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한 CPTED 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대구시 달서구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PTED Theory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ity Parks -In the Case of Children’s Parks in Dalseo-gu, Daegu-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3):195-202
1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2 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김 수봉1, 허 진혁1, 엄 정희1,
1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Daegu 704-701, Korea
2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aegu 704-70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eumjh99@kmu.ac.kr
Received 2014 April 21; Revised 2014 June 3; Accepted 2014 June 12.

Abstract

Urban parks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for residents, but are recently used as place of crimes which have drastically increased in parks. In this study, the theory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was applied to four urban parks located in Dalseo-gu, Daegu by investigating the users’ satisfaction with safety using surveys, and by analysing physical environment with a checklist based on five CPTED design principles. The survey results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in the park indicate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have low satisfaction with crime prevention. In addition, the field survey on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CPTED principle-based checklist shows that the principle ‘Activity Support’ has the highest suita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for crime prevention, and the principle ‘Territorial Reinforcement’ also has high suitability. But, the principles ‘Natural Surveillance’, ‘Natural Access Control’, and ‘Maintenance’ have low suitability, which need to be enhanced in park re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on tree planting, fence types, installation of CCTV were made to improve crime prevention effects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were placed less importance on previous urban parks.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택지개발촉진법으로 인한 대량의 택 지개발계획으로 주택단지의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이로 인하 여 도시 내 공원의 숫자가 증가하는 등 공원분야에서도 많은 양의 발전을 이루었다(Park, 2010). 공원은 도시에 거주하는 도시민들 의 삶에 활력소가 되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어린이공원은 주민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휴식이 행해지는 여가의 공간으로도 활용되어 도 시 생활권 내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급격한 도시개발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하는 데, 그 중 하나가 범죄발생의 증가이다. 특히, 주민들을 위한 공간인 공원은 그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유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소년범 죄, 강력범죄, 절도범죄, 성범죄 등 다양한 유형의 범죄 발생 장소로 이용될 우려가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공원에서의 범죄 발생 건수 가 2001년의 2,476건부터 2010년의 5,420건까지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공원에서의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지역마 다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Park et al., 2011). 이와 같은 공원 내 의 범죄 문제는 공원을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에게 범죄에 대한 심리 적 불안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공원의 안전한 이용을 위협한다. 특히, 어린이 공원은 주 이용대상자가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라는 점과 지역주민들이 가장 가까이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라는 점 에서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는 다양한 방법 중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 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은 건축 설계나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 는 시도이다. 영국에서는 방범환경설계제도(Secured by Design; SBD)를 통해 건물의 신축이나 재건축, 리모델링 계획 수립시 환경 설계와 범죄예방 구조를 점검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범죄예방 환경설계 지침서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주 템페시에서는 1997년 CPTED 조례를 신설하여 건축, 도시개발 및 환경 분야에 적용하고 있으며, 버지니아주 브리스톨시에서는 CPTED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 단독주택 · 공공건물 · 공원 등에 대한 범죄와 범죄 의 공포감을 줄일 수 있는 설계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05).

이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CPTED 제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경찰청은 2005년 범죄예방을 위한 설계 지침을 발표 (National Police Agency, 2005)하고, 서울시는 뉴타운사업 범죄 예방 환경설계지침을 발표(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하는 등 범죄예방설계에 관한 표준화작업을 진행하였다. 하 지만, 이러한 지침들은 대부분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 주거지역 에 대한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2012년 8월 국토해양부 는 도시공원이 각종 범죄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어 대책을 마련하고 자 공원에서의 CPTED 기법을 도입하기 위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일부 개정안을 발표하였으나, 본 지침이 실제 공원사례에 적용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을 바탕으로 현재 조성되어 있는 공원의 범죄예방 환경설계를 진단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침에서 제시한 CPTED 기법을 바탕으 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공원의 심리적 안전 및 물리적 안전에 대한 만족정도를 조사하였다. 공원의 유형 중 시민들이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어린이공원을 사례로 하였으며, 범죄예방 측면에서 어린이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개 선 방안을 제시하여 도시공원에서의 범죄를 미리 예방하고 물리적 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2. 선행연구

1) 건축 및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건축 및 도시계획 분야에서의 CPTED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Kim(2008)은 미국을 비롯한 영국, 네덜란드, 호주, 뉴질랜드 등 해외사례를 검토하여 국내의 CPTED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 으며, Kang and Lee(2007)는 도시주거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심리 · 행태적 특성의 근린관계 형성요인과 방범환경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편, Lee et al.(2008)은 안 전한 도시 및 건축공간 형성에 관련된 법제도 및 가이드라인을 분 석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CPTED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설계를 위한 범죄예 방기법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Kim and Kim(2011)은 최근 다양 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 공동주택단지의 CPTED 적용을 위한 정 책적 방안을 고찰하였다.

2)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최근에는 공원 등 공공공간에서의 범죄예방에 대한 연구도 꾸준 히 진행되고 있다. Song et al.(2009)은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CPTED 이론을 적용하여 CPTED 적용 요소를 보완하였으며, Kim(2001) 은 특히 서울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방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요 소를 도출하였다. Kang and Park(2013) 역시 서울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공원의 CPTED 적용 요소를 도출하는 등 공원과 관 련한 CPTED 연구가 진행되었다. 공원 이외의 공공공간에 대한 연 구도 추진되었는데, Park(2010)은 단독주택지 외부공공공간의 물 리적 환경에 따른 범죄불안감의 관계 파악 및 물리적 환경계획방안 을 제시하였으며, Heo(2011)는 동대문시장에 CPTED 이론을 적 용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의 연구들은 공원 등 공공공간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 였지만, 분석에 활용한 항목들이 주거단지 및 도시계획을 위한

CPTED 지침들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원에 적합한 분석 을 시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II. 연구방법

1 사례지역

본 연구의 대상지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대구광역시 8개의 구 · 군 중 어린이공원 비율이 가장 높은 달 서구로 한정하였으며, 둘째, 어린이 공원의 법적 규모인 1,500m2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공원이며, 셋째, 공원의 조성연도가 10년 이 상으로 시설 노후로 인한 재정비의 필요성이 있는 공원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미리내공원, 목련공원, 샛별공원, 은하 수공원 등 4개의 어린이공원을 선정하였으며(Fig. 1), 선정된 공원 의 일반적인 현황은 Table 1과 같다.

Fig. 1.

Location of selected parks.

General status of selected parks.

2. 설문조사

대상지 공원의 안전에 대한 이용자들의 심리적 · 물리적 만족도 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2년 10월 14일부터 2012년 10월 20일에 걸쳐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까지 1:1면접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어린이 공원은 주민들이 가장 쉽 게 접근할 수 있는 휴식 및 여가공간으로써 어린이뿐만 아니라 다 양한 연령층의 주민들이 이용한다는 점과 범죄예방에 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어린이들의 판단력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문조사는 어린이에 국한하지 않고 대상지 공원의 실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대상지 별로 50부의 설문 지를 회수하여 총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200명 의 성별 분포는 남성 97명(48.5%), 여성 103명(51.5%)이었으며, 목련공원과 샛별공원은 각 46%(23명)와 50%(25명)로 10대 응답 자가 가장 많았으며, 미리내공원과 은하수공원은 각각 38%(19 명), 50%(25명)로 20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Table 2)와 같다. 조사의 내용은 공원의 심리적 안전 만족도 및 물리적 안전 만족도 로 구분하였으며, ‘매우만족=5점’, ‘만족=4점’, ‘보통=3점’, ‘불만 족=2점’, ‘매우불만족=1점’의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구성하였다. 전산 입력된 자료의 분석은 Microsoft Excel 2010 통 계분석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서술적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및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하여 공원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Age-related distribution of survey respondents.

3. 물리적 환경 체크리스트

공원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8월에 개정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 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범죄예방 환경설 계 항목을 활용하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Table 3은 CPTED 의 5가지 설계원리를 기준으로 작성된 14가지 체크리스트 항목이다

Checklist for physical environment.

4. 현장조사

본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위성사진 및 도면을 활용 하여 조사대상지의 일반적인 물리적 환경을 조사하였고, 둘째, 작 성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사진촬영 및 관찰을 통해 각 공원별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 및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적합도를 조사하 였다. 현장조사는 2013년 3월 11일부터 2013년 3월 22일까지 오 후 1시∼3시 사이에 실시하였다. 범죄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공원별 적합도 및 다섯 가지 CPTED 설계원리에 따른 적합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적합=3점’, ‘보통=2점’, ‘미흡=1점’의 점수를 부여하여 설계원리별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원별 설계원리에 대한 적합정도의 수준을 도식화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안전 만족도 분석

Table 4는 조사대상지에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심리적인 안전 만족도 및 물리적 안전 만족도에 대한 설문결과이다. 우선, 공원의 심리적 안전 만족도에 대하여 응답자 중 ‘매우 불만족’하다는 응답 이 62명(31%),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59명(29.5%)으로 응답자 의 절반이상(60.5%)에 달하는 이용자가 공원에서의 범죄발생에 대하여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점 리커르 트 척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공원의 심리적 안전 만족도의 전체 평 균점수는 2.24점으로 보통(3점)이하의 만족도를 나타내어 조사대 상지의 심리적 안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원별 평 균을 살펴보면, 미리내공원이 평균 1.82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어 범죄발생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은 하수공원(2.22점), 목련공원(2.40점), 샛별공원(2.52점)의 순으로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 이 공원별 비교에서는 집단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16, P<0.05).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Result of the ANOVA analysis for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조사대상지에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물리적인 안전 만족도에 대 한 설문결과와 관련해서, 응답자 중 ‘매우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55명(27.5%), ‘불만족’하다는 응답이 62명(31%)으로 응답자의 절반이상(58.5%)에 달하는 이용자가 공원에서의 범죄발생에 대 한 물리적인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점 리커르트 척 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공원의 심리적 안전 만족도의 전체 평균점수 는 2.33점으로 심리적 안전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물리적 안전 만족 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원별 평균을 살펴보면, 미리내공 원(2.12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은하수공원(2.16점), 목련공 원(2.30점), 샛별공원(2.72점)의 순으로 조사되어 심리적 안전 만 족도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심리적 안전 만족도와 같이 공원별 비교에서 집단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3.14, P<0.05).

이는 어린이공원의 물리적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범죄 에 대한 불안감이 높으며, 이러한 물리적 안전에 대한 낮은 만족도 가 범죄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2. 물리적 환경 분석

조사대상 어린이공원의 물리적 환경을 조사한 결과 대상지별로 물리적 환경에 차이가 있었으며, 공원 별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조사되었다(Table 6).

Suita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1) 미리내공원

미리내공원은 ‘감시강화’에서 1m 이하의 낮은 생울타리 높이에 의한 자연감시에서는 적합하나, 공원 경계에 식재된 교목들로 인한 주변 주거단지에서의 시야 방해, 공원 내부의 CCTV 미설치 등의 문제점을 보여 보통(2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접근통제’에서 는 공원 입구에 방범 초소 및 CCTV가 설치되지 않고, 담장이 개방 형이긴 하지만 높이가 1m 이하로 낮아 주출입구가 아닌 곳으로의 접근이 용이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보통이하(1.33점)의 적합도를 보였다. ‘영역성 강화’와 관련하여 주출입구 안내판 설치에 관한 문 제점 등으로 보통(2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유지관리’ 항목에 서는 공원 경계에 쓰레기 적재 방치 및 주변의 차량 주차, 공원 울타 리의 수목관리 소홀 등으로 보통이하(1.33점)의 적합도를 나타내 었다. 종합적으로 ‘활동의 지원’ 항목이 3점으로 가장 높은 적합도 를 나타내었으며 ‘접근통제’ 및 ‘유지관리’ 등과 관련된 항목들이 1.33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이는 범죄자의 접근통제 미흡과 유지관리 소홀로 인한 공원이미지의 저해로 공원 이용률의 저하 및 이용자들의 범죄불안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2) 목련공원

목련공원은 ‘감시강화’ 항목에서 1m 이하의 낮은 생울타리 높 이에 의한 자연감시는 용이하나, 공원 내의 시야를 방해하는 일정 하지 않은 수목 배치, 공원 내 CCTV 미설치, 이용되지 않는 건물의 방치로 인한 은닉장소 제공 등의 문제점을 보여 보통이하(1.5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접근통제’에서는 미리내공원과 마찬가지 로 공원 입구에 방범 초소 및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담장이 개방형이지만 높이가 1m 이하로 낮아 주출입구가 아닌 곳으로의 접근이 용이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보통이하(1.67점)의 적합도를 보였다. ‘영역성 강화’와 관련하여 주출입구 안내판 위치의 부적절 함 등으로 인해 보통(2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유지관리’에서 는 공원 경계부의 수목 유실로 인한 공원 내부로의 침입 가능성, 공 원에 설치된 노후된 시설물 미교체 등 보통이하(1.67점)의 적합도 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는 미리내공원과 마찬가지로 ‘활동의 지원’에 관한 항목들이 가장 높은 적합도(3점)을 나타내었으며, ‘감시강화’(1.5점)와 관련된 항목들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3) 샛별공원

샛별공원은 ‘감시강화’와 관련된 항목에서 공원주변의 교목으 로 인한 아파트 쪽에서의 내부 시야차단, 화장실 뒤쪽 및 램프 옆쪽 에 특정 위치에서의 시야차단으로 인한 사각지대 발생, 공원 내부 의 CCTV 미설치, 최고 1.8m 높이의 폐쇄형 담장으로 인한 시야차 단 등으로 인해 보통이하(1.5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접근통 제’에서는 최고 1.8m 높이의 담장 설치로 인해 공원의 경계가 분명 하고 접근통제에는 적합하지만, 개방형 혹은 투시형 담장이 아닌 폐쇄형 담장형태로 인해 앞에서 설명한 감시강화 부분에서는 적합 하지 않다. 또한, 공원 입구에 방범 초소 및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접근통제 부분에서 보통이하(1.33점)

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영역성 강화’와 관련하여 안내판의 내 용기재가 미비하지만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되어 있어 보통이상(2.5) 의 적합도를 보였다. ‘유지관리’측면에서는 아파트 보도에 식재된 수목의 관리소홀로 인한 내부감시차단이 미흡하지만 공원 내 · 외 부의 환경관리가 양호하여 보통(2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종 합적으로 앞의 공원들과 마찬가지로 ‘활동의 지원’에 대한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며(3점), ‘접근통제’(1.33점)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4) 은하수공원

은하수공원은 ‘감시강화’에서 공원 내부에 식재된 1m 이하의 낮은 관목과 지하고가 높은 교목들이 5m 이상의 일정 간격으로 식 재되어 있어 자연감시를 위한 물리적 환경은 적합하나, 공원 내부 의 CCTV 미설치 등으로 인해 보통(2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접근통제’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공원 입구에 방범 초소 및 CCTV 가 설치되어있지 않고, 미리내공원 및 목련공원과 마찬가지로 담장 이 개방형이긴 하지만 50cm 높이의 낮은 담장으로 인해 범죄자의 접근통제에 대한 문제점을 나타내어 보통이하(1.33점)의 적합도 를 보였다. ‘영역성 강화’와 관련하여 공원안내판이 주 출입구가 아 닌 공원내부 화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용준수사항 및 이용시간 등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출입구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있고 주 출입구에 설치된 상징물로 인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점 등으로 보 통이상(2.5점)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유지관리’ 항목에서는 공 원 주변의 차량 주차로 인한 내부 감시 차단, 공원 내부의 시설물 관 리 소홀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지만 공원 내부의 양호한 수목관리 와 내외부의 쓰레기 정비 등 양호한 환경정비 상태를 유지하고 있 어 조사대상 공원 중 가장 높은 적합도(2.33점)를 나타내었다. 종합 적으로 다른 공원들과 마찬가지로 ‘활동의 지원’에 대한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며(3점), ‘접근통제(1.33점)’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5) 종합

Fig. 2는 조사대상지의 물리적 환경 적합도를 종합한 결과이다. 다섯 가지 CPTED 설계원리 중에서 ‘활동의 지원’과 관련해서 가 장 높은 물리적 환경 적합도(3점)를 나타내어 야간에도 공원을 안 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영역성 강화’는 보통이상(2.25점)의 적합도로 조사되어 공원의 영역성을 확보하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감시강화(1.75점)’, ‘유지관 리(1.83점)’, ‘접근통제(1.42점)’의 설계원리와 관련해서는 모두 보통이하로 나타나, 조사대상 공원의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강화한 재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2.

Suitability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

IV. 적요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도시공원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공원 중 달서구에 위치한 4개 어린이 공원을 대상으로 CPTED 이론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안전 만족도를 조사하고, 체크 리스트를 바탕으로 CPTED 설계원칙에 따른 물리적 환경 적합도 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설문 조사를 통한 어린이공원 이용자의 심리적 · 물리적 안전 만족도를 조사하였는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공원에 서의 범죄발생에 대하여 심리적 · 물리적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별로는 미리내공원, 은하수공원, 목련공원, 샛별 공원의 순으로 심리적 · 물리적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물 리적 안전에 대한 낮은 만족도가 심리적인 범죄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을 바탕 으로 다섯 가지 CPTED 설계원칙에 따른 14개 항목의 체크리스트 작성하여 현장 조사를 통한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물리적 환경에 관 한 문제점을 찾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가지 설계 원칙 중 ‘활동의 지원’이 가장 높은 물리적 환경 적합도를, ‘영역성 강화’도 보통이상의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나, ‘감시강화’, ‘유지관 리’, ‘접근통제’에서는 보통이하로 나타나 공원의 범죄예방을 위해 서는 이러한 측면을 강화한 재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기존의 공원을 재정비할 경우 범 죄예방을 위해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환경설계가 고려되어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National Police Agency, 200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첫째, 관목의 경우 1-1.5m, 교목일 경우 지하고 1.8m 이상의 수 목을 식재하여 시야확보를 통한 자연적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공원 내에 CCTV를 설치하여 기계적 감시를 강화하고, 경 고문 부착, 관리사무실 설치 등 범죄자를 미리 차단시키는 접근 통 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공원 경계에 설치하는 담장은 자연적 감시를 위해 투시형 으로 설치하며, 주출입구가 아닌 곳으로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높이는 1.5m-1.8m로 제한한다. 또한, 경계부분에 생울타리를 식재 할 경우 자연감시와 접근통제를 위해 수고를 1-1.5m로 제한한다.

넷째, 공원 안내판은 주출입구의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며, 이용 준수사항, 공원이용시간, 금지사항 등의 내용을 기재해야 한다.

다섯째, 공원 내 · 외부의 환경 정리를 철저히 하여 항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공원 주변을 주차금지구역으로 지정하여 차량으 로 인한 내부 감시 차단을 방지하며, 건물, 시설물, 수목 등으로 인 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여섯째, 공원 내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며, 훼손 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보수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지를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어린 이공원 4곳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모든 도시공원에 적용할 수 있 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범죄에 취약한 계층인 어린이, 여성 및 노년층 중심으로 CPTED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한 설문조사 및 이들의 행태에 따른 현장조사가 강화된다면 범죄예방 환경설계에 유용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시공원의 개별적인 물리적 환경과 범죄불안감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가 어떠 한 유형의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유도하는지 파악한다면 보다 구체 적인 범죄예방 설계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References

Heo J.E. Research into ways of improving environmental design with CPTED. MS thesis 2011. Seoul, Korea: Kookmin Univ;
Kang S.J, Lee K.H. A research on creating crime-Safe environment through enforc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urban residential area. J.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7. 23(7)97–106.
Kang S.J, Park M.R. A study on the safer parks using CPTED principles. J.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3. 29(3)125–134.
Kim G.S. A study on application plan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safety of city. Kor. J. European Public Administration 2008. 5(1)33–58.
Kim H.S. A study on the creating defensible space in the urban neighborhood park. MS thesis 2001. Seoul, Korea: Yonsei Univ;
Kim S.S, Kim D.K. A study on schemes to activate CPTED in housing complex.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2011. 7(1)55–78.
Lee E.H, Kang S.J, Lee K.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trict unit plan. J.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 24(2)129–138.
National Police Agency. Measures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2005. –77.
Park J.A.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public space in residential area for preventing fear of crime. MS thesis 2010. Seoul, Korea: Yonsei Univ;
Park M.R, Shin E.G, Kang Y.G, Kang S.J, Park H.H. How to institutionalize CPTED in Korea (IV): An application of CPTED principles for city parks. Report of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1. Seoul:
Park W.G.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method of children’s parks. MS thesis 2010. Korea: Yeungnam Univ;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uideline of CPTED for redevelopment promotion area. 2009. –148.
Song E.J, Song J.H, Oh G.S. A study on the technique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neighborhood park.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29(1)237–24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Location of selected parks.

Table 1.

General status of selected parks.

Park Year Area Purpose Facility Planting

Mirinae 1997 1,500m2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 1 combination playground structure, 2 pergolas, 13 benches, 3 lighting , 1 wastebasket, 1 basketball court, 1 information sign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ligustrum obtusifolium, Forsythia koreana

Mokryun 1995 1,543m2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1 senior center, 1 combination playground structure, 1 pergolas, 8 benches, 4 lighting, 1 wastebasket, 2 sports facilities, 1 information sign Pinus strobus, Ginkgo biloba, Zelkova serrata, Sophora japonica, Magnolia kobus, Malus prunifolia., Cornus kousa, Malus sieboldii, Cercis chinensis, Berberis koreana

Satbyeol 1995 1,501m2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1 combination playground structure, 1 turning stage, 1 jungle gym, 2 pergolas, 6 benches, 3 lighting, 1 wastebasket, 1 information sign Pinus strobus, Ginkgo biloba, Zelkova serrata, Lagerstroemia indica, Acer palmatum Thunb, Acer palmatum var. amoenum

Eunhasoo 1998 1,500m2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1 combination playground structure, 2 pergolas, 6 benches, 5 lighting, 1 wastebasket, 1 information sign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nus officinalis, Forsythia koreana

Table 2.

Age-related distribution of survey respondents.

Site Age Total

< 9 10~19 20~29 30~39 40~49 >50

Mirinae 8(16%) 7(14%) 19(38%) 3(6%) 8(16%) 5(10%) 50(100%)
Mokryun 5(10%) 23(46%) 4(8%) 2(4%) 10(20%) 6(12%) 50(100%)
Satbyeol 7(14%) 25(50%) 6(12%) 3(6%) 6(12%) 3(6%) 50(100%)
Eunhasoo 3(6%) 4(8%) 25(50%) 3(6%) 10(20%) 5(10%) 50(100%)
전체 23(12.5%) 59(34.5%) 54(21%) 11(5.5%) 34(17%) 19(9.5%) 200(100%)

Table 3.

Checklist for physical environment.

Principle No. Item

Natural surveillance 1 Sight lines are unobstructed by trees and park facilities.
2 All barriers along pathways are permeable (see-through).
3 Tree planting suitable to avoid blind corners and hiding places.
4 CCTV is properly installed throughout the site.

Natural access control 5 Management (control) offices are located at entrances.
6 CCTV is properly installed at entrances and exits.
7 Park boundary is cleary defined to lead users at formal entrances.

Territorial reinforcement 8 Entrances are be clearly identified.
9 Information signs are installed where users can easily find.

Activity support 10 Adequate lighting is provided throughout the site.
11 Trees and park facilities don t interfere with lighting.

Maintenance 12 Trees are maintained not to obstruct sight lines.
13 Park facilities (ex. benches, wastebaskets, signs) are well-maintained, in order to an impression of care and security.
14 Surroundings of the park are clean and well maintained.

Table 4.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Site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safety* Total** Satisfaction with physical safety* Total**


Very high High Medium Low Very low Very high High Medium Low Very low

Mirinae 1(2%) 2(4%) 10(20%) 11(22%) 26(52%) 1.82±1.02 2(4%) 4(8%) 10(20%) 16(32%) 18(36%) 2.12±1.12
Mokryun 2(4%) 9(18%) 10(20%) 15(30%) 14(28%) 2.40±1.20 3(6%) 6(12%) 10(20%) 15(30%) 16(32%) 2.30±1.22
Satbyeol 3(6%) 3(6%) 20(40%) 15(30%) 9(18%) 2.52±1.05 2(4%) 5(10%) 25(50%) 13(26%) 5(10%) 2.72±0.93
Eunhasoo 0(0%) 5(10%) 14(28%) 18(36%) 13(26%) 2.22±0.95 2(4%) 4(8%) 10(20%) 18(36%) 16(32%) 2.16±1.09
Sum 6(3%) 19(9.5%) 54(27%) 59(29.5%) 62(31%) 2.24±1.09 9(4.5%) 19(9.5%) 55(27.5%) 62(31%) 55(27.5%) 2.33±1.11
*

A typical five-point Likert rating scale was used: very high=5, high=4, medium=3, low=2, very low=1.

**

Means ± Standard Deviation.

Table 5.

Result of the ANOVA analysis for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fety.

Site Sorce of variation Sum of squares Df Mean square F-value Sig.

Psycological Safety Between Group 14.04 3 4.68 4.161132 0.006942
Within Group 220.44 196 1.124694
Total 234.48 199

Physical Safety Between Group 11.295 3 3.765 3.145792 0.026257
Within Group 234.58 196 1.196837
Total 245.875 199

Table 6.

Suita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Principle No. Suita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Average*

Mirinae Average* Mokryun Average* Satbyeol Average* Eunhasoo Average*

Natural Surveillance 1 Medium 2.00 Low 1.50 Low 1.50 Medium 2.00 1.75
2 Medium Low Medium Medium
3 High High Medium High
4 Low Low Low Low

Natural Access Control 5 Low 1.33 Medium 1.67 Low 1.33 Low 1.33 1.42
6 Low Low Low Low
7 Medium Medium Medium Medium

Territorial Reinforcement 8 Medium 2.00 High 2.00 Medium 2.50 High 2.50 2.25
9 Medium Low High Medium

Activity Support 10 High 3.00 High 3.00 High 3.00 High 3.00 3.00
11 High High High High

Maintenance 12 Medium 1.33 Low 1.67 Medium 2.00 High 2.33 1.83
13 Low Medium Low Medium
14 Low Medium High Medium
*

Average was calculated by using three-point rating scale: high=3, medium=2, low=1.

Fig. 2.

Suitability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