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5); 2016 > Article
정원용 초본성 자생식물의 규격묘 생산 가능성 연구

ABSTRACT

Investigation of the plant growth affected by plug cell volume/pot size and plant age in herbaceous native plants belonging to 11 family and 24 species showed that growth of aerial part was different according to both plant age and plug cell volume/pot size. Among them, especially Iris dichotoma, Iris ensata var. spontanea, Iris pseudoacorus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showed more prominent difference depending on plug cell volume compared to other species. Regarding growth of subterranean part, as decrease plug cell volume/pot size root quality index became high while root weight became low, indicating that growth restriction was happened by exceed increase of root density due to limited root zone area. As increase cell volume/pot size, root development became active in bigger than 150 ml of cell volume. Plant quality got better as increase cell volume/pot size, and 60 days old plants (DOP) revealed higher quality than 90 DOP revealed, indicating that marketing is possible from 60 DOP. Considering both plant age and cell volume (pot size), plant quality was better in smaller cell volume when cultivate plants in short time, while better in bigger cell volume when cultivate plants long time. Accordingly, when extend cultivation periods in small volume of plug cell, plant quality became bad.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of plants, plants should be grown in proper plug cell volume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Among plants tested Hosta longipes,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Aquilegia japonica, Veronica linariifolia, Hemerocallis fulva, Iris ensata var. spontanea, Iris pseudoacorus, Allium senescens, Hypericum ascyron,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Gentiana scabra,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Dendranthema boreale,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spathulifolius, Aster maackii, Aster koraiensis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were determined to be able to produce standard size nursery plants using plug tray, and proper plug cell volume was bigger than 150 ml (32 cell tray).

서론

정원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함께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정원산업이 선진화된 영국이나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정원용 화훼식물이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 원 예협회 자료에 의하면 15,000여 종의 정원 식물이 사용되고 있으 며 이중 관상수 18%, 관목류 25%, 초화류 57%로 다양한 초화류 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조달청에 209종의 조경 용 수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중 초화류는 90종으로 대부분 자생 식물이다. 등록된 초화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면 실제 정원에 조성 시 수목의 하부에 식재할 수 있는 초종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 지 않아 단조로운 정원구성이 불가피한 실정이다(RDA, 2015).
정원 및 녹지에 사용되는 식물은 자연 재료이기 때문에 공장 제 품처럼 일률적인 규격품을 생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최근 온라인으로 정원식물의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물의 규 격과 품질이 일정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으며 배 송과정에서 식물의 훼손과 같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현재는 식 물의 특성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초장 및 화분의 크기에 따라 규 격을 정하고 있지만 식물의 생육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유통 가능 한 초장 및 분의 크기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정원 식물의 생 산 및 유통규격이 표준화되지 못하여 산업의 확대에 어려움이 있으 나 문제가 해결된다면 정원산업의 성장속도가 증가할 것이다.
자생화를 비롯한 화훼류는 화종이 매우 다양하므로 각각의 화종 에 대한 재배요인의 규격화를 통한 육묘체계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 다(Jeong, 1998). 이에 따라 공정 육묘에 의한 고품질 규격묘 생산 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Nam et al., 2003). 최근에 활용이 증 가한 플러그 육묘는 묘의 생장속도가 빠르고 묘의 균일도가 높으 며 재배 일정을 맞추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McAvoy, 1988; Peppler, 1990; Carlson et al., 1992). 또한 공간 이용 효율이 높으 며 정식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그 이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Yeoung et al., 2004). 플러그 육묘시 트레이 셀의 크기에 따라 재식밀도, 배지의 양, 공급되는 양수분의 양이 달 라지기 때문에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hin et al., 2000; Kim et al., 2001; Kim et al., 2013). 플러그 셀 의 크기에 따라 묘소질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베이비채소, 오이, 호박, 시금치, 고추, 부추, 토마초 등의 채소류를 대상으로 진행되 었다(Lee and Kim, 1999; Shin et al., 2000; Kim et al., 2001; Yeoung et al., 2004; Park et al., 2009; Jang et al., 2014).
화훼류는 종류가 다양하고 동시 재배시 각 작물이 요구하는 환 경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균일한 개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화 훼류의 육묘에 노동력 절감과 균일묘의 대량생산을 위한 플러그묘 생산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Ito, 1992). 화훼류와 자생식물에 있 어서 플러그 트레이 육묘를 위한 용토, 시비체계, 관수방법, 트레이 크기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물억새, 국화, 일년생 초 화류, 옥잠화, 매발톱 등을 대상으로 생육반응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Nam et al., 2002; Song et al., 2002; Nam et al., 2003; Song and Chang, 2003; Lee et al., 2005; Hwang et al., 2006).
플러그묘는 제한된 환경 조건하에서 생장하기 때문에 재배기간 의 설정과 생육환경이 중요하므로 각 식물에 적합한 생장기간과 재 배조건 즉, 플러그 트레이의 크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 조성시 주요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초본성 자생식물 중 규격묘 생산이 가능한 식물을 선발하며 각 식물종별 적정한 용기 크기 및 생육일수를 파악하여 정원 식물 규격화 생산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1. 실험식물

본 연구의 공시식물로 도시 정원 및 조경 공간에 적용 가능한 종 으로 비비추, 금낭화, 매발톱, 하늘매발톱, 꼬리풀, 원추리, 범부채, 대청부채, 꽃창포, 노랑꽃창포, 두메부추, 기린초, 둥근잎꿩의비 름, 좁쌀풀, 물레나물, 동의나물, 용담, 자주꽃방망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벌개미취, 미역취로 총 11과 24종을 선정하였다 (Table 1).
Table 1.
Planted species using this experiment.
Family name Scientific name

Liliaceae Hosta longipes
Allium senescens
Hemerocallis fulva

Fumariaceae Dicentra spectabilis

Ranunculaceae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Aquilegia japonica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Scrophulariaceae Veronica linariifolia

Iridaceae Belamcanda chinensis
Iris dichotoma
Iris ensata var. spontanea
Iris pseudoacorus

Crassulaceae Sedum kamtschaticum
Hylotelephium ussuriense

Primulaceae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Guttiferae Hypericum ascyron

Gentianaceae Gentiana scabra

Campanulaceae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Compositae Dendranthema boreale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spathulifolius
Aster maackii
Aster koraiensis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2. 실험방법

본 연구는 육묘 용기의 크기에 따른 초본성 정원식물의 생육 특 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 온실에 실험구를 조성하였다.
공시식물은 자생식물생산자협회로부터 228구 트레이에 파종 된 상태로 제공받아 실험을 진행하였다. 228구 트레이에 파종 (2014년 3월)한 어린 묘를 2014년 4월에 트레이 105구(30ml), 72 구(34ml), 50구(73ml), 32구(150ml), 플라스틱 5호(300ml)와 6호 (400ml) 화분에 정식하였으며 식물 종류별로 20회 반복하였다. 정 식시 사용한 토양은 육묘용 원예용상토(코코피트 65~70%, 피트 모스 8~12%, 질석 10~14%, 제올라이트 3~5%, 펄라이트 5~8% 등, EC 0.65±0.3, 보수력 30~50%)를 활용하였다. 관리는 정식 후 주 3-4회 관수하였으며,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나방 유충의 방제를 위하여 여름철에 살충제를 2회 살포하였다.

3. 조사 및 분석방법

식물의 생장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은 지상부의 수관, 줄기, 잎, 꽃 열매 등에 대한 생장상태 조사법과 지하부의 뿌리에 대한 생장상태 조사법 등이 있다(Kim, 2007).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류 및 용기 크 기별로 5개체씩 선발하여 식물체의 초장, 뿌리의 발달상태 및 건중 량, 묘의 품질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의 생육은 정식 60일 이후부터 30일 간격으로 6월부터 10월 까지 지표면에서 식물 줄기 끝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뿌리의 발 달상태는 정식 60일 후에 분형근지수를 5단계 리커트척도(1: 분형 근 형성 0%, 3: 분형근 형성 50%, 5: 분형근 형성 100%)로 평가하였 다. 뿌리의 건조중은 정식 90일 뿌리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뿌리를 물로 씻어 뿌리에 붙어 있는 토양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 후 뿌리 무게 를 측정하였다. 또한 60일과 90일 후에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파악하 기 위하여 품질지수를 5단계 리커트척도(1: 하, 3: 중, 5: 상)로 평가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WIN 12.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으로 평균분석, 분산분석, 던칸테스트(DMRT) 등을 분석하여 생육일수 및 용기 크기에 따른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지상부 생장상태

각 용기에 정식 후 지상부의 생육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식 후 30일 간격으로 초장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물별로 생 육일수마다 측정한 초장의 높이를 가지고 적정 생육일수를 분석하 였다. 분석 결과 24종의 공시식물 공히 생육일수에 따라 생장에 차 이가 있었다. 둥근잎궝의비름과 자주꽃방방이는 생육일수 90일(7 월 측정)에 초장이 가장 길었으며 금낭화, 매발톱, 하늘매발톱, 꼬 리풀, 원추리, 범부채, 두메부추, 좁쌀풀, 벌개미취는 120일(8월 측 정)에 길었다. 그 외 비비추, 대청부채, 노랑꽃창포, 꽃창포, 기린초, 물레나물, 동의나물, 용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미역취는 180일(9월 측정)에 초장이 길었다(Fig. 1).
Fig. 1.
Plant height as influenced by plug cell volume in herbaceous gardening plants.
KSPPE-19-5-487_F1.gif
각 공시식물별 적정 생육일수를 기준으로 용기 규격에 따른 초 장의 변화를 분산분석 및 던칸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공시식물 에서 용기 규격에 따라 초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생육이 우수한 용기의 크기는 대부분 5호 화분(300ml)과 6호 화분(400ml)으로 분석되었다. 5호 화분에서 생육이 우수한 식 물은 비비추, 매발톱, 하늘매발톱, 대청부채, 노랑꽃창포, 기린초, 둥근잎꿩의비름, 동의나물, 용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벌 개미취, 미역취이며, 금낭화, 꼬리풀, 원추리, 범부채, 꽃창포, 두메 부추, 좁쌀풀, 물레나물, 자주꽃방망이는 6호 화분에서 초장이 길 었다(Table 2).
Table 2.
Effect of plant age on plant height with the plug cell volume in herbaceous native gardening plants.
Plants Plant age (Days) Average plant height (cm)
F value
105 (30 ml) 72 (34 ml) 50 (73 ml) 32 (150 ml) No. 5 (300 ml) No. 6 (400 ml)

Hosta longipes 150 5.69 a 7.13 b 7.31 b 7.63 b 12.69 c 13.50 c 44.495**
Allium senescens 120 22.38 c 17.31 a 20.00 b 22.50 c 22.50 c 26.00 d 25.661**
Hemerocallis fulva 120 12.94 ab 12.31 a 11.63 ba 16.38 c 14.69 b 25.75 d 51.460**
Dicentra spectabilis 120 8.25 a 7.38 a 17.38 b 23.88 c 25.63 c 29.88 d 45.906**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120 9.63 b 6.69 a 10.13 b 10.75 b 17.19 c 18.88 c 48.752**
Aquilegia japonica 120 6.00 a 6.94 ab 8.25 b 12.00 c 14.19 d 14.00 d 47.350**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150 1.31 ab 0.00 a 6.19 c 3.69 bc 15.25 d 13.44 d 47.629**
Veronica linariifolia 120 12.81 a 11.38 a 17.88 b 20.75 b 29.69 c 34.63 d 33.727**
Belamcanda chinensis 120 20.06 a 18.88 a 21.38 a 32.88 b 38.25 c 43.25 d 75.647**
Iris dichotoma 150 3.19 a 5.25 a 2.06 a 16.38 b 52.63 c 57.50 c 58.067**
Iris ensata var. spontanea 150 41.94 ab 35.29 a 48.75 b 57.50 c 78.94 d 87.13 e 53.250**
Iris pseudoacorus 150 28.50 b 10.88 a 26.06 b 54.88 c 73.81 d 73.63 d 85.035**
Sedum kamtschaticum 150 12.44 b 7.63 a 13.50 b 13.94 b 21.31 c 20.50 c 70.935**
Hylotelephium ussuriense 150 3.00 a 2.75 a 4.19 a 5.00 ab 7.38 b 7.25 b 4.571**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120 28.79 bc 19.44 a 24.75 ab 24.75 ab 32.50 c 38.25 d 13.099**
Hypericum ascyron 150 0.00 a 12.69 b 14.75 b 24.44 c 33.50 d 54.88 e 142.972**
Gentiana scabra 150 4.00 bc 2.94 a 3.56 ab 4.50 c 6.94 d 6.44 d 40.715**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90 6.69 a 5.00 a 10.75 b 14.13 c 16.00 c 20.00 d 25.671**
Dendranthema boreale 150 30.69 a 30.00 a 38.06 a 64.94 b 75.56 b 79.44 b 21.508**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150 9.06 a 13.00 b 12.44 b 16.94 c 17.56 c 17.69 c 98.823**
Aster spathulifolius 150 8.63 b 6.19 a 10.75 c 14.71 d 18.13 e 18.69 e 350.658**
Aster maackii 150 21.56 c 12.06 a 16.56 b 31.75 d 39.13 e 39.00 e 100.508**
Aster koraiensis 120 18.56 b 14.06 a 23.13 c 27.00 d 28.00 d 24.13 c 140.250**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150 15.44 a 11.13 a 34.06 b 43.13 bc 62.56 d 53.25 cd 19.874**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significance at 5% level.

** significance at 1% level.

공시식물 중 대청부채, 꽃창포, 노랑꽃창포 좁쌀풀, 자주꽃방망 이, 미역취 등은 105구 트레이(30ml)에서의 초장과 6호 화분에서 초장의 차이가 커 다른 식물에 비하여 용기 규격에 따른 생육의 차 이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용기의 규격이 작을수록 공시식물 의 생육량이 적었으며 이는 근권 제한에 따른 억제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연구(Weston and Zandstra, 1986; Kemble et al., 1994)에서도 화분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상토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화분보다 양분의 공급이 많고 근권 용적이 커서 뿌리발육이 양호하여 지상부 생육이 좋아진 결과 때문 인 것으로 설명한다.
각 식물별로 생육일수와 트레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생육 조건을 분석하면 둥근잎꿩의비름은 5호 화분에서 90일간, 자주꽃방망이 는 6호 화분에서 90일간 생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발톱, 하늘 매발톱, 벌개미취는 5호 화분에서 120일간, 비비추, 대청부채, 노 랑꽃창포, 기린초, 동의나물, 용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미역취 등은 5호 화분에서 150일간 생육하는 것이 좋다. 금낭화, 꼬 리풀, 원추리, 범부채, 두메부추, 좁쌀풀은 6호 화분에서 120일간 생육하며 꽃창포, 물레나물은 6호 화분에서 150일 생육할 때 생육 상태가 좋을 것이다. 화분의 크기가 작을수록 지하부의 생육이 억 제되어 식물생장에 영향을 미치므로 생육기간이 길어지면 상대적 으로 생육상태가 저하된다. 즉, 컨테이너 크기에 따라 적정 생육일 수가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다.

2. 지하부 생장상태

1) 뿌리상태(분형근지수)

공시식물에 대하여 트레이별로 뿌리상태를 평가한 결과 비비추, 꼬리풀, 원추리, 노랑꽃창포, 두메부추, 동의나물, 용담에서만 트레 이 크기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국, 해국, 미역취 는 트레이 크기에 따른 분형근지수에 차이가 없어 크기에 따라 분 형근 형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3, Fig. 2). 용 기가 작을수록 분형근지수가 높은 것은 근권발달이 제한되어 뿌리 의 밀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Effect of plug cell volume/pot size on root ball index in herbaceous native gardening plants at 60 days after planting.
Plants Average root ball index
F value
105 (30 ml) 72 (34 ml) 50 (73 ml) 32 (150 ml) No. 5 (300 ml) No. 6 (400 ml)

Hosta longipes 4.80 d 4.60 cd 4.00 bc 3.80 d 3.00 a 3.00 a 12.820**
Allium senescens 4.60 b 4.40 b 4.60 b 4.60 b 4.00 ab 4.00 ab 3.440*
Hemerocallis fulva 4.60 b 3.80 a 3.40 a 3.60 a 3.40 a 3.40 a 3.000*
Dicentra spectabilis 4.20 4.80 4.60 5.00 4.60 4.60 1.178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5.00 5.00 5.00 5.00 4.40 4.60 1.800
Aquilegia japonica 4.80 5.00 5.00 5.00 4.60 4.60 0.892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3.20 a 2.60 a 4.80 b 4.20 b 4.00 b 4.20 b 9.010**
Veronica linariifolia 5.00 b 5.00 b 5.00 b 4.80 b 5.00 b 4.40 a 3.520*
Belamcanda chinensis 4.80 4.80 4.80 4.80 4.80 4.60 0.154
Iris dichotoma 4.60 4.60 4.80 5.00 4.40 4.20 1.333
Iris ensata var. spontanea 4.80 4.80 4.40 4.20 4.00 4.00 2.126
Iris pseudoacorus 4.60 b 5.00 b 4.40 ab 4.80 b 4.40 ab 3.80 a 2.867*
Sedum kamtschaticum 4.80 4.60 4.80 4.80 4.80 4.00 1.925
Hylotelephium ussuriense 3.20 3.00 3.20 3.60 3.40 3.60 1.354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5.00 5.00 4.80 5.00 5.00 5.00 1.000
Hypericum ascyron 5.00 5.00 5.00 5.00 5.00 5.00 -
Gentiana scabra 4.80 b 5.00 b 4.80 b 4.80 b 3.40 a 3.00 a 16.029**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4.80 5.00 4.60 4.20 5.00 5.00 2.567
Dendranthema boreale 5.00 5.00 5.00 5.00 5.00 5.00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5.00 5.00 5.00 5.00 5.00 5.00 1.000
Aster spathulifolius 5.00 5.00 5.00 5.00 5.00 5.00 -
Aster maackii 5.00 5.00 5.00 5.00 5.00 5.00 1.000
Aster koraiensis 5.00 5.00 5.00 5.00 5.00 5.00 1.000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5.00 5.00 5.00 5.00 5.00 5.00 -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significance at 5% level.

** significance at 1% level.

Fig. 2.
Growth of herbaceous gardening plants at 60 days after planting as influenced by plug cell size/pot size during production of standard seedlings.
KSPPE-19-5-487_F2.gif

2) 뿌리무게

실험에 사용한 식물별로 트레이 크기에 따른 뿌리무게를 측정한 결과, 플러그 트레이 크기가 클수록 무겁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 다. Hwang et al.(2006)의 연구에서도 트레이 크기가 클수록 지하 부의 무게가 무겁게 나타났다. 식물별로 비비추, 매발톱, 꼬리풀, 꽃창포, 기린초, 산국 등 6종은 5호 화분에서 뿌리무게가 제일 무거 웠으며 금낭화, 하늘매발톱, 원추리, 범부채 대청부채, 노랑꽃창포, 두메부추, 둥근잎꿩의비름, 좁쌀풀, 물레나물, 동의나물, 용담, 자 주꽃방망이,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벌개미취, 미역취 등 18종은 6호 화분에서 뿌리무게가 제일 무거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트레 이별로 뿌리무게의 차이를 분산분석 한 결과 모든 식물에서 트레이 별로 뿌리무게에 차이가 있었다. 비비추, 하늘매발톱, 원추리, 범부 채, 대청부채, 기린초, 둥근잎꿩의비름, 좁쌀풀, 물레나물, 동의나 물, 용담, 자주꽃방망이, 산국, 해국, 좀개미취, 미역취는 6호 화분 에서 뿌리의 발달이 크며 벌개미취는 32구 트레이에서 뿌리의 발 달이 양호하였다. 그 외 7종은 5호 화분, 6호 화분에서 뿌리발달이 활발하였다(Table 4).
Table 4.
Effect of plug cell volume/pot size on root weight in herbaceous native gardening plants at 90 days post planting.
Plants Average root weight (g)
F value
105 (30 ml) 72 (34 ml) 50 (73 ml) 32 (150 ml) No. 5 (300 ml) No. 6 (400 ml)

Hosta longipes 1.40 a 1.10 a 2.24 a 2.91 a 14.03 b 13.97 b 15.064 **
Allium senescens 5.64 a 4.20 a 8.80 a 29.64 b 46.24 c 54.35 c 31.021 **
Hemerocallis fulva 1.91 a 2.59 ab 4.00 ab 6.93 b 11.73 c 22.10 d 43.042 **
Dicentra spectabilis 0.04 a 0.19 a 0.39 a 1.36 a 7.46 b 13.79 b 36.011 **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0.48 a 1.26 ab 2.08 bc 4.75 c 16.38 d 13.94 d 25.585 **
Aquilegia japonica 0.65 a 0.61 a 3.15 a 4.68 a 10.40 a 52.35 b 19.577 **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0.03 a 1.24 a 3.35 a 3.18 a 24.88 b 83.55 c 36.767 **
Veronica linariifolia 1.63 a 4.00 a 10.58 ab 35.64 b 94.78 c 75.16 c 13.868 **
Belamcanda chinensis 0.78 a 1.21 a 2.46 ab 7.74 b 31.28 c 45.30 d 87.003 **
Iris dichotoma 0.98 a 0.51 a 3.41 a 9.73 b 13.54 b 34.95 c 94.540 **
Iris ensata var. spontanea 1.71 a 4.15 a 10.05 a 22.38 b 51.04 c 44.23 c 31.142 **
Iris pseudoacorus 2.01 a 3.86 a 12.60 a 42.54 b 66.50 c 69.01 c 26.189 **
Sedum kamtschaticum 1.58 a 8.06 ab 12.70 b 28.01 c 53.39 d 38.29 e 33.873 **
Hylotelephium ussuriense 0.55 a 1.03 a 7.31 a 7.54 a 21.85 b 48.34 c 43.434 **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1.13 a 0.64 a 1.48 a 4.54 c 20.31 b 39.51 c 8.154 **
Hypericum ascyron 1.51 a 5.90 a 16.80 a 15.78 a 36.71 b 48.46 c 13.140 **
Gentiana scabra 9.00 a 10.14 ab 26.64 b 29.64 c 40.89 c 69.03 d 27.153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1.16 a 4.84 ab 1.866 a 9.86 b 17.51 b 47.03 c 14.956 **
Dendranthema boreale 3.05 a 12.49 ab 7.46 ab 39.36 bc 88.10 c 75.33 c 11.754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3.36 a 18.01 ab 24.58 ab 43.46 bc 44.95 c 57.55 c 6.469 **
Aster spathulifolius 3.59 a 8.43 ab 14.08 ab 22.41 bc 36.23 c 80.30 d 23.945 **
Aster maackii 1.96 a 12.30 ab 9.71 ab 28.28 b 35.45 b 156.00 c 47.479 **
Aster koraiensis 3.80 a 12.03 a 10.26 a 58.59 c 35.85 b 66.59 c 23.059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1.41 a 5.73 a 4.84 a 11.28 ab 18.24 b 43.80 c 14.756 **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significance at 5% level.

** significance at 1% level.

화분을 제외한 트레이 크기별로는 꼬리풀, 대청부채, 꽃창포, 노 랑꽃창포, 두메부추, 기린초, 자주꽃방망이, 산국, 구절초, 해국, 좀 개미취, 벌개미취는 32구 트레이에서 뿌리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 진다. 즉, 뿌리가 발달하는데 적정 량의 흙이 요구되는데 최소 150ml 이상의 흙 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품질 평가

실험에 사용한 식물별로 정식 후 60일과 90일에 상품으로서의 품질을 5점 만점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식물별로 품질을 보 면 좁쌀풀은 최고 품질점수가 4.20으로 다른 23개 식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금낭화, 매발톱, 꼬리풀, 대청부 채, 노랑꽃창포, 두매부추, 기린초, 자주꽃방망이, 해국, 좀개미취, 벌개미취, 미역취는 5.0으로 높았다. 정식 후 품질상태를 비교해보 면 금낭화, 매발톱, 하늘매발톱, 꼬리풀, 원추리, 범부채, 대청부채, 기린초, 산국, 벌개미취 등은 60일과 90일의 품질차이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 이들 식물은 정식 후 90일보다 60일 생육했을 때 품 질이 더 높아 90일까지 생육하지 않고 60일부터 유통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기의 크기에 따른 품질변화를 분석하면 비비추, 하늘매발톱, 꼬리풀, 원추리, 두메부추, 좁쌀풀, 용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벌개매취, 미역취 등은 32구 트레이, 5호 화분, 6호 화분 용기에서 품질지수가 높아 최소 150ml 이상의 용기 에 생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금낭화, 범부채, 대청부채, 노랑꽃창 포, 기린초, 동의나물, 자주꽃방망이는 5호 화분, 6호 화분 용기에 서 품질이 높았다(Fig. 3).
Fig. 3.
Effect of the cell size of plug tray on quality of herbaceous garden plants at 60 and 90 days after planting.
KSPPE-19-5-487_F3.gif
생육일수와 용기크기를 모두 고려하여 품질지수를 분석하면 하 늘매발톱, 대청부채는 5호 화분, 6호 화분에서 60일 생육할 때 우수 한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원추리, 두메부추, 구절초, 좀개미취는 5 호 화분, 6호 화분에서 60일이나 90일 생육할 때 품질이 우수하나 차이가 없었다. 금낭화와 매발톱, 꼬리풀, 범부채, 산국, 벌개미취 는 32구 트레이, 5호 화분, 6호 화분에서 60일 생육할 때 품질이 우 수하다. 꽃창포, 물레나물은 5호 화분, 6호 화분에서 90일, 노랑꽃 창포, 기린초, 좁쌀풀, 해국, 미역취는 5호 화분, 6호 화분에서 60일 생육시 품질이 좋았다. 둥근잎꿩의비름, 동의나물은 6호 화분에서 60일, 90일 생육시 품질에 차이가 없으며 용담은 32구 트레이, 5호 화분에서 60일 생육시 품질이 높다. 자주꽃방방이는 6호 화분에서 60일 생육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우수한 품질을 위해서는 각 식물별로 적절한 화분크기와 생육일수가 요구된다 (Table 5).
Table 5.
Effect of the cell size of plug tray or pot size on plant quality index in herbaceous native garden plants.
Plants Average root weight (g)
F value
105 (30 ml)
72 (34 ml)
50 (73 ml)
32 (150 ml)
No. 5 (300 ml)
No. 6 (400 ml)
60 days 90 days 60 days 90 days 60 days 90 days 60 days 90 days 60 days 90 days 60 days 90 days

Hosta longipes 3.0 b 2.2 a 3.6 bcd 2.4 a 3.8 cde 3.2 bc 4.0 def 4.4 efg 4.6 fg 4.6 fg 4.8 g 4.6 fg 18.601 **
Allium senescens 3.4 a 3.2 a 4.0 bc 3.6 ab 4.4 cde 4.2 cd 4.8 ef 4.6 def 5.0 f 5.0 f 5.0 f 5.0 f 14.818 **
Hemerocallis fulva 4.0 b 2.6 a 4.0 b 2.6 4.2 bd 3.2 a 4.6 bc 4.4 bc 4.6 bc 4.6 bc 4.6 bc 4.8 c 13.811 **
Dicentra spectabilis 3.0 b 1.4 a 2.8 b 1.6 a 3.8 c 2.4 b 4.8 de 2.6 b 4.8 de 3.6 c 5.0 e 4.2 cd 36.364 **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3.6 b 2.2 a 4.0 bc 2.6 a 4.6 cd 4.2 bcd 4.8 de 4.4 cd 4.8 de 4.6 cd 5.0 e 4.8 de 19.607 **
Aquilegia japonica 4.4 bc 2.4 a 4.2 bc 2.8 a 4.0 b 2.8 a 4.6 bc 4.4 bc 4.8 c 4.6 bc 4.8 c 4.8 c 14.335 **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2.6 b 1.4 a 0.8 a 1.2 a 3.2 bc 3.2 bc 3.6 bcd 3.8 cde 4.4 de 4.8 e 4.8 e 4.8 e 19.911 **
Veronica linariifolia 3.8 c 1.8 a 4.0 cd 2.2 ab 4.6 de 2.6 b 5.0 e 4.0 cd 5.0 e 4.4 cde 5.0 e 4.6 de 32.909 **
Belamcanda chinensis 3.6 b 1.8 a 3.8 bc 2.2 a 4.4 cd 2.4 a 4.8 d 3.4 b 4.8 d 4.4 cd 4.8 d 4.6 d 20.338 **
Iris dichotoma 3.6 b 2.2 a 3.4 b 2.4 a 3.6 b 2.6 a 4.4 c 3.4 b 4.8 c 4.4 c 5.0 c 4.8 c 18.976 **
Iris ensata var. spontanea 2.4 a 2.4 a 3.0 abc 2.6 ab 3.4 bcd 3.2 abc 4.2 de 3.6 c 4.8 e 4.6 e 3.0 abc 4.8 e 10.577 **
Iris pseudoacorus 3.4 bc 2.6 a 3.6 cd 2.8 ab 3.6 cd 3.2 abc 4.4 ef 4.2 de 5.0 f 4.8 ef 5.0 f 4.8 ef 14.855 **
Sedum kamtschaticum 3.8 de 1.8 a 3.8 de 2.4 ab 4.4 ef 2.8 bc 4.6 f 3.4 cd 5.0 f 4.8 f 5.0 f 4.8 f 24.295 **
Hylotelephium ussuriense 1.8 ab 1.6 a 1.8 ab 1.8 ab 2.6 bc 2.2 abc 3.0 cd 2.8 c 3.8 de 3.8 de 4.4 e 4.4 e 12.820 **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2.2 a 1.8 a 2.4 ab 2.6 abc 3.4 cde 2.6 abc 4.0 de 3.2 bcd 4.2 e 3.6 de 4.2 e 3.8 de 8.712 **
Hypericum ascyron 3.6 bc 2.8 a 4.0 cde 3.2 ab 4.4 def 3.8 bcd 4.6 ef 4.2 cdef 4.4 def 4.6 ef 4.4 def 4.8 f 8.000 **
Gentiana scabra 3.0 ab 2.8 a 3.6 bc 3.4 abc 4.6 de 4.0 cd 4.8 e 4.4 de 4.8 e 4.6 de 4.6 de 4.8 e 10.481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3.6 b 2.4 a 3.6 b 3.6 b 3.6 b 3.4 b 4.0 bd 4.0 bc 4.6 cd 4.4 cd 5.0 d 4.6 cd 9.068 **
Dendranthema boreale 2.8 ab 2.4 a 3.6 cd 2.6 ab 4.0 de 3.2 bc 4.8 f 4.4 ef 4.8 f 4.4 ef 4.8 f 4.6 ef 15.118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3.0 ab 2.6 a 3.0 ab 2.8 a 3.6 bc 4.0 cd 4.4 de 4.4 de 4.6 de 4.6 de 4.8 e 4.8 e 14.514 **
Aster spathulifolius 3.0 ab 2.6 a 3.4 bc 3.0 ab 4.0 cd 3.6 bc 4.6 de 4.4 de 5.0 e 4.8 e 5.0 e 4.6 de 14.545 **
Aster maackii 3.0 ab 2.8 a 3.4 b 3.2 ab 4.4 c 4.2 c 5.0 d 4.6 cd 5.0 d 5.0 d 5.0 d 5.0 d 30.679 **
Aster koraiensis 3.2 ab 2.8 a 3.6 b 3.2 ab 4.4 cd 3.2 ab 5.0 e 4.2 c 5.0 e 4.8 de 5.0 e 5.0 e 24.838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3.0 a 2.6 a 3.2 a 2.8 a 4.0 b 4.0 b 4.6 bc 4.6 bc 5.0 c 4.8 c 5.0 c 4.8 c 18.236 **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significance at 5% level.

** significance at 1% level.

따라서 현재 육묘용 트레이 용기로 최대 32구(150ml) 이상은 생 산되지 않으나 정원용 초본성 자생식물의 종별 규격묘 생산을 위해 서는 300ml 정도의 트레이 용기도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요

초본성 자생식물 11과 24종을 대상으로 트레이 크기 및 생육일 수에 따른 지상부 생장상태를 조사한 결과, 생육일수 및 화분의 크 기에 따라서도 생육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청부채, 꽃창포, 노랑 꽃창포, 좁쌀풀, 자주꽃방망이, 미역취 등은 다른 종에 비하여 용기 의 크기에 따른 생육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하부 생육은 용기 의 크기가 작을수록 뿌리의 품질지수는 높고 뿌리의 무게는 낮게 나타나 근권 제한에 의해 뿌리의 밀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생육억 제 효과가 나타났다. 용기의 크기가 클수록 뿌리발달이 활발하며, 최소 150ml이상의 크기에서 뿌리발달이 좋았다. 식물의 품질은 용 기가 클수록 품질지수가 높아지며 90일보다 60일에 품질지수가 높아 60일 이후에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일수와 화 분의 크기를 모두 고려하면 화분이 작으면 단기간 생육시 품질이 우수하나 생육기간이 길어지면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고 용기가 크 면 생육기간이 길어야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즉, 각 식물별로 우수한 품질을 위해서는 적절한 화분크기와 생육일수가 요구된다. 공시식물 중 비비추, 매발톱, 하늘매발톱, 꼬리풀, 원추리, 꽃창포, 노랑꽃창포, 두매부추, 물레나물, 동의나물, 용담, 자주꽃방망이, 산국, 구절초, 해국, 좀개미취, 벌개미취, 미역취는 트레이 용기를 이용한 규격묘 생산이 가능하며, 적정 크기는 최소 32구(150ml) 이 상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Larson RA, Carlson WH, Kaczperski MP, Rowley EM. Bedding plants Introduction to floriculture. 1992. 2nd ed. New York NY USA: Academic Press; p. 511–550.

2. Hwang IT, Cho KC, Kim BS, Kim HG, Cho MS, Kim JG. Effects of seeding quality and growth and cut flower with different cell sizes and pretransplant nutritional regimes. J. Bio- Environ. Cont 2006;15(1): 153–159.

3. Kurata K, Kozai T, Ito T. Present state of transplant production practices in Japanese horticultural industry.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1992.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cashers; p. 65–82.

4. Jang YH, Lee J, Choi CS, Um YC, Lee SG.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cion and pumpkin rootstock under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and plug cell size under an artificial lighting condition. Protected Hort. Plant Fac 2014;23(4): 383–390.
crossref
5. Jeong BR. Technology and environment management for the production plug transplants of flower crop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1998;16(2): 282–286.

6. Kemble JM, Davis JM, Gardner RG, Sanders DC. Root cell volume affects growth of compact-growth-habit tomato transplants. Hort. Science 1994;29:261–262.
crossref
7. Kim CK, Oh JY, Kang SJ. Effect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 J. Kor. Soc. Hort. Sci 2001;42:167–170.

8. Kim DG. Roots characteristics of Zelkova serrata Mkino After replanting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07;35(5): 46–55.

9. Kim SE, Lee MH, Ahn BJ, Kim YS. Effects of spacing and plug cell size on seedling quality and yield and qualities of tomatoes. Protected Hort. Plant Fac 2013;22:256–261.
crossref
10. Lee JW, Kim KY. Tomato seedling quality and yield following raising seedlings with different cell size and pretransplant nutritional regimes. J. Kor. Soc. Hort. Sci 1999;40:407–411.

11. Lee SC, Lee JS, Jeong SJ.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plug cells and medium composition.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005;23(3): 315–318.

12. McAvoy RJ. Plug production for bedding plants. Connecticut Greenhouse Newlett 1988;147:1–3.

13. Nam HH, Woo JH, Choi KB. Effects of seedling raising period and tray size on annual flowers seedling production. Proc. Kor. Soc. Hort. Sci 2002;20:104.

14. Nam HH, Woo JH, Choi KB. Growth response of seedlings of annual bedding plants influenced by raising period and cell size of plug tray. Hortic. Environ. Biotechnol 2003;44(2): 223–227.

15. Park KW, Park HR, Beak JP, Kim JH, Yang DS. Baby vegetable production using plug tray.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009;27(3): 359–364.

16. Peppler KZ. Plug vs direct-seeding. Greenhouse Manager 1990;Feb;1990:47–51.

17. RDA. Gardening and urban greening. RDA 2015;49–53.

18. Shin YA, Kim KY, Kim YC, Seo TC, Chung JH, Pak HY. Effect of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red pepper. Hortic. Environ. Biotechnol 2000;41:49–52.

19. Song JS, Chang YD. Effect of raising period and plug tray size on growth of aquilegia seedling. Proc. Kor. Soc. Hort. Sci 2003;21:88.

20. Song JS, Chang YD, Bang CS, Huh KY, Kim JY. Effect of raising period and plug tray size on growth of hosta seedling. Proc. Kor. Soc. Hort. Sci 2002;20:104.

21. Weston LA, Zandstra BH. Effect of root container and location of production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transplants. J. Amer. Soc. Hort. Sci 1986;111:498–501.
crossref
22. Yeoung YR, Jung MK, Kim BS, Hong SJ, Chun CH, Park SW. Effect of plug cell size on seedling growth of summer spinach.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004;22(4): 422–425.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1,423 View
  • 8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