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학생들의 숲 체험 프로그램 만족도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n Satisfaction and Demands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mainly with surveys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satisfaction rate of on-going forest experience program. The research samples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rom 12 individual programs in May when they are the busiest and the most active. A questionnaire is categorized with three parts, general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demand, comprised of total 43 questions. Survey database is analyzed through a descriptive analysis, the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by IBM SPSS Statistics V.20. Questionnaire survey has sampled the target population of 247 students. The survey result concludes that it is shown the satisfaction of programs are above satisfactory. Overal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re mo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an the others. With a allocated number of leaders, it has shown that it needs to allocate small groups per leader rather than big group to make students satisfy the program. Most of students construes forest experience as a productive moment and express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It is shown students prefer the program that is 1 and half hours at least once a month. Lastly, In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it is shown it needs more hands-on work oriented activities than explanation.
I. 서론
현대 우리사회의 도시 학생들은 대부분 실내에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자연 관련 체험학습 기회가 비교적 적 은 실정이다. 자연에서의 체험교육이 실내에서의 교육보다 환경교 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타나면서(Kim and Song, 2004) 자연체험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의 일환으로 숲이나 공원, 텃밭, 갯벌, 습지 등을 활용하여 자연체험교육을 실시 하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그 중 숲의 공간에서 자유와 창의성을 중 심으로 한 체험교육이 독일·스위스 등 유럽선진국에서 신체적·정 서적·환경적 측면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확산되고 있으며(Lee, 2012), 국내에서도 숲 체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연구에서 숲 체험은 건강 증진과 심리안정(Shin et al., 2007; Lee and Lee, 2012), 유아의 정서 발달(Jo, 2011; Lee, 2012), 언 어표현력 향상(Lee, 2008), 자연친화력 발달 및 호기심의 증진 (Ko, 2010; Kim, 2009; Park, 2011; Jung, 2013) 등 신체적․정서 적․환경적 측면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 도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Youn, 2007; Choi, 2008), 다른 영역의 교육과 접목하여 개발한 숲 체험의 효과(Jeong, 2009)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숲에서 얻는 치유 및 교육 효과는 정체성과 가치관이 발달되는 시기인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중학생의 경우 숲 체험 이 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우울 및 스트레스 감소(Kim, 2011), 책임성, 사교성, 협동성 등 인성 함양(Nam, 2014), 환경감수성 향상 (Kwon, 2001), 숲의 방문빈도 증가 및 환경의식 고취(Choi, 2011), 인터넷 중독 증상 완화(Oh et al., 2012)와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끼 침이 입증되었다.
현재까지 중학생 대상 숲 체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서울시 중학생 대상의 숲 체험 프로그램 만족 도 및 요구도를 분석·고찰하여 향후 중학생 대상의 프로그램 활성 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선정 및 조사시기
서울시 중학생 대상의 숲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은 공 공기관의 경우 산림청, 국립공원관리공단, 각 구의 공원녹지과 또 는 푸른도시과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민간기관의 경우 여러 NGO 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다. 산림청 소속 서울국유림관리소에서는 서 울 및 경인지역 4곳에서 1교1숲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국립공원 관리공단 소속으로는 북한산국립공원에서 청소년 탐사단 프로그 램을 진행하였다. 서울시 각 구에서는 숲길여행, 숲속여행 프로그 램으로 25개 구 중 22개 구에서 진행하였다. 그 외에 (사)숲사랑소 년단의 그린레인저, (주)생명의 숲에서 진행한 LG청소년 숲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4~6월 중 5월에 활발히 진행 되었다. 프로그램이 가장 활발한 5월에 서울시 중학생 대상으로 실 시한 숲 체험은 총 10곳에서 진행한 14개 프로그램이었다. 이 중 예 비조사한 1곳을 제외하고 프로그램 참관 및 설문에 응한 총 8곳에 서 진행한 12개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시기 는 2013년 5월 3일에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만족도 문항에서 대조 문항과 부정문항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2013년 5월 10 일부터 5월 31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2. 설문 내용 및 분석방법
숲 체험 프로그램 만족도와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의 내용은 크게 세 분야로 나누었고 문항은 일반적 특성(8문항), 만 족도(24문항)와 요구도(11문항)로 총 4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able 1).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문항은 Youn(2007)을 참고하 였고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문항은 Kim et al.(2001)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설문은 단일응답형, 다중응답형, 5단계 리커트척도 문항으로 구 성하였다. 리커트척도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 ‘대체로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거의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 점으로, 대부분 긍정적일수록 높은 점수가 나오도록 설계하였다. 만족도 문항에서는 성의 없는 응답을 구별하기 위해 대조문항 2개 와 부정문항 1개를 구성하였다. 대조문항의 경우 각각 긍정적인 문 항만을 결과에서 사용하였고, 부정문항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이 높 은 점수가 되도록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총 381명이었으나,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확인․ 검증 과정을 거쳐 작성이 불성실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설문 지 134부를 제외하고 최종 247부의 유효 설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프로그램 및 이용자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향후 프로그램 구성 에 반영할 사항을 알아내고자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향후 요구에 관한 항목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는 5점 리커트척도 응답의 평균으로 구하였으며 신뢰도 분 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전반적 만족을 보다 높이는 만족 요소를 알 아내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별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구하기 위해 one-way ANOVA와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그 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및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내고자 t-test, 회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적용 프로그램 개요
본 연구에 적용된 서울시 중학생 대상으로 실시하는 숲 체험 프 로그램은 총 8곳에서 시행된 12개 프로그램으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Table 2). 이는 공공기관인 북부지방산림청, 국립공원관리공 단, 구청에서 진행하는 11개 프로그램과 민간기관 1개의 프로그램 이다. 연구대상 프로그램명은 북한산유아숲체험원 주최의 ‘1교 1 숲’, 북한산 국립공원 주최의 ‘청소년탐사단’ (3회 실시), 강남구 주 최의 ‘대모산 숲속여행’ (3회 실시)·강동구 주최의 ‘일자산 숲길여 행’·도봉구 주최의 ‘초안산 습지생태체험’·동대문구 주최의 ‘배봉 산 숲속여행’·서대문구 주최의 ‘안산 방과후자연학교’, (사)생명의 숲 주최의 ‘LG청소년숲교실’이었다. 공공기관에서 실시한 A~K 의 프로그램은 서울시에 소재한 산에서 서울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민간기관에서 실시한 L의 프로그램은 서울 인근 산에 서 서울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시간은 1시간, 1시간 30분, 5시간 30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주로 해설, 관찰, 자연물을 이용한 만들기, 후각체험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그 외에 위해식물을 제거하는 숲가꾸기 활동과 적성을 찾는 기타 주제와 접 목한 활동도 이루어졌다(Table 3).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은 성별, 학년, 거주형태, 환경 관심 유무, 환경동아리 가입여부, 숲 체험 참여 여부에 대한 내용으 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는 남학생 48.6%, 여학생 51.4% 였으며 2학년이 가장 많았고 아파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소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는 매체는 현대 사회에 자주 접하는 대 중매체인 TV와 인터넷이 주를 이루어 간접적으로 환경정보를 얻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숲 체험 참여 횟수로는 처음 으로 참여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Table 4).
3.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1)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분석
(1) 전반적 만족 분석
숲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5점 만 점 중 3.88로 나타나 보통 이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최 고점은 C프로그램으로 4.67, 최저는 E프로그램으로 3.32로 나타 났다(Table 5).
성별과 환경 관심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분석 결과 성별은 전반 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 관심이 있는 학생이 숲 체험 프로그램을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본 설문에 응답한 학생의 학년별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는 oneway ANOVA 분석시 1학년과 3학년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2학년의 만족도는 1·3학년의 만족도에 비 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2) 시설 및 장소에 대한 만족도 분석
프로그램 시설 및 장소에 관한 만족도 문항은 숲의 느낌, 외부 실 시, 안내판, 장소의 쾌적성, 관찰 도구 적정, 관찰 도구 사용 여부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점 리커트척도의 값을 통해 평균을 산출하였 다. 신뢰도 분석 결과 크롬바흐 알파계수가 0.735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분석 결과 현재 이루어지는 숲 체 험 프로그램의 시설 및 장소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만족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에서 실시하고 숲의 느낌이 났다는 항목이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으며 포장된 공원길과 비포장의 녹지 공간 모두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산 에 위치한 체험원 또는 공원으로서 숲의 느낌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Table 8).
시설 및 장소 관련 세부항목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유의성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중 R2값을 통해 장소의 쾌적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31.7%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설 및 장소 에 대한 만족과 전반적 만족도간에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장소가 쾌적한 곳이 프로그램 전반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Table 9).
(3)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만족도 분석
프로그램 진행에 관한 만족도 문항은 진행시간, 관찰시간, 지도 자수, 해설 만족, 전반적 이해, 적극 참여 여부, 학생 주도 프로그램 진행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점 리커트척도의 값을 통해 평균을 산 출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크롬바흐 알파계수가 0.818로 높은 신 뢰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분석 결과 현재 이루어지 는 숲 체험 프로그램의 진행에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만족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중 해설 만족(‘해설이 길어 지루했다’-부정 문항을 긍정척도로 변환)과 학생 주도 프로그램 진행 문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0). 이는 Chang(2012)이 숲 체험 교육 프로 그램은 ‘교사 없는 교육, 프로그램 없는 교육’을 지향하여 교사의 해설보다는 숲이 교과서가 되며 놀이로 인해 배움을 얻기에 아이들 이 스스로 숲 체험을 통해 자연환경 요소의 변화와 생태순환의 고 리를 깨닫게 한다는 교육이념을 고려할 때 지도자의 해설이 길지 않고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진행에 관한 세부항목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의 회귀분 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R2값을 통해 전반적 이해가 전반적 만족도 에 38.5%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만족과 전반적 만족도간에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전반 적 이해가 잘 이루어질 때에 프로그램 전반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 다고 사료된다(Table 11).
(4)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만족도 분석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문항은 심적 편안함, 흙 거부감 감소, 친구 와 친해짐, 환경 지식 관심, 자연 보호 관심, 교육적 도움, 상식 도움 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점 리커트척도의 값을 통해 평균을 산출하 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크롬바흐 알파계수가 0.913으로 높은 신뢰 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분석 결과 현재 이루어지는 숲 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에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2).
환경 관심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test한 결과, 흙 거부감 감소, 친구와 친해짐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환경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숲 체험을 통해 특히 심적인 편 안함을 느끼고 환경 관련 지식 및 보호 의식이 높아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3).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세부항목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의 회귀분 석 결과, 모든 항목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유의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 R2값을 통해 심적 편안함, 교육적 도움, 상식 도움이 각각 50.6%, 71.9%, 61.5%로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끼 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만족과 전반적 만 족도간에 연관성이 높으며 심적으로 편안하거나 교육적으로 도움 이 되거나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을 고려하여 구성 하면 전반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Table 14).
2) 프로그램 비교분석
본 연구에 적용된 프로그램은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대상으 로 하였기에 각 프로그램의 표본집단 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 전 체 프로그램을 비교하는 one-way ANOVA분석 대신 잘 된 사례 와 개선할 사례를 꼽아 t-test를 실시하였다. 앞서 전반적 만족도면 에서 C프로그램이 가장 높았으나 표본집단이 6명으로 매우 작아 두 번째로 만족도가 높은 A프로그램(18명)과 가장 낮은 E프로그 램(41명)을 잘 된 사례와 개선할 사례로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A프로그램은 북한산 유아숲체험원에서 지도자 2인이 18명의 학생을 2조로 나누어 1시간 30분동안 숲 체험을 진행하였고, 장소 는 숲길, 데크공간을 중심으로 식물 해설, 관찰, 톱질, 자연물을 이 용한 만들기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참가한 학생들은 환경동아리 학 생들이었으며 토요일에 가벼운 소지품만 챙겨 프로그램에 참여하 였다. E프로그램은 대모산 자연공원에서 지도자 3인이 85명의 학 생들을 3조로 나누어 1시간동안 숲 체험을 진행하였고, 장소는 숲 길을 중심으로 등산과 식물 해설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참가한 학생들은 여러 학급 학생들이었으며 평일 오후에 실내 수업을 마친 후 책가방을 멘 채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Table 15).
(1) 시설 및 장소에 대한 만족도 비교분석
A와 E프로그램은 시설 및 장소, 진행, 효과의 만족도를 t-test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모든 면에서 A프로그램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6). 시설 및 장소의 만족도에서는 외부에 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장 소의 쾌적성, 도구 구비, 도구 사용 항목은 유의수준 0.001에서 유 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현장조사 시 A프로그램의 경우 장소가 완 만한 경사였고 E프로그램의 경우 다소 가파른 경사를 띠고 있었다. 또한 E프로그램 학생들은 책가방을 멘 채로 숲 체험에 참여하여 숲 체험 장소의 쾌적성이 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A프로그램에 서는 루페, 톱, 나무 줄기 등 다양한 도구를 준비하였고 지도자 1인 당 10명 이내의 인원이 충분히 관찰 및 실습을 하였다. 그에 반해 E 프로그램에서는 루페를 사용하였으나 지도자 1인당 20명 이상을 지도하는 관계로 소수의 인원만이 루페를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요인이 시설 및 장소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717, Fig. 1).
(2)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만족도 비교분석
A와 E프로그램의 진행 만족에 대한 차이를 t-test한 결과, 해설 만족(‘해설이 길어 지루하였다-부정항목), 학생 주도 프로그램 진 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진행시 간, 지도자 수에 관하여는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 타났다(Table 18). 1시간 30분정도로 지도자 1인당 10명 이내의 소수 인원이 배정된 A프로그램과 1시간 정도로 지도자 1인당 25명 이상의 인원이 배정된 E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1시간보 다는 1시간 30분 정도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관찰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지도자 1인당 소수의 학생을 지도하여 전반적 이해를 돕는 것이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4. 향후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숲 체험의 필요성, 재참여 의사, 가 족 또는 친구와 함께 참여할 의사, 다른 이에게 권할 의사 모두 비교 적 높게 나타났다.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가 과반수로 나타났으나 친구와 함께 할 의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 는 가족과는 다소 떨어져 독립적으로 활동하려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Table 20).
재참여의사를 밝힌 학생들이 참여하고 싶은 횟수는 매월 1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매월 1회 이상은 약 58%에 달하여 프로그 램을 자주 실시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1). 한편, 숲 체험 프로그램에 재참여하고 싶지 않은 학생의 경우, 거부 이유에 대해 ‘재미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2).
프로그램 구성면에서 실습(‘학생 주도의 실습’)과 해설(‘지도자 주도의 자연해설’)의 비중에 대해 당일 프로그램과 향후 프로그램 구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실습을 지금보다 더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현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서 선 생님 주도의 해설 시간이 많으며 학생 주도의 실습 비율이 낮다고 생각하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Table 23).
프로그램 활동으로는 실제 참여 경험이 있는 활동과 앞으로 원 하는 활동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숲해설과 숲관찰이 주로 이루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에 잘 이루어지지 않는 활동으로 나타난 숲놀이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로 이루어지는 해설이나 관찰보다 놀이, 만들기, 오감체험, 숲을 가꾸 는 활동으로 학생들이 보다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Table 24).
IV. 적요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생 대상 숲 체험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 구도에 대한 설문 조사와 현장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프로그램이 전반적 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현 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 또한 평소 환경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일수록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및 장소 만족은 외부 실시와 숲의 느낌의 두 항목이 눈에 띄 게 높게 나타났다. Ko(2010)는 학생들이 실내에서의 사진과 영상 물에 의한 학습보다 외부에서의 체험을 통한 환경 학습을 선호한다 고 하였으며, 숲 체험 장소가 산에 위치한 체험원 또는 공원으로서 학생들이 자연에서 오감 체험을 통한 환경 학습을 하기에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사료된다.
프로그램 진행 만족은 해설 만족과 학생 주도의 프로그램 진행 문항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지도자 1인당 배정 인원은 20명보다 적은 소수로 배정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이해와 만족도를 높이며 긍 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의 효과 만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심리 안정(Shin et al., 2007; Lee and Lee, 2012), 사교성, 협동심 등 인성 함양(Nam, 2014),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의식 증진 (Kwon, 2001; Choi, 2011; Nam, 2014) 등의 숲 체험의 다양한 효 과를 학생들이 실제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잘 된 사례와 개선해야할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경사가 다소 완만하고 무거운 책가방을 메지 않고 숲 체험에 참여하는 것이 만 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이며, 지도자 1인당 소수의 학생들을 지도 하며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충분히 관찰과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된다.
프로그램 요구도 결과, 숲 체험 실시 후 많은 학생들이 숲 체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며 재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매 월 1회 이상 1시간 30분 정도의 진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 났다. 프로그램 구성은 일방적인 환경 지식 전달보다 실습 비율을 높여 학생 주도의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가족 또는 친구와 참여할 의사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청 소년 시기에 가족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숲 체험은 실내교육위주의 학생들에게 자연학습 및 체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숲 체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실습하고 경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일회성보 다는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활동이 구성된다면 프로그 램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