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에 따른 사용자의 시각적 선호도 및 감성변화

Visual Preference and Emotional Change of User on the Shape of Cut-flower at Public Indoor Spac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5):427-434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장 혜숙, 김 광진, 유 은하, 정 현환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Wanju-gun 565-852,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kwangjin@korea.kr
본 연구는 2016년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박사후연수과정 지원사업(PJ010210)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ceived 2016 July 27; Revised 2016 August 22; Accepted 2016 September 27.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visual preference and emotional change for the cut-flower decoration at public indoor space by using vertical, horizontal, and round type which are generally used. The investigation was done with 173 participants of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in 3 indoor areas designed with cut-flower decoration and 1 area of public place without it, respectively. Psychological evaluation was analyzed with the visual preference of cut flower shape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n addition, the general awareness, loyalty and importance for cut-flower decoration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paired t-test, one-way ANOVA,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frequency. A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motion of subjects with Semantic Differential, the feeling of comfort, nature and calm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cut-flower decoration. When we surveyed the feeling for the 3 type of cut-flower decoration with 14 pairs of emotional vocabulary, the participants felt ‘tranquil’ and ‘comfortable’ in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horizontal and round shaped decoration while they felt ‘strong’ and ‘anxious’ in the space with vertical shaped decoration. The preference of decoration forms was significantly high with round > horizontal > vertical type in order and vertical shape was highly preferred in twenties and sixties groups compared to other types significantly. In conclusion, we could recommend that round type decoration can be used in indoor place where comfort and calm are required and vertical form will be appropriate for challenging and vibrant twenties and depressed sixties with ageing. This customized cut-flower decoration will improve the environment quality of employment.

I. 서론

현대 직장인들은 과도한 업무와 부적합한 작업환경에서 심신 의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Ahn, 1998).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 스 비율을 조사한 결과, OECD 직무 만족도가 평균 81%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직무 만족도는 69%인 반면, 직무스트레스 비율은 우 리나라가 87%로 OECD 평균인 78%보다 거의 10%정도 더 높게 나타나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도는 낮은데 비해 직무스트 레스는 높음을 보여주었다(The Korea Herald News, 2014). 직무 스트레스는 심리・생리적 변화를 초래하여 결국 직장인의 정신건 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Chang et al., 2005). 그러나 실내 에 식물을 배치함으로써(Shibata and Suzuki, 2002) 최근 시간에 쫓기며 일상생활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자연, 꽃, 그리고 시원한 식 물의 잎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정서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주게 된다(Kim, 1981). 따라서 실내공간에 식물을 생동감 있게 조성함 으로써 생활환경의 질적 개선이 가능하다(Hyun and You, 1999). 질적 개선을 위한 환경디자인 중 경관의 형식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는 선, 형태, 크기, 질감, 색채, 그리고 균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Yoon, 2006). 특히 공간내 질적 향상을 위한 실내공간 절화 장식의 시각적 요소 중 형태적 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게슈탈트 이 론에 근거하면, 시각정보의 기초연구 대상인 ‘이미지’는 객관적이 고 물리적인 동시에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이중구조를 띠고 있다 (Kwon, 2008). 따라서 시각적 이미지로부터 물리/심리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 심리적 치료효과(Kaplan, 1973; Kaplan and Kaplan, 1989), 미학적 효 과(Choi et al., 1997; Kim, 2003), 환경정화 효과(Lee, 1994) 등 이 다각적으로 연구되어 왔다(Kwak,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다소 긴장될 수 있는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의 적합한 형태 적용을 통해 사용자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감소 효과 및 근무여건의 질적 향상, 그리고 절화장식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 는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행하였다.

II. 연구방법

1. 설문 응답자 특성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선호도, 심 리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5년 10월 국립원예 특작과학원 각층에 있는 동일한 규모(41.2m2)의 공공 실내공간에 서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Fig. 1). 심리적 평가 및 일반 적 인식에 대한 설문에 사용할 절화장식은 최근 화훼도매시장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는 절화를 구입하였다. 절화는 시각적으로 강하게 느껴지지 않는 중간색 계열의 색채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의 절화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선정된 절화는 동일한 양으로 나눈 다음 시 각적으로 부피가 비슷해 보이도록 3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각층의 동일한 공간에 장식하였다.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의 형태 선정은 화훼디자인 서적과 정기간행물 조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선호도가 높았던(Lee, 2011), 그리고 그린인테리어용 분화식물을 활용한 형 태 선호도에 대한 조사에서 사용했던 수직형, 수평형, 그리고 원형 (Jang et al., 2015)의 3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으며 장식 후 근무 자들 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응답자 184명 중 부적합한 11건을 제외한 17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 며,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Fig. 1.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cut flower decoration of three shape concepts used in the experiment. A: Vertical; B: Horizontal; C: Rou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

‘형’이란 높이와 폭을 가진 1차원적인 어떤 형체의 윤곽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형태’는 형으로 이루어진 윤곽, 내부 형태, 구조를 가 진 3차원적인 표현으로 길이, 폭, 깊이감을 포함하며, 형태의 특징 과 느낌에 따라 감정이 조절되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Jang, 2007).

1) 수직형(Vertical)

서있는 모습의 수직선은 상승감과 활동성을 내포하고 있다. 강 하고 굳건함, 정직함, 의기양양함 등의 상징성을 의미한다. 수직선 은 수직의 라인을 강조한 형태로 높이는 높고 폭이 좁은 화형의 디 자인이다(Han, 2007).

2) 수평형(Horizontal)

수평형의 구성이 고요하고 정적인 느낌을 주는 것은 수평선으로 휴식이나 수면상태와 같은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수평형의 디자인은 높이보다 수평적인 선 즉 넓이를 강조한 화형으 로 안정적이며(Han, 2007) 편안하고 정적인 느낌이다(Lee, 2005).

3) 원형(Round)

원형은 가장 기본적이고 명료한 형이다. 원과 같이 둥근형으로 구성된 서양 건축의 지붕 형태를 도형화한 화훼구성법으로(Kim et al., 2010) 하나의 점에서 시작하여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디자인 이다(Han, 2007).

3. 조사항목의 구성

설문조사 항목은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한 일반적인 인 식, 재구입 의사(충성도) 그리고 일반사항, 절화장식시 형태에 대 한 선호도로 구성하였으며, 절화장식에 대한 사용자의 일반적 인식 은 명목척도로 조사하였다.

1) 의미분별법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에 대해서는 14쌍의 형용사 감성 어휘(SD법)를 사용하였고, 절화장식 유무에 따른 심리평가도구로 3쌍의 간이 SD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을 사용하였다. 의 미분별법은 개인의 주관적인 취향에 따라서 그 가치가 변할 뿐만 아니라 정량화하기 힘든 요소인 감성 및 경관을 평가하기 위해 많 이 사용하고 있다. SD법은 인간의 감성표현법을 형용사를 이용하 는 심리상태측정방법으로 Osgood(1969)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기 비교문화연구의 목적으로 개발된 후 감성공학뿐만 아니라 감 정・경관 평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평가용 이미지형용사(Im, 2009)와 식물에 대해 표현될 수 있 는 3쌍의 감성어휘 ‘불쾌한-쾌적한’, ‘인공적인-자연적인’, ‘흥분 되는-진정되는’의 쌍대 형용사를 이용하여 간이 SD법을 공공 실내 공간 절화장식 유무에 관한 설문에 사용하였고, 공공 실내공간 절 화장식 형태에 대해서는 14쌍으로 구성된 형용사를 설문에 사용하 였다. 3쌍의 간이 SD법은 7점 Likert 방식(매우 불쾌: -3, 매우 쾌 적: 3), 14쌍의 형용사는 5점 Likert 방식으로 나누고 응답자로 하 여금 가깝게 느껴지는 정도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였다(Jang, 2013; Jang et al., 2011, 2014, 2015, 2016).

2)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한 관심도 및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충성도는 소비자가 이전에 경험한 비슷한 상황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에 대한 필요를 느낄때 재구매 행위를 하려는 인간의 경향이라고 하였다(Dick and Basu, 1994; Lee, 2003; Reynolds et al., 1974). 또한 충성도는 가격탐색, 관심도, 사회적 관계도가 큰 소비자에게 있어서 개인의 특성이나 고객충성도 형성을 위한 중요 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제시하였다(Magui, 2003). 충성도 척도는 Gremler(1995)가 이용한 고객충성도 척도를 절화장식의 상황에 맞게 조정하였고, 총 5 항목으로 5점(1:매우 그렇지 않다 ~ 5:매우 그렇다) Likert 방식(Zeisel, 1981)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Table 2), 명목척도로 조사한 절화에 대한 관심도 및 인구통계학 적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User’s loyalty for the study.

4. 통계 분석

본 연구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 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및 연령별 선호도, 14쌍의 SD법은 one way ANOVA, 절화장식 유무에 따른 간이 SD법은 대응표본 t-test, 절 화장식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절화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교차분석, 그리고 절화에 대 한 일반적 인식, 인구통계학적 사항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절화장식에 대한 사용자의 일반적 인식

1) 절화장식에 대한 관심도

절화에 대한 구매자의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화 구 입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절화의 색채 50.0%, 절화의 형태 34.7%, 관리 9.4%, 기타 2.9%, 절화의 크기 1.8%, 절화의 질 감 1.2% 순으로 절화의 색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2). 또한 1년간 절화 구입에 투자하는 비 용은 20~99천원 48.3%, 2만원 미만이 41.2%, 10~49만원 9.9%, 100-199만원 0.6% 순으로 나타났다(Fig. 3). 이는 식공간 화훼디 자인의 형태와 색채요소에 대한 연구결과 테이블 절화장식 디자인 요소중 색상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Lee (2011)의 보고, 회의공간내 절화장식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 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Jang et al., 2016)와 약간의 차이는 있었 지만 중요도 순서 및 1년간 절화 구입에 투자하는 비용 정도는 본 연 구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절화 구입 용도는 생활공간장식 용 55.0%, 행사용(선물용) 23.7%, 기타 13.6%, 디스플레이용 7.1%, 전시회용 0.6% 순이었다(Fig. 4).

Fig. 2.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ut-flower is purchased.

Fig. 3.

Annual total amount for purchasing cut-flower.

Fig. 4.

The purpose of purchasing flower.

2.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유무에 따른 심리 설문 반응

1) 의미분별법

공공 실내공간에 절화장식이 있는 공간과 없는 공간에 따른 사 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간이 SD법(쾌적감: 불쾌한- 쾌적한, 자연감: 인공적인-자연적인, 진정감: 흥분되는-진정되는) 을 실시한 결과(Fig. 5), 절화장식이 없는 경우보다 절화장식이 있 는 경우 쾌적감,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다. 이는 Yoo et al.(2015)의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주거공간에 그린인테리 어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그린인테리어를 했을 때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이 없는 공 간보다 절화 장식이 있는 공간에서 불쾌한 감정보다는 쾌적한 감 정, 인공적인 감정보다는 자연적인 감정, 흥분되는 감정보다는 진 정되는 감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본 연구결과와 같 은 경향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꽃과 녹색식물의 경관이 생리 적 실험인 뇌파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정신적, 심리적으로 쾌 적한 환경을 제공해준다는 Lee and Son(1999)의 보고를 통해 본 연구결과를 과학적으로 뒷받침해 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Fig. 5.

Psychological effect to user depending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ut flower decoration in the public indoor space (SD method).

3.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의 3가지 형태에 대한 심리설 문 반응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의 3가지 형태에 따른 14쌍의 형용사 감 성어휘에 대한 심리설문 반응을 분석한 결과(Table 3 and Fig. 6), 수평형과 원형 자극군은 ‘고급스러운’, ‘좋아하는’, ‘차분한’, ‘편 안한’ 감성, 수직형 자극군은 ‘강한’, ‘요란한’, ‘불안한’, ‘독특한’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연구에서 거실공간 장식 형태에 대한 감성 어휘 심리설문 반응을 알아본 결과, 원형은 ‘부드러운’, ‘고급스러 운’, ‘편안한’ 감성, 수평형은 ‘고급스러운’, ‘좋아하는’, ‘차분한’, ‘편안한’ 감성, 그리고 수직형은 ‘무거운’, ‘강한’, ‘값싸보이는’의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는 원형과 수평형은 차 분하고 편안하고 고급스럽게 느끼고 수직형은 강함과 불안함을 크 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볼 수 있 었다. 이는 사용자들이 기본적으로 다소 경직될 수 있는 공공 실내 공간에서 안정되고 편안한 느낌을 갖는 데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Semantic differential scale used by 173 subjects to describe three shapes public indoor space design.

Respond of psychological survey on 14 pairs of emotional adjectives with 3 shapes of cut-flower decoration in public indoor space.

4.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한 형태 선호도

1) 절화장식에 대한 형태 선호도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한 형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 수직형, 수평형, 그리고 원형의 3가지 형태로 장식한 후 공공 실 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분 석 결과, F값은 11.562이고 유의확률은 0.000으로 공공 실내공간 절화 장식시 형태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Table 4). Scheffe’s의 다중범위검정 결과, 원형 > 수평 형 > 수직형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공간 화훼디 자인의 절화의 색채요소에 따른 시각적 감성이미지 연구에서 화훼 디자인의 형태중 원형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는 Lee(2011)의 보고,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연구에서 거실공간 장 식시 형태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수평형 > 원형 > 수직형 순으로 나타났다는 Jang et al.(2015)의 보고와 같이 본 연 구결과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시 다소 강하고 불안해 보이는 수직 의 형태보다는 편안하고 차분해 보이는 원형과 수평형의 형태로 장 식하는 것이 공공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유연하게 해 줄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Preference of shape for cut flower decoration in public indoor space.

2) 절화장식 형태에 대한 연령별 선호도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 형태에 대한 연령별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Table 5), 수평형과 원형 장식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 나지 않았으나 수직형에서 20대 이하, 60대 이상의 연령에서 매우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 적이며 편안한 느낌의 수평형이나 원형보다는 독립적이고 강한 (Lee, 2011), 그리고 진취적인 수직형을 안정적인 것을 지향하는 기성세대보다 도전적인 20대 이하가 선호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우울감에 빠질 수 있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는 좀 더 힘이 있어 보이는 수직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추후 장식 형 태 선호도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해야만 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에 따른 적합한 절화 장식 형태분석 및 그를 통한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심 리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도 생각된다.

Preference by age group for the shape of cut flower in the public indoor space.

5. 공공 실내공간 절화장식에 대한 관심도 및 인구 통계 학적 변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절화장식에 대한 관심도와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재구입의사(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에서 학력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Table 6), 충성도 1 “다른 사람에게 절화를 장식하는 것에 대 해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문항에서 학력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전공유 무에 따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력과 동일하게 5문항의 충성도 중에서 충성도 1 “다른 사람에게 절화를 장식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문항에서만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유의수준 α = 0.05에 있어 P – value 0.03, χ2 값: 10.661). 1년간 절화를 구매한 투자 정도에 따라 충성 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충성도 1 “다른 사람에게 절화를 장식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문항의 경우 유의수준 α = 0.05에 있어 P – value 0.02(χ2 값: 22.915), 충성도 2“절화구입에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할 용의가 있다”는 문항의 경우 유의수준 α = 0.05에 있어 P – value 0.000(χ2 값: 62.583)으로 나 타나 절화 구매시 투자 금액에 따라 충성도 1과 2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별, 연령별, 그리고 절화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이는 Jang et al.(2011, 2016)의 식물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충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학력에 따라 충성도 1“다른 사 람에게 식물을 키우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보고는 학력 및 절화 구입에 투자한 금액의 정도가 충성도 1 “다른 사람에게 절화를 장 식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는 항목에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을 뿐 만 아니라 전공유무에 따라서도 충성도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절화 및 식물에 대한 관심과 정보를 통해 재구입의사(충성도)가 높 아짐과 동시에 화훼의 소비 및 활용 증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생 각되었다.

Effect of awareness of cut flower decoration and statistical variation of population to re-purchasing (loyalty).

IV. 적요

본 연구는 공공 실내공간 절화 장식의 형태에 대한 시각적 선호 도와 감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절화 장식 형태중 테이블 장식 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직형, 수평형, 그리고 원형장식을 제작하 였다. 제작된 절화장식은 형태별로 절화장식이 있는 3곳의 공공 실 내공간, 절화장식이 없는 공공 실내공간 1곳에서 국립원예특작과 학원의 근무자 1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심리평가는 절화형 태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간이 SD(semantic differential)법 등을 분석하였으며, 절화장식에 대한 중요도, 충성도, 그리고 일반적 인 식 등을 함께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대응표본 t-test, 일원배치분 산분석, 교차분석,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간이 SD scale 로 참여자들의 감성을 평가한 결과, 절화장식이 되어있는 공공 실 내공간에서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을 유의하게 높게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공공 실내공간에서 3가지 절화 장식 형태에 대한 느 낌을 14쌍의 형용사 감성어휘로 평가해본 결과, 수평형과 원형으 로 장식한 공간에서는 ‘편안한’, ‘차분한’ 감성을 느끼는 반면 수직 형으로 장식한 공간에서는 ‘강한’, ‘요란한’, ‘불안한’ 느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형태에 대한 선호도는 원형>수평형>수 직형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3가지 형태에 대한 연령별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수직형에서 20대 이하, 60대 이상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매우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공공 실내공간 근무자들의 편안함과 차분함이 필요한 공간에는 선 호도가 가장 높았던 원형 절화장식을 활용하고, 도전적이고 활기찬 20대 이하와 고령화로 기분이 다소 가라앉을 수 있는 60대 이상 근 무자들을 위한 공간에는 요란하지만 강하고 진취적인 느낌을 주는 수직형 형태의 맞춤형 절화장식을 함으로써 화훼소비 증진 및 근무 환경의 질적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hn GYR. Stress type and cognitive appraisal effects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erformance. PhD Diss. Korea Univ., Seoul, Korea 1998.
2.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4):297–317.
3. Choi KO, Bang KJ, Huh J. A study on the visual image assessment of interior landscaping plants. J. Korean Inst. Landsc. Archit 1997;25(3):101–110.
4. Dick AS, Basu K.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 Academy Marketing Science 1994;22(2):99–113.
5. Gremler DD. The effect of satisfaction, switching costs, and interpersonal bonds on service loyalty. PhD Diss. Univ. Of Arizona State Ariz. USA 1995.
6. Han MS. The basic design of floral art 2007. Seoul Korea: MiregongGam Publishing Co.
7. Hyun JY, You JH. Conjoint analysis of preference for landscape elements of apartment interior. J. Korean Inst. Tradit. Landsc. Archit 1999;17(3):43–51.
8. Im SB.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2009. Revised edth ed. Seoul Korea: Seoul Natl. Univ. Press.
9. Jang HS. Influences of visual element of ornamental plants to emotion or electroencephalography of human. PhD Diss. Korea Univ. Seoul Korea 2013.
10. Jang HS, Yoo E, Kim KJ, Jung HH. Preference and image perception for color and shape in green interior.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5:13–420.
11. Jang HS, Kim JY, Kim KS, Pak CH. Human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responses to plant color stimuli.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014;39:307–316.
12. Jang HS, Kim KJ, Yoo E, Jung HH. Psychological effect of user for the color of cut- flower decoration in the conference place.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199–207.
13. Jang HS, Kang SW, Pak CH. Influences of psychological effect and importance perception from the visual image of the indoor plants upon the repurchasing inten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1;14:121–131.
14. Jang OK. Floral color 2007. Seoul Korea: Kukjubook Publishing Co.
15. Kaplan R. Some psychological benefits of gardening. Environ. Behavior 1973. 5p. 145–162.
16.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 NY USA: Cambridge Univ. Press.
17. Kim DH, Lee SH, Kang SH. Korean Food Styling 2010. Gyeonggi Korea: Baeksan Publishing Co.
18. Kim HS. A study on ornamental plants grown in the veranda of apartment houses in Seoul.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981.
19. Kim JH. Studies on the tendency of Korean interior landscape and its application to architectural spaces. MS thesis Mokpo Natl. Univ. Mokpo Korea 2003.
20. Kwak SO.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marketing for interior scape within apartment. PhD Diss. Sangmyung Univ. Cheonan Korea 2004.
21. Kwon YG. 16 Issues in space design 2008. Seoul Korea: Kukje Publishing House Co.
22. Lee JH. A study on air purification of sulfate dioxide, visual preference for indoor space and the effect of recovery from psychological stress by interior landscape plants. PhD Diss. Korea Univ. Seoul Korea 1994.
23. Lee JS, Son KC. Effects of indoor plant and various colors stimuli on the changes of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responses. J. Kor. Soc. Hort. Sci 1999;40:772–776.
24. Lee JY. Effects of air transportation service delay on 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PhD Diss. Kyongju Univ. Kyongju Korea 2003.
25. Lee SH. A study on visual sense image according to shape and color elements of floral design in dining space. PhD Diss. Kyonggi Univ. Suwon Korea 2011.
26. Lee UJ. Food color & design 2005. Seoul Korea: KoungCun Publishing Co.
27. Magui AW. Share of wallet in retaining: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cards and shopper characteristics. J. Retailing 2003;79:97–106.
28. Snider James, G. Osgood, Charles E, Osgood CE. The mature and measurement of meaning.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1969. Chicago. IL USA: Aldine Publishing Co.
29. Reynolds FD, Willian RD, Martin WS. Developing on image of the store loyalty consumer. J. Retailing 1974;50:73–84.
30. Shibata S, Suzuki N. Effect of foliage plant on task performance and mood. J. Environ. Psycho 2002;22:265–272.
31. The Korea Herald News, ‘3 in 4 koreans feel depressed at work’. http://www.koreaherald corporation. 01.21 2014.
32. Yoo E, Jang HS, Kim KJ, Jung HH, Kim YJ. Effect of green interior home on emotional psychology of huma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4):249–256.
33. Yoon PS. . Environmental aesthetics 2006. Seoul Korea: Munundang Press.
34. Zeisel J. Inquiry by design. Monterey 1981. CA USA: Brooks Cole Publishing Co.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cut flower decoration of three shape concepts used in the experiment. A: Vertical; B: Horizontal; C: Round.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tem Classification N %

Gender Female 133 69.9
Male 40 23.1

Age Under 20s 3 1.7
20s 50 28.9
30s 24 13.9
40s 51 29.5
50s 37 21.4
Over 60s 8 4.6

Educational background Under high school 35 20.3
High school grad. 94 54.3
Univ., grad. or univ., student 36 20.8
Over graduate student 8 4.6

Major Major 52 30.1
Non-major 121 69.9

Total 173 100.0

Table 2.

User’s loyalty for the study.

Loyalty Item

A Be able to talk positively to other people regarding to do cut flower decoration.
B Intend to invest more fund to purchase cut flower.
C Strongly recommend to purchase cut flower to relatives or friends.
D It was the best choice to purchase the cut flower decoration.
E I would like to move into an office with superior cut flower decoration.

Fig. 2.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ut-flower is purchased.

Fig. 3.

Annual total amount for purchasing cut-flower.

Fig. 4.

The purpose of purchasing flower.

Fig. 5.

Psychological effect to user depending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ut flower decoration in the public indoor space (SD method).

Table 3.

Respond of psychological survey on 14 pairs of emotional adjectives with 3 shapes of cut-flower decoration in public indoor space.

Variance Treatments (shape)
F p
Horizontal Vertical Round

Dark-bright 4.39±0.79az 4.09±1.05b 4.45±0.93b 7.191 0.001y
Hard-soft 4.00±1.08a 3.57±1.25b 4.27±1.11b 16.131 0.000
Heavy-light 3.59±1.10a 3.27±1.18b 3.68±1.14b 6.201 0.002
Cool-warm 3.64±1.17a 3.55±1.14a 4.01±1.09b 7.935 0.000
Complicated-simple 3.22±0.99a 3.08±0.98ab 3.35±1.14b 3.074 0.047

Strong-pale 3.27±0.93a 2.98±1.11b 3.31±1.04b 5.182 0.006
Cheap-luxurious 3.98±1.11a 3.74±1.17a 4.28±1.03b 10.514 0.000
Commonplace-unique 3.63±0.98a 4.02±1.07a 3.69±1.13b 6.977 0.001
Restrained-sharp 3.57±1.30a 3.75±1.15a 3.65±1.31a 0.914 0.402
Provincial-sophisticated 3.80±1.16a 3.65±1.23a 4.13±1.18b 7.349 0.001

Unpleasant-pleasant 3.95±1.13a 3.57±1.25b 4.20±1.09b 12.914 0.000
Vibrant-calm 3.79±1.08a 3.22±1.27b 3.94±1.16b 18.314 0.000
Uneasy-comfortable 3.93±1.15a 3.34±1.21b 4.13±1.07b 22.496 0.000
Modest-fancy 3.79±1.06a 3.95±1.05a 4.05±1.06a 2.695 0.068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5% level.

y

Significant at P=0.05 or 0.001, respectively, by one way ANOVA. Mean ± standard deviation (n=173).

Fig. 6.

Semantic differential scale used by 173 subjects to describe three shapes public indoor space design.

Table 4.

Preference of shape for cut flower decoration in public indoor space.

Form N Mean SD Scheffe’s test α = 0.05
1 2 3

pz Vertical 173 3.06 1.08 ay
Horizontal 172 3.76 0.86 b
Round 172 4.06 0.81 c
z

P: Preference

y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5% level (n=173).

Table 5.

Preference by age group for the shape of cut flower in the public indoor space.

Treatment Shape
Horizontal Vertical Round

Under 20s 4.00±0.00az 4.00±1.00b 4.00±1.00a
20-29s 3.78±1.09a 2.90±1.06a 4.04±0.73a
30-39s 3.66±0.56a 2.88±1.03a 3.88±0.85a
40-49s 3.73±0.80a 2.88±0.97a 4.18±0.82a
50-59s 3.81±0.75a 3.35±1.18ab 4.08±0.87a
Over 60s 3.88±0.99a 4.00±0.93b 4.00±1.07a

ANOVA NS * NS
p-value 0.973 0.013 0.799
z

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5% level.

Significant at P<0.05, respectively, by one way ANOVA. Mean ± standard deviation (n=173).

Table 6.

Effect of awareness of cut flower decoration and statistical variation of population to re-purchasing (loyalty).

Loyalty Educational background 1z 2 3 4 5 P χ2

1y High school grad. 2.9 2.9 45.7 45.7 2.9 .047x 21.218
Univ., grad. or univ. 0.0 3.2 28.7 56.4 11.7
Over graduate student 2.8 0.0 30.6 55.6 11.1
Others 0.0 25.0 37.5 37.5 0.0

2 High school grad. 2.9 25.7 42.9 28.6 0.0 .609 10.076
Univ., grad. or univ. 1.1 12.8 44.7 37.2 4.3
Over graduate student 2.8 13.9 52.8 30.6 0.0
Others 0.0 25.0 62.5 12.5 0.0

3 High school grad. 0.0 5.9 41.2 52.9 0.0 .720 6.198
Univ., grad. or univ. 0.0 6.4 45.7 44.7 3.2
Over graduate student 0.0 8.3 58.3 30.6 2.8
Others 0.0 12.5 62.5 25.0 0.0

4 High school grad. 0.0 5.9 50.0 32.4 11.8 .470 11.695
Univ., grad. or univ. 2.1 9.6 45.7 40.4 2.1
Over graduate student 0.0 8.3 52.8 36.1 2.8
Others 0.0 12.5 75.0 12.5 0.0

5 High school grad. 0.0 2.9 42.8 34.3 20.0 .164 16.630
Univ., grad. or univ. 1.1 2.1 20.2 54.3 22.3
Over graduate student 2.8 2.8 16.7 50.0 27.8
Others 0.0 0.0 62.5 37.5 0.0
z

Loyalty: 5=extremely so, 4=so, 3=normal, 2=not so, 1=extremely not. Dependent variable: Loyalty

y

Loyalty 1: Be able to talk positively to other people to having the cut flower decoration. Loyalty 2: Intend to invest more fund to purchase the cut flower. Loyalty 3: Strongly recommend to purchase cut flower to relatives or friends. Loyalty 4: It was the best choice to purchase the cut flower decoration. Loyalty 5: I would like to move into an office with superior cut flower decoration.

x

Significant at P<0.05 respectively, by cross correlation analysis (n=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