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 감성에 기반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DIY 패키지의 활용성 검증 -프리저브드 플라워 브랜드 에버로즈 패키지를 중심으로-

Availability Research of DIY Package based on Color Sensibility -Focused on Package Design of Preserved Flower Brand Everos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2):155-161
1 천안연암대학 화훼디자인계열
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권 혜진1, 김 내리2,
1 1Department of Floral and Plant Design, Cheonan Yonam College, Chungcheong-Do 331-709, Korea
2 2Department of Design, College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Corresponding author: naeri79@naver.com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강소농수익모델현장접목연구사업 (과제번호 PJ00881202201301)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ceived 2014 March 26; Revised 2014 April 21; Accepted 2014 April 2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design concepts and expression of DIY Package based on Color Sensibility. Color Sensibility DIY Package based on the branding work has a significance as emotional design, it suits as preserved flower goods. The scope and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did a survey about the suitability of design concepts to flower, design and color experts. Second, we did a survey about the suitability of design expression of 4 package. Finall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and drew a suitability and the additional meaning.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The concept words (pretty+romantic, classic+gorgeous, natural, casual) was suitable and additionally another concept word ‘Elegant’ has a meaning at flower goods, so we can reflect the result at a follow-up study. At design expression, most preferred image words on package 2,3,4 (pretty+romantic, natural, casual) were coincided to purposive concept words. It means it is perfectly obvious that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design was effective. At package 1 (classic+gorgeous,), second preferred image word were coincided to purposive concept words. The color of package was adjusted on purpose for being aware of flower wel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ckage design, if the image of flowers in the package are simulated together is suggested on the survey paper, we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gap. And we need to modify the pattern of package 1 according to additional opinion of people surveyed.

I. 서론

지난 20세기가 이성이 지배하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감히 감 성의 시대로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감성은 특정한 행동을 불러 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으나, 이성이 지배하던 지난 세기에 지극 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지난 세기 상대적으로 가 치 절하되어왔다. 현대에 이르러 감성은 지위 회복이라 할 만큼 그 의미가 재인식되고 있다. 최근 디자인에서도 감성적 접근에 주목하 고 있다. 과거 디자인이 기능적 접근과 시각적 자극을 중심으로 소 비자에게 구매를 호소하는 것이었다면, 최근 이를 넘어 감성적 접 근과 경험의 설계에 주목하고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체험 마 케팅을 연구한 번 슈미트는 마케팅 접근의 초점이 경험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하였다(Schmitt and Simonson, 2007). 최근 기업들 사이에 이슈가 되고 있는 브랜드 마케팅, 스페 이스 마케팅이 그것이다. 특히 브랜딩은 포화된 기존 시장에 대한 대응의 관점이 컸던 만큼 화훼 시장의 정체 현상을 연구한 선행 연 구들의 해결점으로 많이 언급되었던 부분이었다. 하지만 화훼 업계 에서는 브랜딩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인 심볼 및 로고로서 광고 등의 관리 개념으로 한정시키는 경향이 있었다(Kim, 199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상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 브랜드 정 립과 이에 따른 상품을 제안하였고, 이에 앞서 브랜드의 성공 조건 으로 언급되는 품질 균일성 및 물량 공급의 지속(Lee, 2011)을 위 해 국내 농가에 기술 교육과 생산 인프라를 지원함으로서 지속가능 한 정책으로서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브랜드와 상품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화훼와 기술의 융합으로 높은 부 가가치 창출을 유도할 수 있기에 최근 정체된 화훼 시장에 대한 대 안으로 가치가 주목되어 왔다. 한국은 프리저브드 플라워에 차별화 된 기술력을 보유한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으나, 다양한 소재 공급 의 어려움에서 약점이 있다 하겠다. 이는 국내 화훼 산업 전반의 문 제이기도 한데,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생화와 달리 장시간 보존 가 능하여 국내 시장의 한계점에 대한 대안 역할을 할 수 있다 판단된 다.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시장 확대를 위해 역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꽃의 생활화라 판단되었고, 기존의 생화가 갖는 한계점을 극 복 할 수 있는 소재라는 점이 대중에게 인식되지 못한 상태이기에,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활용적 측면을 인식하게 하는 상품을 제안하 고자 하였다. 이에 소재 특성과 가격대 등을 고려할 때, 준 전문가를 타겟으로 하는 DIY 패키지로 방향을 정하고 패키지 개발이 이루어 졌다. 이렇게 제안된 색채 감성 패키지에 대해 감성적 표현 제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설문을 통해 분석해 보고 연구의 의의 와 개선점, 향후 전개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본 연구는 감성 시대의 디자인 방법론에 기반하여 학문적 의 의를 찾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하에 진행된 연구 과제의 결 과물 색채 감성 DIY 패키지에 대한 활용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 그동안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던 프리저브드 플라워 산업에서 상품 경쟁력을 타진하고 발전적 방향 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II. 연구방법

1. 연구의 범위

색채 감성 DIY 패키지는 기 개발된 8송이 메인패키지의 형식, 형태, 기본 모티프 패턴을 유지한 채 색채 감성적 측면을 가미하여, 여러 색상의 꽃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여러 색상이 필요한 절화 오 브제 조형의 특성을 고려하고 남는 재료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 이며, 색상 구성이라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상품 내 포함하여 결과 적으로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소비 시장을 준전문가까지로 확장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성 언어의 선정을 위해 우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시장 에서 꽃 소비가 집중되는 시기와 날을 목적별로 구분하였다. 우리 나라 꽃 소비의 특징은 가정용 꽃 소비가 적고 약 60%~70%가 행 사용 및 경조사용 꽃 소비가 많다는(Jung, 2010) 특징을 가진다. 이 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는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한국 화훼 소비의 경향을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Categories by main purpose of purchasing flower goods in Korea

있다. Jung(2010)에 의하면 판매량이 목적별로는 생일과 개인 기 념일 축하, 졸업과 입학 축하, 승진 및 개업 축하, 집 장식용, 교육용 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5월, 2월, 3월, 4월, 12월의 순서 로, 시즌별로는 졸업, 어버이날, 크리스마스, 발렌타인데이, 스승의 날 순서로 나타났다. Heo et al. (2002)의 논문에서는 상품 품목별 매출을 통해 의도를 살펴보았다. 온라인 샵에서 품목별로 매출은 절화가 가장 높았으며(65%), 관엽식물(19.3%), 난(14.8), 기타 (0.9%) 순으로 나타났다. 절화에 있어서는 경조화환이 매출의 32.5%를, 꽃바구니가 23.4%로 화환은 7, 8월을 제외한 거의 모든 달에서 꾸준한 매출이 유지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시기별 매출에 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화훼 상품 구매 목적을 잘 나타낸다. 난 역시 전 시기에 고루 매출이 분포되어 있어, 개별 기념과 경조사용임을 잘 보여준다.

이에 결혼식, 장례식 등 기관을 경유해 꽃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 를 제외한 소매가 이루어지는 목적을 그룹핑하여, 개별 기념 목적 과 축하 목적, 감사 시즌과 특정날(크리스마스와 발렌타인데이)로 분류하고(Table 1) 그룹핑된 목적군을 생각할 때 연상되는 화훼 상 품의 감성 이미지 언어를 선정하고, 색채 감성 패키지 디자인 4개안 을 제시하였다(Fig. 1).

Fig. 1.

Everose main package and color sensibility package.

패키지의 컨셉 언어는 색채 감성 디자인의 가이드로 활용도가 높은 IRI color image scale의 언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개별 기념일을 연상하는 언어로 Romantic, Pretty를, 감사 시즌을 목적 하여 Classic을 우선 선정하였다. Romantic과 Pretty는 서로 다른 감성을 주는 어휘이나 맵 좌표상 인근하고 있으며, 두 어휘 모두 꽃 상품에서는 선호될 것으로 예상되어, 현실적으로 제작 여건을 감안 한 <Romantic + Pretty>패키지로 하였다. 패션과 디자인 계열에 서 활용도가 높은 IRI color image scale이 화훼에서의 표현과 다 르거나 제한적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Classic의 경우가 그러하였다. 화훼 상품의 배색 유형에 따른 색채 이미지를 연구한 Wang(2008)에 따르면 화훼에서의 Classic은 R(vv, lt)계열의 동 일색 조화가 선호된다. IRI color image scale에서 Classic은 화훼 에서의 색 연상보다 채도가 낮고 색상에서 R계열에 한정되지 않음 을 볼 수 있다. 이를 화훼에서의 언어 뉘앙스 차이라 보고 컬러 팔레 트를 넓히고자 하였다. 화훼에서의 Classic은 Decorative와 유사 한 특징을 보이는데, Decorative는 R을 중심으로 P와 YR-GY-P 와 RP+P 계열로 확장하는 특성이 있어 R에서 Y로의 동일색 조화 중심의 Classic보다 색조가 확장된다. 선호하지 않는 색조는 Y+GY(lt, pl)으로 일치함을 보여주어(Wang, 2008) 두 언어가 화 훼에서 유사한 연상을 가지며, Classic보다 Decorative가 보다 넓 은 색조를 포괄한다. 이에 인근 어휘를 결합하여 실질적인 의미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대표 어휘 15개 중 에 Decorative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어휘와 유사한 색조 특징을 가진 Gorgeous를 가미하여 Classic 어휘가 갖는 화훼 상품 의 의미적 제한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Classic + Gorgeous> 와 같이 언어를 혼합하여 색채 팔레트 군을 넓혀 작업을 진행하였 다. 세 번째 어휘는 축하 목적이나 파티 연출을 목적하는 젊은층의 수요를 고려하여 Casual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꽃 상품을 선 택하게 되는 목적을 고려, 꽃 자체에서 연상되는 이미지 언어를 추 가하였다. 화훼 전문가를 대상으로 화훼 상품에 적합한 이미지 형 용사를 설문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10개 어휘(고급스러운, 귀여운, 사랑스러운, 신선한, 우아한, 장식적인, 고전적인, 풍성한, 향기로운, 화려한) 중(Wang, 2008), 앞서 선정한 언어가 포괄하지 못한 감성은 Fresh, Natural과 같은 자연소재에서 얻을 수 있는 청 량함과 순수함에 대한 이미지라 판단하였고, 이에 Natural 언어를 선정하였다.

2. 연구의 방법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제안시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도출한 꽃 구입 목적별 6개 유형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설 문으로 색채 연상 어휘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2차 설문으로 색채 감 성 패키지 4개안의 표현 적절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2014년 1월~2월 사이에 온라인 상에서 실시되었으며,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occupation.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major.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working period.

화훼 상품과 관련된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화 훼 디자인 및 기타 디자인(공간, 시각 등), 색채 디자인 관련 전문가 들이며, 대상 직군으로 볼 때 디자인 종사자(66.7%), 학업 및 연구 종사자(16.7%), 영업 및 홍보 종사자(8.3%), 기타(8.3%)로 직접 디자이너가 과반수이상이었다(Table 1). 전공으로 보았을 때, 화 훼 전공자(41.6%)가 인테리어, 그래픽 등 기타 디자인 영역 전공자 (33.3%)에 비해 조금 많았고, 그 다음으로 색채 전공자(16.7%), 기 타(8.3%)로 나타났다(Table 3). 경력 기간은 10년 이상(58.3%)이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5~10년 사이(25%), 1~5년 사이 (16.7%)로 나타났다(Table 4). 직접 화훼를 다루어본 적이 있는 사 람(58.3%)이 그렇지 않은 사람(41.7%)보다 조금 많았다. 디자인 직군 종사자가 과반수이상이라는 점은 화훼 구입의 직접적 연관성 이 있는 대상자라는 의미로 해석, 전공 영역이 화훼를 직접 사용하 는 화훼, 조경, 원예와 인테리어, 그래픽 등의 인접 디자인 영역, 색 채 전공과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모집군을 이룬다는 점은 상품 구입 자의 다각적 측면을 반영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색채 어휘는 IRI color image scale의 대표 어휘 15개(Casual, Natural, Pretty, Romantic, Clear, Elegant, Cool-casual, Chic, Modern, Formal, Dandy, Classic, Gorgeous, Ethnic, Dynamic) 로 진행하였고, 영문 어휘를 기본으로 한글 어휘를 보조적으로 병 기하였다.

1차 설문은 목적 날에 연상되는 어휘 선호를 조사하였으며, 상위 30% 이상의 어휘를 유의하게 판단하여, 디자인시 목적한 컨셉 어 휘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아 컨셉 언어 선정의 적절성을 검증하였 다. 2차 설문은 패키지 디자인 표현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제 안된 4개의 디자인을 본 후 상기 15개의 색채 감성 어휘 중 선택하 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 방법은 빈 도분석과 Anova분석을 이용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색채 감성 패키지 컨셉 언어 선정 관련 설문

1차 설문은 꽃 상품 구입이 많은 6개의 목적[개별 기념 목적(생 일과 기념일), 축하 목적, 감사 목적, 특정날(크리스마스와 발렌타 인데이)]에 대해 연상되는 이미지 어휘를 IRI Color Image의 대표 어휘 15개 중에 선정하는 방식(복수선택 가능)으로 진행하였다 (Fig. 2). 이 과정은 꽃 판매가 많을 시기에 고객이 원하는 컬러 컨셉 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Fig. 2.

Frequency of preferred concept words (%).

Preferred words rank evoking each purposive day.

설문 결과 선호가 집중된 50% 이상 선호된 언어는 Romantic이 었으며, 뒤를 이어 40% 이상 선호된 언어는 Pretty, 30% 이상 선호 된 언어는 Classic, Elegant, 다음으로 25%이상 선호된 언어는 Casual, Gorgeous, Natural이었다. 선호도의 집중으로 유의하게 보이지는 않으나 선호되었던 어휘는 Clear, Chic, Dandy(15%), Cool-casual, Ethnic, Modern(8%)로 나타났다(Table 5).

의미를 살펴보면, 격식을 중요시할 경우와 개별적 감정 공유의 경우 선호 어휘가 크게 나뉨을 볼 수 있다. 개별 기념일과 생일, 발렌 타인데이 등 사적 목적과 개인적 감정 공유의 목적에 있어 Romantic 과 Pretty가 선호되었으며, 승진, 스승의 날과 같은 공적이며 격식 을 갖추어야 하는 경우에 Classic, Elegant, Gorgeous, Natural 등 이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다른 경우와 달리 Classic 주변의 어휘들, Chic, Dandy 등의 어휘의 선호도가 나타 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격식이 있고, 점잖은, 튀지 않고, 고상한 등 의 이미지 맥락을 연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크리스마스, 생 일, 졸업식 등 미성년들이 함께 즐기는 날의 경우는 Casual의 어휘 가 선호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25%이상의 상위에 색채 감성 패키지 디자인 시 설정하였던 컨셉 언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컨 셉 언어 선정은 적절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단, Elegant 어휘가 25% 이상 선택되어 선호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제안된 4개 의 패키지의 이미지에는 반영되지 않았기에 후속 연구 시 추가적으 로 주목할 언어로 생각된다.

2. 색채 감성 패키지 디자인 표현 관련 설문

2차 설문에서는 디자인 4개안(Fig. 3)에 관해 표현 적합성을 검 증하였다. 1차적으로 디자인 안을 보고 IRI Color Image 중 대표 어휘 15개에 대해 리커드 척도(5점 척도)로 만족도를 표기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하였다(Fig. 4). IRI color image scale 좌표 상 어휘 위치와 유사한 배치를 가지고 있는 원형 그래프 상에 선호도를 표 기하여 연상 어휘가 단순히 수치 순위만이 아닌 어떤 분위기의 언 어에 선호가 집중되어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상위 30%에 해당 하는 평균 3.5점 이상의 어휘를 유의미하게 보았으며, 이러한 선별 어휘와 목적 어휘가 일치하는지 분석해보고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 였다. 2차적으로는 가장 연상되는 어휘별 순위를 기반으로 목적 어 휘와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부가적으로 연상한 이유, 디자인 목 적과 다르게 느꼈다면 그 이유에 대해 설문하였다.

Fig. 3.

Package design based on the color image.

Fig. 4.

Likert scale of associated words seeing design of 4 packages.

패키지 1 <Classic+Gorgeous>에서 3.5점 이상(상위 30%)으 로 유의한 어휘는 Elegant(3.8점), Classic과 Chic(3.5점)의 순으 로 나타났다. 원형 그래프 상에서 볼 때, 오른쪽 위로 기울어진 달걀 모양을 기본으로 오른쪽 아래의 볼륨이 형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중심에서 퍼져나간 원형에 가까우면서도 2개의 사선 축 방향으로 방사형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 점은 IRI 좌표 상에서도 확인 할 수있다. 이는 cool-soft 혹은 warm-hard 축이 형성되는 것으로 차가 우면서도 부드럽고, 따뜻하면서도 딱딱한 중성적이고 복합적인 이 미지를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원형 그래프에서 원형상을 띄고, 언 어 맵 상에서 중심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복합적, 중 성적 이미지 양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패키지 2 <Pretty+Romantic>에서 3.5점 이상(상위30%)으로 유의한 어휘는 Pretty(4.3점), Casual(4.1점), Romantic(4.0점), Dynamic(3.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형 그래프 상 선호도분포 를 보면, soft-warm의 좌표로 볼륨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 다. IRI 좌표 상에서도 soft-warm의 외곽에 분포하여 패키지 1의 중성적 이미지와 달리 축의 끝단의 확고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패키지 3 <Natural>에서 3.5점 이상(상위 30%)으로 유의한 어 휘는 Cool-casual(3.8점), Natural과 Formal (3.6점), Modern과 Classic(3.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형 그래프와 IRI 좌표 상 선호도분포를 보면, soft-hard의 축 상에서는 조금의 차이지만 hard 쪽으로, warm-cool 축 상에서는 cool 쪽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패키지 4 <Casual>에서 3.5점 이상(상위 30%)으로 유의한 어 휘는 Casual(4.3점), Dynamic(4.0점), Ethnic (3.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형 그래프 상 선호도분포를 보면, Casual의 주변 어휘 에 집중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IRI 좌표상에서도 패키지 2와 같 이 축의 끝 단의 확고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패키지 4개의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설문에서는 디자인 시 목표 하였던 이미지 어휘가 30%(3.5점)이상 선호 어휘에 모두 포함되 었고, 원형 그래프와 IRI 좌표상의 선호도 분포를 통해 유추하였을 때, 추구한 이미지 어휘와 주변 어휘에 응답이 집중됨을 확인되어 전체적으로 디자인 표현이 적절하였다고 볼 수 있다.

3. 디자인 세부 분석을 통한 개선점 고찰

2차적으로 각 패키지를 보았을 때 가장 연상되는 어휘별 순위를 기반으로 목적 어휘와의 적합성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연상한 이유, 디자인 목적과 다르게 느꼈다면 그 이유에 대해 설문하였다.

패키지 1은 가장 적합하게 느껴지는 어휘에 대한 응답에서 Elegant(37.5%), Classic(25.0%), Dandy와 Formal(12.5%), Gorgeous와 Ethnic(6.3%)으로 나타났다. 리커트 5점 척도에서도 Elegant 어휘가 목적하였던 Classic 어휘보다 상위에 위치하였는 데, 이는 색상과 문양의 측면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겠다. Elegant 는 목표한 Classic+Gorgeous보다 soft한 이미지를 갖는데, 화훼 에서의 Classic의 장식적이고 유선형의 풍성하고 자유스러운 속성 을 문양으로 표현한 점이 soft한 이미지를 연상시켰던 것으로 분석 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은 패키지로 내용물인 꽃 색상에 대한 직 관적 감성 전달이 우선이기에 패키지에는 목적 감성을 전해주는 메 인 컬러를 배제한 보조 컬러 중심으로 표현하여 보조적 역할에 충 실하도록 하였다. 이점에서 패키지 자체가 전달하는 감성은 다소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개선할 부분이 색상(43%)과 문양 (36%)이 다른 요소에 비해 압도적이었던 점에서 뒷받침된다. 색상 의 경우는 패키지 디자인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약 화시킨 부분으로 설문 시 내용물인 꽃과 함께 연출된 형태를 제시 하였다면 의도를 보다 명확히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꽃 상품과 패키지가 함께 연출된 이미지를 공유하여 패키지 외 상 품 구입 시 인지에 영향을 주는 기제들이 총체적으로 고려될 수 있 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Elegant는 앞서 꽃 상품에서 선호되는 이 미지였던 만큼 본 패키지는 보완하고 차별화된 추가 패키지를 고려 해 볼 수 있겠다.

패키지 2는 Pretty(42.1%)의 연상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Casual(26.3%)과 Romantic(21.1%)이 비슷하게 뒤를 이었다. 목 적 어휘를 생각할 때 개선점에서 문양(31%)이 색상(23%), 명도 (23%), 채도(15%)에 비해 많이 지적되었다는 점은 Romantic으 로의 이미지를 연상코자 한다면 문양면에서 보다 소프트하고, 색조 의 측면에서 은은한 측면으로 보완할 수 있겠다.

패키지 3은 Natural(27.8%)이 많았고, Cool-Casual과 Dandy (16.7%), Modern(11.1%)이 뒤를 이었다. 다른 어휘에 비교할 때, 특정 어휘에 집중되기 보다는 Natural에서 Modern으로 이어지는 사선 축을 중심으로 인근 어휘 군(Clear, Elegant, Chic, Formal, Classic)에 고루 분포되는 특징을 보였다. Natural과 Modern의 이 미지가 결합된 것으로 인지된다는 것인데, 이 역시 상품인 꽃소재 의 자연스러움을 보조하기 위해 채도를 낮추고 문양을 추상적이며 은유적으로 표현하려 했던 점에서 기인한다 하겠다. 설문시 꽃소재 와 함께 어울리는 이미지를 제시하여 의도의 차를 줄일 필요가 있 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Natural 이미지에 집중하고자 한다면, 문양을 중심으로 색조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 선 요소에 있어 문양(50%)이 압도적으로 지적되었으며, 색상 (27%), 채도(14%), 명도(6%)가 뒤를 이었다. 문양 부분에서 추상 적 패턴으로 표현된 딱딱한 이미지를 줄이고, 색조 부분에서도 cool한 이미지를 줄이면 보다 Natural에 집중된 이미지로 느껴질 것으로 판단된다.

패키지 4는 Casual(50%)로의 연상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Dynamic(27.8%)이 뒤를 이었다. 목적한 이미지와의 적합성이 4 개의 패키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상 이유에서 문양 (63%)이 가장 높았으며, 색상(21%)가 뒤를 이었다.

4개 안에 대한 상위 30% 이상 선호를 보인 어휘를 색채감성맵 상에 표기했을 때, 포지션이 명확히 구분되어 4개안 간의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5). 각각의 패키지 컨셉 언어별로 비 교 분석할 때, Pretty, Romantic, Natural, Classic, Gorgeous, Casual 언어의 경우는 디자인 시 목적한 패키지에서 가장 높은 선 호를 보여 디자인 표현이 적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단, Casual과 Classic 어휘의 경우는 목적하였던 패키지 이외에도 패키지 2와 패 키지 3에서도 유의미한 치수를 보여 보다 명료한 컨셉별 패키지 커 뮤니케이션을 위해 보완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키지 2의 경우는

Fig. 5.

Associated words distribution on the IRI color image scal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ssociated words seeing design of 4packages.

Casual한 패턴을 조정하므로서 Pretty+ Romantic 이미지 로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패키지 3의 경우도 패턴의 조 정으로 Natural의 명료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또한 패키지 1과 3의 경우는 Modern 주변의 어휘들에 대한 선 호가 유의하게 발견되어 본래 추구한 이미지에 부가적으로 더해진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Elegant 어휘의 경우는 디자인시 목적 어휘 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꽃상품 판매 집중일 선정 및 디자인에도 유 의미한 통계치를 보이면서 추후 연구에 추가로 고려할 어휘로 판단 된다(Table 6).

VI. 적요

화훼 산업 정체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는 프리저브드 플 라워의 브랜딩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된 색채 감성 패키지에 대해 디자인 목적과 표현의 적합성을 검증해 보았다. 전문가 설문을 통 해 디자인 컨셉 설정 측면에서 적합함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 에서는 Elegant 언어에 대한 패키지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표현에 있어서는 3개안에 대해서는 표현과 의도가 일치함을 도출하였고, 1개안의 경우는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을 고 려하여 의도적으로 표현 수위를 조절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표현 의 적합도를 올리기 위한 점과 함께 설문 방법적인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얻을 수 있었다.

References

Heo B.G, Park Y.J, Yun J.G, Park S.H.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sale according to items in flower shop and online shopping mall for flower. J. Kor. Flower Res. Soc 2002. 10(2)103–108.
Jung Y.J. Analysis study of flower shop's selling type & consumer's buying behavior in Korea, USA and Japan. MS thesis. Dankuk Univ. Seoul. Korea 2010.
Kim Y.J. Moderating roles of knowledge involvement and typic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oncept consistency and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PhD dissertation, Myongji Univ., Seoul, Korea 1999.
Lee S.S. Study on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floricultural industry utilizing brand. PhD dissertation, Korea Univ., Seoul, Korea 2011.
Schmitt B, Simonson A. Marketing aesthetics. Kim and Kim Books 2007.
Wang K.H, Kim S.J. The type of color harmony for floral commodity from color imag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08. 22(2)65–7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ategories by main purpose of purchasing flower goods in Korea

Categorizing by the purpose of purchasing the flower goods
Happy occasion 1. Personal anniversary <Birthday>
Happy occasion 2. Personal anniversary <Wedding anniversary etc.>
Special day 1. Purpose of gratitude for sb <Parent’s day, Teacher’s day etc.>
Special day 2. Purpose of celebrating sb <Graduation,Promotion,Opening etc.>
Special day 3. <Christmas> Special day 4. <Valentine day>

Fig. 1.

Everose main package and color sensibility package.

Table 2.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occupation.

Occupation Designer and artist Researcher Salesman and marketer Etc.
Rate 66.7% 16.7% 8.3% 8.3%

Table 3.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major.

Major Florist Designer (Interior and graphic etc.) Colorist Etc.
Rate 41.6% 33.3% 16.7% 8.3%

Table 4.

Distribution of respondents by working period.

Working period Under 1year and More than 1year and under 5years More than 5year and under 10years More than 10year
Rate 0% 16.7% 25% 58.3%

Fig. 2.

Frequency of preferred concept words (%).

Table 5.

Preferred words rank evoking each purposive day.

Over ~% Image words

50 Romantic
40 Pretty
30 Classic Elegant
25 Casual Gorgeous Natural

Fig. 3.

Package design based on the color image.

Fig. 4.

Likert scale of associated words seeing design of 4 packages.

Table 6.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ssociated words seeing design of 4packages.

Concept word Package I Package II Package III Package IV

Pretty 1.8±0.8bcz 4.3±0.9a 1.4±0.5c 2.3±1.2b
Romantic 2.3±0.7b 4.0±1.1a 1.7±1.0b 1.9±0.7b
Clear 2.9±1.0a 2.6±0.7a 3.0±0.7a 1.5±0.5b
Natural 2.9±0.7ab 2.7±1.2bc 3.6±0.9a 1.9±1.0c
Casual 2.0±0.94b 4.1±0.5a 2.0±0.8b 4.3±0.6a
Elegant 3.8±0.8a 2.0±0.7b 3.4±0.7a 1.7±0.7b
Cool-casual 3.1±1.2a 2.1±0.9b 3.8±0.8a 1.9±1.0b
Modern 3.2±1.3ab 2.4±1.2ab 3.5±0.9a 2.1±1.5b
Chic 3.5±1.4a 1.9±0.6b 3.0±1.3a 1.5±0.7b
Dandy 2.5±1.0a 1.8±0.7b 3.1±0.7a 1.5±0.7b
Formal 3.2±1.1a 1.7±1.0b 3.6±0.7a 1.7±0.8b
Classic 3.5±1.3a 1.3±0.5b 3.5±1.1a 1.6±1.1b
Gorgeous 3.3±1.4a 2.6±1.1a 2.1±1.3a 2.8±1.0a
Ethnic(wild) 2.2±0.9bc 2.7±1.2ab 1.7±0.8c 3.5±1.2a
Dynamic 1.6±0.7b 3.5±0.9a 1.2±0.4b 4.0±0.6a
z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ithin raws for each concept word, P=0.05.

Fig. 5.

Associated words distribution on the IRI color image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