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속 3종의 메탄올 추출물 및 참지네고사리 분획물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Dryopteris Species and Fractions Obtained from D. nipponensi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2):137-141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지 래원, 이 철희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361-76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leech@chungbuk.ac.kr
Received 2014 July 7; Revised 2015 February 7; Accepted 2015 April 6.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fronds of 3 Dryopteris species, D. crassirhizoma, D. nipponensis and D. fragrans var. remotiuscula, and in rhizomes of D. crassirhizoma and D. nipponensis, and then to explore the natural materials for developing natural α-glucosidase inhibitors.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rude extract of fronds and rhizomes obtained through 30 minutes ultra sonification extraction in 42 kHz ultrasonic water tank with 100% methanol, as a solvent, after the freeze drying and gri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respect of IC50 values of fronds and rhizomes, D. nipponensis was the highest as 4.13 and 2.19µg·mL-1 respectively among 3 Dryopteris species an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were 342 and 646 times higher than acarbose(IC50=1413.70µg·mL-1) used as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respect of the biomass required to inhibit 50% of α-glucosidase activity, the fronds and rhizomes of D. nipponensis required the least as 0.04 and 0.05mg, respectively. From the crude extract, D. nipponensis with high α-glucosidase activity and less required biomass was selected. And then the crude extract was subdivided by the solution in the order of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in order to analyz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s well as the biomass required for each fraction comparatively. The fronds of D. nipponensis was high in n-butanol fraction(1.09µg·mL-1), and the rhizome was high in water fraction(9.36µg·mL-1), indicating the inhibitory activity 1297 and 151 times higher than acarbose, respectively. The required biomass of the fronds and rhizomes of D. nipponensis were highest in n-butanol and water fra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rude extract of D. nipponensis showed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requiring a small amount of biomass. Thus, its value for the development to antidiabetic agent is considered very high.

I. 서론

최근에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등 생활양식의 변화와 고령 화로 인하여 당뇨병, 동맥경화, 심장병, 암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3). 이러한 만성 퇴행성 질 환 중 대표적인 당뇨병은 인슐린, 글루카곤 등 호르몬의 불균형으 로 인한 당질, 단백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기능에 이 상이 발생하여 고혈당이 나타나게 된다. 고혈당 증상이 지속되면 신체의 망막, 신장, 신경, 심혈관계 등의 기관에서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된다(Abrams et al., 1982; Bantle et al., 2000; Choi et al., 1990; Stratton et al., 2000; Tovar et al., 2007).

당뇨병의 발생과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α- glucosidase 저해제는 소장점막에서 이당류와 과당류의 분해효소 를 가역적으로 저해하여 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하고, 식후 혈당상 승을 감소시켜, 제 2형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Bell, 2004; Lebovitz, 1997). 제 2형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α-glucosidase 저해제는 acarbose, voglibose, miglitol 등이 있다(Gholamhoseinian et al., 2009; Kang et al., 2009; Rosak and Mertes, 2009).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α-glucosidase 저해제는 설사와 복통 등의 부작용 을 유발하므로,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및 식물을 이용한 α- glucosidase 억제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Lim et al., 2005).

본 연구는 Shin(2010)의 선행연구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관중속(Dryopteris) 의 관중(D.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D. nipponensis)와 주 저리고사리(D. fragrans var. remotiuscula) 등 3종의 성엽 및 근 경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구명하여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리고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생체량을 구하여, 소량으로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이는 경제적인 기능성 식물소재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II. 연구 방법

1. 식물 재료 추출 및 분획

본 연구에서는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 (D. nipponensis)와 주저리고사리(D. fragrans var. remotiuscula) 등 관중속 양치식물 3종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Table 1). 각 자 생지에서 수집한 양치식물은 70% 차광 처리된 무가온 온실에서 가 습기(JA-1200, 중앙기술산업, 한국)를 가동하여 공중습도를 85% 수준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1년간 재배한 것을 사용하였다. 성엽은 엽색이 3개의 식물체로 부터 가장 진한 시기에 성숙한 잎을 골라 채 집하였으며, 포자가 없는 영양엽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근경은 신 선한 것을 사용하기 위하여 채집 후 절단하여 내부가 녹색인 것만 선별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단, 주저리고사리의 근경은 수 확량이 적어 실험재료로 사용하지 않았다.

Origins and parts of three Dryopteris species used for this study.

관중속 3종은 수확한 다음 세척 후 절단하여 동결건조기(FD8512, IlShin Lab. Co. Ltd., Korea)를 이용하여 24∼48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한 시료는 분쇄기(FM-681C, Hanil Electric, Korea)로 분쇄하였다. 분쇄 시료는 메탄올과 함께 병에 담아 Shin (2010)의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수조(5510-DTH, Bransonic, USA)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 (Advantec No. 2, 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사용하여 vacuum pump(GAST, USA)로 감압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 은 질소 충전하여 -70±2℃의 deep freezer(SW-UF-200, Samwon Engineering Co., Korea)에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용매분획은 100% 메탄올을 용매로 한 초음파 추출물의 α- glucosidase 억제활성이 높고, 필요 생체량이 가장 적었던 참지네 고사리 성엽 및 근경의 조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었 다. 가용성 고형분과 초순수를 혼합하여 분획용매를 혼합하여 분획 하였다. 용매 분획은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 순차적으로 하였으며, 각 분획층은 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였다.

2. α-Glucosidase 억제활성 측정

α-D-glucoside glucohydrolase(α-glucosidase)는 0.7unit의 농도로 0.1M sodium buffer(pH 7.0)에 용해하여 사용하였으며, 4 단계로 희석한 농도별 추출물 50μL에 α-glucosidase 효소액 100μ L를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5mM ρ- nitrophenyl-α-D-glucopyranoside(ρ-NPG)를 50μL 첨가하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M Na2CO3 1mL를 첨가하여 반응 을 정지시킨 뒤,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Kim et al., 2004). α-glucosidase에 대한 억제활성(IC50)은 대조구의 흡광도 를 50%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농도로 나타냈으며, [α-glucosidase inhibition(%) = [1-(대조구 흡광도-시료 흡광도)/(대조구 흡광도- 시료 무첨가구 흡광도)] × 100]의 식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각 추 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α- glucosidase 억제제인 4",6"-dideoxy-4"-([1S]-[1,4,6/5]-4,5,6- trihydroxy-3-hydroxymethyl-2-yclohexenylamino)-maltotrio se(acarbose)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각 처리구 시료에 대하여 9반복 실험하였다. 통계처리는 평균±표준오차(mean±SE)로 표기 하였다.

3. 필요 생체량 분석

α-glucosidase를 50% 억제할 수 있는 가용성 고형분을 제조하 기 위해 필요한 식물의 생체량을 얻기 위하여 식물재료의 수분함 량,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IC50 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필요 생 체량(mg) = {추출물의 IC50값/가용성 고형분(gㆍg DW)}/{(100- 수분함량)/100}]의 식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수분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관중속 3종의 성엽 및 근경의 수분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Table 2 와 같다. 수분함량은 65.02∼76.09%이었으며, 주저리고 사리 성엽의 수분함량(76.09%)이 가장 많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 량은 0.17∼0.28g·g-1 범위였으며, 참지네고사리 성엽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0.17g·g-1)이 가장 많았다.

Moisture contents of fresh materials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Dryopteris species.

2. 관중속 3종의 부위에 따른 α-glucosidase 억제활성 결과 및 필요 생체량 분석

관중, 참지네고사리 및 주저리고사리의 성엽 및 근경 메탄올 추 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분석한 결과, 참지네고사리가 성 엽 및 근경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13, 2.19μg·mL-1로 본 연구 에 사용된 관중속 양치식물 3종 중에서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억 제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인 acarbose(IC50=1413.70μg·mL-1) 에 비해 각 342.30, 645.53배 높았다(Table 3). 또한 관중과 주저리 고사리 성엽 및 근경의 메탄올 추출물도 acarbose에 비해 54.97∼ 108.00배의 높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였다. α-Glucosidase 활성을 50% 억제시키기 위한 가용성 고형분(IC50)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체량도 참지네고사리의 성엽(0.04mg)과 근경(0.05mg) 에서 가장 적었다(Table 3).

IC50 value of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ree Dryopteris species.

α-glucosidase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던 참지네고사리는 구진, 농포, 낭종 등 피부질환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Layton, 2006; Leeming et al., 1997). 또한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총 폴리페놀 함 량이 높고,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BHT에 비해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Shin, 2010), α- glucosidase 억제활성과 radical 소거활성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Kim et al., 2013b). Xu et al.(2010)의 토후박[후박 나무(Machilus thunbergii)의 껍질], Lee et al.(2010)의 마전자 [(Strychnos nux-vomica)의 종자] 추출물에서도 α-glucosidase 억제활성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관중속 식물 3종은 적은 양으로도 α-glucosidase 억제 활성 효과가 있으며, 그중에서도 참지네고사리는 항산화 활성도 우 수하여 경제적인 항당뇨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참지네고사리의 부위별 분획물의 가용성 고형분

참지네고사리 성엽 및 근경 분획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 석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은 대체로 성엽이 근경에 비해 많았으며, 부위와 용매의 종류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4). 가 용성 고형분은 부위에 따라 달랐는데, 성엽은 water 분획물(70.87 mg·g-1), 근경은 n-hexane 분획물(42.71mg·g-1)에서 가장 많았다.

Soluble solid contents and IC50 value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frond and rhizome of Dryopteris nipponensis.

4. 참지네고사리의 부위별 분획물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 결과 및 필요 생체량 분석

참지네고사리 성엽의 분획물별 α-glucosidase 억제활성은 n-butanol 분획물(1.09μg·mL-1)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인 acarbose의 억제활성(1413.70μg·mL-1)에 비해 1,297배 높았다 (Table 4). 다음으로 water, chloroform, n-hexane, ethyl acetate 분획물의 순으로 각 98∼18배의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근경은 wat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acarbose에 비해 151배 높은 α- 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였다. Water 분획물 다음으로 n-but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n-hexane 분획물 순으로 α-glucosidase 억제활성이 acarbose에 비해 각 89∼16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상의 결과는 면마과(Aspidiaceae)의 분획물에 대한 연구 (Kim et al., 2013a)에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던 나도히초미 [Polystichum polyblepharum(Roem. ex Kunze) C.Presl var. polyblepharum] 근경의 n-butanol 분획물(4.47μg·mL-1)이나, 기 생초(Coreopsis tinctoria)의 분획물에 대한 연구(Hwang et al., 2010)에서 높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였던 ethyl acetate 분획물(0.125mg·mL-1)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았다.

α-glucosidase의 활성을 50% 억제하기 위한 가용성 고형분 (IC50)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참지네고사리 성엽의 분획물별 생체 량은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던 n-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적은 양 을 필요로 하였다(Table 4). 근경의 경우에는 water 분획물이 α- glucosidase를 50% 억제하는 데 가장 적은 생시료를 필요로 하였 다. n-Hexane 분획물 가용성 고형분의 IC50값은 90.23μg·mL-1로 다른 분획물에 비해 억제활성이 낮았으나, 비교적 높은 가용성 고 형분 함량으로 인하여 water 분획물 다음의 적은 생체량으로 α- glucosidase를 50%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hin(2010)의 연구에서 참지네고사리는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능이 우수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참지네고사리의 성 엽 및 근경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물 질 및 활성이 많으므로 향후 건강 생물소재로써 이용 가치가 높다. 또 한 α-glucosidase 50%를 억제하기 위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소요 되는 생시료의 양이 가장 적으므로 biomass가 높아 경제적인 항당뇨 제를 개발하기 위한 천연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V. 적요

본 연구는 관중속(Dryopteris) 3종인 관중(D.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D. nipponensis)와 주저리고사리(D. fragrans var. remotiuscula)의 성엽 및 관중, 참지네고사리의 근경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천연 α-glucosidase 저해제의 개발을 위한 천 연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관중속 3종의 성엽 및 근경 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다음 100% 메탄올을 용매로 42kHz의 초 음파 수조에서 30분간 초음파 추출하여 얻은 조추출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관중속 3종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분석한 결과, 성엽 및 근경에서 IC50 값은 참지네고사리가 각 4.13, 2.19μg·mL-1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acarbose(IC50=1413.70μg·mL-1) 에 비해 억제활성이 각 342.30, 645.53배 높았다. α-glucosidase 활 성의 50%를 억제하기 위한 필요 생체량은 참지네고사리의 성엽 및 근경이 각 0.04, 0.05mg의 가장 적은 양을 필요로 하였다. 조추출물 에서 α-glucosidase 억제활성이 높고 필요 생체량이 적었던 참지네 고사리를 선발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 순으로 용매별 분획한 다음 각 분획물에 대한 α-glucosidase 억제활성 및 필요 생체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참지네고사리의 성엽 은 n-butanol 분획물(1.09μg·mL-1), 근경은 water 분획물(9.36μ g·mL-1)에서 높았으며, acarbose에 비해 각 1296.97, 151.04배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필요 생체량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참지 네고사리의 성엽과 근경은 각각 n-butanol, wat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참지네고사리의 조추출물은 적은 생체량으 로도 높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항당뇨제 천 연소재로써의 개발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References

Abrams J, Ginsberg H, Grundy SM.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82;31:903–910.
Bantle JP, Rosett JW, Albrigh AL, Apovian CM, Clark NG, Frans MJ, Hoogwerf BJ, Lichtensterin AH, Davis EM, Mooradian AD, Wheeler ML. Nutrition recommendation and principles for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Diab. Care 2000;23:843–846.
Bell DS. Type 2 diabetes mellitus: What is the optimal treatment regimen? Am. J. Med 2004;116:23–29.
Choi HJ, Kang JS, Choi YW, Jeong Y, Joo WH. Inhibitory activity on the diabetes related enzym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Kor. J. Biotechnol. Bioeng 2008;23:419–424.
Gholamhoseinian A, Fallah H, Sharifi F.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Rosa damascena Mill. flowers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normal and diabetic rats. Pytomedicine 2009;16:935–941.
Hwang IG, Kim HY, Shin SL, Lee CH, Lee JS, Jang KI, Jeong HS. Biological activities of Coreopsis tinctoria nutt. flower extracts. Kor. J. Hort. Sci 2010;28:857–863.
Kang W, Zhang L, Song Y. Alpha-glucosidase inhibitors from Luculia pinceana. Zhongguo Zhong Yao Za Zhi 2009;34:406–409.
Kim NR, Chi LW, Lee CH.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btained from three Dryopteridaceae species. Kor. J. Med. Crop Sci 2013a;21:301–305.
Kim NR, Chi LW, Lee CH.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nine Pteridophyte species native to Korea. Kor. J. Plant Res 2013b;26:411–416.
Layton AM. A review on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Int. J. Clin. Pract 2006;60:64–72.
Lebovitz H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Endocrin. Metab. Clin 1997;26:539–551.
Leeming JP, Sanaim JE, Burtion JL. Susceptibility of Malassezia furfur subgroups to terbinafine. Br. J. Dermatol 1997;137:764–767.
Lee JM, Park JH, Park HR, Park EJ.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trychnos nuxvomica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2010;39:1243–1248.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α-amylase. J. Kor. Soc. Appl. Biol. Chem 2005;48:103–108.
Rosak C, Mertes G. Effects of acarbose on proinsulin and insulin secretion and their potential significance for the intermediary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system. Curr. Diabetes Rev 2009;5:157–164.
Shin SL. Func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teridophytes as healthy biomaterials. Ph.D Diss 2010. Chungbuk Nat. Univ; Cheongju:
Stratton IM, Adler AI, Neil HA, Matthews DR, Manley SE, Cull CA, Hadden D, Turner RC, Holman RR.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 Med. J 2000;321:405–412.
Tovar JM, Bazaldua OV, Poursani RS. LDL levels in diabetes: how low should they go. J. Fam. Pract 2007;56:634–640.
Xu ML, Hu JH, Wang L, Kim HS, Jin CW, Cho DH.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activity of extracts from Machilus thunbergii S. et Z. Kor. J. Med. Crop Sci 2010;18:34–3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Origins and parts of three Dryopteris species used for this stud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Origin Part Harvest date
D. crassirhizoma Rhizome 관중 Jeju, Korea Frond Oct. 14, 2007
Rhizome Jan. 19, 2008
D. nipponensis 참지네고사리 Jeju, Korea Frond Jan. 05, 2008
Rhizome Jan. 05, 2008
D. fragrans var. remotiuscula 주저리고사리 Sangju, Korea Frond Oct. 14, 2007

Table 2.

Moisture contents of fresh materials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Dryopteris species.

Scientific name Part Moisture content (%) Soluble solid content (g.g-1db)z

D. crassirhizoma Frond 74.84 0.21
Rhizome 71.77 0.23

D. nipponensis Frond 65.02 0.28
Rhizome 74.35 0.17

D. fragrans var.remotiuscula Frond 76.09 0.20
z

Grams of solubles contents per gram of dried samples.

y

Values are mean±SE.

Table 3.

IC50 value of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ree Dryopteris species.

Scientific name Part IC50 value (μg mL-1)z Amount of fresh material required (mg)

Acarbose 1413.70±179.15y

D. crassirhizoma Frond 25.72±1.20 0.48±0.02
Rhizome 13.09±1.16 0.20±0.02

D. nipponensis Frond 4.13±1.05 0.04±0.01
Rhizome 2.19±0.36 0.05±0.01

D. fragrans var. remotiuscula Frond 13.18±0.40 0.27±0.01
z

The half maximal (50%) inhibition concentration.

y

Values are mean±SE (n=3).

Table 4.

Soluble solid contents and IC50 value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frond and rhizome of Dryopteris nipponensis.

Part Samples Soluble solid contents (mg g-1)z IC50 value (μg mL-1)y Amount of fresh material required (mg)

Acarbose 1413.70±179.15x

Frond n-Hexane 27.66 66.27±1.30 8.51±0.17
Chloroform 2.89 34.82±2.77 42.74±3.40
Ethyl acetate 3.64 80.74±1.30 78.70±1.56
n-Butanol 15.54 1.09±0.14 0.25±0.03
Water 70.87 14.45±0.73 0.72±0.04

Rhizome n-Hexane 42.71 90.23±6.48 7.46±0.66
Chloroform 2.09 21.24±1.52 35.94±3.14
Ethyl acetate 1.05 19.82±0.20 66.83±0.84
n-Butanol 6.87 15.81±0.12 35.94±3.14
Water 39.74 9.36±0.39 66.83±0.84
z

Milligrams of soluble solids in each fractions obtained from gram of dried fronds.

y

The half maximal (50%) inhibition concentration.

x

Values are mean±SE (n=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