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용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의 형태가 몇 가지 초본 및 목본류의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Kinds and Container Forms for Urban Agricultur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everal Herbaceous and Woody Plants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media kinds and container forms for urban agriculture on the growth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that could be used in construction of urban greenery and landscape gardens.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icient culture soil and container form for four herbaceous and one woody plant specie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species were examined on three different media kinds [horticultural substrate (HS), decomposed granite (DG), and horticultural substrate + decomposed granite (HS + DG)] with two different container forms [vinyl pot (Ø7.5 cm) and plug tray (20 ce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 values of media of HS and HS + DG were 5.8 and 5.9, respectively while DG was 6.5. HS ha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0.90 dS·m-1 while HS + DG and DG had 0.39 and 0.08 dS·m-1, respectively. Especially, most of the species experimented on HS tended to have the highest growth rate in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the number of leaves and fresh biomass weight compared to other soil kinds (P<0.05). The growth rate on HS + DG was much higher than DG. Therefore, our results support that HS + DG could be possible to replace with HS. In addition, there had no differences on growth rates between container forms (P>0.05). The use of plug tray could be more applicable than the use of vinyl pot containers, considering growth rates of plants and convenient of shipment on plant production.
I. 서론
점점 커져가는 도시녹화 시장에서 녹화식물의 안정정인 공급을 위해서는 적기에 대량생산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생산기술이 필요 하고 효율적인 유통 및 현장적용을 위한 규격화 및 표준화가 필수 적이다. 그러나 국내 도시녹화 및 정원용 식물은 생산기술 및 유통 규격이 표준화 되지 못해 산업의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 히 도시녹화 및 정원에 주로 이용되는 식물은 그 종류와 특성이 다 양하여 각 식물의 생산을 위한 용기와 토양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 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식물의 생산기술과 관련하여 Park et al.(2004), Suh et al.(2006), Shin and Yun(2006)은 몇 가지 식물에 대해 배양토의 물 리성 조절을 위해 원예용 피트모스에 마사토, 버섯폐상토, 퇴비, 소 나무수피 등을 혼합하여 용토의 종류와 배합비율에 따른 생장반응을 보고하였다. 아울러 Park et al.(2013)은 혼합상토를 이용한 작물 재 배에서 상토의 충전량에 따른 공극률, 기상율 및 액상율의 감소여부 에 대한 보고를 하였다. Choi et al.(2006)은 코이어 및 피트모스를 배양토로 제조하여 작물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보고하기도 하였다. 특히 Lee et al.(2010)은 상토에 점토광물질 일라이트의 처리량에 따라 양분 흡수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 며 이로 인하여 고추의 생장에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정원식물의 파종 및 정식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종자 선택은 물론 적절한 배양토 선정 및 철저한 환경관리가 선행 되어야 한다. 특히 배양토는 배양 기간 동안 물리적인 변화가 적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야 하고, 수분 보수력이 좋으며 통기성이 우수 해야 한다(Kim and Kim, 2011).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균일성, 작 업성, 이식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시녹화 및 정원식물의 파종 및 정식 등에 사용되는 원예용 상토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코코피트, 버미큘라이트 및 유기물질을 혼합하 여 일반적인 작물의 생육과 용기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물리성 및 화 학적 성분함량 등을 고려하여 제조된 상토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식물별 생장 특성을 고려한 상토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각 식물 에 대한 제품의 적합성과 경제성 등에 대한 구명이 미흡한 실정이다.
도시녹화 및 정원식물 생산을 위한 용기연구와 관련 Kim et al. (2010)은 조림수종인 낙엽송의 용기묘가 용기에 따라 생육결과가 다름을 보고하였고,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개발의 당위성을 시사하였다. 또 Lee et al.(2012)은 과채류 중 딸기 조직배양묘의 식 물생장 및 반응에 영향을 주고, 경제적인 순화용기를 선발하기 위해 플라스틱 투명용기, 플러그 트레이, 포트 등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Cha(2015)는 자생식물인 제주달구지풀을 포트와 트레이에 육묘하여 각 용기별 생장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주달 구지풀의 증식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상과 같이 식물의 용기재배 적합성에 대해 산림용 수종 일부와 채소류 등을 대상으로 일부 연구 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초본류 및 목본 류 재배를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초본류 및 목본류 재배를 위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비닐포트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일부 농 가에서는 플러그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플러그 트레이는 오늘날 상업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Hartman et al., 1997), 일반적으로 플러그 트레이는 비닐포트에 비해 식물재배 및 출하의 작업용이성, 상토 채우기, 유묘식재의 용이성, 경제성 등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 다. 그러나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초본류 및 목본류 재배 시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에서의 생육특성은 구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주요 초본 및 목본류 중 5종에 대해 현재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배양토인 원예용상토를 중심으로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1:1, v/v) 등으로 구분한 후 시험 재배하여 각 토양에서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고, 아울러 각 식 물에 대해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의 두 가지 육묘용 용기재배를 통해 생육적합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II. 연구방법
1. 공시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공시 식물은 초본류인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꽃창포(Iris ensata),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와 목본류인 산딸나무(Cornus kousa) 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수종은 도시녹화 및 정원에 주로 이용되고 분화용으로도 유망하며 생장 및 근계발달 속도가 빠르고 짧은 기간 에 생장 결과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공시식물로 선정하였다. 사 용된 공시 배양토는 시판용 원예용상토(한농원예범용, 동부팜한 농), 산내들농장(전북, 정읍시)에서 구매한 마사토(토성 : 사토) 그 리고 원예용상토 + 마사토(1:1, v/v) 3종류로 하였다. 원예용상토 의 주재료는 피트모스 10%, 코코피트 70%, 펄라이트 7%, 질석 5% 및 제오라이트 8%로 구성 되어있다. 사용된 배양토의 조성은 Table 1과 같다. 용기별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정원식물 재배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닐포트(상부×하부×높이, Ø7.5×Ø5.0×H5.5cm)와 이를 비교하기 위해 20구 플러그 트레이 (상부×하부×높이, Ø6.5×Ø5.0×H7.0cm)를 사용하였다(Fig. 1).
2. 재배방법
2015년 3월 17일 200구 플러그 트레이에 시판 원예용상토를 균 일하게 채워 넣고 저온 저장(2~5°C)된 종자 맥문동, 섬기린초, 꽃 창포, 구절초, 산딸나무를 선별하여 물에 침지한 후 온실(온도: 25~ 30°C, 습도: 60~70%)에서 파종하였으며 시비 처리는 하지 않았 다. 공시재료는 파종하여 4~5주 생장된 초장 및 엽수 그리고 뿌리 가 균일한 묘를 사용하였으며 배양토의 조성을 달리하는 비닐포트 와 플러그 트레이에 셀당 1주씩을 정식하여 온실(온도: 25~30°C, 습도: 60~70%)에서 60일 간 배양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적절한 수분 공급과 습도유지를 위해 스프레이 관수를 1일 1회 실시하였 으며 50% 차광막으로 차광하였다. 생육조사는 처리구당 5개체씩 4반복으로 초장, 근장, 엽수를 조사하고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은 0.01g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3. 토양의 화학성
배양토의 분석은 배양토를 충분히 섞은 다음 시료를 채취하여 음건 후 pH(Orion star A211, Thermo, USA)와 전기전도도 (Orion 3 star, Thermo, USA)를 측정하고 치환성양이온은 1M Ammonium acetate(Optima 8300, PerkinElmer, Singapore)법 으로 분석하였으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Ammonium acetate 법으로 측정하였다. 유효인산(Av. P2O5)은 UV/VIS spectrometer (Cintra202, GBC, Australia)로 720nm에서 비색측정 하였으며 총질소(T-N)는 Kjeldahl 증류법(KjelMaster K-375, Buchi, Switzerland), 토양유기탄소(C)는 원소분석기(Vario max CN, Elemental,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원예용상토와 원 예용상토 + 마사토는 용적밀도에 따라 부피비로 분석하였으며, 마 사토는 중량비로 분석하였다. 토양분석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 학원 토양화학분석법(NAAS, 2010)으로 하였다.
4.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배양토의 처리와 용기의 형태에 따른 유묘 생육의 생장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SPSS ver. 21)을 실 시하여 처리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적 차이가 있는 처리구는 Duncan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여 처리구간 차이를 표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배양토의 이화학적 성질
Gabriels et al.(1986)은 pH, EC, 다량원소 및 미량원소 함량 등을 포함하는 상토의 화학적 특성이 식물생육에 필요한 양분 조 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하였고, 이에 따라 배양토의 물리적 특 성과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배양토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Park and Park(1992)은 대체로 1년생 작물의 초기생육에 적합한 배양토의 산도범위를 pH 5.2~6.0의 약산성이라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 결 과 마사토(DG)의 pH가 6.5로 중성이고 원예용상토(HS) 및 원예 용상토 + 마사토(HS + DG)의 혼합배양토에서 각 5.8과 5.9로 약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Jeong(1998)이 보고한 토양산도와도 큰 차 이가 없었다. Lee et al.(1987)에 의하면 토양의 pH값이 낮아지면 잔디의 뿌리 생육이 저하되고, pH 값이 증가함에 따라 근장이 길어 졌다고 보고하였다. 염농도 측정을 위한 전기전도도(EC)는 원예 용상토가 0.90dS・m-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원예용상토 + 마사 토가 0.39dS・m-1 이었으며 마사토는 0.08dS・m-1로 가장 낮았다. 마사토와 같이 EC가 지나치게 낮으면 영양분의 함량이 낮기 때문 에 비료를 어느 정도 공급해 줄 필요성이 있다. 원예용상토에서 EC(0.90dS・m-1)가 높은 것은 상토의 비료성분이 높기 때문이라 고 판단된다. Ca2+, k+, Mg2+, Na+의 함량은 원예용상토 + 마사토 의 혼합배양토는 마사토보다 높게 나타났고, 원예용상토보다는 낮 았다.
한편 배양토의 양이온치환용량은 원예용상토가 21.0cmol・L-1 로 가장 높고 마사토는 11.6cmol・L-1로 가장 낮았으며, 원예용상 토 + 마사토는 16.3cmol・L-1를 나타내었다. 유효인산은 마사토에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고, 원예용상토에서는 368mg・kg-1, 원예용 상토 + 마사토는 126mg・kg-1을 나타내었다. 전질소 함량은 배양 토 모두 유사(0.20~0.30%)하게 나타났으며, 탄소 함량은 원예용 상토에서 12.7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사토는 0.029%, 원예 용상토 + 마사토는 2.55%로 낮게 나타났다(Table 2). 이상의 결과 에서 배양토의 종류에 따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 고 있어 배양토 내 양분 구성이 공시식물의 발아 후 초기 생장에 영 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예용상토 + 마사토의 혼합배양 토는 화학성 및 물리성면에서 마사토에 비해 유묘의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2. 배양토 조성 및 용기 형태에 따른 묘의 생장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의 형태에 따른 맥문동 유묘의 초장, 엽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은 원예용상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 사토 배양토에 따라서만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p<0.05), 비닐포트 와 플러그 트레이 등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엽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은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 형태의 상호작용도 존재하지 않았다(Table 3). 배양토의 조성에 따른 엽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은 원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다(Table 4).
섬기린초 유묘의 엽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도 맥문동과 마 찬가지로 원예용상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배양토에 따라 서만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p<0.05),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 등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배양토 의 조성과 용기 형태의 상호작용이 존재했다(Table 5). 엽수는 원 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모두 각각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 장 높았고, 마사토는 비닐포트에서 가장 높았다. 엽수가 가장 높았 던 조합은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 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 토 + 마사토> 비닐포트와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토 순이 다. 줄기 생체량은 원예용 상토, 마사토 모두 각각 플러그 트레이에 서 가장 높았고, 원예용상토 + 마사토는 비닐포트에서 가장 높았으 며, 평균 줄기 생체량이 가장 높았던 조합은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 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 마사 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 토> 비닐포트와 마사토 순이다. 뿌리 생체량은 원예용 상토의 경 우,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장 높았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는 모두 각각 비닐포트에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뿌리 생체량이 가 장 높았던 조합은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 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 용상토 + 마사토> 비닐포트와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토 순 이다(Table 6).
꽃창포는 줄기 생체량과 뿌리 생체량에서 원예용상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배양토에 따라서만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p<0.05), 용기 형태에 따라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 며,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 형태의 상호작용도 존재하지 않았다 (Table 7). 배양토 조성에 따른 줄기 및 뿌리 생체량은 원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다(Table 8).
구절초 유묘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도 원예용상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배양토에 따라서 유의성을 보였고(p<0.05),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 등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유의성이 인 정되지 않았지만,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 형태의 상호작용이 존재했 다(Table 9). 줄기 생체량은 원예용 상토만 비닐포트에서 가장 높 았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는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장 높 았다. 평균 줄기 생체량이 가장 높았던 조합은 비닐포트와 원예용 상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토> 플 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 마 사토> 비닐포트와 마사토 순이다. 뿌리 생체량도 원예용 상토만 비 닐포트에서 가장 높았고, 마사토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는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뿌리 생체량이 가장 높았던 조합 은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비닐포 트와 마사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순이다(Table 10).
산딸나무는 초장, 엽수, 줄기 생체량이 배양토에 따라서만 뚜렷 한 차이를 보였고(p<0.05),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 등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초장과 줄기 생체량에 대해 배양토의 조성과 용기 형태의 상호작용도 존재하지 않았으나, 엽수에 대해서는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Table 11). 배양토 조성 에 따른 초장과 줄기 생체량은 원예용 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고, 상호작용이 존재한 평균 엽수에서는 원예용 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모두 각각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장 높았 고, 마사토는 비닐포트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 엽수가 가장 높았던 조합은 플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플 러그 트레이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 비닐포트와 원예용상토 + 마 사토> 비닐포트와 마사토> 플러그 트레이와 마사토 순이다(Table 12). 뿌리 생체량은 배양토 조성과 용기의 형태에 따라서 모두 유의 성이 인정되었고, 두 요인의 상호작용도 존재했다. 배양토 조성에 따른 뿌리 생체량은 마사토일 때 가장 낮게 나타났고, 원예용상토 + 마사토구가 원예용상토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차 이는 없었다.
수종별로 요구되는 규격에 적합한 우량한 용기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생육환경제어와 함께 적정 용기 및 생육상토의 선 택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Kim et al., 2010).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도시녹화 및 정원식물 생산을 위해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주요 초본 및 목본류 중 5종에 대해 배양토의 종류와 용기 의 형태에 따른 식물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배양토 의 종류에 따른 줄기 생체량과 뿌리 생체량은 초본류인 맥문동, 섬 기린초, 꽃창포의 경우 배양토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고, 원예용상 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다. 구절초는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은 원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으나, 원예용상토 + 마사토와 마사토의 줄기 생체량, 뿌리 생체량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본류인 산딸나무는 줄기 생체량의 경우 다른 유묘들과 마찬가지로 배양토에 따라서 차 이를 보였고, 원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으며, 뿌리 생체량의 경우 원예용상토 + 마사토> 원예용상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지만, 원예용상토 + 마사토와 원예용상토의 뿌 리 생체량이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사토는 통기성과 지 지율이 높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Shin et al., 2006), 원 예용상토(약 5,000원/50ℓ)가 고가로 식물을 생산하는데 원가부담 이 되는데 반해, 마사토는 가격이 저렴(70,000~200,000원/15m3) 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농가에서 유묘 재배 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건습에 의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가 생육에 영향을 미치 고, 과도한 무게로 수송력의 한계가 따르기 때문에(Shin et al., 2006) 인건비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줄 기 생체량과 뿌리 생체량의 경우 대체로 원예용상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마사토 순으로 높았고, 산딸나무의 뿌리 생체량의 경우 원예용상토 + 마사토가 가장 높았으며, 원예용상토와 통계적 차이 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운반 등이 용이한 원예용상토 + 마사토를 원예용상토와 마사토를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농가에서 실제 생산에 활용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토양을 도출하 기 위해서는 각 토양별 묘 생육의 소요비용 대비 생장량 분석 등 배 양토별 경제성 또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가의 원 예용상토 대체재로써 소요비용 대비 생장이 우수한 배양토를 개발 하기 위해 코코피트(coco peat), 바이오차(biochar) 등의 활용가 능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용기 형태에 따른 줄기 생체량과 뿌리 생체량은 초본류인 맥문동 등 4종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의 용기 형태의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는데, 조경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르면 초화류의 식재공사, 화단조성공사 시 지피류, 초화류, 야생초화류 및 습생초화류는 포트로 재배한 것 을 사용하여야 한다(KILA, 2014). 본 연구 결과 용기 형태에 따른 줄기 생체량과 뿌리 생체량에 초본류 4종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에 근거하여 농장에서 작업의 효율성, 유묘식재의 용이성, 출하 시의 운반용이성, 경제성 등을 함께 고려할 때 플러그 트레이의 적 극적인 활용이 요구 된다고 판단된다. 목본류인 산딸나무의 경우에 는 줄기 생체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뿌리 생체량에서는 비닐포트보다 플러그 트레이에서 생장이 더 우수한 것을 볼 수 있 었다. 따라서 산딸나무의 경우도 맥문동 등 초본류 4종과 동일하게 플러그 트레이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IV. 적요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식물소재의 효율적인 재배 및 규 격묘 생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식물에 적합한 토양재료와 적 정한 용기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에 이용되는 주요 식 물 중 몇 가지에 대해 배양토의 조성 및 용기의 형태가 생육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각 식물에 적합한 배양토와 용기의 적합성 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수종으로는 초본류인 맥문동 등 4종과 목본류인 산딸나무 등 총 5종을 시험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용기별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정원식물 재배농가에서 일반적으로 많 이 이용하는 비닐포트와 플러그 트레이를 사용하였다.
배양토의 종류에 따른 식물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시판용 원예용상토, 마사토, 원예용상토 + 마사토(1:1, v/v)를 이용하였 다. 원예용상토와 원예용상토 + 마사토의 pH는 각 5.8, 5.9로 약산 성을 나타내었으나 마사토는 6.5로 중성을 나타내었다. EC는 원예 용상토 처리구가 0.90dS・m-1로 가장 높았고, 원예용상토 + 마사토 는 0.39dS・m-1이며, 마사토는 0.08dS・m-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전체적으로 원예용상토 처리구에서 초 장, 근장, 엽수, 생체량 등 생장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원예용상토 + 마사토의 혼합 배양토에서는 원예용상토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낮게 나타났지만 마사토 처리구보다는 생육이 월등히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는 원예용상토 + 마사토의 유효인산(126mg・L-1) 및 토양유기탄소(12.73%) 함량 및 마사토에 원예용상토(50%)를 혼합하므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이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 로 판단된다. 원예용상토(약 5,000원/50ℓ)보다 마사토(70,000~200,000원/15m3)가 저렴하지만,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인건비 상 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작업효율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마 사토보다 가벼우면서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원예용상토 + 마사토 의 혼합배양토가 시판용 원예용상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용기의 형태에 따른 식물 생장의 차이는 비닐포트 처리구와 플러그 트레이 처리구의 용기 종류에 따른 유묘의 생체량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 유묘식재의 용이성, 출하시의 운반용이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플러그 트레이의 적 극적인 활용이 요구 된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일정 생장기간에 따른 소요비용 대비 유묘의 생장량 분석 등 배양토 및 용기별 경제 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도시농업용 배양토를 제안하고, 원예용상토 의 대체재로써 코코피트, 바이오차 등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