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녹화 식재식물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lanting on the Rooftop Greening

Translated Subtitle (en) : -Focus on Seoul-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6):547-553
1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2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이 빛나라1, 안 근영2,, 이 은희2
1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39-774, Korea
2 Department of Horticulture, Biotechnology and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39-774, Korea
*Corresponding Author : gyahn@swu.ac.kr
이 논문은 2014학년도 농업진흥청 도시녹화 공간의 환경성능 평가프로 그램 개발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ceived 2014 November 3; Revised 2014 November 28; Accepted 2014 December 3.

Abstract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basic data provide the selection of plants of a green roof, was progress. The rooftop greening 160 places that are construction with the assistance of Seoul was to investigate the plant and food frequency that target. 293 species case of herbaceous, 105 species case of shrubs, 65 species of case of Trees has been planted. For an extract, were planted in a herbaceous frequently not be able to adapt to extreme weather. In the case of shrubs and trees, were planted in the high frequency of plant there is ornamental value is more difficult to manage. By rooftop greening developed land in a way to substitute for missing open green space is increased,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 future of rooftop greening in the concept of habitat. In the design phase ingredients and management must be selected good plant is seen necessary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is later.

I. 서론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 내 인공구조물이 증가하 고 토지이용이 무분별하게 추진되어오면서 환경오염에 따른 여러 문제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국내 광역시의 생활권 도시 숲(공원, 녹지) 면적은 세계보건 기구(WHO)가 권고하는 최저기준인 1인당 9m2의 1/2 수준이며, 서 울시의 경우 4.54m2로 생활권 도시 숲의 면적이 부족한 실정이다 (Hwang, 2010). 또한 도심지의 인구 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토지 부 족 및 지가 상승, 토지 이용의 극대화로 인하여 건축물의 면적이 증가 함에 따라 녹지공간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Yoon et al., 200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심 내 녹지 공급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으나 이미 개발이 이루어진 도심 지에 새로운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에 국내에서는 1980년대에 들어 옥상녹화 개념이 도입되었고, 부 족한 녹지를 보완할 수 있는 옥상녹화와 관련된 지원 사업이 이루 어지고 있는 추세이다(Lee and Jung, 2013).

옥상녹화는 이용목적, 건축공학적 조건과 조성방식에 따라 중량 형 녹화, 경량형 녹화, 혼합형 녹화 세 가지 녹화유형으로 구분되며, 유형에 따라 식물의 선정 및 형태가 결정된다(Seoul, 2008). 경량 형 녹화의 경우 주로 초본류를 중심으로 식재하며, 혼합형 녹화의 경우 초본류와 관목류를 식재하며, 중량형 녹화의 경우 초본류, 관 목류, 교목류 등을 다양하게 식재한다.

서울시의 경우 2002년부터 옥상녹화 보급 및 확충을 위한 사업 을 진행하여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2007년부 터 10만 녹색지붕 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자치구별로 생활권녹지 10만평 확충 등 도시 내 부족한 녹지공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Seoul, 2010). 서울시는 2008년 옥상녹화 시스템 설계지침 및 관 련도서 작성지침을 통하여 옥상녹화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시 공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기본원칙과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옥상녹화의 보급 및 확대를 위한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다수의 옥상녹화 대표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현재 열섬저감 효과, 탄소저감효과 등 옥상녹화 조성의 효과에 관한 연구와 이입종에 관한 연구, 단일 식물종의 생육연구 등에 관 해서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로 옥상녹화에 식재 에 사용된 식물종에 대한 양적 연구 및 식물별 식재빈도 및 경향 분 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2010년부터 2012년 동안 조성된 옥상녹화 조성지를 대상으로 실재식재에 사용된 식물을 전 수조사하고, 연도별 식재빈도 및 특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옥상녹 화 활성화에 있어 옥상녹화 식재식물의 현황 파악 및 최근의 선호 도, 식재 적합성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I. 연구방법

1. 대상지 선정

본 연구는 2010에서 2012년 3개년 동안 조성된 서울시의 옥상 녹화 지원 사업 조성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010년에 조성 된 61개소, 2011년에 조성된 52개소, 2012년에 조성된 47개소를 포함하여 총 160개소의 대상지(Table 1) 내 식재식물 및 식재식물 별 식재빈도를 조사하였다.

Seoul rooftop greening status.

2. 조사방법

식재식물에 대한 조사는 식재 공사 시 선정된 식물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는 옥상녹화 조성에 사용된 설계도면을 바탕으 로 이루어졌다.

첫째, 연도별 옥상녹화의 유형조사를 통하여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옥상녹화에 식재된 식물을 초본, 관목, 교목으로 구분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식물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 내에 식재에 사용된 식 물 빈도를 분석하였다. 식재 빈도 분석은 대상지별로 식재된 식물 에 1의 값을 부여하여 합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옥상녹화의 유형

서울시에 조성된 옥상녹화 유형 조사 결과 2010년의 경우 중량 형 녹화가 46개소(75.4%)로 가장 높았으며, 혼합형 녹화가 13개 소(21.3%), 경량형 녹화가 2개소(3.3%)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 의 경우 중량형 녹화가 41개소(78.8%), 혼합형 녹화가 10개소 (19.2%), 경량형 녹화가 1개소(1.9%)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2012 년의 경우 중량형 녹화가 27개소(57.4%), 혼합형 녹화가 16개소 (34%), 경량형 녹화가 4개소(8.5%)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종합적으로 중량형 녹화 조성지가 114개소로 3개년의 지원사업 전 체에서 71%를 차지하였다. 그에 비하여 경량형 옥상녹화는 160개 소 중 7개소로 0.043%에 불과하였다.

Type of rooftop greening status.

서울시는 2002년부터 옥상녹화 지원 사업을 실시하여 최대 사 업비의 50%까지 부담하고 있으며, 경량형 녹화의 경우 m2당 7만 5000원, 혼합형 및 중량형 녹화의 경우 m2당 9만 5000원까지 지원 하였다. 2012년부터 옥상녹화 지원 대상을 확대하면서 경량형 녹 화의 경우 m2당 9만원, 혼합형 및 중량형 녹화의 경우 m2당 10만 8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다(Seoul, 2012). 옥상녹화 유형 조사 결과 혼합형 및 중량형 녹화 유형의 비율이 높은 원인으로 첫째, 해 당 유형의 옥상녹화 사업 지원금이 높고, 둘째, 옥상에 식물을 식재 함과 동시에 휴식공간을 부여하는 등 건축물에 부가된 정원의 기능 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옥상녹화 식재식물 현황

대상지에 사용된 식재 식물은 초본의 경우 가는잎 금계국, 감국, 갯패랭이, 거미바위솔, 고사리 등 293종의 식물이 식재에 사용되었 다. 관목의 경우 개쉬땅나무, 겹철쭉, 고광나무, 공조팝 등 105종의 식물이 식재에 사용 되었다. 교목의 경우 감나무, 공작단풍, 구상나 무, 금송 등 65종의 식물이 식재에 사용되었다(Table 3). 겨울철 평 균기온의 상승으로 인해 남부지역에서만 생육 가능한 꽃도라지, 꽃 무릇, 한라구절초 등의 초본류와 남천, 산수국, 무화과나무 등의 관 목류(Ministry of environment, 2013)가 식재 됨에 따라 남부 식 물종의 중부 생존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있다. 또한 자생식물의 이용 및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생식물이 식재에 사용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Planting plants status.

옥상은 고온, 건조, 강풍 등의 조건으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내건성, 내한성 등의 환경저항성을 가지고, 시공 및 관리 측면 에서 낮은 비용으로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한 식물을 중심으로 식재 에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옥상녹화 식재식물 빈도

1) 초본류

옥상녹화에 식재된 초본류의 식재빈도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의 경우 가는잎금계국이 35회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돌 잔디 30회, 샐비어 25회, 감국 23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 의 초본류 식재빈도의 경우 비비추가 38회로 식재식물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구절초 34회, 수호초 30회, 맥문동 28 회, 돌단풍 24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2년의 초본류 식재 빈 도의 경우 잔디가 41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절초 35회, 수호초 32회, 맥문동 25회, 비비추 23회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Planting frequency of herbaceous status.

옥상의 극단적인 기후에서 생존하기 위해 내건성, 내한성, 내습 성은 물론 강한 일사와 바람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을 포함하여 관 상가치가 높은 식물인 구절초, 비비추, 맥문동 등의 식재 빈도가 높 은 것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05, Moon et al., 2002, Kim, 2011). 또한 내건성이 강한 세덤류를 비롯하여 허브류 등 외래종과 육성한 개량종, 신품종의 원예종의 식재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본류의 경우 환경저항성이 우수하고 회복력이 양호하며 조성 후 최소한의 유지관리만으로도 생육할 수 있는 식물재료의 선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신식물종 선택이 중요하다. 일시적으 로 가시적인 경관 조성위주의 식재보다는 옥상이라는 특수한 환경 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성이 강한 품종의 선택과 그에 맞는 적절한 관리가 시공 후 옥상녹화의 건전성을 좌우할 것이다.

2) 관목류

관목류의 식재빈도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의 경우 황매화가 36 회로 가장 많은 곳에 식재되었으며, 홍황철쭉 30회, 꼬리조팝나무 26회, 붓드레아, 황금사철나무 25회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11년 관목류 식재빈도는 영산홍, 회양목 39회로 가장 많이 식재 되었으며, 수수꽃다리 33회, 화살나무 26회, 백철쭉 25회 등의 순 으로 조사되었다. 2012년의 관목류 식재빈도는 회양목이 31회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영산홍 25회, 백철쭉, 수수꽃다리, 자산 홍, 화살나무 22회, 사철나무 21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5).

Planting frequency of shrub status.

상록 관목의 경우 눈주목, 눈향나무, 미국눈향, 미크로비오타향 나무, 반송, 에퓨사향나무, 옥향나무, 조형소나무, 좀눈향나무, 진 향나무, 황금편백, 회양목 등 12종으로 전체 관목류 중 7.3%의 비 율을 차지하였다. 옥상에 식재되는 관목류의 경우 상록성관목보다 대부분이 낙엽 관목이 선호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관목류의 식재에 있어 토양기반조성 뿐만 아니라 관수 및 영양공급 면에서 요구조건이 비교적 낮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식물종을 중심으로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교목류

옥상녹화에 식재된 교목류의 식재빈도를 분석한 결과 2010년의 경우 왕벚나무가 27회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공작단 풍, 자작나무가 18회, 복숭아나무, 살구나무가 15회, 실편백 14회, 황금실화백 11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 식재 빈도의 경우 산수유가 22회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둥근소나무, 청 단풍 17회, 홍단풍 16회, 산딸나무 15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2년의 교목류 식재 빈도의 경우 둥근소나무가 21회로 가장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수유 14회, 청단풍 11회, 산딸나무 10 회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6). 전체 교목류 중 상록 교목은 가이즈카향나무, 구상나무, 둥근소나무, 미측백, 반송 등 22종이 적 용되었으며 전체교목의 34%의 비율로 나타났다. 낙엽 교목은 총 54종으로 66%의 비율로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Planting frequency of tree status.

교목류 생육의 건정성을 고려한다면 뿌리가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건조한 환경조건을 감안하여 유효수분을 적절히 유지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한 토심의 확보가 필요하다. 반송, 주목, 소나무, 마가목과 같은 심근성 수종의 경우 생존최소심 도가 다른 수종의 비해 더 깊기 때문에 옥상녹화에 적용될 경우 이 식후 활착이 어렵고 생육이 불량하여 보수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증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옥상녹화에 적합한 수종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세근이 발달하고 풍압에 잘 견디며, 건조지나 척박지에서 잘 자라는 천근성 교목을 중심으로 식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판단된다.

IV. 적요

본 연구는 옥상녹화의 식물선정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서 울시의 지원을 받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조성된 옥상녹화지 160개소를 대상으로의 실재 식재에 사용된 식물과 식재 빈도를 조 사, 분석하였다. 대상지에 사용된 식재 식물은 녹화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식물이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본류의 경우 293종, 관목류의 경우 105종, 교목류의 경우 65종의 식물이 식재 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식재에 사용된 수종은 집중적 인 관리를 통해 유지되는 일반 조경 녹지의 식재 수종과 크게 차이 가 없었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녹화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경 관 및 기능적 관점을 고려한 식물 수종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라 판 단된다. 부족한 녹지공간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옥상녹화 조성 지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옥상녹화는 옥상이라는 인공지반위에 녹 지를 도입하는 수준의 개념을 벗어나 생물 서식지의 개념으로 접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설계단계에서 식재 및 관리에 이르기 까지 양호한 식물을 선정해야하며,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Ahn EH. A case study and improvement measures of rational application of green roof system for urban environment. MS Thesis 2013. Seoul, Korea: Seoul Natio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Hwang JS. Present status and management plan for 75 roof-gardens at north of Han-river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gvernment. MS Thesis 2010. Seoul, Korea: The University of Seoul;
Kim HT. Study on the growth of native herbaceous plants for three soil types on a green rooftop. MS Thesis 2011. Seoul, Korea: Sungkyunkwan University;
Kim GG. Landscape planting design theory 1990. Seoul, Korea: Unundang.
Kim MH. Effect of soil media, soil depth and irrigation interval on the native plants in extensive roof garden. MS Thesis 2005. Chonan, Korea: Sangmyung University;
Lee EJ, Jung HD. Revitalization of Daejeon rooftop for climate change.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2013;:2013–19.
Ministry of Environment. Artificial ground part urban ecosystem adaptation, management skills development 2013. Seoul,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Mun SG, Lee EY, Gwang MG. A study on selection of wild plants for the rooftop.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002;5(2):31–39.
Seoul. Rooftop park business application guide 2010. Seoul, Korea: p. 1–25.
Seoul. Policy resources-green roof project 2012. Seoul, Korea:
Yoon PS, Lee JH, Ryu BY. Study on the plants adaptation of rooftop garden.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07;10(2):1–7.
Yu B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urban agriculture. The Kor. Rural Soci. Soc 2000;10:37–7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Seoul rooftop greening status.

Municipalities 2010 2011 2012

Gangnam 10 1 4
Gangdong 3 1 2
Gangbuk - - -
Gangseo 2 2 3
Gwanak 3 1 4
Gwangjin 2 1 -
Guro 2 1 1
Geumcheon - 1 -
Nowon 2 1 2
Dobong - - -
Dongdaemun 1 7 1
Dongjak 3 2 4
Mapo - 1 3
Seodaemun - 1 -
Seocho 6 7 4
Seongdong - 1 2
Seongbuk 6 1 4
Songpa 3 9 2
Yangcheon 3 1 -
Yeongdeungpo - 1 3
Yongsan 3 1 3
Eunpyeong 1 1 1
Jongno 2 1 -
Jung 1 8 1
Jungnang 8 1 3
Total 61 52 47

Table 2.

Type of rooftop greening status.

Extensive greening Semi-intensive greening Intensive greening Total Total

EA % EA % EA %

2010 2 3.3 13 21.3 46 75.4 61
61 1 1.9 10 19.2 41 78.8 52
2012 4 8.5 16 34.0 27 57.4 47

Table 3.

Planting plants status.

Category Plant
Herbaceous Coreopsis tinctori, Carex siderosticta, Monarda didyma, Thymus vulgaris Argenteus, Allium schoenoprasum, Gaura lindheimeri, Platycodon grandiflorum, Monarda didyma, Yucca filamentosa, Lilium, lancifolium, Dendranthema indicum, Iris germanica, Typha orientalis, Aster yomena, Hosta clausa var. normalis, Spirodela polyrhiza, Sedum sarmentosum, Eichhornia crassipes, Hyssopus, houstonianum, Acorus calamus, Papaver rhoeas, Lychnis cognata, Lythrum amceps, Aster novi-belgii, Scabiosa tschiliensis, Dianthus japonicus, Allium senescens, Allium tuberosum, Hedera helix, Portulaca grandiflora, Sempervivum arachnoideum,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Epiobium angustifolium, Ajuga reptans, Gomphrena globosa, Gerbera jamesonii,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Sedum spurium(pink), Sedum acre, Salvia microphylla, Scirpus tabernaemontani, Hylotelephium ussuriense, Dianthus repens Will., Medicago sativa, Campanula punctata,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Eupatorium japonicum, Lonicera periclymenum, Pillosella officinale, Mentha x piperita f. piperita, Capsicum annuum, Sisyrinchium angustifolium, Reynoutraia japonica var. compacta, Lychnis alpina, Caryopteris incana, Dryopteris crassirhizoma, Sedum oryzifolium, Iris sanguinea, Sedum middendorffianum,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Lavandula spp., Buddleia davidii, Deutzia parviflora, Canna generalis, Dendranthema indicum, Stachys byzantina, Festuca glauca,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Gentiana uchiyamai, Streptopus ovalis, Melissa officinalis, Lychnis viscaria, Tritonia xcrocosmiiflora, Matricaria chamomilla, Coreopsis drumondii, Thymus x citriodorus, Delosperma cooperi, Typha angustifolla, Clematis paten,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Alchemilla mollis, Hosta longipes, Nertera granadensis, Hylotelephium spectabile, Dicentra spectabili, Rosmarinus officinalis, Vinca major subsp., Ajuga reptans, Clematis hybrids,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Rudbeckia laciniata, Vinca minor, Hemerocallis minor, Iris lactea var. chinensis, Sedum aizoon, Liatris spicata, Vinca minor Apocynaceae, Ophiopogon japonacus, Thymus vufgaris, Veronica longifolia, Sedum reflexum, Hemerocallis fulva, Mentha suaveoiens, Tanacetum vulgare, Lysimachia barystachys, Argyranthemum frutescens, Dianthus superbus var. semperflorens, Primula sieboldii, Farfugium japonicum, Veronica linariifolia, Patrinia scabiosaefolia, Plioblastus pygmaed, Achillea alpina, vegetable garden, Aster tataricus, Deutzia parviflora var. parviflora, Lampranthus spectabilis,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Achillea alpina, Lilium trinum,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Dendranthema boreale, Nymphoides indica, Achillea sibirica, Oenothera speciosa, Liriope platyphylla, Allium microdictyon,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Sedum rupestre, Eustoma grandiflorum, Vitis coignetiae, Allium thunbergii, Miscanthus sinensis 'Morning Light', Mentha suaveolens', Lycoris radiata', Phalaris arundinacea L., Sempervivum ciliosum, Miscanthus sinensis 'Variagata', Dianthus chinensis, Physostegia virginiana., Sedum Lineare Variegatum., Dianthus spp.., Veronica spicata var. incana., Dianthus chinensis., Papaver rhoea.s.,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Lycoris squamigera., Dianthus superbus., Mentha pulegium., Phlox subulata., Liriope., platyphylla Variegata., Lactuca sativa.,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Mentha x species., Tofieldia nuda., Hosta longipes Matsum., Sedum sexngulare., Aster yomena spp.., Vitis vinifera., Dianthus superbus-chinensis., Carex maculata., Poterium Sangnisorba., Gentiana scabra.,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Aster yomena., Salvia splendens., Dracocephalum argunense., Orostachys latiellptica.,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hrysanthemum maximum., Lychnis coronaria., Digitalis purpurea., Silene armeria., Arrhenatherum elatius., Acorus gramineus., Syneilesis palmata., Phlox paniculata., Rotheca myricoides., Hosta undulata., Senecio cineraria., Hemerocallis fulva., Hakonechloa macara., Iris uniflora var. caricina., Leaf variegated., Hosta minor., Euphorbia marginata.,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Hylomecon vernalis., Vaccinim oxycoccus.,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Variegatus'., Sedum takesimense., Convallaria keiskei., Lilium concolor., Cosmos sulphureus., Molinia japonica Hack..,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us., Carex conica., Aquilegia japonica., Cytisus racemosus., Muscari ameniacum., Campanula takesimana., Artemisia laciniata., Gentiana triflora for. monrana., Iris pseudacorus., Hypericum ascyron., Sagittaria sagittifola var. edulis., Lonicera japonica., Zoysia japonica., Lampranthus spectabilis., Ottelia alismoides., Equisetuum hyemale., Hosta capitata., Dendranthema coreanum., Sedum mexicanum., Mint., Lilium cernuum., Hosta longipes., Pulsatilla koreana., Nymphoides peltata., Epilobium pyrricholophum., Sulcorebutia rauschii., Allium schoenoprasum., Aster spathulifolius., Hemerocallis thunbergii., Orostachys japonica., Hedera rhombea., Tradescantia reflexa, Hedra Helix, Plioblastus pygmaed, Sedum polytrichoides, Lampranthus spectabilis, Plantago major, Imperata cylindrica, Mukdenia rossii, Saxifraga stolonifera, Hydrangea macrophylla, Zoysia japonica, Oenothera fruticosa, Zoysia japonica, Bar harbour juniper, Centaurea cyanus, Miscanthus sinensis 'Zebrinus', Phlox paniculata, Rosa spp., Mentha piperascens, Nymphaea tetragona,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Tanacetum parthenium., Astilbe rubra., Agastache rugosa,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Hosta minor, Ophiopogon planiscarpus, Aster tataricus L. f., Antennaria dioica, P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papilionacea, Phalaris arundinacea var. picta, Knipofia uvaria, Sedum middendorftianum, Pachysandra terminalls, Miscanthus sinensis A varigatus, Sedum album, Lycopodium chinense, Thymus quinquecostatus, Elsholtzia stauntonii,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Carex morrowii F, Oenothera biennis, Zinnia violacea, Salvia splendens KerGawl,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Pllioblastus pygmae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gastache rugossa, Dianthus longicalyx, Muhlenbergia japonica, Carex morrowii, Parthenocissus tricuspidaata, Aster koraiensis, Hemerocallis dumortieri, Phlox subulata, Hyssopus officinalis, Angelica giga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Mentha spicata, Deutzia gracilis 'Nikko', Gypsophila oldhamiana, Belamcanda chinensis,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Plantago asiatica Total : 293
Shrub Sorbaria stellipilla var. typica, Syringa vulgaris, Viburnum sargenti,i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Rhod0dendron schlippachii, Berberis koreana, Buddleia davidii Franc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Philadelphus schrenckii, Vitis coignetiae, Rosa centrifolia, Cotoneaster horizontalis, Daphne genkwa, Caragana sinica, Chaenomeles lagenaria, Euonymus japonica, Yucca glorio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piraea cantoniensis, Paeonia suffruticosa,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Damnacanthus major,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aeonia lactiflora, Berberis thunbergii, Spiraea salicifolia, Hibiscus syriacus, Spiraea japonica "Goldflame", Rosa hybrida, Cotoneaster horizontalis, Abelia mosanensis, Bar harbour juniper, Lindera obtusiloba, Sasa borealis, Rhododendron japonicum, Ilex serrata, Syringa patula 'Miss Kim', Spiraea japonica 'Godlflame',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Rhododendron japonicum C.K.Schneid. Nandina domestica, Microbiota decussata, Carpinus coreana, Pinus densiflora, Euonymus alatus, Cornus sericea, Cercis chinensis, Hydrangea macrophylla, Euonymus alatus, Euonymus japonica var. Spiraea bumalda 'Gold Mound',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Viburnum sargentii,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Chamaecyparis pisifera, Taxus cuspidata var. nana, Enkianthus campanulatus, Syringa dilatata, Callicarpa dichotoma, Physocarpus opulifolius,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Viburnum sargentii, Rhododendron japonicum Suringer, Ligustrum obtusifolium, Ligustrum ovalifolium, Campsis grandiflor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albiflorum, Aronia melanocarpa, Rhododendron mucronulatum, Chamaecyparis lawsoni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hendron lateritium, Juniperus communis 'Effusa', 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 Kerria japonica, Weigela subsessilis, Prunus tomento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Kerria japonica, Abelia mosanensis, Rhodotypos scandens, Rhododendron indicum, Acer palmatum, Buxus koreana, Viburnum erosum, Jasminum nudiflorum, Thuja orientalis, Cornus alba, Rosa multiflora Thunb. var. platyphylla,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Corylopsis gotoana, Wisteria floribunda, Deutzia parviflora,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 Kalmia latifolia, Prunus persica, Rubus crataegifolius Bunge Total : 105
Tree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Chaenomeles sinensis, Cornus officinalis,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 Diospyros kaki, Ficus carica, Prunus armeniaca, Chamaecyparis obtusa 'Nana', Prunus donarium, Thuja occidentalis, Punica granatum, Chionanthus retusus, Acer palmatum var. dessoctum,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Taxus cuspidata, Spiraea japonica L. f., Abies koreana, Lagerstroemia indica, Pinus parviflora, Albizzia julibrissin, Sciadopitys verticillata, Prunus mume, Pinus densiflor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runus persica, Magnolia kobus, Sinoarundinaria nigra var. henonis, Pinus koraiensis, Malus prunifolia, Elaeagnus umbellata, Juniperus scopulorum 'Skyrocket', Abies holophylla, Stewartia pseudocamellia, Pinus strobus, Acer palmatum, Zelkova serrata, Acer triflorum, Chamaecyparis pisifera, Picea glauca var. albertiana 'Conica', Acer palmatum, Vaccinium spp., Malus sieboldii, Sorbus alnifolia, Bambusoideae Morus alna, Prunus tomentosa, Juniperus chinensis, Pinus densiflora, Thuja occidentalis 'Emerald Gold', Acer palmatum var. amoenum, Styrax japonicus, Cornus kousa, Thuja occidentalis "Emerald Green", 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Aurea', Sorbus commixta, Prunus sargentii, Pinus parviflora, Platycladus orientalis 'Aurea Nana', Prunus mume, Crataegus pinnatifida, Phyllostachys nigra, Zizyphus jujuba var. inermis, Prunus yedoensis, Ficus religiosa, Elaeagnus umbellata Total : 65

Table 4.

Planting frequency of herbaceous status.

Table 5.

Planting frequency of shrub status.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orbaria stellipilla var. typica 6 3 8 Syringa vulgaris 1 2 0 Buddleia davidii Franch 25 1 1 Cotoneaster horizontalis 21 4 0 Daphne genkwa 1 1 0
Rhod0dendron schlippachii 10 1 1 Berberis koreana 1 5 3 Rosa centrifolia 4 8 2 Yucca gloriosa 3 4 0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2 4 0
Philadelphus schrenckii 4 1 0 Vitis coignetiae 0 0 1 Euonymus japonica 11 24 21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9 19 22 MIX-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0 4 0
Caragana sinica 3 0 0 Chaenomeles lagenaria 1 6 0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2 5 8 Callicarpa japonica 8 0 1 MIX-Rhododendron indic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0 2 0
Spiraea cantoniensis 4 7 10 Paeonia suffruticosa 11 5 5 Spiraea blumei 0 4 0 Paeonia lactiflora 2 5 7 Berberis thunbergii 2 2 0
Stephanandra incisa 1 0 0 Hydrangea paniculata 2 2 2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1 17 18 Rosa hybrida 23 5 3 Cotoneaster horizontalis 2 0 0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18 0 0 Damnacanthus major 1 0 0 Spiraea japonica "Goldflame" 2 3 4 Sasa borealis 10 0 0 Rhododendron japonicum 4 0 0
Spiraea salicifolia 26 1 1 Hibiscus syriacus 5 1 2 Lindera obtusiloba 5 0 0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6 23 15 Rhododendron japonicum C.K.Schneid. 30 0 0
Abelia mosanensis 9 1 2 Bar harbour juniper* 5 0 0 Spiraea japonica 'Godlflame' 24 0 0 Pinus densiflora* 1 0 0 Euonymus alatus 12 26 22
Ilex serrata 3 14 6 Syringa patula 'Miss Kim' 24 4 2 Carpinus coreana 0 5 4 Euonymus alatus 0 7 4 Euonymus japonica 25 2 0
Nandina domestica 4 3 3 Microbiota decussata* 12 1 0 Hydrangea macrophylla 2 4 1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1 3 3 Chamaecyparis pisifera 3 3 0
Cornus sericea 2 1 3 Cercis chinensis 2 3 0 Viburnum sargentii 1 0 0 Callicarpa dichotoma 2 10 14 Physocarpus opulifolius 9 12 7
Spiraea bumalda 'Gold Mound' 0 5 7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2 5 7 Syringa dilatata 1 33 22 Ligustrum obtusifolium 1 4 3 Ligustrum ovalifolium 0 0 1
Taxus cuspidata var. nana* 2 9 2 Enkianthus campanulatus 3 4 0 Rhododendron japonicum Suringer 0 5 2 Rhododendron mucronulatum 1 0 0 Chamaecyparis lawsoniana* 8 0 0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3 2 0 Viburnum sargentii 7 1 4 Aronia melanocarpa 0 1 0 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 0 4 4 Kerria japonica 36 0 0
Campsis grandiflora 8 4 0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albiflorum 8 25 22 Juniperus communis 'Effusa*' 1 1 0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0 0 1 Kerria japonica 1 23 20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 6 4 Rhodohendron lateritium 0 5 3 Prunus tomentosa 10 2 0 Acer palmatum 0 4 4 Buxus koreana* 0 39 31
Vaccinium spp. 2 2 1 Weigela subsessilis 2 2 6 Rhododendron indicum 4 39 25 Thuja orientalis 4 1 4 Cornus alba 0 18 16
Abelia mosanensis 10 0 1 Rhodotypos scandens 22 3 0 Jasminum nudiflorum 3 0 0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2 0 0 Corylopsis gotoana 1 0 0
Viburnum erosum 6 4 4 Rubus crataegifolius Bunge 3 2 0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 0 0 1 Kalmia latifolia 23 4 0
Rosa multiflora Thunb.v var. platyphylla 2 8 4 Deutzia parviflora 9 0 0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 9 2 0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0 0 1
*

Evergreen shrub

Table 6.

Planting frequency of tree status.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species 2010 2011 2012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1 0 0 Chaenomeles sinensis 1 4 2 Cornus officinalis 8 22 14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 2 0 0
Diospyros kaki 3 2 1 Ficus carica 3 1 0 Prunus armeniaca 15 2 0 Chamaecyparis obtusa 'Nana'* 0 1 0
Prunus donarium 1 0 0 Thuja occidentalis* 0 2 1 Punica granatum 1 1 0 Chionanthus retusus 0 2 1
Acer palmatum var. dessoctum 18 11 9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1 0 0 Taxus cuspidata* 13 8 9 Spiraea japonica L. f. 6 0 0
Abies koreana* 1 0 0 Lagerstroemia indica 1 2 3 Pinus parviflora* 1 1 0 Albizzia julibrissin 5 1 1
Sciadopitys verticillata 0 2 0 Prunus mume 2 0 0 Pinus densiflora* 1 12 5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18 0 0
Prunus persica 0 0 1 Magnolia kobus 1 3 1 Sinoarundinaria nigra var. henonis 1 0 0 Pinus koraiensis* 1 1 0
Malus prunifolia 5 3 4 Elaeagnus umbellata 2 3 1 Juniperus scopulorum 'Skyrocket*' 8 3 0 Abies holophylla* 1 1 0
Stewartia pseudocamellia 1 0 0 Prunus persica 15 1 0 Pinus strobus* 0 0 1 Acer palmatum 5 17 11
Zelkova serrata 0 1 0 Acer triflorum 5 1 0 Chamaecyparis pisifera* 14 0 0 Picea glauca var. albertiana 'Conica'* 8 1 6
Acer palmatum 7 0 2 Ficus religiosa 0 2 0 Malus sieboldii 0 0 1 Sorbus alnifolia 3 1 0
Bambusoideae 2 0 0 Morus alna 1 1 1 Prunus tomentosa 4 13 5 Juniperus chinensis* 0 1 0
Pinus densiflora* 10 17 21 Elaeagnus umbellata* 0 0 1 Thuja occidentalis 'Emerald Gold'* 1 2 1 Acer palmatum var. amoenum 2 16 8
Styrax japonicus 0 2 0 Cornus kousa* 1 15 10 Thuja occidentalis "Emerald Green"* 3 1 2 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Aurea'* 11 8 0
Sorbus commixta 1 8 6 Prunus sargentii 2 0 0 Pinus parviflora* 1 1 0 Platycladus orientalis 'Aurea Nana'* 4 7 3
Prunus mume 10 15 8 Crataegus pinnatifida 1 1 0 Phyllostachys nigra 2 2 0 Zizyphus jujuba var. inermis 7 1 0
Prunus yedoensis 27 4 1
*

Evergreen shr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