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외부환경 관리를 위한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 연구

Perception of Students Toward Activity Program for the Outdoo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5):435-445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정 나라, 정 명일, 한 승원, 김 재순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Wanju 55365,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jnr202@korea.kr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PJ010252012016)의 지원에 의해 이루 어진 것임.
Received 2016 August 26; Revised 2016 September 17; Accepted 2016 October 12.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create and manage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ultivating vegetables, fruits, flowers, trees, etc., and took part in activities such as planting plants, growing plants, and harvesting plants. These activities were done through the house veranda, garden, or school classes. We found that much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re done at school, home, and communities, as the students have quite a few experiences in external experiential events or allotment farms. Students had more than average amount of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more gardening activity the student experienced, the higher interest they had. About half of the students observe the plants at least once a month and know the names of 3.42 plants among the plants at school.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at had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re aware of relatively many plants and show high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schools don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ey usually consist of one-off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seeding in schools without gardens as the activities are done with pots inside the classrooms. The satisfaction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was relatively high at schools that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nd this was affected by flowers, trees, and resting area. In other words, students must have plenty of flowers and trees to be satisfied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and should also have an appropriate outdoor resting a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llow students to continue experiencing gardening activities at school and home, because they have a high abundance of experience and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the sp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pre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secured and a variety of flowers and trees should be planted in order to creat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I. 서론

학교는 어린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자라나는 아이들 의 감성과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을 갖추 어야 한다. 학교 옥외공간은 정규학습활동 이외에 운동, 친구들과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여가공간과 혼자만의 사색을 즐 기는 개인적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아이들 발달에 다용도의 필수적 인 장소가 된다(Rieh and Kwon, 2013). 또한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하여 자연환경을 접하기 어려운 도시환경에서 학교 옥외환경은 어린이들이 자연을 접하고 자연의 원리를 배울 수 있는 일차적 장소 가 된다. 즉, 학교 옥외환경은 어린이를 위한 공간으로 자연요소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 는다(Chung, 1998). 학교 옥외환경은 환경교육 공간으로서의 중요 성과 함께 도시 내 생물서식공간이자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치가 중시되어 왔다. 이미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외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학교 옥외환경을 교육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 활동의 일환으로 학생, 교사 등 학교 구성원 참여를 통한 옥외환경 개선활동을 진행하였다(Kim et al., 2010). 우리나라에서도 학교 옥외환경의 개선모델로 학교숲 가꾸기 운동이 추진되어 1999년부 터 전국적으로 (사)생명의숲을 비롯하여 교육부, 지자체, 민간단체, 산림청 등에서 4,000여개의 학교숲을 조성하였다. 학교숲 운동은 학교의 외부공간 뿐 아니라 학교 환경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영 향을 주었다(Hue et al., 2014). 학교 교정이나 재배원에서 식물을 심고 기르고 관찰하고 재배하는 체험 프로그램이 최근 학교 텃밭, 스쿨팜 등의 명칭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 부, 농촌진흥청, 지자체, 민간단체 등에서 다양한 강좌와 어린이 원 예활동 프로그램 등으로 학교 텃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 농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원 예 활동 및 교육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Moon et al., 2014).

학교 외부환경은 어린이를 위한 자연학습, 인성교육의 공간인 동시에 오픈스페이스 역할을 하는 자연공간으로 도시 어린이에게 놀고, 배우며, 즐기는 복합 여가공간이 된다. 학교 외부환경에서 이 루어지는 식물 재배의 경험은 생명체를 양육함으로써 얻는 다양한 삶의 원칙으로 미래세대가 사회를 건강하게 키워나가는 심성을 마 련해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Oh and Choi, 2006). 신체활동을 자극하여 심신의 건강을 유도하며 정서 적 안정과 함께 인지적 자극으로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 과도 지니고 있다.

원예활동은 식물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등의 행위와 동작을 통해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고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으며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예 활동 과정에서 사람들은 자연스러운 신체 움직임이 이루어지며 시 각, 후각, 촉각, 미각, 청각 등 오감이 자극되고 집단내외의 구성원 과 상호작용을 이룰 수 있다(Seo and Lee, 2004). Wilson(1995, 1996)은 정원에서 원예활동으로 아동의 인간성과 사회성이 향상 되며 건전한 심신의 발육을 위한 자연과의 유대경험이 가능해진다 고 하였으며 Moore(1996)는 아동이 자연에서 놀 때 올바른 생각 과 긍정적 정서를 가지게 된다고 하였다. 최근의 여러 연구에서 초 등학생이 식물기르기 활동, 원예활동에 참여하였을 때 자연친화적 인 태도를 가지게 되며(Park and Lee, 2015) 심리적 건강성에 영향 을 미쳐 공격성이 감소한다고(Jeong and Lee, 2009) 구명되었다. 또한 사회성이 향상되고 교우관계도 활성화되며(Jeong and Lee, 2013)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어 창의적 교육활동과 문제해결능력 이 증가한다고(Kim et al., 2010; Lee et al., 2013) 보고되었다.

초등학교 옥외환경에서는 교과과정에 맞추어 식물 재배나 원예 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프로 그램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원예활동 및 식물 재배 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의 배 경이 되는 환경의 조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예활동 및 학교 옥외환경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 옥외 환경의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 입지한 초등학교 중 외부환경의 특성을 고 려하여 학교 숲 조성이나 가꾸기 사업 등 외부환경 개선사업을 실시 한 학교와 스쿨팜, 학교 텃밭 등의 프로그램 운영하는 학교, 그리고 최근에 개교한 학교로 구분하였다. 주거지역 중 아파트단지 지역에 입지하며 학년당 학급수가 5학급 이상, 교사수가 30명 이상인 학교 로 제한하였다. 이후 사전조사를 통해 학교 외부환경에 관심이 높고 협조가 가능한 학교를 선정하였다. 2000년도 학교숲 가꾸기 사업 을 진행한 W초등학교, 스쿨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M초등학교, 2015년 개교한 O초등학교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chools.

선정된 학교에서 설문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객관적 응답이 가 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학교별로 차이는 있으나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은 비슷하였 으며 응답자의 90% 이상이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 다(Table 2).

Attribute of respondents.

2. 설문내용 및 조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 연구(Park, 2010; Lee and Kim, 2013; Kim, 2014)를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고 초등학교 교 사와 조경학과 교수에게 설문 내용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원예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 하여 설문내용은 크게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 학교 외부환경에 대 한 관심 및 만족도, 학교에서의 원예활동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 였다.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예활동은 채소, 과일, 꽃, 나무 등을 가꾸는 활동으로 용어를 변경하였다. 각 문항의 특성에 따라 복수응답 문항, 가장 적합한 응답 1개를 선택하는 문항,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문항으로 다양한 응답을 구하도록 하였다(Table 3).

Configuration of questionnaire.

설문조사는 실시하기 이전에 초등학교 관계자에게 양해를 구하 고 설문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 한 후 선생님이 각반 학생들에게 설문을 배부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배부 후 응답자가 직접 기입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4월 1일부 터 30일까지 한달 동안 이루어졌다.

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다지선다형의 선택형 문항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리커트 척도는 평균값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의 경우 학교별로 빈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카이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산분석을 실 시한 후 학교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던칸테스트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

1) 원예활동 경험

채소, 과일, 꽃, 나무 등을 가꾸는 활동(원예활동)의 경험 유무에 있어서 전체 응답자의 90% 이상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학 생들에게 원예활동을 어느 정도 익숙한 활동이라고 파악된다. 학교 별로 분석하면 M초등학교와 W초등학교 응답자는 95% 이상이 원 예활동에 참여하여 매우 높은 참여 경험을 보이고 있으나 O초등학 교는 두 학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참여 경험이 낮았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Table 4).

Experi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원예활동을 경험한 장소는 집 베란다/정원 65.7%, 학교 수업 52.1%로 가정과 학교에서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Table 5). M초 등학교는 스쿨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다른 학교 에 비해 학교수업에서의 비율이 높았으며 원예활동 경험 또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초등학교와 O초등학교는 지역 텃밭이 인 접하여 텃밭 분양 및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 주말농장/텃 밭 등에서의 원예활동 경험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Pl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원예활동을 크게 식물을 기르기 위한 환경만들기, 심기, 기르기, 수확하기, 식물을 재료로 하는 만들기 활동으로 식물 생장에 맞추 어 구분하여 활동별 경험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식물 기르기 (75.4%), 식물 심기(70.5%), 식물 수확하기(50.7%) 등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다(Table 6). M초등학교는 식물 심기의 비율이 높은 반면, O초등학교와 W초등학교는 식물 기르기가 높아 학교별로 차이가 있다. 활동내용 중 식물 재배환경 만들기, 기르기 활동은 대 부분 가정의 베란다나 정원에서 이루어졌으며 학교나 텃밭, 외부 체험에서는 식물 심기와 수확하기 등의 일회성 활동의 참여가 높 았다.

Contents of experienced horticultural activities (multiple responses).

2)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을 5점(1점: 전혀 관심없다, 5점: 매우 관 심있다)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은 평균 3.54으로 보통 이상의 관심이 있는 편이며 O초등학교가 다른 학교 에 비해 관심도가 높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학교별로 관심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다(Table 7).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원예활동 경험에 따른 관심정도를 분석하면 원예활동 경험이 있 는 응답자의 관심도는 3.61점(5점 만점)으로 무경험 응답자에 비 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원예활동 참여 경 험이 많은 M초등학교와 W초등학교는 원예활동 경험에 따라 관심 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유경험자는 관심도가 높은 반면, 무경험자는 관심도가 낮았다. 반면에 O초등학교는 유경험자 의 관심도가 높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어 활동유무 에 상관없이 관심도는 높았다(Table 8). M, W 초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하여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 가 극명하게 구분이 되나 원예활동을 접한 경험이 낮은 O초등학교 는 원예활동에 대한 호기심으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Interest in accordance with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experience.

3) 선호하는 원예활동

응답자들이 하고 싶은 원예활동은 식물 기르기 31.4%, 식물 수 확하기 28.3%, 식물을 재료로 하는 만들기 20.3%로 식물을 기르 고 수확하며 부산물을 통한 2차 활동에 관심이 높았다(Table 9). 다 른 활동에 비하여 식물 수확하기, 재료로 만들기 등의 활동은 결과 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선호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M초등학교는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 어 원예활동 경험에 의해 식물 재료로 하는 만들기 활동의 선호 비 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Contents of the preferred horticultural activity.

선호하는 활동별로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식 물 기르기 3.82, 식물 재배환경 만들기 3.53, 식물 수확하기와 식물 재료로 만들기 각각 3.49로 원예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식물 심기를 선호하는 학생의 관심도가 3.27로 제일 낮았으며(Table 10), 이는 다른 활동에 비하여 식물 심기활동이 간단하기 때문에 원 예활동에 관심 없는 응답자들이 단순한 활동인 식물심기로 응답한 것으로 파악된다.

Interest in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2. 학교 외부공간에 대한 관심

1) 쉬는 시간을 보내는 장소와 주로 하는 행위

73.3% 응답자가 교실 및 복도에서 쉬는 시간을 보내며 그 다음 운동장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건물 안이나 밖에 있는 휴게실을 이용하는 비율은 거의 미미하여 학생들은 익숙한 교실과 가까운 복 도, 운동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Table 11).

Place to spend a break.

쉬는 시간에 주로 하는 일은 대화 53.7%, 운동 19.3%, 게임 11.8% 로 동적인 대화부터 정적인 운동까지 다양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M초등학교는 다른 학교에 비해 정적인 행태인 대화의 비율이 높 았으며 O초등학교는 동적인 행태인 운동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Table 12).

Mainly behavior at break time.

2) 학교 내 식물 인지 정도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알고 있는 식물의 이름을 적게한 결과, 알 고 있는 식물의 수는 평균 3.42개였다. 학교숲 사업을 조성하여 다 른 학교에 비해 나무와 꽃 등의 식물이 많이 심겨진 W초등학교 학 생들은 5.46개의 식물 이름을 알고 있으며 M초등학교는 1.77개로 식물이름을 알고 있으며 학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Table 13).

Number of plants students know.

각 학교학생들이 알고 있는 식물명을 분석하면 M초등학교 학생 은 철쭉, 은행나무, 소나무를 많이 알고 있으며 O초등학교는 벚나 무, 소나무, 목련, 진달래 등의 식물명을 알고 있다(Table 14). W초 등학교는 응답자의 80% 이상이 무궁화, 소나무의 이름을 알고 있 으며 산수유, 철쭉, 개나리, 민들레 등을 알고 있다. 실제 W초등학 교는 학교 내 많은 식물이 식재되어 있으며 식물마다 표찰이 있어 학생들이 식물의 이름을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lants that students know.

M초등학교의 교목과 교화는 은행나무와 철쭉, O초등학교는 소 나무와 개나리, W초등학교는 소나무와 철쭉이다. 3개 학교 모두 알고 있는 식물은 소나무와 철쭉이었으며 소나무와 철쭉은 2학교 에서 교목과 교화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고 있 어 많은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련, 벚나무, 진 달래, 개나리, 민들레 등은 두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식물이다. 은행나무는 M초등학교에서 인지도가 높았는데 이는 교 목으로 학교에 식재빈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3) 학교 식물 관찰 빈도

학생들의 절반정도는 학교에 있는 식물을 거의 관찰하지 않으며 절반정도는 적어도 한달에 한번 이상 식물을 관찰하고 있다. 많진 않지만 10%는 거의 매일 관찰하며 30% 정도는 일주일에 한번 이 상은 식물을 관찰하고 있다. M초등학교는 다른 학교에 비해 상대 적으로 거의 관찰하지 않는 학생의 비율이 높으며 반면에 W초등학 교는 2주일에 한번 이상 관찰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Table 15). W초등학교는 학교숲, 산책로를 비롯하여 곤충생태원, 조류 생태원 등의 관찰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식물의 종류가 많아 관찰 할 대상이 풍부하므로 상대적으로 학교 식물 및 자연환경을 관찰하 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Frequency to observe the plants in school.

학생들의 관찰빈도와 알고 있는 식물의 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적으로 2주일에 한번 정도 관찰하는 학생이 알고 있는 식물의 수 가 가장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관찰빈도가 많을수록 알 고 있는 식물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W초등학교는 거의 매 일 관찰하는 그룹은 평균 9개의 식물 이름을 알고 있으며 일주일 에 2번 정도 관찰하는 그룹은 7.67개의 식물 이름을 알고 있어 관 찰 빈도에 따라 식물에 대한 인지도도 높아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 다(Table 16).

Relation observation frequency to number of plants.

학교 식물을 관찰하는 빈도와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하 면, 거의 매일 관찰하는 학생의 관심도가 높았다(Table 17). 식물 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는 것 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식물을 가꾸고 기르는 원예활동 뿐 아 니라 식물과 환경을 관찰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 이 조성되어야 한다.

Relation observation frequency to interest in activities.

4) 학교에서 경험한 원예활동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학교에서 물주기와 같은 원예활동을 경험 하였으며 모종심기(30.8%), 씨앗뿌리기(27.5%), 열매 수확(26.0%) 등의 활동을 경험하였다. 활동 유형별로 분석하면 씨앗뿌리기나 모 종심기와 같은 식물심기 활동은 58.3%, 화분바꾸기, 물주기, 비료 주기, 삽목, 풀뽑기 등의 식물기르기는 80% 이상이 참여하였다 (Table 18). 학교별로 분석하면 O, W 초등학교에서는 물주기 활 동의 빈도가 높으며 M초등학교는 모종심기, 열매수확하기 등의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M초등학교 선생님은 학교마다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과과정(실과)과 학교 여건을 고려하여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Content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multiple responses).

학교에서 원예활동을 하는 장소는 교실내 화분 35.1%, 학교 텃 밭 31.6%이었으나 학교별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Table 19). 스쿨팜을 운영하는 M초등학교는 학교텃밭에서 원예활동이 이루 어지며 학교 텃밭이 없는 O초등학교와 W초등학교는 교실내 화분 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W초등학교는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높았는데 도시화로 인하여 텃밭이나 원예활동을 체험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학교 내 실내 화분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O초등학교는 외부체험농장 참여 비율이 상 대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학교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있 으나 신생학교로 체험 기반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체험농장의 이 용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선생님과 면담 결과 O초등학교 는 학교 텃밭을 조성하였으며 W초등학교는 텃밭의 필요성은 인지 하고 있으나 적절한 공간이 없어서 큰 화분으로 텃밭(식재기반)을 만들어 활용하고 있다.

Place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3. 학교 외부환경 만족도

1) 학교 외부환경 특성

학교 옥외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해 평균 3.25(1: 매우 적다, 3: 보통이다, 5: 매우 많다)로 보통이상의 많다고 응답하였으 며 W 초등학교가 3.43으로 상대적으로 휴식공간이 많다고 분석되 었다. O초등학교 3.18, M초등학교 3.11 순으로 휴식공간이 보통 정도이며 각 학교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0). 학교숲 사업을 조성하여 옥외환경에 다양한 공간과 시설을 갖추고 있는 W초등학교에서 휴식공간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Amount of outdoor resting area.

학교 내 식재된 꽃과 나무의 양은 평균 3.56으로 보통보다 많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W 초등학교는 평균 4.00으로 다른 두 학교 에 비하여 많다고 인지하며 O초등학교 3.37, M초등학교 3.25로 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1). 다양 한 수목과 초화류가 식재되어 있는 W 초등학교가 다른 학교에 비 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두 학교의 외부공간에는 꽃과 나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mount of planted flowers and trees.

2) 외부공간 만족도

학교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1점: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5점: 매우 만족스럽다)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3.89점으로 만족하는 편으로 W, M, O 초등학교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학교별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22).

Satisfaction for the school outdoor environment.

옥외공간내 휴식공간, 꽃과 나무의 규모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결과, 꽃과 나무 및 옥외 휴식공간의 규모는 학교 옥외 공간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23). 꽃과 나무의 규모가 옥외 휴식공간의 규모에 비하여 만족도에 영 향을 더 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학교 옥외공간에 꽃과 나무가 많고 옥외 휴식공간이 풍부하면 옥외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된다. 선행연구(Lee, 2005; Jeong and Lee, 2009; Lee et al., 2013)에 서 학교 환경이 학생들의 인성발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고 알려져 있으므로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 은 매우 중요하다. 즉, 학생들이 학교 외부공간에 만족하기 위해서 는 꽃과 나무의 양이 풍부하며 적정한 옥외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야 한다.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the school outdoor environment.

IV. 적요

학생들의 정서 함양 및 학습공간으로서 학교 외부공간을 조성하 고 관리하는데 활동 프로그램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의 대부분이 채소, 과일, 꽃, 나무 등을 가꾸는 원에활동 경험이 있으며 식물 심기, 식물 기르기, 식물 수확하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집 베란다나 정원, 학 교 수업이나 활동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특히 스쿨팜 프로그램 을 진행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학교 수업이나 활동의 비율이 높았으 며 외부체험행사나 주말농장 등에서의 경험도 적지 않아 원예활동 이 가정, 학교, 지역 등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는 도시농업의 확대와 원예활동의 긍정적 영향이 알려지면서 학생 들을 대상으로 하는 원예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생들 은 원예활동에 대하여 보통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원예 활동 경험자 일수록 관심도가 높았다. 대화, 운동, 게임 등의 활동을 하면서 교실이나 복도, 운동장에서 쉬는 시간을 보내므로 적절한 휴식공간이 조성되어야 한다. 학생의 절반 가량이 적어도 한달에 한번이상 식물을 관찰하며 학교에 있는 식물 중 3.42개의 이름을 알고 있다. 학교숲 사업을 진행한 학교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식 물을 인지하고 있으며 식물 관찰빈도 또한 높다. 학교에 식물이 풍 부할수록 식물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하므로 옥외환경에 식 물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학교에서는 교과과정에 맞추어 원 예활동을 하고 있으나 학교 텃밭이 없는 학교에서는 교실내 화분에 서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물심기, 씨뿌리기 등의 일회성 활 동이 이루어졌다. 학교 옥외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학교 숲 사업을 진행한 학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만족도는 꽃과 나무, 휴식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주 사용자인 학생들의 참여는 배재된 채 조성되고 관리되어 왔으나 최근 옥외공간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참 여자 중심의 설계가 확산되면서 학교 옥외공간도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려는 인식이 늘고 있다. 원예활동은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 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학생들은 원예활동 경험도 풍 부하고 관심도 높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교, 가정에서 원예활동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 한 학생들은 꽃과 나무의 양이 풍부하여 적정한 옥외 휴식공간을 갖추고 있는 옥외환경을 선호하므로 이러한 공간이 조성될 때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또한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학교 옥외환경의 활용 및 관리 측면에서 학생들의 선호와 교과과정을 고려한 원예활 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과 휴식공간을 확보하며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Chung SH. School landscaping international practices and trends. Environ. Landsc. Archit 1998;127:54–58.
2. Hue YS, Lee SK, Sim YK, Kim IH, Han KS, Yoon S, Oh CG, Jung YS. A study on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forest movement. Korean J. Environ. Educ 2014;27(2):174–186.
3. Jeong YO, Lee JH. The influence of in-classroom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redu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stress. J. Kor. Soc. Practical Arts Education 2009;22(4):151–172.
4. Jeong YO, Lee JH.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ity and friend re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 Soc. Practical Arts Education 2013;26(3):41–58.
5. Kim MJ, Lee JH, Jeong YO. The effects of horticulture activities on social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elementaryschool students. J. Kor. Soc. Practical Arts Education 2010;23(4):183–204.
6. Kim YJ. Influence of construction and use of school garden in elementary school on recognition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2014.
7. Lee MJ, Kim JS, Oh W, Jang JS.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013;31(6):821–827.
8. Lee SJ, Kim BS. An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n environmental education. J. Korean Inst. For. Rec 2013;17(1):9–20.
9. Lee SK.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personality cul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Chinju Natl. Univ. of Education Jinju Korea 2005.
10. Moon JH, Jeong SJ, Kim KM, Lee SM, Oh CH, Lee KO, Baek HS, Ryu GS, Jang MA, Lee WH, Goo GY, Park TW, Oh CG, Gwon OJ, Lee HY, Jeong BG, Jang J, Ban SH, Park HC, Park EH, Kim TG. The study on school farm for experienti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2014.
11. Moore RC. The role of playing learning gardens on children’s lives. J. Therapeutic Horticulture 1996;8:72–82.
12. Oh DM, Choi YE. City agriculture treating world and I through meeting nature 2006. Seoul Korea: Hakjisa.
13. Park EK. A study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school forest using rain garden. MS thesis Sangmyung Univ. Cheonan Korea 2010.
14. Park ML, Lee SE. The effects of plant rais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 and resilience. Korean J. Childrens Media 2015;14(3):157–181.
15. Rieh SY, Kwon MS. A study on the outdoor space design for urban mini schools. J. Korean Inst. Educ. Facil 2013;20(2):33–42.
16. Seo JK, Lee SM. Application &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process 2004. Yongin: Dankook Univ. Press.
17. Wilson RA. Nature and young children: A natural connection. Young Children: Sept 1995. p. 4–11.
18. Wilson RA.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J. Environ. Educ 1996;27(4):28–3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chools.

School Location Opening year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teachers Characteristics

M school Jeonju 1959 1,161 51 School farm
O school Jeonju 2015 702 42 Open in 2015
W school Suwon 1999 796 40 School forest 2000

Table 2.

Attribute of respondents.

School Gender
Residential Type
Total
Male Female Single House Apartment house Other

M school 60 (49.2%) 62 (50.8%) 5 (4.1%) 117 (95.9%) 0 (0.0%) 122 (100.0%)
O school 64 (55.2%) 52 (44.8%) 8 (6.9%) 106 (91.4%) 1 (0.9%) 116 (100.0%)
W school 68 (48.6%) 72 (51.4%) 3 (2.1%) 135 (96.4%) 1 (0.7%) 140 (100.0%)

Table 3.

Configuration of questionnaire.

Division Questionnaire Scale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Experi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Multiple-alternative
Places and contents experienced horticultural activities Multiple-alternative
Interes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Likert 5-Point Scale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outdoor environment of school Place to spend breaks and there actions Multiple-alternative
Frequency to observe the plant in school Multiple-alternative
Satisfaction of outdoor environment Likert 5-Point Scal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Place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Multiple-alternative (multiple responses)
Content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Multiple-alternative (multiple responses)

Table 4.

Experi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Experience 122 96.1 96 80.7 135 95.1 353 91.0
Unexperience 5 3.9 23 19.3 7 4.9 35 9.0
Sum 127 100.0 119 100.0 142 100.0 388 100.0

Note: Pearson X2 =24.254, P=.000

Table 5.

Pl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Veranda/garden in house 75 61.5 60 62.5 97 71.9 232 65.7
School class 88 72.1 36 37.5 60 44.4 184 52.1
Experience event 28 23.0 18 18.8 27 20.0 73 20.7
Allotment garden 37 30.3 29 30.2 20 14.8 86 24.4
Other 4 3.3 1 1.0 11 8.1 16 4.5

Table 6.

Contents of experienced horticultural activities (multiple responses).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Creating a cultivated environment 18 14.8 8 8.3 23 17.0 49 13.9
Planting plants 102 83.6 64 66.7 83 61.5 249 70.5
Growing plants 94 77.0 69 71.9 103 76.3 266 75.4
Harvesting 80 65.6 49 51.0 50 37.0 179 50.7
Creating use a plants 26 21.3 17 17.7 23 17.0 66 18.7
Other 0 0.0 1 1.0 0 0.0 1 0.3

Table 7.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School N Mean F P-value

M school 119 3.46 ± .964 .630 .533
O school 115 3.60 ± .962
W school 136 3.57 ± 1.023
Total 370 3.54 ± .985

Table 8.

Interest in accordance with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experience.

School N Mean Levene Test
T-Test
F P-value t P-value

M school Experience 114 3.50 ± .962 1.779 .185 2.072 .040
Unexperience 5 2.60 ± .548
O school Experience 91 3.70 ± .823 11.189 .001 1.654 .110
Unexperience 23 3.22 ± 1.347
W school Experience 129 3.64 ± .968 2.150 .145 3.541 .001
Unexperience 7 2.29 ± 1.254
Total Experience 334 3.61 ± .929 5.086 .025 2.987 .005
Unexperience 35 2.94 ± 1.282

Table 9.

Contents of the preferred horticultural activity.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Creating a cultivated environment 6 4.7 5 4.2 4 2.8 15 3.9
Planting plants 8 6.3 15 12.5 27 19.0 50 12.9
Growing plants 36 28.3 39 32.5 47 33.1 122 31.4
Harvesting 34 26.8 40 33.3 36 25.4 110 28.3
Creating use a plants 38 29.9 17 14.2 24 16.9 79 20.3
Other 5 3.9 4 3.3 4 2.8 13 3.3
Sum 127 100.0 120 100.0 142 100.0 389 100.0

Table 10.

Interest in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School N Mean F P-value

Creating a cultivated environment 15 3.53 ± .743 b 3.302 .006
Planting plants 48 3.27 ± 1.144 a
Growing plants 116 3.82 ± .900 b
Harvesting 105 3.49 ± .856 b
Creating use a plants 76 3.49 ± 1.064 b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11.

Place to spend a break.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Classroom/Corridor 105 82.7 81 67.5 99 69.7 285 73.3
Schoolyard 15 11.8 31 25.8 36 25.4 82 21.1
Indoor rest area 1 0.8 2 1.7 2 1.4 5 1.3
Outdoor rest area 1 0.8 1 0.7 2 0.5
School garden 1 0.8 2 1.7 2 1.4 5 1.3
Other 4 3.1 4 3.3 2 1.4 10 2.6
Sum 127 100.0 120 100.0 142 100.0 389 100.0

Note: Pearson X2=12.895, P=.230.

Table 12.

Mainly behavior at break time.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Exercise 14 11.0 33 27.5 28 19.7 75 19.3
Game 20 15.7 17 14.2 9 6.3 46 11.8
Conversation 80 63.0 54 45.0 75 52.8 209 53.7
Meditation 1 0.8 1 0.8 6 4.2 8 2.1
Reading 6 4.7 5 4.2 8 5.6 19 4.9
Study 3 2.4 2 1.7 4 2.8 9 2.3
Other 3 2.4 8 6.7 12 8.5 23 5.9
Sum 127 100.0 120 100.0 142 100.0 389 100.0

Note: Pearson X2=28.443, P=.005.

Table 13.

Number of plants students know.

School N Mean F P-value

M school 127 1.77 ± 1.518 a 84.440 .000
O school 120 2.74 ± 2.140 b
W school 142 5.46 ± 3.182 c
Total 389 3.42 ± 2.895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14.

Plants that students know.

School Plants

M school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45), Ginkgo biloba (41), Pinus densiflora (39), Magnolia kobus (19), Narcissus tazetta (18)

O school Prunus serrulata (76),Pinus densiflora (69), Prunus mume (33), Magnolia kobus (29), Rhododendron mucronulatum (26),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5), Rhododendron indicum (11), Forsythia koreana (10), Taraxacum platycarpum (10)

W school Hibiscus syriacus (116), Pinus densiflora (104), Cornus officinalis (65),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51), Forsythia koreana (45), Taraxacum platycarpum (43), Betula platyphylla (41), Acer palmatum (35), Prunus serrulata (31), Phyllostachys bambusoides (22), Rhododendron mucronulatum (17),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17), Lagerstroemia indica (16), Diospyros kaki (13), Zelkova serrata (12), Ligustrum obtusifolium (10), Pinus koraiensis (10), Syringa vulgaris (10)

Table 15.

Frequency to observe the plants in school.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Almost no 79 62.7 58 49.2 51 36.7 188 49.1
Once a month 13 10.3 20 16.9 23 16.5 56 14.6
Twice a month 3 2.4 5 4.2 20 14.4 28 7.3
Once a week 9 7.1 12 10.2 20 14.4 41 10.7
Twice a week 10 7.9 12 10.2 12 8.6 34 8.9
Almost every day 12 9.5 11 9.3 13 9.4 36 9.4
Sum 126 100.0 118 100.0 139 100.0 383 100.0

Note: Pearson X2=30.378, P=.001.

Table 16.

Relation observation frequency to number of plants.

School Average number of plants that students know
F
Almost no Once a month Twice a month Once a week Twice a week Almost every day

M school 1.38±1.304 2.31±1.797 2.33±1.528 2.22±1.922 2.70±1.494 2.42±1.676 3.015*
O school 2.05±1.659 a 3.15±2.323 ab 3.20±1.643 ab 4.17±2.980 b 2.92±1.730 ab 4.00±2.490 b 3.584**
W school 3.98±2.311 a 5.22±2.430 ab 6.35±2.621 bc 5.10±3.354 ab 7.67±3.284 cd 9.00±3.559 d 9.273**
Total 2.29±2.030 a 3.80±2.540 b 5.36±2.831 c 4.20±3.132 bc 4.53±3.277 bc 5.28±3.932 bc 15.566**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p>0.05

**

p>0.01

Table 17.

Relation observation frequency to interest in activities.

School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F
Almost no Once a month Twice a month Once a week Twice a week Almost every day

M school 3.09±.903 a 3.83±.718 ab 4.00±1.000 b 4.38±.744 b 4.10±.568 b 4.18±.751 b 8.193**
O school 3.21±1.022 a 3.78±.808 ab 4.20±.837 b 3.73±.467 ab 4.00±.853 b 4.27±.647 ab 4.432**
W school 2.96±1.124 a 3.86±.655 bc 3.74±.733 b 3.84±.765 bc 4.09±.831 bc 4.46±.660 c 8.787**
Total 3.09±1.004 a 3.82±.713 b 3.85±.770 b 3.92±.712 bc 4.06±.747 bc 4.31±.676 c 20.457**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

p>0.05

**

p>0.01

Table 18.

Content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multiple responses).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Make planting soil 18 14.2 7 5.8 10 7.0 35 9.0
Make compost 2 1.4 2 0.5
Fill soil 26 20.5 28 23.3 41 28.9 95 24.4
Plant seed 41 32.3 30 25.0 36 25.4 107 27.5
Plant seedling 82 64.6 13 10.8 25 17.6 120 30.8
Change pot 8 6.3 9 7.5 22 15.5 39 10.0
Water plant 46 36.2 57 47.5 96 67.6 199 51.2
Fertilize plant 6 4.7 3 2.5 4 2.8 13 3.3
Cuttage 5 3.9 3 2.5 3 2.1 11 2.8
Eliminate weed 22 17.3 13 10.8 17 12.0 52 13.4
Harvest fruit 80 63.0 11 9.2 10 7.0 101 26.0
Get seed 6 4.7 5 4.2 7 4.9 18 4.6
Nip off withered leaves 27 21.3 19 15.8 36 25.4 82 21.1

Table 19.

Place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in school.

Item M school
O school
W school
Total
N % N % N % N %

School farm 88 72.7 18 19.8 4 2.9 110 31.6
School garden 5 4.1 5 5.5 19 14.0 29 8.3
Pot in classroom 4 3.3 34 37.4 84 61.8 122 35.1
Experience farm 20 16.5 21 23.1 18 13.2 59 17.0
Other 4 3.3 13 14.3 11 8.1 28 8.0
Sum 121 100.0 91 100.0 136 100.0 348 100.0

Note: Pearson X2=30.378, P=.001.

Table 20.

Amount of outdoor resting area.

School N Mean F P-value

M school 125 3.11 ± .900 a 3.181 .043
O school 119 3.18 ± .809 ab
W school 141 3.43 ± 1.374 b
Total 385 3.25 ± 1.082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21.

Amount of planted flowers and trees.

School N Mean F P-value

M school 127 3.25 ± .712 a 30.878 .000
O school 118 3.37 ± .737 a
W school 142 4.00 ± 1.011 b
Total 387 3.56 ± .904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22.

Satisfaction for the school outdoor environment.

School N Mean F P-value

M school 126 3.91 ± .810 ab 2.241 .108
O school 119 3.76 ± .892 a
W school 141 3.99 ± .933 b
Total 386 3.89 ± .885

Not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Table 23.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the school outdoor environment.

Factor Unstandardized Coefficients Beta Std. error Standardized Coefficients t F R2

Constant 2.239 .180 12.447** 47.322** .196
amount of plants .247 .049 .251 5.077**
amount of outdoor resting place .238 .040 .291 5.892**
**

Note: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