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7(6); 2014 > Article
그린인테리어 오피스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효과 분석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green interior office. 76 of women who are expert or entered into this field were questioned in the office with and without green interior.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SD) have been used to compare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di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of frequenc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processed. As the result of comparison of three psychological indexes, attention resto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rea without green interior than with it. In the examination of mood condition, tension-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fatigue and confusion were lower and vigor was higher significantly(p<0.001) in the office with green interior than without i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 in the category of tension-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and fatigue in the result for the analysis of examination of mood condition by age.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 more negative emotions (tension-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fatigue and confusion) were shown in the age group of 20s and 60s in the office with green interior than 40s and 50s and positive feeling(vigor) was low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evaluation for impression of pleasant, natural and calm with SD metho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ffice with green interior. As a result of analysis of impression for the effect of green interior, 96% believes, it provides the effect of air cleane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mprovement of human auto-therapy and 88.6% believes it provides cure of atopic dermatitis. Therefore, it is being considered with the positive impressions for green interior. Furthermore, there w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0.659 between the comment,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and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is result is showing that there is potential possibility of using green interior to create green healing office.

서론

도시화로 밀집되어 살아가고 있는 주택문화 정책에 따라 많은 시민들이 녹지공간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 들의 생활이 녹지공간으로부터 격리되면서, 새집증후군과 같이 건 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문제점들이 크게 부각되었고, 개인의 소 외감, 상실감으로 인한 사회문제도 심각해졌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률은 2013년 OECD국가 중 인구 10만명당 자 살률이 28.5%로 34개국 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밖에 근로자 5명 중 1명은 우울증과 불안 같은 정신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정신적 장해는 생산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OECD, 2011).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성 연구와 함께 녹색 식물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감성적, 심리적 효과 등이 연구되면서 식물을 통한 환경개 선 효과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녹색 공간의 양과 주거 공간과의 거리가 사람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Van den Berg et al., 2010). 공원이나 자연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삶의 위기’로 느껴질 정도의 스트레스와 긴장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훨씬 적게 나 타난다는 보고를 통해 자연환경이나 식물이 인간의 심리적 정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영향을 알 수 있다(Ottosson and Grahn, 2008; Wells et al., 2003). 한편 식물로 꾸며진 사무공간에서 근무 자들이 공기의 질과 농도에 대해 느끼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만족 도와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까지도 깨끗하게 정리된, 다른 어떤 것도 없는 사무공간에서 업무효율이 높다고 널리 받아지던 경영철학에 대한 새로운 반기를 든 셈이다(Nieuwenhuis et al., 2014).
식물은 인간에게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고, 녹지나 식물의 심리 적 효과는 감각기관을 통하여 느껴지며, 그 중에서 시각은 가장 커다 란 비중을 점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1998; Oishi et al., 1996). 또한 실내에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실내를 쾌적하게 만들어 주 고, 정서적 안정감, 평온감을 주어 실내환경개선과 스트레스 완화효 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Shibata and Suzuki, 2002). 실내에서의 식 물을 사용할 때 장식 효과를 활용하면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데 특히 식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과 심리적 상태가 충분히 반 영되어야 그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식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감성적 이미지 등 심리상태가 명확히 조사, 분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식물의 기능에 대한 소비자 및 관련업자의 인식을 제 고시킴으로써 보다 건강한 실내환경 조성 및 관련 산업을 증대시키 고자 수행하였다. 실내 관엽식물로 장식되어 있는 사무공간에서 사 용자가 느끼는 심리적 상태를 주의회복척도, 기분상태검사 및 어의 구별척도를 이용하여 파악, 식물이 인간에게 주는 심리적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객관적 정보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설문 응답자 특성

그린인테리어용 실내공기정화식물에 대한 인식과 심리적 효과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14년 5월부터 8월까지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접근 경험을 가지고 있는(10년이상 화훼 장식 활동가, 원예 전공자, 화훼 장식 입문자 등 관련자들) 83 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K원예원의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 스와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오피스 공간을 보면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Fig. 1). 설문 응답자 83명 중 잘못된 답변을 한 7건을 제외한 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일반사항에 대해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55.3%, 비전문가 44.7%, 연령층은 50 대 34.2%, 30대 21.1%, 40대 18.4%, 60대 이상 14.5%, 20대 11.8%순이었고, 직업은 전문직 36.8%, 주부 23.7%, 기타 15.8%, 학생 13.2%, 자영업 10.5%순이었다. 또한 학력은 대졸(재학중) 39.5%, 대학원졸(재학중) 32.9%, 고졸 21.1%, 고졸미만 2.6%, 기타 3.9%순이었고, 소득 정도는 500만원 이상 27.6%, 200-299 만원 21.1%, 100만원 미만 17.1% 100-199만원 13.2%, 300-399 만원 11.8%, 400-499만원 7.9%, 기타 1.3%순이었다.
Fig. 1
The offices used in the experiment. A: Green interior office; B: Non-green interior office.
KSPPE-17-555_F1.gif

2. 조사항목의 구성

설문조사 항목은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인식, 심리적 효과, 그리 고 일반사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린인테리어 효과는 Kim(2012)이 사용한 산림치유의 효과 척도를 그린인테리어의 상황에 맞게 조정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각 문항은 4점 Likert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가장 부정 1, 가장 긍정 4로 등급을 정하였으며, Cronbach’s α= 0.857로 나타났다.

3. 평가도구

심리실험의 평가도구로서 주의회복척도(attention restoration),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와 어의구별척도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법)를 이용하였다.

1) 주의회복척도(attention restoration)

주의회복이론에서의 도시적 요소가 우세한 환경보다 자연적 요 소가 우세한 환경에서 회복환경적 특성이 더 나타났다(Herzog et al., 2003). 따라서 주의회복이 잘 될 수 있는 대표적인 환경은 자연 환경이라고 본다(Kaplan and Kaplan, 1989).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의회복척도 문항은 Staats et al.(2003)의 문항을 번안한 Lee(2011)의 주의회복척도 문항을 사용했으며 7점 Likert 방식 (가장 부정 1, 가장 긍정 7)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Cronbach’s α= 0.876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Attention recovery scale for the study.
No. Item

1 It seems to be clam down in here.
2 It seems to recover the energy in here.
3 It seems to re-discover myself in here.
4 It seems to be relax in here.
5 It seems to be re-organizing the thoughts in here.
6 It seems to disremember everything in here.
7 It seems to recover the concentration in here.

z Attention recovery scale: 7=extremely so ~ 1=extremely not.

2)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

기분상태검사(이하 POMS)는 인간의 기분 또는 정서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환경에 의한 영향, 인간관계에 의한 영향의 정 신건강 연구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POMS는 질문을 통하여 응답 자의 기분을 긴장-불안, 우울, 분노, 곤란, 피로, 활기로 구분하여 평 가하는 방법이며, 이 값을 합하여 종합감정장해의 값을 평가하는 방법이다(McNair and Lorr, 1964). 단 종합감정장해는 긴장감, 우 울, 분노, 피로, 혼란의 5가지 요인 점수를 합한 후 ‘활력’ 요인 점수 를 뺀 총합의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분이 좋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POMS는 총 질문 항목이 65문항인 것과 30문항으 로 구성된 단축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30항목의 단축판을 이용 하여 5점 척도로 피험자의 기분상태를 검사하였다(Kim, 2012; Park, 2010). 본 연구의 Cronbach’s α= 0.942로 나타났다.

3)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법)

어의구별척도법(이하 SD법)은 개인의 주관적인 기호와 취향에 따라서 그 가치가 변할 뿐만 아니라 계량화하기 힘든 요소인 경관 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SD법은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 는 형용사를 가지고 인간의 심리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Osgood (1969)와 Osgood et al.(1957)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경관 평가나 감정 평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 관평가용 이미지형용사(Im, 2009)와 식물에 관계될 수 있는 3쌍의 감성어휘 '쾌적-불쾌,' '자연-인공,' '진정-불안'을 이용하여 7점 척 도(가장 부정 1, 가장 긍정 7)로 나누고 평가자로 하여금 어느 쪽으 로 가까운지 느끼는 정도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였다(Park, 2010; Kim, 2012).

4) 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sion 12.0)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를 산출하 였다. 주의회복척도, 기분상태검사, 어의구별척도는 대응표본 t-test, 그린인테리어 심리적 효과간의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의 심리적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 그리고 일 반사항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심리적 변화

1) 주의회복척도(attention restoration)

그린인테리어의 유무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주의회복척도를 알아본 결과(Table 2), 그린인테리어가 되 어있지 않은 공간보다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유의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곳에 있으면 에너지를 회복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곳에 있으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을 것 같다’는 문항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 외의 다섯 문항에 대해서도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에 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휴식 및 재충전과 관련이 있는 주의회복력의 효과가 더 크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는 주의회복척도를 도시, 옥상정원, 숲의 경관을 대상으로 비교했 을 때, 숲> 옥상정원> 도시의 순으로 주의력을 더 많이 회복시켜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Lee(2011)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Table 2.
Cross comparison for attention recovery scale depending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green interior.
Treatment GAz GB GC GD GE GF GG

Green interior office 5.961±1.08 6.000±1.06 5.539±1.32 5.697±1.23 5.711±1.22 5.171±1.54 5.658±1.33
Non-green interio roffice 2.355±1.45 2.250±1.47 2.132±1.30 2.145±1.37 2.303±1.37 2.158±1.31 2.329±1.55
t-value 16.811*** 17.222** 16.261*** 17.143*** 15.885*** 12.984*** 14.211***
p-value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z Attention recovery scale: 7=extremely so ~ 1=extremely not. GA: ‘It seems to be clam down in here’; GB: ‘It seems to recover the energy in here’; GC: ’It seems to re-discover myself in here’; GD: ‘It seems to be relax in here’; GE: ‘It seems to be re-organizing the thoughts in here’; GF: ‘It seems to disremember every thing in here’; GG: ‘It seems to recover the concentration in here’.

* significant at P= 0.05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n=76).

** significant at P= 0.05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n=76).

*** significant at P= 0.05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n=76).

Mean ± standard deviation.

2) 기분상태검사(profile of mood states: POMS)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심리 변화를 POMS에 의한 심리적 긴장-불안감, 우울, 분노, 피로, 혼란, 그리고 활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Fig. 2),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력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 은 공간에 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심리적 긴장감, 우울감, 분노감, 피로감, 혼란감은 유의하게 낮게, 활력은 유의하게 높인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기분상태검사를 나이별로 분석 한 결과(Table 3),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 공간에서 긴장 -불안, 분노, 피로와 같은 항목들에서 age group간의 유의한 차이 가 발생하였다.
Fig. 2
Difference of psychological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vigor depending 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green interior. POMS: Profile of mood states; T: Tension-anxiety; D: Depression; A: Anger-hostility; F: Fatigue; C: Confusion; V: Vigor. 4=extremely so, 3=fairly so, 2=so, 1= not so, 0=extremely not.
KSPPE-17-555_F2.gif
Table 3.
Difference of psychological tension, depression, anger, tiredness, confusion and vitality depending on age using profile of mood states (POM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green interior.
Treatment Tension-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Fatigue Confusion Vigor

20-29s 1.444±1.81abz 0.333±1.00a 0.333±0.71a 1.111±2.09a 0.778±1.20a 13.111±6.72a
30-39s 0.750±1.18ab 0.125±0.50a 0.063±0.25a 0.375±0.72a 0.563±0.96a 13.188±5.60a
40-49s 0.500±0.94a 0.143±0.53a 0.000±0.00a 0.071±0.27a 0.143±0.53a 14.143±6.40a
50-59s 0.539±1.07a 0.308±0.88a 0.125±0.55a 0.115±0.43a 0.231±0.51a 14.577±5.29a
Over60s 2.636±2.94b 1.091±1.58a 1.818±2.93b 1.182±1.89a 0.901±0.94a 13.364±5.33a
ANOVa ** NS *** * NS NS
p-value 0.004 0.075 0.001 0.020 0.058 0.093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scheffe test (P≤0.05). Mean standard deviation (n=76). Significant at P<0.05 by repeated-measures ANOVA.

Significant at P<0.05 by repeated-measures ANOVA.

4=extremely so, 3=fairly so 2=so, 1= not so, 0=extremely not.

전체적인 결과로부터 20대와 60대의 경우 그린인테리어가 되어 있는 오피스의 조건에서 40-50대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긴장-불 안, 분노, 피로, 혼란)을 많이 보였고 긍정적인 감정(활력)은 적게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POMS에 의한 종합감정장해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에 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종합감정장해가 유의하게 낮 은 것으로 나타나, 그린인테리어가 심리적 이완, 안정감 등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Kim(2012)의 POMS에 의한 심리 변화 결과에서 도심지보다 자연휴양림과 도시숲에서 긴장-불 안감, 우울감, 분노감 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Park(2010)의 숲과 도심을 산책한 후 POMS를 측정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3)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법)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쾌적감(불쾌한-쾌적한), 자연감(인 공적인-자연적인), 진정감(흥분되는-진정되는)에 대한 심리적 효 과를 알아본 결과(Fig. 3),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보 다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에서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가 되 어 있는 오피스 공간에서 일하는 근무자들에게 그린인테리어 환경 이 기분상태검사 결과와 같이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 다. 이는 자연휴양림, 도시숲, 도심지의 비교 결과에서 자연휴양림, 도시숲, 도심지의 순으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는 Kim(2012)의 보고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Park(2010)의 숲과 도심을 산책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를 측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수목원의 소나무숲과 연못 이 있는 공간을 산책하면서 도시보다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Lee et al.(2011), Park and Miyazaki(2008)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Fig. 3
Cross comparison for emotional word depend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green interior.
KSPPE-17-555_F3.gif

2.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치유 효과에 대한 문항간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효과에 대한 문항간 상관관계를 알 아본 결과(Table 4),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 고 응답한 사람들은 ‘그린인테리어는 아토피를 고칠 수 있다’, ‘그 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는 문항과 0.6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 과를 높여준다’는 ‘그린인테리어는 근무자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문항과도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 공간의 경우 공기정화 기 능과 같은 환경개선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 및 생리적 회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근무자들이 직무 능률과 만족도도 높아진다 고 판단된다. 이는 산림치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산림치 유 효과에 대해 아토피 치료와 자연치유력의 향상으로 인식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는 Kim(2012)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in regards to the effect of green interior.
Vz A1 A2 A3 A4 A5

A1 1
A2 0.622** 1
A3 0.560** 0.486** 1
A4 0.671** 0.385** 0.675** 1
A5 0.539** 0.501** 0.567** 0.566** 1

z V: Variance; A1: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A2: Green interior can cure an atopic dermatitis.; A3: Green interior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er.; A4: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A5: Green interior improves a spontaneous cure.

Effect of green interior: 4=extremely so, 3=so, 2=not so, 1=extremely not.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3. 그린인테리어 유/무에 따른 치유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

그린인테리어의 유무에 따른 치유 효과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 계를 알아본 결과(Table 5),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는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다섯 가지의 효과와 세 가지의 감성어휘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그 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 와 ‘자연감’, ‘그린인테 리어는 근무자들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와 진정감’과는 0.5이 상의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의 상관관계의 경우 ‘그린인테 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가 증가하면 감성어휘는 ‘쾌적 한’ 쪽으로 가고,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가 감 소하면 ‘불쾌한’ 감성을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오피스 공간에서는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와 ‘쾌적감’, ‘자연감’과 역의 상관관 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인테리어는 치유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또한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이 높다고 생각하 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감성어휘의 점수가 좌측에 가까울수록 1, 감성어휘의 점수가 우측에 가까울수록 7이다.
Table 5.
Correlation between effect of green interior and emotional words.
Vz A1y A2 A3 A4 A5

Green interior office

P 0.409** 0.330** 0.298** 0.287** 0.373**
N 0.376** 0.326** 0.557** 0.414** 0.410**
C 0.544** 0.436** 0.390** 0.383** 0.395**
Non-green interior office

P -0.115 -0.720 -0.206 -0.250* -0.122
N -0.030 -0.115 -0.142 -0.218* -0.001
C -0.070 0.030 0.014 -0.176 -0.141

z V: Variance; P: Pleasant; N: Natural; C: Calm

y A1: Green interior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A2: Green interior can cure an atopic dermatitis.; A3: Green interior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er.; A4: Green interior improves psychological stability.; A5: Green interior improves a spontaneous cure.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Mean(n = 76).

적요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 오피스에 대한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와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지 않은 오피스 공간에서 본 분야에 전문가이거나 입문한 여성 76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심리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법)로 비 교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비교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보다 그린인 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오피스보다 그린 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 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그러 나 기분상태검사를 나이별로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는 오피스 공간에서 긴장-불안, 분노, 피로와 같은 항목들에서 age group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로부터 20대 와 60대의 경우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의 조건에서 40-50대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긴장-불안, 분노, 피로, 혼란)을 많 이 보였고 긍정적인 감정(활력)은 적게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SD법을 이용한 쾌적감,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에 대한 인상을 평가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근로자의 작업 능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 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효과는 전부 96% 이상으로 나타 났고, 아토피 치유효과는 88.6%로 나타나 그린인테리어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는 0.659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힐링오피스를 만들기 위해 그린인 테리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 각된다.
1
1

References

Herzog TR, Maguire CP, Nebel MB. “Assessing the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 Environ. Psycho 2003;23(2): 159–170.
crossref
Im SB.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2009. Revised ed. Seoul, Korea: Seoul Natl. Univ., Press.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Kim EI. A study of sight-psychological effects by a color area of greenspace. J. Kor. Inst. Landscape Architecture 1998;26(1): 36–43.

Kim KM. Study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ypes of recreational forests. PhD Diss. 2012. Cheongju, Korea: Chungbuk Natl. Univ.

Lee MS, Ka JN, Kim SA, Park MW, Lee JW, Park BJ. Effect of walking at the urban arboretums on psychological stabil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1;14(5): 271–277.

Lee SH. The comparisons of Urban, green roof, and forest scenes by ration psychological indices. Seoul City Research 2011;12(3): 53–65.

McNair DM, Lorr M. An analysis of mood in neurotics. J. Abnormal and Social Psycho 1964;69:620–627.
crossref
Nieuwenhuis M, Knight C, Postmes T, Haslam SA. The relative benefits of green versus lean office space: Three field experiments. J. Expt. Psycol 2014;20(3): 199–214.
crossref
OECD Mental health and work project. Mental health and work project 2011 http://bama.ua.edu/~jhooper/.

Oishi Y, Tatumi M, Tagguchi H, Murai H. Funda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encephalogram inspecting forest and grassland. J. Jap. Soc. Reveget. Tech 1996;21:212–222.
crossref
OsgoodCE. he mature and measurement of meaning. In: Snider JG, Osgood CE, editors.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Chicago, IL, USA: Aldine Publishing Co; 1969.

Osgood CE, Suci GJ, Tannenbaum PH. The measurement of meaning. 1957. Urbana, IL, USA: Univ. Illinois Press.

Ottosson J, Grahn P. The role of natural settings in crisis rehabilitation: How does the level of crisis influence the response to experiences of nature regard to measures of rehabilitation? Landscape Res 2008;33(1): 51–70.
crossref
Park BJ.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PhD Diss. 2010. Daejeon, Korea: Chungnam Natl. Univ.

Park BJ, Miyazaki Y. Physiological effects of viewing forest landscapes: Results of field tests in atsugi city, Japan. Jour. Korean For. Soc 2008;97(6): 634–640.

Shibata S, Suzuki N. Effect of foliage plant on task performance and mood. J. Environ. Psycho 2002;22:265–272.
crossref
Staats H, Kieviet A, Hartig T. “Where to recover from attentional fatigue: An expectancy-valu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eference”. J. Environ. Psycho 2003;23(2): 147–157.
crossref
Van den Berg AE, Maas J, Verheij R, Groenewegen PP. Green space as a buffer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2010;70:1203–1210.
crossref
Wells NM, Evans GW.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Environment & Behavior 2003;35(3): 311–330.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