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eople Plants Environment

Search

Close

공원녹지의 배치특성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공원녹지의 배치특성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habitants Awareness of the Park:

Yeom Sung-Jin**
Received March 27, 2015;       Revised April 20, 2015;       Accepted April 21, 2015;
ABSTRACT
Urban park are recognized as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quality of resident’s lives. For this reason, many cities have attempted to introduce green infrastructur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There is a large body of research on the topic; especially studies carried out from ecological perspective and build up method. In order to plan for and establish parks more effectively, and to restructure the green environment in many more c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nfluence parks have on residents.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on-sit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371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two study districts in Edogawa city, Jap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re park quality and accessibility. Finally, green infrastructure maybe utilized as a spatial strategy of importance to heighten values of parks and green spaces in the urban areas, as a potential tool in boosting satisfaction with higher accessibility to park and green spaces for the residents.
서론
서론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성장위주의 산업화와 더불어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에 인구과밀, 기반시설의 부족 등의 절대적 문 제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도시개발사업이 실시되어 주거지 확보와 도시기 반시설을 확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사업은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과밀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일시적 대책으로 단기간에 걸쳐 도시 개발의 성과를 이루기 위한 개발위주의 계획으로 도시 내의 자연환경 의 훼손, 생태계의 균형파괴, 도시민의 여가활동공간의 절대적 부족 등의 심각한 문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와는 상반되게 경제적 여유를 이룩한 도시민들은 도시의 자연환경의 중요성과 삶에 질에 대한 기대 치가 증대됨에 따라 도시의 자연환경 개선과 여가활동공간의 필요성 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 해 과거에는 도시계획의 시설요소였던 공원녹지의 중요성이 대두되 었다. 하지만 기성도시에서 인구증가와 도시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다 양한 수요를 대응하기 위한 공원녹지의 조성 및 배치는 쉽지 않다. 이 렇듯 현실 속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 원녹지의 양적증대와 효율적 배치를 위한 계획론(Walmsley, 1995; Aydin, 2007)이 도입되어 계획되어 왔다. 하지만 공원녹지의 양적증 대를 위해 토지를 매입하는 예산을 확보하고 조성계획을 추진해 왔으 나 도시화에 의한 지가상승과 재정난에 의한 예산확보의 곤란 등에 의해 공원녹지의 양적증대는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속 에서 Minomo and Funaba(1986)는 공원녹지의 조성에 있어서 거점 이 되는 공원녹지를 가로수, 도로, 녹도 등의 점적 공간의 효율적 배치 를 통한 공간의 연결, 연계를 통해 자연에 가까운 효율적 녹지구조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공원녹지의 효율적 배치에 대한 중요성을 어필하 였다. 이러한 공원녹지의 효율적 배치가 가지는 효과로는 도시에 새 로운 형태의 여가활동공간을 창출, 제공하고 다양한 공원녹지를 연 계, 연결하여 생태계로서의 기능을 유지, 향상시켜 도시의 환경개선 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많은 연구(Little, 1990; Yamamoto, 1993) 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공원녹지의 효율적 배치를 위해서는 적지선정, 배치의 형평성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 에 실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원녹지의 효율 적 배치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방법론적 연구(Forman and Godron, 1986; Ra and Sagong, 2002; Sagong, 2007)와 생태 학적 측면에서의 기능 및 효과에 관한 연구(Fabos, 1995; Hiroki, 1996; Kim and Lee, 2001; Haruta, 2003)가 다수 진행되어 왔다. 그 러나 도시에서 공원이 가지는 의미에서 볼 때 공원이란 도시를 구성 하는 물리적 공간임과 동시에 공원을 이용하는 도시민에게 있어 사회 적 공간, 공공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공원녹지의 효율적 배치를 실제 도입한 사례가 부족하며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측면에서 유용성 을 밝힌 연구는 서로 다른 시대적 배경을 갖는 신도시를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Yeom, 2013), 공원네트워크의 구축과 주민의 의식간의 관계성 연구(Yeom, 2011)가 선행되어 왔으나 비교적 부족한 현실이 다. 그럼으로 도심에서 명확히 다른 공원녹지의 배치특성을 갖는 사 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축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원녹지에 관련한 법정계획으로서 공원녹지기본계획제도가 2005년부터 재정되어 실행중이며 앞으로 계획의 수정과 보완이 이 루어져야 할 단계에 있다. 이 시점에서 공원녹지의 효과적 공급을 목 표로 계획을 진행하고 있는 다수의 지자체의 계획에 있어서 수정과 보완을 필요로 하는 상황 속에서 학문적 이론과 공원녹지의 배치특성 에 대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자료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977년에 이미 법정계획인 녹의 기본계획(緑の 基本計画)이 시행되어 2번의 수정, 보완을 통한 개정을 거치고 계획 을 실행, 공원녹지가 조성, 정비되어 온 일본의 공원녹지에 대한 연구 를 통해 우리나라의 공원녹지기본계획에 의한 효과적 공원녹지조성 계획에 있어서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구축에 본 연구 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심에서 의도적 으로 공원녹지의 양적증대와 효율적 배치를 차별화하여 도입한 일본 의 두 지역 간의 비교를 통해 도시민의 공원이용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 인 공원조성을 위해서 필요한 공원녹지의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자인 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향후 공원녹지조성에 있어서 계획적 측 면에서의 근거와 자료구축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
연구의 틀
연구의 틀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동경도 에도가와구(東京都江戸川区) 를 대상으로 녹의 기본계획의 실행을 통해 각기 다른 공원녹지의 배치구조를 갖고 있는 두 지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각각의 지구에 공원을 이용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지구의 공원배치의 특성과 주민의 의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원녹지의 효율적 배치와 효과에 대해 결론을 도 출하고 국내에 있어서의 공원녹지의 효과적 배치를 위한 계획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
본 연구의 대상지로서 2001년 실행된 녹의기본계획에 의해 도 시전체에 체계적인 공원녹지조성계획이 수립되어 2번의 수정, 보 완을 거쳐 2013년에 현재의 녹의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는 동경도 에도가와구를 선정하였다. 에도가와구는 난개발과 공 장지대의 난입으로 심각한 환경오염과 주거환경의 저하라는 문제 점을 해결하고자 1960년대에 이르러 기존의 공장지구에서 주거지 구로 대규모 용도지구변경을 실시하여 주거지로서의 정착을 위해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1974년 오염이 심각했던 생활하천의 개선을 위해 실시한 하천재정비사업과 녹의 기본계획을 연동하여 기존의 공원조성계획을 변경한 후 하천과 연 계하여 여가활동 공간 확충을 위한 공원녹지를 배치한 마츠시마지 구(松島地区, 이하 A지구)와 근린주구이론에 따른 분산형 배치 를 도입하여 양적인 증대를 목적으로 근린공원과 가구공원을 배치 한 미나미코이와지구(南小岩地区, 이하 B지구)의 서로 다른 계 획이론에 의해 공원녹지가 배치된 2개의 지구를 대상지로 선정하 였다. 연구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은 (Table 1, Fig. 1)과 같다.
Fig. 1.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s ( ∎ : Park, ▬ : Water park).
KSPPE-18-151_F1.tif
Table 1.
Over view of research districts.
A: Matsushima B: Minamikoiwa
Restricted zone Residential Residential
District's size 1.4926km2 1.4949km2
Park's size 9,002.52m2 13,286.67m2
Number of parks Small park:3, Small park: 6,
Water park:1 Neighborhood park: 1
Characteristic of park Connected with the river Neighborhood parks
조사방법
조사방법
조사방법으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에 의한 현장수거방식을 사용 하였다. 설문대상은 A지구와 B지구의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이용 자를 대상으로 지구 주민인지를 도면을 통해 확인하고 설문을 실시 하였다. 조사는 두 지구 내의 전 공원에서 2013년 4월 4일부터 15 일에 걸쳐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2인 1조, 5개조로 편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A지구 192부(남:77, 여:115), B지구 179(남:53, 여:126) 총 371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 문 설정에 있어서 공원녹지에 대한 이용자인식의 평가를 위해 평가 범위를 부분적인 의미인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와 전체적인 의미에서의 지구 내 공원전 반(우리 지구 내 공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내용은 공원 녹지에 대한 이용자 평가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원녹 지의 접근성에 대한 평가로 설정한 접근거리(거주지에서 공원까지 의 거리), 접근편리성(공원까지의 이동의 편리성), 질적 평가로 설 정한 이용의 편의성에 대한 평가로 편의성(공원 내 시설물), 관리상 태를 나타내는 청결함(공원 내 시설물의 청소 및 관리상태), 양적 평가로서 수량(공원의 개소수), 다양성(공원 및 시설물의 다양함) 그리고 공원녹지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평가 등으로 구성한 총 7 개 항목을 설정하여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와 지구 내 공원녹지 전체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각 평가항목은 5점 리커드 척도(1:매 우불만족...5:매우 만족)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 21.0)을 이용하여 두 지구의 이용자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를 T검 정을 통해 비교하였고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인을 특성별로 축약하기 위한 요인분석, 만족도 형성 요인을 검 증할 수 있는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및 고찰
결과 및 고찰
설문조사 결과, 설문조사 결과, A지구 192부(남:40%, 여:60%), B지구179(남:30%, 여:70%) 총 371부의 유효설문을 얻었다. 연 령별로 보면 A지구의 경우 192부 중 60대 이상이 37%, 50대 이상 60대 이하가 23%, 40대 이상 50대 이하가 26%, 30대 이상 40대 이하가 11%, 20대 이상 30대 이하가 3%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 며 B지구 경우 179부 중 60대 이상이 32%, 50대 이상 60대 이하가 21%, 40대 이상 50대 이하가 32%, 30대 이상 40대 이하가 8%, 20 대 이상 30대 이하가 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분석에 있어서 는 유효한 설문에 대한 답변을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결과 를 도출하였다.
두 지구의 공원녹지만족도와 평가 비교
두 지구의 공원녹지만족도와 평가 비교
두 지구의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를 비교한 결과 공원 녹지에 관한 전체적 만족도는 지구A가 4.250으로 비교적 높은 평 가를 나타내는 반면, 지구B는 2.438로 낮은 평가를 나타내고 있으 며 두 지구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1)가 확인되었다(Table 2). 그리고 공원에 대한 12개의 평 가항목 중에서도 우리 지구 내 공원에 대한 접근거리, 접근편의성, 수량, 다양성, 그리고 자주 이용하는 공원에 대해서도 접근거리, 접 근편의성, 수량, 다양성에서 A지구의 평가가 높고 B지구와 유의한 차이(p<0.01)가 확인되었다. 특히 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평가인 접 근거리에 있어서 A지구의 경우 만족도보다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 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용공간이제한적인 도시에 서는 공원녹지의 양적 확충도 중요하지만 이 보다도 하천과 같은 상징성을 갖는 공간요소와의 연계를 고려한 공원녹지의 배치가 이 용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해석할 수 있 다. 아울러 주거환경의 개선의 일환으로 조성된 하천사업과의 연계 를 통한 공원녹지의 배치는 지역주민에게 있어 상징적인 의미로 해 석되어 일반적인 공원녹지에 비해 이용자에게 좋은 인식을 심어주 고 있으며 하천경관을 바라보며 공원녹지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 다는 점이 접근성(Yeom, 2011)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할 수 있다(Table 2).
Table 2.
Comparison between park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both districts.
Attributions Mean p-value
POD Satisfaction of park District A 4.250 0.000
District B 2.738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in District A 4.279 0.000
District B 2.919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District A 4.140 0.000
District B 2.819
Comfort of park usage in District A 3.797 0.071
District B 3.519
Cleanliness of park in District A 3.122 0.513
District B 3.138
Quantity of park in District A 3.901 0.000
District B 2.625
Diversity of park in District A 3.134 0.001
District B 2.675
FUP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in District A 4.262 0.000
District B 2.900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District A 4.174 0.000
District B 3.050
Comfort of park usage in District A 3.547 0.004
District B 3.475
Cleanliness of park in District A 3.529 0.285
District B 3.313
Quantity of park in District A 4.262 0.000
District B 2.900
Diversity of park in District A 4.174 0.001
District B 2.788

* Park in Our District (POD), Frequent Use Park (FUP)

공원녹지의 평가요인
공원녹지의 평가요인
두 지구의 공원녹지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를 구성하는 평가요 인을 확인하기 위해 12개의 평가항목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두 지구의 주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요인을 파 악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에서는 속성을 축약하고 다중공정성 을 피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배리맥스 회전을 실시하였다. Table 3과 같이 A지구에서는 고유치 1 이상의 3개의 요인들이 추출 되었으며 요인들의 누적 적재 값은 61.563% 로 나타났다. 요인 1은‘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접근거리’, ‘자주 이 용하는 공원의 양’,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접근거리’, ‘자주 이용하 는 공원의 접근편리성’,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접근편리성’의 5개의 속성의 인자적재량이 크며 공원녹지 전체에 대한 접근성 평가로 판 단됨으로 「접근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자주 이용하는 공원 의 편의성’, ‘ 우리 지구 내 공원의 다양성’,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청결함’의 3개 인자 적재량이 크게 나타났다. 이 3개의 평가항목은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의 질에 대한 평가로 판단되어 「자주 이용 하는 공원의 질」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우리 지구 내 공원의 편의 성’, ‘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수량’의 적재량이 크며 우리 지구 내의 공원에 대한 질적 평가로 판단되어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질」로 명 명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A지구의 주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 요인은 공원녹지 전체상에 대한 접근성과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 의 질, 그리고 공원전체의 질에 대한 평가요인으로 축약할 수 있다. Table 4와 같이 B지구에서는 고유치 1 이상의 4개의 요인들이 추 출 되었으며 요인들의 누적 적재 값은 65.164%로 나타났다. 요인 1은‘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수량’,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접근거 리’,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접근편리성’의 3개의 속성의 인자적재 량이 크며 자주 이용하는 공원녹지에 대한 접근성 평가로 판단됨으 로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접근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우 리 지구 내 공원의 접근편리성’,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접근거리’의 2개 인자 적재량이 크게 나타났다. 이 2개의 평가항목은 우리 지구 내의 공원녹지의 접근성에 대한 평가로 판단되어 「우리 지구 내 공 원의 접근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청 결함’, ‘ 우리 지구 내 공원 다양성’,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편의성’ 의 적재량이 크며 우리 지구 내의 공원에 대한 질적 평가로 판단되 어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질」로 명명하였다. 요인 4는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청결함’, ‘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수량’, ‘우리 지구 내 공원 의 편의성’의 적재량이 크며 우리 지구 내의 공원에 대한 질적 평가 로 판단되어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질」로 명명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B구의 주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 요인은 자주 이용하는 공 원녹지와 지구 내에 조성된 공원녹지 전반에 대한 접근성과 질에 대한 평가요인으로 축약할 수 있다.
Table 3.
Satisfaction evaluation factor of District A (Factor loadings by Varimax rotation).
Attributions Factors

Accessibility Quality of FUP Quality of POD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usage in FUP .906 -.084 .046
Quantity of park usage in FUP .906 -.084 .046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usage in POD .849 -.042 .153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FUP .780 .116 -.118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POD .747 .215 -.090
Diversity of park in FUP .591 .238 .319
Comfort of park usage in FUP .067 .852 .008
Diversity of park inPOD .170 .742 .144
Cleanliness of park in FUP -.111 .601 .385
Comfort of park usage in POD -.033 .132 .714
Quantity of park in POD .163 -.015 .680
Cleanliness of park in POD -.029 .331 .522
Eigenvalue 3.954 1.897 1.566
Cumulative contribution (%) 32.949 48.755 61.563

* Park in Our District (POD), Frequent Use Park (FUP)

Table 4.
Satisfaction evaluation factor of District B (Factor loadings by Varimax rotation).
Attributions Factors

Accessibility FUP Accessibility FUP Quality of FUP Quality of POD

Quantity of park usage in FUP .941 .151 .058 -.039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usage in FUP .941 .151 .058 -.039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FUP .796 .079 .197 .115
Diversity of park in FUP .470 .011 .232 .228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in POD .126 .893 .053 .055
Distance from residence to park usage in POD .183 .826 .070 .088
Cleanliness of park in FUP .014 .106 .834 -.144
Diversity of park in POD .275 -.152 .720 .114
Comfort of park usage in FUP .150 .152 .701 -.054
Cleanliness of park in POD .063 .216 -.207 .703
Quantity fo park in POD .088 -.147 .038 .635
Comfort of park usage in POD -.032 .454 .045 .628
Eigenvalue 2.785 1.863 1.858 1.409
Cumulative contribution (%) 23.207 38.73 54.215 65.164

* Park in Our District (POD), Frequent Use Park (FUP)

공원녹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원녹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요인분석을 통해 얻어진 요인득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전체 적인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평가요소를 파악하였다. 중회귀분석에 있어서는 공원녹지이용에 있어서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평가요인들만을 파악하기 위해 Stepwise(변수선택)법을 사용해 서 분석하였다.
지구A의 중회귀분석의 결과(Table 5), 3개의 요인득점을 투입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여 회귀식에 적합한 요인들은 「접근성」,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질」순으로 공원녹지에 대한 전 체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질」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3개의 요인에 의한 회귀식의 기여율은 R2 = 0.381로 비교적 낮은 설명력 을 보였으나 F = 25.546과 p = 0.000로서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 로 판단된다.
Table 5.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in Distric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Model Unstandard Standard t p-value


B S.D. Eeta

Constant 2.036 0.071 28.656 0.000
Accessibility 0.452 0.071 0.373 6.001 0.000
Quality of FUP 0.471 0.071 0.403 6.499 0.000

* S.D=Standard Deviation, R2=0.381, F=25.546 p=0.000

그리고 지구B의 중회귀분석의 결과(Table 6), 4개의 요인득점 을 투입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여 회귀식에 적합한 요 인들은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접근성」 「우리 지구 내 공원의 접근 성」순으로 공원녹지에 대한 전체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반면, 「자주 이용하는 공원의 질」, 「우리 지구 내 공원 의 질」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4개의 요인에 의한 회귀식의 기여율은 R2= 0.436로 비교적 낮은 설명력을 보였 으나 F = 28.791과 p = 0.000로서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된다.
Table 6.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in District B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Model Unstandard Standard t p-value


B S.D. Eeta

Constant 3.081 0.068 45.456 0.000
Accessibility FUP 0.532 0.068 0.467 7.684 0.000
Accessibility POD 0.413 0.068 0.36 5.917 0.000

* S.D=Standard Deviation, R2=0.436, F=28.791 p=0.000

이상의 분석결과를 볼 때, 비록 공원의 개소수와 면적은 비교적 적지만 주변 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배치된 공원녹지를 이용하 는 지구의 주민이 비교적 양적으로는 우위를 점하고 있는 근린주구 이론에 의해 배치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지구의 주민보다 공원녹 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이유 로는 지구 내에 조성 된 면적인 요소인 공원과 선적인 요소인 하천 을 활용하여 조성되어 공원녹지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경로가 하천 주변과 연계되어 있어 용이한 접근성을 갖춘 선적인 요소와의 연계 를 통해 주민의 공원녹지 이용에 있어서 접근성의 향상과 양에 대 한 긍정적평가로 이어져 공원녹지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분석결과 로서 효율적 공원녹지의 배치를 도입한 지구와 근린주거이론에 의 해 분산배치형태를 통해 양적증대를 의도한 지구의 이용자에 의한 공원녹지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평가요인이 두 지구 모두 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평가인 것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지금 까지의 공원녹지의 조성에 있어서는 거점녹지의 확충과 양적인 확 충에 중점(Kurihara and Fujita, 2004)을 두었지만 거점녹지의 역 할도 수행할 수 있는 하천과 같은 상징적이고 선적인 공간과의 연계 를 고려한 공원녹지의 조성 및 배치가 공원의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높은 만족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배치(Yeom, 2010)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국내의 도심에서 공원녹지의 확충에 있어 부지확 보, 소유권 분쟁, 행정의 재정악화, 장기미집행도시계획 등의 다양 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기존의 공원녹지계획에 있어 중 점적으로 추구하던 양적인 확충뿐이 아닌 주변의 공간자원과의 연 계를 바탕으로 하는 효율적 배치에 의한 공원녹지계획의 추진이 시 급히 필요다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 향후 공원녹지계획에 있어 효 과적 배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공원녹지 의 효율적 배치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좀 더 많은 요 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적요
적요
도시에 있어서의 공원녹지의 배치 및 조성은 거주환경의 질적 향상과 환경개선에 효과적인 계획개념으로서 많은 방법론들이 도 시계획 및 광역계획에 추진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공원녹지의 계 획방법론과 생태학적 기능에 주목한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하지만 향후, 도시의 환경개선을 위해 공원녹지를 효과적으로 조성 및 배 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가 도시민에게 미 치는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명확히 해야 만 한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 서는 일본의 에도가와구의 두 지구를 대상지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 해 얻은 371부의자료를 바탕으로 t검정과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는 주민의 공원 이용에 있어서의 접근성과 질의 향상으로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 지의 양적인 증대보다 가용할 수 있는 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 원녹지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유도하여 공원녹지의 가치를 높이는데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REFERENCES
REFERENCES
V.
V.

Aydin, O Urban sustainabillity and open space networks. Journal of applied sciences. 2007. 7(23):3713-3720.
[Article]
Forman, RTT, M Godron. Landscape ecology 1986. Wiley. New York:

Fabos, J Introduction and overview: the greenway movement, uses and potentials of greenwa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995. 33:1-13.
[Article]
Haruta, A The trend of the method for ecological network planning, and a future subject.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67(2):191-193.

Hiroki, Y A study on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s of the Netherland and the strategy for it’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6. 50(5):205-208.

Kim, LS, DG Lee. Articles: A study on factor extraction of green-network by assessment indicators for the purpose of biotop cre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cology. 2001. 4(3):75-83.

Koide, M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wintering avifauna in urban riparian areas.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4. 67(5):573-576.
[Article]
Kurihara, K, T Fujita. Appraisal of networking function of riverside open space and green parks in Kawagoe City, Saitama. Extra Paper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cience. 2004. 18:101-106.

Little, C Greenways for America. 199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Baltimore. 235.

Minomo, T, T Funaba. A study of urban planting on the basis of the lot-characteristics in the densely built-up area.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86. 49(5):293-298.
[Article]
Master plan of Edogawa cityEdogawa City Tokyo Japan 1999;

Ra, JH, SJ Sagong. An analysis of green space base for networking in daegu metropolitan municipalit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2. 29(6):37-49.

Sagong, JH Selection of the priority order for additional green spaces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7. 34(6):10-21.

Walmsley, A Greenways and the making of urban form.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995. 33:81-127.
[Article]
Ymamoto, S Study on the existing effect of green spa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3. 56(5):259-264.
[Article]
Yeom, SJ, Y Tashiro, T Kinoshita.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xisting green network and residents' green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0. 73(5):808-811.
[Article]
Yeom, SJ, CI Park.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 A case study on Tama Newtown, Japan.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1. 39(5):12-20.
[Article]
Yeom, SJ A Study on User’s Satisfaction Factors of Urban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 Focused on Blue network in Edogawa, Japan.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2011. 15(3):1-8.
[Article]
Yeom, SJ The Influence of Green Space Network on Use of Parks by Residents - Focused on Green Space Network in Kohoku New Town, Japan.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3. 16(4):227-232.
[Article]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