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학교정원운동(School Garden Movement)의 발전과정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hool Garden Movement in the USA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5):373-378
Green Hope
금 혜진
Green Hope, River Edge, New Jersey 07661, USA.
*Corresponding Author : hjkeum301@gmail.com
Received 2014 July 21; Revised 2014 October 10; Accepted 2014 October 15.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hool garden movement in the USA. The study results find that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d been emerged from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shaped by the educational ideas in European progressive education and American Nature-Study movemen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the American school garden movement has clearly demonstrated a process of its formation, decline, and revival. The school garden movement from 1891 to 1914 had been driven by national efforts for school reform purposes. Then the school gardens from 1914 to 1918 had been replaced for the purpose of food production in the midst of the First World War. The school garden movement began to diminish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1950s even pushed it in its extinction. However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s been resurged to be widespread from 1990s due to the following efforts both to resolve the problems of childhood obesity and nature-deficit, and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First, the purpose of the school garden must be clarified. Second, the school garden curriculum integrated with school subjects must be develope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 pioneering leadership to make the school garden movement widespread. Fourth, it is required to have partnership in various fields to facilitate successfully the school gardens in their school settings. Finally, it is also demanded a flexible school gardening model suitable to its own community and school context.

I. 서론

자연주의 교육사상가 Rousseou(1762)는 “자연은 인간을 행복 하고 선하게 만들었으나 사회는 그를 타락시키고 불행하게 만들었 다.” 고 논하면서 자연주의 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선한 본성을 다시 회복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자연보다는 TV나 컴 퓨터 등의 전자 매체들이 성장기 어린이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 이 와 같은 자연결핍으로 인해 비만, 주의력 결핍, 우울증, 반사회적 인 격 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들도 증가하고 있다(Louv, 2008).

반면, 학교내에 조성된 학교텃밭 또는 학교정원(school garden) 을 통해 자연주의 교육을 실천하려는 교육계의 움직임도 점점 커지 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2013-2017) 계획에 의하면 학교텃밭 조성비용 및 학습프로그램, 교육 전문인 력 등을 지원하는 학교교육용 텃밭사업이 2017년까지 특,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의 약 10%인 180개교로 확대될 계획이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ion, 2014).

최근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국내 상황과 대조적으로 미국은 19 세기 후반에 학교정원을 시작하였고 20세기 초반에는 학교정원운 동(School Garden Movement)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세계대전이 후 학교정원에 대한 열기가 사라졌다가 1990년대 이후 다시 교육 현장에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전과 쇠퇴를 반복해온 미국 학교정원의 발전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새롭게 학교정원을 도입 하 고자 하는 국내 교육계에 많은 통찰을 줄 것이다. 미국의 학교정원 운동은 학교정원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관련 법령이 정해지 고, 학교정원이 전국적으로 확산, 발전한 운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Desmond et al., 2004; Lawson, 2005).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후반부터 현재의 이르기까지 미 국의 학교정원운동에 영향을 미친 사상적 배경과 그 발전과정을 고 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II.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 riss.kr) 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school garden’과 ‘garden learning’ 의 단어가 주제어(key word)로 된 1990년대 이후의 학위논문, 학 술지 논문 및 도서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미국 커뮤니티 정원 (community garden) 역사의 일부로 학교정원의 역사를 수록한 도 서(Lawson, 2005)가 있었다. 그러나, 189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학교정원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 신, 초기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학교정원운동에 관한 연구 문헌과 최근 1990년대 이후 학교정원에 대한 연구문헌을 수집하였 다. 또한 뉴욕 Brooklyn Botanic Garden의 도서관을 2014년 6월 동안 2회 방문하여 1890년 이후 학교정원관련 도서, 학술지, 뉴스 레터 및 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최초 학교정원운동의 계기가 된 교육사상 의 특징과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 쇠퇴를 가져오게 한 사회적 배경과 그 운영방식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Brooklyn Botanic Garden 도서관에서 수집한 1890년대 이후 1950년대까지의 자료를 통해 Nature-Study Movement와 학교정원운동의 연관관계와 1920 년 이후 학교정원운동이 쇠퇴한 다양한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학교정원의 사상적 배경이 된 Nature-Study 의 교육사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1890년 이후 학교정원운동의 형성, 쇠퇴, 재부흥의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학 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

1800년대 유럽은 진보적 교육사상의 영향으로 학교정원이 확 산되었다. 정원교육을 강조한 대표적인 학자로 Jean Jacques Rousseou(1712-1778), Johann Pestalozzi(1746-1827), Friedrich Froebel(1782-1850)이 있었다(Desmond et al., 2004; Lawson, 2005). 특히 1880년대에 Frobel은 세계 최초의 유치원인 Kindergarten( 어린이 정원)을 설립해 유아교육에서 정원의 중요성을 알 리기 시작했고 1869년에는 오스트리아, 1882년에는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 러시아에서 학교정원 교육이 학교의 의무조항이 되 었다(Kohlstedt, 2008). 유럽의 교육개혁에 영향을 받은 미국도 학 교정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학교정원이 미국 교육계에 확산되게 된 계기는 Nature-Study Movement에 의해서다(Kohlstedt, 2008; Lawson, 2005). Nature- Study는 직접적인 경험, 자연과의 교감, 학습의 비형식성 및 자발 성을 강조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 미국 교육개혁을 주도한 교육철학이다. 어린이는 책보다는 자연과의 직접적 교감을 통해 자연을 진정 이해하고 사랑하게 될 뿐 아니라 생명존중 정신 과 올바른 인격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Park and Park, 2014). Nature-Study는 과학(science), 지식(knowledge), 사실(fact)보 다는 정신(spirit), 태도(attitude), 아동의 세계관(outlook on the world)에 더 관심을 가진 교육접근이다(Bailey, 1903; Kohlstedt, 2005). 대표적 학자 중 한 사람인 Comstock(1912)은 자연에 대한 사랑을 지속시켜 주어야 하며 만약 학생들이 자연을 사랑하도록 만 들지 못한다면 Nature-Study를 그만 두어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다.

유럽의 진보적 교육에 영향을 받은 Straight는 Nature-Study 형 성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쿡카운티 사범학교의 Jackman은 Nature- Study를 구체적 교육과정으로 확립시켰으며 코넬 대학의 Bailey 와 Comstock은 미국 Nature-Study 협회를 구성하여 대중화에 공 헌하였다(Park and Park, 2014). Jackman이 1891년에 저술한 첫 단행본 「Nature Study for the Common Schools」를 통해 초등학 교 교과목과 연계된 Nature- Study 교육과정이 최초로 개발되었 다. Nature-Study 교육과정은 자연을 소재로 한 통합교육의 성격 을 띠고 있다. 식물학에서 나오는 식물의 명칭과 구조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의 한 종류를 선택해서 그 식물을 중심으로 관찰 하기, 시 짓기, 이야기 만들기, 그림 그리기 등을 하는 것이다. 이러 한 교육과정이 1900년대 초 공립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되면서 Nature-Study Movement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그 시 대의 대표적 진보주의 교육학자인 Dewey의 지지를 받음으로 미국 교육계에서 좀 더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Trelstad, 1997).

당시 학교정원은 Nature-Study를 구현하기에 가장 좋은 현장이 었다. 특히 도시지역에 살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자연을 접할 수 없 는 어린이에게 자연환경으로서 학교정원은 가장 좋은 대안이었다 (Armitage, 2009; Trelstad, 1997). 또한 정원가꾸기의 학습활동 은 실용적이고 그 결과가 먹을 수 있는 과일과 채소라는 점에서 교 사와 부모의 지지도 얻을 수 있었다(Armitage, 2009). 또한 다양한 교과목과 연계해서 Nature-Study를 가장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 는 방법이었다. 학교정원은 Nature-Study의 이론(theory)과 실제 (work), 아름다움(beauty)과 과학(science), 보호(preservation) 와 활용(use), 민주주의(democracy)와 프로그램(program)이 공 존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하였다(Armitage, 2009). 19 세기 초 Nature-Study Movement는 이렇게 미국 학교 전체에 확 산되었고 학교정원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 활용되었다.

2.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

1) 학교정원운동의 형성

유럽의 성공적인 학교정원을 시찰하고 온 교사 Henry Lincoln Clapp이 중심이 되어, 1891년 미국 최초의 학교정원이 Boston George Putnam School에 세워졌다. 학교정원은 초창기에는 미 국 동부의 사립학교나 시범학교에서 도입되다가 Nature-Study Movement의 영향으로 전 국가적인 운동으로 확산되어 1906년에 는 전국적으로 75,000개의 학교정원이 세워졌다(Lawson, 2005). 당시, 학교정원은 미국 대부분의 학교에서 볼 수 있었다(Trelstad, 1997).

1910년 미국학교정원협회(School Garden Association of America)가 조직되어 학교정원을 학교 교육시스템에 통합시키 는 노력을 하였고 1914년에는 교육부(The Federal Bureau of Education)산하에 학교 및 가정정원국(The Division of School and Home Gardening)이 신설되었다(Lawson, 2005). 다양한 학 과목에 학교정원이 활용되었기 때문에 농업부가 아닌 교육부 산하 에 학교정원이 관리되었던 것이다(Kilpatrick, 1940).

학교정원 커리큘럼은 두 가지로 구분되었는데 농사와 원예의 실 제적인 일을 배우는 커리큘럼과 미술, 작문, 수학, 언어, 지리와 같 은 학과목과 연관한 통합형 커리큘럼이 있었다. 이중 농사와 원예 커리큘럼은 주로 농촌지역의 학교에서 활용되었다. 사범대학과 일 반대학의 교사훈련 과정에도 정원 교육이 시작되었다(Lawson, 2005).

또한 학교정원은 학교안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가 관할하는 다양 한 장소에 세워졌다. 1901년 뉴욕의 DeWitt Clinton Park의 Farm School이 성공한 이후 1910년부터 뉴욕시를 중심으로 공원안에 도 학교정원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1914년에는 뉴욕시의 Brooklyn Botanic Garden에 세계최초의 어린이정원(Children Garden)이 세워졌다(Kilpatrick, 1940).

또한 학교정원과 가정을 연계해 학교의 정원은 시범정원(demonstration garden)으로 가정의 정원은 학교에서 배운 것을 실천하는 장소로 활용하는 교육시스템도 개발되었다. 교사와 자원봉사자들 은 교육차원에서 가정의 정원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였다. 이 같은 제도는 정원문화가 가정까지 확산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1917년 당시, 뉴욕시에만 학교에 30.85헥타르(ha), 공원에 3.16ha, 공한지 (vacant land)에 5.33ha의 학교정원이 있었고, 가정정원이 1,033 개 있었다(Lawson, 2005).

학교정원은 지역사회와 시민단체의 지원도 받았다. 가든클럽, 여성클럽, 학부모조직이 중심이 되어 기금을 마련하였고 땅과 물품 을 제공하였고 정원봉사 활동을 하였다. 식물원의 원예 전문가들은 학교정원에 대한 자문, 교사 훈련, 지역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였다.

학교정원이 뉴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발전하면서 Nature- Study가 추구하는 살아있는 실험실(living laboratory)로서의 교 육목적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로도 활 용되었다. 대도시 빈민가의 도시미화, 청소년 범죄 예방과 이민 자 녀들에게 정직, 책임감, 예의, 인내심, 협동심 등의 건강한 미국 시 민 정신을 학교정원을 통해 가르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 나면서 살아있는 실험실이라는 목적보다는 모범 시민 양성소(good citizen factory)라는 목적에 그 중심이 이동되었다(Trelstad, 1997).

1914년, 1차 세계대전은 학교정원 운동을 예상할 수 없을 정도 로 확대시켰다. 전쟁에 참여하는 성인남자 대신 아이들이 식량생산 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A garden for every child, every child in a garden”이라는 국가적 모토하에 개인집의 뒷마 당, 공한지, 공원 등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땅에 채소를 심어 식량 생 산을 늘리도록 하였다. 1918년에는 교육부(The Federal Bureau of Education)산하에 School Garden Army라는 조직이 신설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교정원을 홍보 관리하였다(Kilpatrick, 1940). 그러나, 학교정원은 교육적 목적보다는 식량생산이란 현실적인 과 제가 목적이 되어버렸다. 학교정원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군대조직 과 유사하게 조직하여 식량생산량을 늘이는 농사법을 전수하는 것 으로 목적이 변질된 것이다. 1917년 150만 학생들이 정원 일에 참 여하였고 8,094ha의 공한지가 식량생산용 정원으로 개발되었다 (Lawson, 2005).

1891년부터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 차원에서 미국 전역에 급속하게 확산되었고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전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더욱 더 강력하게 발전된 것이다.

2) 학교정원운동의 쇠퇴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 운동은 쇠퇴의 양상을 보이 게 된다. 1920년에는 교육부 산하의 학교 및 가정정원국이 페쇄되 었고, 1923년에는 725개 도시 중 30개 도시만이 Nature-Study 차 원에서 학교정원 활동을 하였고 5개 도시만이 학교정원 교육을 지 속했다(Lawson, 2005).

비록 학교정원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주도는 사라졌지만 몇몇의 학교와 지역은 교과목과 연관하여 학교정원을 계속 발전시켜 갔다. 뉴욕시는 학교정원 협회장인 Kilpatrick과 Brooklyn Botanic Garden의 어린이 정원 교육 큐레이터인 Shaw을 중심으로 발전시 켜 오늘에 이르렀다. Cleveland의 경우 전쟁당시에도 학교정원의 교육적 가치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 후에도 학교정원이 계속 운영되었다가 1970년 중반 이후 커뮤니티정원으로 전환되었 다(Trelstad, 1997).

30년 동안 미국 교육개혁의 상징으로 인식되어온 학교정원운동 이 1920년대 이후 갑자기 쇠퇴하게 된 배경에는 다양한 교육적, 사 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그 시대의 학교정원운동을 주도했던 Kilpatrick(1940)는 다음 과 같이 쇠퇴의 원인을 설명하였다. 첫째, 학교정원이 전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었기에 전쟁이 끝난 후에는 국가적 재정지원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둘째, 식량생산만을 강조하는 교 육풍토가 그 시대의 교육자들에게 많은 회의감을 가지게 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정원은 농촌지역보다는 도시지역에 더 필요하 기에 농촌지역의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는 것이다. 넷째, 학교 정원은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없었다는 것이다. 부모들은 화이트 칼 라가 되는데 필요한 지식위주의 교육을 받기 원했기 때문에 이상적 인 교육의 가치가 자주 도전을 받았다는 것이다. 다섯째, 학교정원 은 본래의 취지인 야외학습의 실험실로서 보다는 너무 자주 여가용 이나 농사짓기 등의 변형된 교육으로 활용되었다는 것이다. 야외실 험실로서 Nature-Study의 철학이 교육리더와 현장의 교사에게 충 분히 전파되지 못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정원 관리에 실패한 학교가 많이 생겼다는 것이다. 한 학교가 운영하기에 너무 큰 정원 을 가짐으로써 유지비용과 부가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부담을 가져 서 중단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는 것이다.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회가 되면서 학 교안의 Nature-Study 프로그램은 Summer Camp, Public Park, Nature Center로 자리를 옮겼다. 학교운동장에는 학교정원 대신 철제 놀이터가 등장하였고 체육시설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또한 자동차의 발달로 인해 중산층이 도시주거지에서 교외 주거지로 이 동함으로써 가정정원(home garden)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교육계에서도 통합교육대신 분과적인 과학을 강조하였고 교육출 판사의 등장으로 인해 교과서를 강조하는 교육풍토로 변화됨으로 써 학교정원은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Desmond et al., 2004; Lawson, 2005; Trelstad, 1997).

1960년대와 1970년대는 도시빈민가의 환경미화, 식량지원과 교육차원에서 뉴욕시를 중심으로 대도시의 학교와 커뮤니티에 정 원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국가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해 1980년대 가서 다시 그 열기가 사라졌다.

3) 새로운 학교정원운동

1990년대 중반 California(이하 CA)를 중심으로 미국 전역에 학교정원이 다시 확산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가장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1994년 CA의 공립교육 관리자인 Delaine Eastin의 주도 하에 “a Garden in Every School”이라는 California School Garden Initiative의 추진이었다(Ozer, 2007). 이 프로그램의 목 적은 역동적인 학습환경을 통해 학업수준을 향상시키는 것 둘째,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 셋째, 환경과 지역사회에 대 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추진 결과 1995년에 CA의 8,000개 학교 중 1,000개의 학교에 정원이 세워졌고 2003 년에는 3,000개의 학교정원이 세워졌다(Hayden-Smith, 2007). 학교정원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과목은 과학(95%), 환경교육 (70%), 영양학(66%), 언어(60%), 수학(59%)으로 조사되었다 (Ozer, 2007). 이외에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요리 프로그램으로도 많이 활용되었다.

1995년에는 유명 요리사인 Alice Waters가 CA Berkeley의 Martin Luther King Jr Middle School에 The Edible Schoolyard 를 시작했다. 이 조직은 아동의 건강과 가치관을 변화시킬 목적으 로 설립되었으며 학교정원이 학교 커리큘럼에 완전히 통합된 모범 사례로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Dirks, 2011).

1995년 이후 학교정원이 CA 주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으면서 확산되기 시작해 Texas, Florida, Lousiana에서도 발전하고 있으 며 New York을 포함한 동북부에도 점차 도입되고 있다(Blair, 2009).

2009년도에는 퍼스트레이디인 Michelle Obama가 백악관에 키친 정원(The White House Kitchen Garden)을 만들어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해 전파하는 활동과 “Let's Move” 캠페인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과 야외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미국전역에 전파 하면서 학교정원에 대한 열기는 더욱 고조되어 갔다. 2010년부터 는 “Healthy Hunger-Free Kids Act” 법령을 통해 국가적인 차원 에서 학교정원에 대한 재정적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Obama, 2012).

이렇듯 90년대 이후 학교정원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 것에는 다 양한 요인이 있다. 어린이가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사라 지고 이에 따르는 육체적 정신적 부작용이 심각해진 현실에서 학교 정원은 아이들에게 일상에서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정원은 경험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풍부한 학 습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교현장에서도 다시 지지를 받게 되었 다. 실제 90년대 이후 학교정원이 아이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 여를 한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Blair, 2009).

최근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교정원에 관심을 다시 가지게 된 가 장 직접적인 원인은 미국 어린이의 비만문제에 대한 심각성 때문이 다. 과거 30년 동안 6-19살의 아이의 30%이상이 비만이고 현재 청 소년의 10%미만만이 적절한 과일과 채소를 소비하는 건강한 식습 관을 가지고 있으며 비만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이 1979년과 1999를 비교했을 때 3배로 늘어난 상황이다(Hazzrd et al., 2011). 비만퇴치를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하기에 학교정원을 통해 어린이가 직접 야채를 키워서 시식까지 하는 식습 관 교육이야말로 미국의 시급한 국가적 과제가 된 것이다.

학교정원운동을 이끌었던 주된 목적은 그 시대에 따라 달랐다. 그 목적이 학교정원 발전에 긍정적일 때도 있었고 그 목적이 학교 정원의 존재이유를 혼란스럽게 할 때도 있었다. 1890년부터 1914 년까지 학교정원운동은 살아있는 실험실로서 정원을 활용하는 교 육개혁의 목적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시민정신을 교육시키는 목적 으로도 활용되었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세계대전동안에 국 가는 학교정원을 식량생산의 목적으로 이용하였고 전쟁이후 목적 을 상실한 학교정원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50년 대 이후 기술과학문명이 주도하는 사회가 되면서 Nature-Study의 교육풍토가 사라진 것도 학교정원의 쇠퇴를 가져오게 한 원인이었 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심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 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은 지금 미국에서 다시 크게 부각되고 있다.

3. 국내 학교정원 교육의 시사점

미국의 역사를 통해 학교정원운동은 확고한 교육철학과 그것을 교육현장에 구현한 커리큘럼과 이를 대중화한 리더와 다양한 부문 의 파트너십이 있었을 때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미국 학교정원운 동의 발전과정을 통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 국내의 경 우, 학교정원에 대한 시도가 시작되는 이 시점에서 학교정원에 대 한 다양한 기대감이 있다. 모든 기대감을 충족시키려다보면 목적을 상실한 학교정원이 될 수도 있다. 학교정원을 통해서 해결해야 하 는 가장 중요한 교육적 목적과 가치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이 우 선되어야 한다. 교육현장의 새로운 시도가 그 지속성을 갖기 위해 서는 학교의 존재목적에 직접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미국의 경우, 학교정원 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교과목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고 있는 연구결과로 인해 학교정원이 더욱더 확산되고 있다(Blair, 2009). 국내의 경우도 교실에서 배운 지식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 는 살아있는 실험실로서 학교정원의 존재목적을 세우는 것이 바람 직할 것이다. 학교의 도서관이나 미디어 센터가 각 교과과정을 풍 요롭게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둘째, 다양한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한 다. 학교정원 커리큘럼에는 원예의 실무를 배우는 커리큘럼과 다양 한 교과목과 연계한 커리큘럼이 있을 수 있다. 살아있는 실험실로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어, 사회, 역사, 수학, 과학, 실과, 미술 등 다양한 교과목에 활용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이 필 수적이다.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주는 각 교과목별로 표준화된 정 원기반 커리큘럼이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Ozer, 2007).

셋째, 학교정원운동이 대중적 관심을 받기 위해서는 개척가적 인 리더십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학교정원운동의 초창기에는 Nature-Study분야의 학자인 Bailey, 학교정원 협회장인 Kilpatrick, Brooklyn Botanic Garden의 어린이 정원 교육 큐레이터인 Shaw 가 개척가적 리더십을 발휘했다. 최근에는 몬테소리 교사출신의 유 명 요리사인 Alice Waters와 퍼스트레이디인 Michelle Obama가 전국적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화에 기여를 하고 있다.

넷째, 학교정원교육이 현장에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다 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수적이다. 정부기관은 학교정원 관련 지 원 정책과 물적 지원 및 시범정원을 운영하고, 대학이나 전문기관 에서는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과에 대한 평가연구를 담당 하고 교사훈련 및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학교가 속해 있는 지역사 회의 단체나 부모들은 학교정원 관리에 대한 자원봉사를 할 수 있 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정원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 기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일방적인 정책시행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학교 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적용모델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세계대전 동안 국가주도의 학교정원운동은 그 열기가 뜨거운 만큼 그 운동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학교정원이 역사 속에 갑자기 사 라지게 되는 상황을 초래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미국의 학교 정원운동은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다양한 교육모델로 발전 하고 있다.

IV. 적요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그 발 전과정을 고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결과, 19세기 말, 유럽의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미국의 Nature-Study 교육사상이 미국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은 형성, 쇠퇴, 재부 흥의 과정을 거쳤다. 1891년을 시작으로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차원에서 국가적인 학교정원운동으로 형성되었다. 그러 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세계대전을 위한 식량생 산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운동은 쇠퇴 의 양상을 보였고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 회가 되면서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심 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운동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 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 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 화를 위해 개척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현장에 성공적 으로 구현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학교정원 교육모델 이 필요하다.

References

Armitage K.C. The nature study movement: The forgotten popularizer of America's conservation ethic 2009. USA: University Press of Kansas Lawrence .
Bailey L.H. The nature-study idea, being an interpretation of the new school movement to put the child in sympathy with nature 1903. New York, USA: Doubleday.
Blair D. The child in the garden: An evaluative review of the benefits of school gardening. The J.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09;40(2):15–38.
Comstock A.B. Handbook of nature-study. Comstock Publishing Company Ithaca USA. 1912. Ithaca, USA: Comstock Publishing Company.
Desmond D, Grieshop J, Subramaniam A. Revisiting garden-based learning in basic education International Ins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Food and Agriculture. Organ. of the United Nations 2004;
Dirks K.J. Sowing seeds for learning: A case study of a school garden in Pocahontas, Iowa. MS Thesis 2011. Iowa, USA: Iowa State University;
Hayden-Smith R. The California “garden in every school” story 2007. Chicago, IL. USA: Society of Nutrition Educators National Meeting.
Hazzard E.L, Moreno E, Bell D.L, Zidenberg-Cherr S. Best practices model for implementing, sustaining, and using instructional school gardens in California. J.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2011;43(5):409–413.
Jackman W.W. Nature study for the common schools 1991. New York, USA: Henry Holt.
Kilpatrick V.E. The school garden: A laboratory of nature 1940. New York, USA: The School Garden Associ. of NY.
Kohlstedt S.G. A better crop of boys and girls: The school gardening movement, 1890-1920. History of Education Quarterly 2008;48(1):58–93.
Kohlstedt S.G. Nature, not books: Scientists and the origins of the nature-study movement in the 1890s. The History of Science Sci 2005;96(3):324–352.
Lawson L.J. City bountiful: A century of community gardening in America 2005. Berkeley,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ouv R.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2008. Chapel Hill, USA: Algonquin Books.
Obama M. American grown: The story of the White House kitchen garden and gardens across America 2012. New York, USA: Crown Publishers.
Ozer E.J. The effects of school gardens on students and school: Conceptualization and considerations for maximizing healthy development.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7;34(6):846–863.
Park J.S, Park S.M. The formation process of nature-study in US its implication for science education. J. Kor. Chemical Sci 2014;58(1):118–125.
Bloom A, Rousseou J.J. Emile or on education. Translated by Bloom, A. 1979 1762. New York, USA: Basic Book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chool garden, http://www.rda.go.kr/schoolgarden 2014.
Trelstad B. Little machines in their gardens: A history of school gardens in America, 1891 to 1920. Landscape J 1997;16(2):161–17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