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의 회복환경 측정을 위한 척도 연구

A Study on the Scale of Perceived Restorativeness on Garde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5):505-510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진 재영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timesok@hanmail.net
Received 2016 June 3; Revised 2016 July 4; Accepted 2016 August 24.

Abstract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since it helps in finding out garden restoration mechanisms and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garden components or design directivity that a user requires. However, PRS shows sub-factors, which differ from domestic studies, or has a problem with reliabili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on new factors considering individual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PRS to be used in garden environments by newly applying Hartig et al.’s PRS (26 components) and RPRS (Revised PRS with 16 components, which is mainly used in Korea and pleasantness that is predicted, based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 The study finding displayed that the traditional PRS (26 components) could explain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better and when pleasantness was additionally applied, the explanatory power of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was extremely high.

I. 서론

삭막한 도시환경과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도시인들이 받는 스 트레스를 회복하기 위한 치유공간으로서 정원은 중요하게 인식되 고 있다.

자연환경은 그 자체로서 인간의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 게 되는데(Zeisel, 1995), 이에 대한 구체적 접근으로서 대표적인 것 이 회복환경 연구이다. 회복환경은 Kaplan and Kaplan(1989)이 제 안한 주의회복이론으로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 주의회복이론은 주의집중에 노력을 기울이면서 발생하는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해 서는 자연환경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주의회복에 필요한 자연환경의 요소를 구체화 한 것을 회복환경이라 할 수 있 는데, Kaplan and Kaplan(1989)은 회복환경의 조건으로 벗어남, 매혹감, 넓이감, 그리고 적합성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Korpela et al., 2001). 벗어남(Being Away)은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집 중을 요구하는 활동으로부터 멀어지는 것, 매혹감(fascination)은 고유한 관심의 상태로부터 불수의적 주의를 촉진시키는 것, 넓이감 (extent)은 하나의 물리적 장소가 방대한 것인지 불문하고 하나의 작은 완성체를 이루는 것, 적합성(compatibility)은 사람이 요구하 는 것과 어떠한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 일치한 상태이다(Lee and Hyun, 2003a). Hartig et al.(1997a, 1997b)은 회복환경 요인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26개(Hartig et al., 1997a) 및 16개(Hartig et al., 1997b)의 회복환경 척도를 개발하였다. 26개의 회복환경 척 도(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는 기존의 주의회복 이론에서 넓이감(extent)을 짜임새(coherence)로 대체하고, 이해 용이성(legibility)을 추가하였다.

16개의 회복환경 척도(RPRS: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는 26개의 PRS에서 탈출감의 6개 항목 중 2개, 매혹감의 7 개 항목 중 5개를 사용하고, 짜임새와 적합성은 각각 4개와 5개의 항목을 모두 사용하며, 이해용이성은 제외한 척도라 할 수 있다 (Table 1).

Components of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and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도시 정원을 회복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회복환경 척도 는 정원의 치유기제를 밝히는 것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실무적으로도 회복환경 척도는 정원의 설계 등에 있어서 도시인 들이 요구하는 정원의 구성요소나 디자인의 방향성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정원을 위한 회복환경 척도의 사용은 몇 가지의 보 완이 필요하다. Hartig et al.(1997a)의 척도가 국내에 소개된 이후 회복환경 척도는 국내의 연구에서 상이한 하위요인을 보여주거나 신뢰도에서 약간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회복환경 척도의 검증 을 다양한 자연환경을 사진으로 보여준 Lee and Hyun(2003a)의 연구에서 Hartig et al.(1997a)이 제시한 적합성(compatibility)의 각 항목이 별도의 요인으로 구분되지 않고 벗어남(Being Away) 에 포함되어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판회복환경지각척도를 번안하였으며 많은 연구에서 척도로 사용되었다. 도시림의 유형에 따른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Yoo et al.(2013)의 연구에서 한국판회 복환경지각척도가 사용되었는데, 연구결과 Hartig et al.(1997a) 이 제시한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16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사용한 연구로서 Lee and Park(2014)의 연구에서는 도시공원과 학교 캠퍼스의 회복환경 인 식이 Extent(공간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하나의 요인으로 묶이 는 등 장소에 따라 일관된 요인분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Kim(2015)의 연구에서는 매혹감의 구성항목 중 흥미로운 것들이 많다 는 항목과 더 잘 알고 싶다는 항목이 벗어남의 요인에 분류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Margherita et al.(2014)은 회복환경 척도의 구성요인이 매혹감, 탈출감, 짜임새와 함께 짜임새가 사용되기 이전의 구성요 인인 extent와 유사한 요인으로서 전망(Scope)이 추가되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Margherita et al.(2014)가 주장한 구성요인은 Hartig et al.(1997a)의 항목 중 9개와 ‘모든 구성물이 적절하게 배 치되어 있다(In places like this everything seems to have its proper place)’를 짜임새에 추가하고, 과거 extent의 구성요인인 ‘이곳은 다양한 측면의 탐색을 할 수 있을 만큼 넓다(That place is large enough to allow exploration in many directions)’와 새롭 게 추가한 ‘여기에는 다니는 것을 제약하는 몇 가지 경계가 있다(In places like that there are few boundaries to limit my possibility for moving about)’를 Scope의 하위항목으로 사용한 11개의 회 복환경 척도가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추가적으로 회복환경 척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본 연구 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한 도시의 정원이 갖는 회복환경이 RPRS의 탈출감, 매혹감, 짜임새, 적합성, 이해용이성의 다섯 가지 요인이외 에도 요구되는 요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도시에서 의 치유정원은 회복의 기능 뿐만 아니라, 도시 안에서의 인간다운 삶의 추구와 연관성이 크다. 영국의 도시계획에서 제시하는 청결한 환경(Stuart and Kaiser, 1979), 충분한 녹지 등을 갖춤으로 인해 느끼게 되는 청량감(Kim, 2003), 맑은 공기(Kim and Cho, 1998) 등은 회복환경 척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최근의 도 시환경에서 개인의 회복, 나아가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중요하게 취급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여 도시 내 정원 의 회복환경 결정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도시 정원에서 기존의 회복환경 척도의 구성요인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둘째 쾌 적성은 독립적으로 도시 치유정원의 회복환경 척도 구성요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가? 셋째 기존의 회복환경 척도의 구성요인 및 쾌적 성은 도시 정원의 회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도시 정원의 회복효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복환경 척도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 정원의 회복기제를 판단할 수 있는 회복환경 척도를 발전시켜 도시 정원의 이해 및 설계와 구 성 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도시 정원 회복환경 척도연구를 위해 2016년 5월 13 일부터 18일까지 K시의 K대학교 학생 2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 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102명, 여자 166명으로 구성되며, 평균 연령은 만 21.8세(±3.55)이다. 연구대상 정원은 K대학교에 위치 한 정원으로써 학생들의 출입이 빈번한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 사 이에 자기기입식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Figure 1).

Fig. 1.

View of Surveyed garden.

2. 측정도구

본 연구의 회복환경 측정은 Hartig et al.(1997a)에 의해 개발된 26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회복환경척도(PRS)를 Lee and Hyun (2003a)이 번역한 내용을 사용하였다. 다만 짜임새(coherence)의 경우 ‘이 곳은 번잡하다(PRS14)’, ‘이 곳은 혼란스럽다(PRS15)’ 는 그대로 사용하고, Yoo et al.(2013)의 번역을 참조하여 ‘이 곳은 산만하다(PRS16)’는 ‘이 곳은 통일된 느낌을 준다’로 ‘이 곳은 무 질서하다(PRS17)’는 ‘이 곳은 질서적으로 구성되어있다’로 바꾸 어 사용하였고, 해당항목은 역채점하여 짜임새의 모든 항목은 점수 가 높을수록 부정적 인식이 높아지도록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척도에서는 고려되지 않은 쾌적성 요인을 추 가하였다. 사전적으로 쾌적은 몸과 마음에 알맞아 기분이 상쾌하다 는 의미로서 쾌적성은 상쾌한 기분이 드는 것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Stuart and Kaiser, 1979). 본 연구는 Stuart and Kaiser (1979), Kim and Cho(1998)의 주장을 바탕으로 하여 ‘여기에 있 으면 가슴이 시원하다’, ‘이곳은 깨끗하다’, ‘상쾌한 기분이 든다’ 의 세 가지 항목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회복환경요인이 실질적인 회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회복환경의 종속변수로 안정감을 사용하였다. 안정감 제공은 도시의 정원이 현대인의 피로의 회복 및 정서적 안정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음을 안정적으 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정의하여 ‘이 곳에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진 다’, ‘이곳은 마음에 안정을 준다’, ‘이 곳은 나에게 안식을 준다’의 세 가지 항목을 사용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는 26개의 PRS와 16개의 RPRS에 쾌적성을 추가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척도로서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요 인적재치와 신뢰도는 각각 .6이상으로 하고 신뢰도의 경우 항목제 거시 신뢰도를 구하여 신뢰도를 저해하는 항목은 제거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쾌적성이 포함된 PRS와 쾌적성이 포함된 RPRS의 각 요인이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때 기존의 PRS와 RPRS를 먼저 투입하고 다음으로 쾌적성을 투 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PRS, RPRS, PRS+쾌적성, RPRS+쾌적성의 모형설명력을 비교함으로서 회복환경 척도로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복환경 척 도의 모든 요인들과 쾌적성에서 다중공선성이 나타나는지 확인하 기 위해 VIF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는 PASW21.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회복환경척도 및 쾌적성의 요인 분석

본 연구는 도시 정원에서 기존의 회복환경척도의 구성요인이 어 떻게 분류되고 쾌적성이 독립적인 구성요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를 알아보고자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였다.

1) PRS+쾌적성

PRS+쾌적성의 탐색적 요인결과 매혹감의 하위요인인 ‘이곳엔 돌아다니는데 길잡이가 될 만한 것이 있다(PRS23)’, 벗어남의 하 위요인인 ‘이곳은 지루하다(PRS11)’, 적합성의 하위요인인 ‘이곳 에 있으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PRS21)’, ‘이 곳에 있는 게 내 취향에 맞다(PRS18)’는 요인적재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엔 돌아다니는데 길잡이가 될 만한 것이 있다’의 경우 길잡이 라는 용어가 측정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Hartig et al.(1997a)의 설문에서 Landmark는 두드러진 특색이 있는 부분 이나 건물을 의미한다. 이에 길잡이라는 용어는 차후 다른 용어로 번역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매혹감의 하위요인인 ‘이 곳은 볼만한 것이 없다(PRS13)’ 는 매혹감 요인의 신뢰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임새의 하위요인으로 추가한 ‘통일된 느낌을 준다’, ‘질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기존의 짜임새 항목인 ‘복잡하다’ 및 ‘산만하다’와는 구분 되었지만 신뢰도가 .401로서 척도로서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일된 느낌과 질서적이라는 용어가 정원에서 는 일정한 공간구성을 대표하는 용어로서 부적절할 수 있음을 의미 한다. 쾌적성의 경우 다른 요인과 독립적인 요인임이 나타났다 (Table 2).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PRS+PLS.

이렇게 분류된 PRS+쾌적성의 구성요인은 Hartig et al.(1997a) 이 제안한 탈출감, 매혹감, 짜임새, 적합성, 이해용이성이 회복환경 척도의 구성요인이 되며, 쾌적성은 PRS에 추가되어 사용될 수 있 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PRS만 분석하면 사진을 사용하거나 회 복환경이라 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연구한 Lee and Hyun(2003a) 의 결과에서 제시된 4개 요인이 아니라 도시림에서 연구한 Yoo et al.(2013)이나 본 연구와 같이 실질적인 회복환경에서는 5개의 독 립적인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Table 2).

2) RPRS+쾌적성

RPRS와 쾌적성을 사용한 요인분석 결과 탈출감의 구성요인은 매혹감과 적합성으로 구성된 요인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요인적재 치가 각각 .437과 .462로 나타났다. 이 두 항목은 신뢰도 역시 저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거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RPRS는 벗어남 을 제외하고 모두 Hartig et al.(1997b)이 제안한 매혹감, 짜임새, 적합성의 요인으로 구분되며 쾌적성 역시 PRS와의 독립성과 마찬 가지로 RPRS의 각 요인과 독립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Table 3).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RPRS+PLS.

2. 회복환경척도의 요인 및 쾌적성이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기존의 회복환경 척도의 구성요인 및 쾌적성이 도시 정원의 회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시 정원의 회복효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복환경 척도를 규명 하기 위하여 각 회귀분석의 모형설명력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PRS와 쾌적성이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벗어남, 적합성, 이해용이성이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며, 짜임새와 매혹감 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RS만 사용한 모형의 설 명력은 .349로서 PRS의 다섯 가지 요인은 정원 방문 시 느끼는 안 정감의 3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쾌적성을 추가로 투 입한 결과 PRS요인만을 사용했을 때에 안정감에 영향을 미친 이해 용이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고, 쾌적성이 안정감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요인(β=.481)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성을 추가로 투 입한 결과 모형의 설명력이 .502로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VIF 분석에서 모든 값이 2이하로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4).

Effect of PRS and PLS on stability.

RPRS와 쾌적성이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혹감, 적합성, 짜임새 모두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RPRS만 사용한 모형의 설명력은 .210으로 나타났다. 쾌적성을 추 가로 투입한 결과 RPRS요인만을 사용했을 때에 안정감에 영향을 미친 짜임새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고, 쾌적성이 안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β=.558)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성을 추가 로 투입한 결과 모형의 설명력이 .474로 증가하는 것이 나타났으 며,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 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VIF 분석에서 모든 값이 2이하로서 매 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Effect of RPRS and PLS on stability.

이러한 결과를 보면 RPRS보다는 PRS가 회복환경 척도로서 더 유용하며, 회복환경에 쾌적성을 포함시킬 경우 구체적인 회복의 결 과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정원을 대상으로 하는 회복환경 연구에서는 PRS 가 RPRS에 비해 우수하며, 쾌적성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회복환 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원을 위한 회복환경 척도가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보다 정교하게 구성되어야 함을 말 해준다.

요인분석에서 요인적재치가 낮은 항목을 제거하지 않거나, 다른 요인과의 인과관계 분석에서 신뢰도를 저해하는 항목을 제거하지 않는 연구(Yoo et al., 2013), 자연환경을 사진을 통해 연구(Hartig et al.,1997a, Lee and Hyun, 2003a, Margherita et al., 2014)하 여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범용적인 회복환경 척도의 연구에 집중하 였기 때문에 도시 내의 정원이 주는 회복환경 측정에는 한계가 있 을 수 있다.

또한 한국판 회복환경척도의 요인구조는 아직 불안정한 상태이 며(Lee and Hyun, 2003a), 한국인에게 적합한 회복환경척도는 아 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원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회 복환경척도를 정원의 회복환경에 적합하게 재번역하거나, 다양한 장소와 대상과 연관시키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회복환경 척도 를 수정, 보완하는 탐색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회복환경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것을 목적 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상자의 심리상태, 인구사회학적 요인 등을 안정감의 선행변수로서 분석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정원과 관계없이 형성되어있는 개인의 심리상태는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안정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후속연구는 회복 환경척도의 영향력연구에서 개인의 심리상태, 인구사회학적 요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Hartig T, Kaiser FG, Bowler PA. Further developments of a measure of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Working paper no 5). Gauvle Sweden: Uppsala Univ. Institute for Housing Research 1997a.
2. Hartig T, Korpela K, Evans GW, Gärling T.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 Hous. Plan. Res 1997b;14(4):175–194.
3.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 New York NY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Kim HD. Study on effects of amenity on housing prices. PhD Diss. Konkuk Univ. Seoul Korea 2003.
5. Kim J, Cho A. Emotional structural analysis of indoor environmental comfort sensation. The Korean of industrial engineers 1998;5:153–157.
6. Kim MH. Behavior settings study based on attention restoration environment perspectives: a case of study of Cheonggyecheon in Seoul. DMA thesis Seoul Natl. Univ. Seoul Korea 2015.
7. Korpela KM, Hartig T, Kaiser FG, Fuhrer U. Restorative experience and self-regulation in favorite places. Environ. Behav 2001;33:572–589.
8. Lee SH, Hyun MH.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Korean J. Health Psychol 2003a;8(2):229–241.
9. Lee SH, Hyun MH. The stress-buffering effec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Korean J. Health Psychol 2003b;8(3):525–545.
10. Lee SY, Park G.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college campus with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4;42(4):37–47.
11. Margherita P, Rita B, Margherita B, Rob H, Catherine O. How to measure the restorative quality of environments: the PRS-11.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4;159(2014):293–297.
12. Stuart CF, Kaiser EJ. Urban land use planning 1979. 3rdth ed. Chicago IL US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3. Yoo YH, Yeoun PS, Shin WS. The comparison of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on types of urban forest. J. Korean Inst. For. Rec 2013;17(1):33–45.
14. Zeisel J. Tool for Environment Behavior Research 199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omponents of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and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Questionnaires PRS RS

- Being Away
It is an escape experience. PRS1 RS1
Spending time here gives me a break from my day-to-day routine. PRS2 RS2
It is a place to get away from it all. PRS3
Being here helps me to relax my focus on getting things done. PRS4
Coming here helps me to get relief from unwanted demands on my attention. PRS5
This place has fascinating qualities. PRS6

- Fascination
My attention is drawn to many interesting things. PRS7 RS3
The setting is fascinating. PRS8 RS4
I want to get to know this place better. PRS9 RS5
There is much to explore and discover here. PRS10 RS6
I want to spend more time looking at the surroundings. PRS11 RS7
This place is boring. PRS12
There is nothing worth looking at here. PRS13

- Coherence
There is too much going on. PRS14 RS8
It is a confusing place. PRS15 RS9
There is a great deal of distraction. PRS16 RS10
It is chaotic here. PRS17 RS11

- Compatibility
I can do things I like here. PRS18 RS12
I have a sense that I belong here. PRS19 RS13
I have a sense of oneness with this setting. PRS20 RS14
Being here suits my personality. PRS21 RS15
I can find ways to enjoy myself here. PRS22 RS16

- Legibility
There are landmarks to help me get around. PRS23
I could easily form a mental map of this place. PRS24
It is easy to find my way around here. PRS25
It is easy to see how things are organized PRS26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RS: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Fig. 1.

View of Surveyed garden.

Table 2.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PRS+PLS.

FA BA LE PLS CM CH α1 α

PRS8 .816 .159 -.059 .066 .152 .114 .851 .882
PRS6 .772 .156 .091 .368 .001 .076 .861
PRS7 .769 .156 .029 .372 .091 .095 .857
PRS10 .703 .223 -.121 -.037 .177 .005 .867
PRS11 .697 .309 -.008 -.144 .225 -.077 .868
PRS9 .688 .268 -.115 -.091 .287 -.144 .864

PRS2 .251 .754 -.049 .095 .121 -.021 .800 .838
PRS1 .304 .735 -.010 .184 .105 -.030 .788
PRS5 .099 .719 .102 .046 .034 -.043 .834
PRS4 .208 .702 .075 .267 .226 -.032 .789
PRS3 .214 .633 -.047 .234 .216 .123 .813

PRS26 -.046 .032 .870 .069 .115 -.056 .652 .796
PRS25 .045 -.023 .849 .083 .026 -.055 .731
PRS24 -.139 .057 .749 .237 .022 -.108 .786

PLS3 .192 .227 .119 .727 .084 -.093 .574 .711
PLS1 .098 .281 .060 .697 .285 -.042 .573
PLS2 -.051 .109 .292 .662 -.004 -.134 .704

PRS19 .221 .044 .122 .111 .792 .169 .739 .773
PRS18 .196 .274 .058 .174 .757 -.091 6.71
PRS20 .330 .418 .030 .045 .651 .014 .672

PRS15 .058 -.079 -.118 .012 .022 .822 - .610
PRS14 -.006 .065 -.078 -.228 .046 .804 -

Eigen Value 6.868 2.949 1.514 1.391 1.195 1.004

Cumulative 31.219 44.623 51.502 57.825 63.256 67.818

FA: Fascination, BA: Being Away, LE: Legibility, PLS: Pleasantness, CM: Compatibility, CH: Coherence, α: Cronbach’s Alpha if Item Deleted, α: Cronbach’s Alpha

Table 3.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RPRS+PLS.

FA CM PLS CH α1 α

RS4 .795 .193 .122 .163 .821 .861
RS6 .793 .173 .052 .070 .833
RS5 .778 .275 -.011 -.074 .826
RS7 .756 .305 -.052 -.069 .834
RS3 .669 .224 .361 .098 .848

RS12 .175 .791 .135 -.093 .795 .834
RS13 .135 .737 .087 .246 .818
RS14 .359 .725 .059 .005 .795
RS15 .327 .688 .269 -.031 .784
RS16 .305 .627 .240 -.090 .813

PLS3 .203 .112 .792 -.058 .574 .796
PLS2 -.091 .077 .747 -.142 .704
PLS1 .120 .349 .727 -.003 .573

RS9 .053 -.033 -.014 .827 - .711
RS8 .032 .050 -.172 .824 -

Eigen Value 5.470 1.975 1.317 1.124

Cumulative 36.469 49.632 58.412 65.908

FA: Fascination, CM: Compatibility, PLS: Pleasantness, CH: Coherence, α: Cronbach’s Alpha if Item Deleted, α: Cronbach’s Alpha

Table 4.

Effect of PRS and PLS on stability.

PRS Model
PRS+PLS Model
β t VIF β t VIF

Being Away .378 5.982*** 1.638 .204 3.476** 1.838
Fascination .071 1.118 1.661 .031 .559 1.671
Compatibility .194 3.064** 1.645 .164 2.950** 1.651
Coherence -.079 -1.556 1.059 -.020 -.453 1.081
Legibility .164 3.187** 1.091 .020 .424 1.227
Pleasantness .481 9.031*** 1.519

Adj R2(∆R2) .349 .502(.152***)
***

p<.001

**

p<.01

Table 5.

Effect of RPRS and PLS on stability.

RPRS Model
RPRS+PLS Model
β t VIF β t VIF

Fascination .215 3.464** 1.297 .132 2.581* 1.323
Compatibility .336 5.120*** 1.456 .182 3.292** 1.547
Coherence -.234 -4.035*** 1.140 -.075 -1.523 1.237
Pleasantness .558 11.540*** 1.186

Adj R2(∆R2) .210*** .474(.263***)
***

p<.001

**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