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효과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Recipient of Educational Welfare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on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educationally vulnerable children by carrying out the program with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1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among other children from P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ho were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as from April 2 to June 11, in which it was carried out from 14:50 to 15:50 once a week in a total of 10 sessions.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ed of three steps including introduction, engagement, and finishing for leading the subject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difficulty degrees and consolidation among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ubjects’self-concepts were evaluate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4 items including general ego, academic ego, social ego, and emotional ego. With the score of general ego from 27.36 before the activities to 29.09, that of academic ego from 30.64 to 31.91, and that of social ego from 29.09 to 32.27, we can tell that all the sub-items of self-concep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chievement motivations in the subjects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gainst items including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motivations.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is evidenced by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5.55 before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49.55 after it, and the social on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3.45 to 47.3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far, we can tell that the systematic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take job difficulty degrees into account and lead children to grow and take care of plant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 서론
아동들이 자아개념과 성취동기를 가지게 되는 것은 주로 어린 나이에 가족과 또래 집단 내에서 경험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에 달려 있으며, 집단에 적응함에 따라 소속감과 안정감을 얻어 일생동안 여러 집단에 자신을 성공적으로 적응시키는데 필요한 기술을 배우 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초등학생 때부터 자아개념을 긍정적으 로 발달시켜 나간다면 정체감이 확립되어 자아실현에 바람직한 영 향을 줄 것이며 높은 성취 욕구를 가지고 활동적이고 생산적인 삶 을 영위할 것이다(Lee and Kim, 2003).
우리나라의 교육복지의 등장은 1996년 12월 국민의 정부 당시 안병영 교육부 장관의 교육복지종합대책의 수립을 통해 등장하였 다. 그 후 여러 차례의 개정과정을 통해 현재는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상으로는 저소득층, 교육취약집단 과 교육소외계층이다. 따라서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학교의 경우 다수의 저소득층으로 구성된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요구되 고 있다(Jo, 2013).
꽃과 채소를 기르고 가꾸는 재배활동과 교실 원예활동 수업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Jang, 2002; Jung, 2008)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아동의 원예활동의 실태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원예활동 방안을 모색한 결과 성취동기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Park, 2005)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꽃장 식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에게 원예치료의 치료적 개입과 각 단계별 치료사 개입을 적용함으로써 자아개념을 향상시 키는데 매우 적절한 중재로 활용 가능함을 검증하였고(Joo, 2012)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식물을 직접 작업하여 돌보면서 자신이 키운 식물에 대한 책임감과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고 아동이 정성을 기울여 만든 완성된 작품을 통해 자신감을 얻어 가정이나 학교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행동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Yuk, 2003)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 취약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D시 P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 중 5학년,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복지 대상자라고 함은 법정 저소득층 학생(복지시설 입소자,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 가정자녀), 차상위 소득재산기준 금액 이하(2013년: 최저생계비 130%), 학교장 인정 대상자(학교 자체 심의에 따른 저소득층 가정 자녀)를 포함한다. 실시기간은 2013년 4월 2일 부터 2013년 6월 11일 까지 주 1회씩 14시50분에 서 15시50분까지 총 10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 원예활동 프로그램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원예활동의 실시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아동의 정서순화 및 자아개념 향 상에 효과적(Yoon, 2001)이다. 그리고 즐겁고 쉬운 활동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아동의 성취경험을 제공하여 기쁨과 긍지를 가 지게 하며 자아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Song, 2008). 그래서 본 연구는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 향상과 성취동기를 부여하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원예활동은 프로그램의 난이도와 대상자들의 유대감 형성 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입, 전개, 마무리 과정의 3단계로 분류하여 실행하였다. 도입 과정 은 먼저 야외활동으로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대상자들이 작업이 아 닌 단순 놀이 활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봄꽃을 심으면서 원예자 재와 도구들을 장난감으로 대체하여 화단에서 흙을 만지면서 놀 수 있도록 하였다. 2회기에는 나무목걸이를 만들어 서로의 애칭을 불
러 주면서 꼬리잡기 게임을 하여 집단 내에서 유대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간단하고 쉬운 활동인 새싹채소를 파종하 여 기를 수 있도록 하였고 원예에 대한 호기심을 갖도록 하였다.
전개 과정은 본격적으로 원예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대상자들 이 도입단계의 연계성으로 대상자들이 스스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다(Joo, 2012). 새로운 원예기법이 적용되기는 하였지만 대상자들 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쉬운 활동으로 하였고 결과물의 크기는 작지만 우드 볼 장식, 꽃바구니, 미니정원, 잔디인형 만들기, 수경재 배를 보조치료사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작업을 하도록 하였 다. 작품성은 조금 떨어질 수도 있었지만 스스로 작품을 완성해가 면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마무리 과정에서는 여러 종류의 꽃을 그룹핑하여 꽂거나 꽃 토 피어리를 창의적으로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면서 이번 집단 활동에서 대상자들이 성공적으로 적응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결과물을 다른 대상자와 치료사에게 자랑을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고 서로 토론을 하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성취동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세부적인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Table 1과 같다.
3. 평가도구
1) 자아 개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Song(1996) 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 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의 4가지의 하위항목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을 읽고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같은가’ 또는 ‘다른가’를 판단해서 ‘그렇다’ 또는 ‘그렇지 않다’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65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예활동 실시 전후 담당선생님의 지도하 에 대상자들이 자가 측정을 하였다.
2) 성취동기
McClelland(1985)의 성취인의 행동특성을 참고하여 Hwang(1993) 이 제작한 성취동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24문항으로 학업 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취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원예활동 실시 전후 담당선생님의 지도하에 대상자들이 자가 측정을 하였다.
4. 분석방법
평가자료는 SPSS Window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모 수검정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연구대상자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D시 P초등학교 교육복지대상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표집과정에서 표본의 대표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으므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II. 결과 및 고찰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 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 아보고자 하였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자아개념의 변화는 Table 2와 같 다. 자아개념은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 아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 자아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36점에서 실시 후 평균 29.09점으로, 학업적 자아는 실시 전 30.64점에서 실시 후 31.91점으로, 사회적 자아는 29.09점에서 32.27점으로, 정서적 자아는 22.82점에서 24.27점으로 자아개념 의 모든 하위항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꽃과 채소를 기르고 가꾸는 재배활동은 초 등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Jang, 2002: Jung, 2008)고 한 내용과 주말 자연학교에서의 원예활동은 아동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다(Nam, 2009)고 한 내용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선생님과 활동하였으나 따 분한 학습이 아닌 신나는 야외 놀이 활동으로 접근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고 단순한 기법을 적용하여 스스로 결과물을 완성하여 발표하게 함으로써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
었다고 판단된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취동기의 변화는 Table 3과 같 다. 성취동기는 학업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취동기의 항목으로 평 가하였다. 학업적 성취동기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5.55점에서 실시 후 평균 49.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사회적 성취동기 도 실시 전 43.45점에서 실시 후 47.36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 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Son(2008)이 실내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 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원예 활동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원예활동을 직접 할 때 성취동기 향 상에 도움이 된다고 한 내용과 유사하고 Kim(2002)이 실과 교실 원예프로그램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서 교실원예 프로 그램 적용이 재배영역의 지식이해, 재배기능향상, 실과에 대한 흥 미도와 참여도 향상으로 학업성취에 긍정적이라고 한 내용과도 그 맥락을 같이한다. 뿐만 아니라 Park(2005)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아동의 원예활동의 실태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원예 활동 방안을 모색한 결과 성취동기에 긍정적이 영향을 준다고 한 내용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즐겁고 쉬운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진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불안정한 아동들에게 성취경험 을 제공하여 기쁨과 긍지를 가지게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대상아동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적용하여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의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은 입증하였으나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 성별 등 대상자 표본수와 기관수를 늘려 반복연구가 이루어지는 후속연 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V. 적요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 취약 아동의 자아 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시 P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 중 5학년,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13년 4월 2일 부터 2013년 6월 11일 까지 주 1회씩 14시 50분에서 15시 50 분까지 총 10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은 난이도와 대상자들의 유대감 형성 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이 적극 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과정의 3 단계로 분류하여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자아개념은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의 4가지 항목 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 자아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36점에 서 실시 후 평균 29.09점으로, 학업적 자아는 실시 전 30.64점에서 실시 후 31.91점으로, 사회적 자아는 29.09점에서 32.27점으로, 정서적 자아는 22.82점에서 24.27점으로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항 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 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 취동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학업적 성취동기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5.55점에서 실시 후 평균 49.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 었고 사회적 성취동기도 실시 전 43.45점에서 실시 후 47.36점으 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면서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한 원예활동은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