

금강의 조류 및 생태환경에 대한 지역민 중심의 해설사 양성 프 로그램을 개발하여, 보전활동에 있어 주민참여의 강화 및 지역노령 층에게 새로운 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기반의 생태해 설사 양성을 위하여 초기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은 철새조 망대에서 담당하며, 이후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교육 및 운영을 통한 자율적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했다.

적요

본 연구는 경관생태학적 분석방법과 생태네트워크 개념을 도입 하여 금강하구 광역 생태축을 구상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의 대상지는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나포면 일대 금강 군산권역 전체이며, 그 중에서도 제방을 중심으로 제내지 1km 이내 권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강하 구의 자연생태·인문환경에 대한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가창오리를 목표종으로 선정하였다. 금강 일대의 우수한 기존 서식환경을 적극 보전하고, 신규 서식처의 조성·복원을 목표로 수변지역 일대를 관 리하고자 하며, 가창오리와 수금류가 직접적으로 머무르는 서식처 의 보전 뿐만 아니라, 이들 생물종을 부양하는 하위 생태피라미드 및 서식기반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둘째, 생태권역의 설정과 관련하여, 유네스코 MAB모형을 기반으로 대 상지를 핵심지역, 완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및 지속가능지역 으로 세분화 한 후, 최종적으로 보전권역, 복원권역 및 체험·이용권 역으로 생태관리권역을 분석 및 구분하였다. 보전권역은 경관생태 학적 분석의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인간의 이용 및 간섭을 최소화하 며,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 관리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으로, 핵심지역의 배후부지로 완충지역 일부가 포함한다. 복원권역은 생물서식공간의 확대와 생태계의 건 전성 회복을 목표로, 기존 생태공간에 대한 기능향상 및 단절·훼손 지역에 대한 생태복원 등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공간으로, 완 충지역, 연결지역, 복원지역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체험·이용 권역은 기개발지 및 접근성 우수지역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효율 적으로 금강의 생태자원을 이용·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주변지 역과의 연계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으로 정의한 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각 권역별로 관리방향, 8대 추진전략 및 26개의 주요 사업과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보전권역은 생물다양 성 관리계약의 확대, 무논습지 조성, 녹지 및 습지총량제 등의 관리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복원권역의 경우 조류 및 생물서식공간 조성, 단절지역 소규모 비오톱 조성 및 수질정화습지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이용권역의 경우 생태체험마을 조 성, 습지생태공원 조성 및 생태해설사 양성 및 활성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은 본 대상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생태관리권 역의 설정 및 권역별 주요 사업 및 프로그램의 선정이 일부 주관적 인 판단에 의해 진행된 부분이 있으며, 향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 적인 접근방법이 담보되어 진다면, 향후 국가 광역 핵심생태축 조 성사업 등과 연계하여 보다 체계적인 생태자원의 보전 및 활용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V.
V.

REFERENCES

Bennett G. Guildlines for establishing the Pan-European Ecological Network. Council of Europe. Strasbourg 1998.

Edward AC, van Lier HN.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 1994;1–3.

Chungchungnamdo. A Study on Regional Ecological Network Construction in Chungchung- namdo.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8.

Jeon SW, Chun JY, Seong HC, Song WK, Park JH.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Journal of Korean Env. Res. Tech 2010;13(5): 154–171.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waterfront ecological axis creation of Jeollabukdo. Jthink 2012;9–13.

Kim GG, Cho DG. The Principl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Academy Press 2004.

Kim GH, Kong SJ, Kim MK, Lee MJ, Song JY, Jeon SW. Method of Developing the Regional Ecological Network for Local Government using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an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Jounal of Environmental Policy 2014;13(3): 3–19.

MOE. A study of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2007;11–12.

MOE. A guideline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y the types of biotopes 2010;–52.

Oh DH. Studies on Constructing Ecological Network i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05.

Park CS. A Guideline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Urban Ecological Network.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7.

Sung HC, Lee DG, Ok JA, Shin J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 Conservation System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