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4); 2016 > Article
김종영의 작품세계를 반영한 정원디자인 연구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lements of contemporary garden design reflecting the spirit of Kim Chong-Young, a pioneer of contemporary Korean art, and his art work by reinterpreting the garden in Kim Chong-Young’s birthplace. The study focuses on analysis of his art work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lants and them,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garde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Kim Chong-Young’s art works, followed by the process of garden design which examines each element of garden. The components of spatial composition have been reinterpreted into visual, auditory, olfactory elements and humanities, which proves their values to be considered in the garden design.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garden which applies internal and external form of Kim Chong-Young’s art works to the plants reflecting symbol, humanities, philosophy and the spirit of Seonbi.

서론

김종영은 우리나라 근대 미술의 선구자인 한국 추상 조각가이며 조형의 역사에 관한 그 원형과 근본을 탐구 하였으며, 무위자연 사 상을 기본 토대로 서구 현대 미술 사조를 해석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의 예술사상은 인문학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동․서양의 예술적 요소를 융합하고 현대적 예술 이념을 전통과 혁신의 극한 대립 속에서 균형의 지점을 찾고 사고하는 예술사상을 가지고 있었 다(Kim, 2010). 이러한 예술 사상을 통해 작품세계는 조형을 목적 으로 하는 창조력의 표현으로 대자연 공간속에 순응하는 작품세계 를 추구하며 이에 작품의 세계를 정적으로 보고 있다(Jo, 2006). 이 러한 작품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시 소답동 에 위치한 김종영 생가에 그의 고유한 작품관을 정원에 적용 및 재 해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예술가와 문학가, 역사적 인물의 생가를 지자체의 문 화관광 홍보 및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지역민의 자긍심과 지역 축제의 콘텐츠로 활용하고자 하는 여러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는 중으로 전북 익산의 가람 이병기 생가(Kim et al., 2010), 울산 광역시의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 복원(Lee, 2004) 그리고 시조 시 인들의 생가와 그 들을 기리기 위한 문학관(Kwon, 2014)등의 연 구가 있어 왔으나, 김종영 작가의 생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 이다. 하지만 창원시는 최근에 이르러 김종영 생가의 문화적 가치 와 지역의 예술성 고취 및 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시 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김종영 생가는 선생이 출생 후 어린 시절을 보내고 일본 동경 미술 학교를 졸업하여 귀국한 1948년 서울대학 교 교수로 재직하기 까지 생활한 것으로 보이는 곳으로 현대 조각 가의 선구자인 김종영의 생가이면서 건축사적, 인물사적 가치를 가 지는 공간이다(CHA, 2012). 또한 이곳은 1900년대 초 이원수 작 사 홍난파 작곡의 ‘고향의 봄’이라는 곡의 가사인 ‘울긋불긋 꽃대 궐’의 배경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미지와 함께 김종영의 예 술이론과 작품관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에 알맞은 이미지와 의미 를 지닌 식물 소재를 선정하여 김종영의 생가 정원에 도입하여 단 순한 정원의 조성이 아닌 관련 예술가의 예술적 이념이 반영된 철 학적 의미를 갖는 현대 정원을 조성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경남 창원시 의창구 의안로 44번길 33에 위치한 김종영의 생가의 평면도 분석 및 현장 실태 조사를 진행하였다. 김 종영 생가의 정원디자인은 선생님의 예술작품 세계관을 문헌과 작 품을 통해 분석하고 김종영 생가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생가의 정 원에 김종영 선생님의 예술세계를 도입한 정원 디자인을 실시 하고 자 하였다. 김종영 생가 정원의 예술적 가치는 선생님의 작품 세계 에 녹아나는 철학적 사고와 공간 물질에 대한 접근을 다각도로 살 펴 심미적인 예술작품의 이미지, 조상의 위상, 미래의 보존 가치를 고려한 정원을 재조명하여 정원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자료 및 문헌조사와 현장답사를 실시하였다.
김종영 생가 정원의 조영적 요소들이 표상하고자 정원의 개념적 요소에 대해 현대 미학적 요소 도입을 통하여 각 정원이 나타내고 자 하는 동양과 서양의 사유 방법과 표현 방식의 의미론적으로 분 석하고 대상지의 주체성의 유무를 파악하여 대상지가 갖고 있는 역 사적 장소성과 현재성을 여러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대중적인 것 으로 인식하여 정원 디자인 요소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동・서양의 예술 세계를 융합한 김종영의 작품 세계관을 반영하여 정원의 예술 적 가치의 본질적인 의미를 현대미학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정원 조성의 각 요소들 간의 융합의 변화로 새로운 주제의 개념이 포함되는 정원 미학 개념을 정원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적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하여 조영 요소들을 김종영의 작품 세계관에 도입 하여 새로운 차원의 의미 해석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정원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및 고찰

1. 공간 요소

김종영 생가 정원은 1995년 ‘미술의 해’ 조직위원에서 표석을 세우고 2005년 9월 14일 문화제청에서 등록 문화재 제200호로 지 정되었다(CHA, 2012). 현재 김종영 생가 정원은 담장 옆으로 물 길의 흔적이 있고 동쪽에서 서남쪽 방향으로 펴져나가는 형태를 하 고 있다. 현대조형 이념은 형체의 모델보다는 정신적 태도를 더욱 중요시 하는 자연에서의 조화를 구하고 자연의 재질서와 상통하는 격을 지닌다(TFACON, 2010).
외원(外園)과 입구는 생가 정원의 대문으로 들어오는 공간이며 내원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물길의 흔적을 따라 높이 2m × 길이 50m 정도의 담장이 있고 이를 따라 수공간(水空間)을 형성 하는 경사진 공간이다(Fig. 1). 내원(內園)은 대문에서 좌측과 우 측으로 나뉘어져 문간방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단을 지나 면 사랑채와 마주하는 안채가 있다. 상위공간으로 안채 중심의 사 랑채의 앞마당 일대는 내정으로 구성된 공간이다(Table 1).
Table 1.
Overview of the garden contrast in birth house of Kim Chong-Young.
Classification Contents
Location 33, Uian-ro 44 beon-gil, Uichang-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Korea
Contrast time 1926~1940 Korea Under Japanese rule
Square measure Total area of ground floor: 208.03 m2
Configuration Entrance Placing Kim Chong-Young’s art work of sculpture, Zelkova Tree
Outer garden A waterway from East to West, Samiroo
Inner garden Sarang-chae (a detached house for guest), the main building, Mungan-chae (the gate section) Building and garden indicating bunch of colorful flowers quoted from the song ‘Spring in my hometown’
Characterist The 200th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laces of historic interest (Myeongseung)
Fig. 1
Water way of birth house of Kim Chong-Young.
(A) Water way is passed under the main gate, (B) Water way is passed around lower side of the wall, (C) Water way is passed around upper side of the wall.
KSPPE-19-373_F1.gif
정원 디자인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생가 조성 당시의 식재 구 성은 사진 자료 등의 시각적 자료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간접적으로 김종영의 예술가 소개 자료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자료에 의하면 1926년~1936년 사이에는 정원에 초화류, 관목 및 교목이 혼합 식 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CNRFC, 2010). 그러나 김종영 생가 자료에 따르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대나무, 감나무 등의 관 목 및 교목이 혼합 식재되어진 기록은 남아있으며 현재에도 정원 식재에 일부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간 구성 요소로는 시각적, 청각적 면으로 구분되며 시각적 면 은 김종영 생가 초입에 들어서면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전개되어져 있다. 느티나무를 지나고 나서 대문을 지나면 정원 공간이 구성 되 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청각적인 면으로 생가 정원은 이전에는 물 과 소리의 정원요소를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담장 밖 외부에 서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계류의 물소리는 청각적인 요소 를 가지고 있었으며, 담장 안으로 흐르며 물소리가 물길을 따라 정 원 안으로 울리고, 대나무 숲을 스치는 바람과 소리의 움직임 요소 를 포함하고 있었다(Fig. 2).
Fig. 2
Present look of Kim Chong Young’s birth place.
(A) There were displayed with tall Zelkova at the enterance, (B) The garden space was shown in front of main gate, (C) A kind of stream - element of water space - were composed beside the wall, (D) The forest of boomboo were gathered in back garden.
KSPPE-19-373_F2.gif
전체적인 공간구성 공간배치를 보면, 입구는 대문을 지나 위로 경사진 계단을 올라가면 정원의 공간구성의 필요한 요소들이 표출 된다. 진입로 진행 후 정원의 건축물이 시야에 들어오게 구성되어 있으며 조망 축은 계단을 지나면 변화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형태는 자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화적 자연의 접근이 가능하다(Table 2). 공간 구성 요소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인 문학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이를 재해석하여 충분히 반영할 가치가 있다(Table 3).
Table 2.
Constitute the space elements of the garden in birth house of Kim Chong-Young.
Space elements Component

Resting place The space of diverse activities performed by people
The key factor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Water space The key factor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place fo leisure activities

Landscape plants The crucial element to draw out psychological feelings by viewing it.
Representing loyalty and spirit of Seonbi
Planting plants appropriate for nobility of the ancestor
Table 3.
Space component of re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Component area Location Characterist
Stair Near a stone wall Symbol of abstract, esthetic and vibrant energy of the stair
Area of margin Yard (ground) Applying philosophical image and inner element of typeface to the line of flow in the space
Planting area 1 In the vicinity of the wall next to the main gate Expressing inspiration from the song ‘Spring in my hometown’, lyric making by Lee won-soo
Planting area 2 Planting in front of the main building Symbolozing dignity of Seonbi

2. 작품 분석

1) 기본 개념

정원 구성에 공간적 배경은 필수 요소이며 김종영 예술 세계는 서구 근대 및 동양 예술의 이념인 단순미를 통해서 서구의 생명주 의 조각 조형미와 외형을 수용하여 동양의 정신적인 요소와 자연관 을 반영하여 재해석하였다. 이에 김종영 생가 정원의 기본 기능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동서양 정원의 융합과 정원 기능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여 최종적으로 창원 서부 지역의 역사 문화 장소로의 기 능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김종영 선생의 기본적 생활 철학은 성리 학적 관점에서 자연의 근원적 진리를 발견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Kim, 2010). Yoo(2004)에 따르면 공간은 공간 형성을 이루는 물 리적 요소들과 공간을 표현해 내는 요소들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 러한 요소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복합적 요소로서, 공간의 해석 가능한 텍스트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는 표면적인 부분의 해 석부터 그 속에 담긴 메시지의 해석까지 범위를 넓히게 되며, 이 때 텍스트는 물적 요소에서 벗어난 종교적, 철학적, 역사적, 사회적 맥 락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공간의 의미해석은 단계적 방법을 거 치는데, 시작 부분은 물리적, 표면적 부분의 해석이며, 이를 통해 종 교, 철학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들에 도달하고, 마지막으로 이 모 든 것을 복합적으로 합친 것이 공간의 의미 해석이라고 하였다. 이 와 같은 방식으로 ‘정원' 이라는 공간 또한 해석이 가능하며, 정원에 내재된 다양한 의미들 또한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의미가 다 른 의미들과 함께 정원이라는 공간에 반영된다.
김종영 생가는 공간으로 사용 가능한 대지면적은 1,534.9m 2 , 건 축면적은 232.06m 2 , 건폐율 15.12%, 용적율 15.12% 제1종 주거 지역으로 기재 되어 있다. 김종영 생가의 공간적 개념을 분석하는 데는 ‘표현은 단순하게 내용은 풍부하게’, 불각의 미, 개념 형식이 흔히 적용되며 이는 김종영의 작품 세계를 적용한 개념에 따라 공 간을 여러 마디로 나누고 그 절점마다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2) 작품 세계와 적용

Oh(2013)에 따르면 김종영 작품의 모티브는 자연 현상을 관찰 하여 구조와 원리를 발견하고 작품은 식물적인 요소를 연상하게 하 는 자연스러운 형태이며 김종영의 조형 세계는 독자적인 철학에서 빚어진 자연관으로 깊은 관찰과 분석 및 경험이 합쳐서 나온 결과라 고 하였다. 특히 김종영 조각의 모티브로서 식물은 자연의 일부로 어느 한 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사실에서 정적이지만 끊임없는 생육 과정의 변화와 형태를 통해 동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김종영은 주요 모티브로 설정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종영의 조형 세계관은 인문학, 철학적, 상징적 요소가 포함된 다 양한 감각을 중시한 것임을 알 수가 있으며(Table 4), 유기적인 구 조로부터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작품 속에 생명성을 깃들 수 있도록 자연성에 바탕을 둔 세계를 추구하여 이해하는 것은 하나의 지침서 이며 서구 추상 사상이 나타나는 형식성과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김 종영 작품 속 추상세계는 한국의 풍토와 역사에 주목하고 자연 현상 에서 구조의 원리와 공간의 미를 경험하고 조형의 기술적 방법 탐구 이다(Lee et al., 2014). 김종영 작품의 기술적 탐구 방법으로는 외 적, 내적인 감각요소를 적용하여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하였던 것으 로 간주되며 작품에 반영된 요소를 파악하고 김종영생가 공간에 예 술정원을 창출하기 위하여 작품속에 내재된 식물적인 요소를 적용 하여 정원디자인을 하고자 한다. 김종영은 답습되어진 조각의 형식 에서 벗어난 자연의 관찰을 통해 자연의 질서를 스스로 탐험하였는 데 그의 추상은 바로 이 자연의 질서가 아닐까 한다. 생명체로서 인 체와 나무에서 형태와 구성의 닮은 점도 오랜 관찰 결과이다. 인체, 식물, 산으로의 관찰의 진행은 조각의 전통적인 방법인 인체 모델링 에서 벗어나 자연에 내재된 생명 현상과 구조로의 탐험을 보여준 것 이다(Oh, 2013). 김종영의 작품에 내재된 조형적 요소에는 다의적, 점진적인 가치의 실험과 자연에 실재하는 대상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작품은 생명의 존엄성을 외경으로 표현하고 후기 작품 제작은 미 니멀리즘의 단순한 형태로 최소의 형태를 표현한 것을 알 수가 있다. 김종영은 자연이나 사물의 질서에 대한 관찰과 이해와에 관심을 가 지며 ‘작품이란 미를 창작하기 보다는 미에 근접 할 수 있는 조건과 방법을 이해한다고 주장했다, 불각(不刻)의 미는 최소화한 자연스 러움의 미와 형체보다 뜻을 중히 여기는 미(美)로 깎되 깍지 않은 상 태는 여백의 공간미로 김종영의 작품에 반영되어 선비적 정신을 표 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체의 묘사가 자체의 고유한 감각과 인위적 인 기교나 기술보다는 작가의 정신적 태도와 정서, 사상 및 김종영 의 독자성으로 서구와 동양적 사유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새로운 예 술 세계관의 규범을 제시한 것으로 본다(KCYM, 2016). 이러한 작 품의 형식은 단순화된 본질적인 형태 속에서 여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전개할 수 있으며 요소별 특성과 구체적 지표를 구축하여 작품의 본질을 정원 디자인에 반영하고 접목할 수 있다(Table 4).
Table 4.
Design elements of work and garden.
Garde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design
Characteristic Specific indicator
Overall view
  • - Combination of oriental and western style of outer and inner space

  • - Expressing historical value and emphasis on creative component

  • - Overlapping function of space and symbol

  • - Attaching value to multiple senses and various meanings including visual and auditory sense.

  • - Combination of indigenousness

  • - In harmony with Uichang-gu, Changwon-si

  • - Representing sign of Kim Chong-young’s family in places

  • - A place for discussion and relax

  • - Combining various genres of art which contributes to developing diverse thoughts

Spatial elements
  • - Simple, natural and multifarious designs

  • - Introducing symbolic element

  • - Combination of human and art

  • - Unrestricted space area and the unity of nature and space

  • - Representing image of history and Family

  • - Harmony among space, nature and artificiality

  • - Granting value to historicity

  • - Attaching value to presence

  • - Multifaceted, irregular and various expression

  • - Fusion of space in line with nature and against nature

Sensuous elements
  • - Emphasis on various senses including vision, hearing, a sense of touch and scent

  • - Reflecting visual and auditory sense, a sense of touch from the wind and scent

Formative elements and material
  • - Local, regional and natural indigenousness

  • - A mixture of artificial, indigenous and natural material

  • - Making the best use of natural, irregular and three-dimensional topography

  • - Borrowing image of natural water stream

  • - Applying natural, local and irregular topography

Elements of symbol
  • - Reflection of art works

  • - Attaching value to historicity,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and their symbols as well as reality

  • - The family’s fame and status

3. 작품 세계와 식물과의 연관성

김종영의 작품 67-3, 72-4은 구성면에서 식물의 형상을 표현한 것으로 꽃이 막 피기 시작 하려는 동적인 움직임인 이미지를 보여 주는 조형적인 요소를 보여 주는 결과를 보이며 이러한 작품속에 내재된 식물의 속성을 파악 하여 예술정원 공간 구성과 미학적 요 소와 철학적, 인문학적 흐름의 요소를 적용하여 각각 식물 디자인 의 재구성으로 작품에 내재 되어 있는 형태를 정원디자인의 요소에 적용하고자 한다. 작품 76-5, 78-15은 식물의 형상이 사실적인 표 현으로 이는 정원공간의 분석함에 있어서 정원공간의 구성 중 다양 한 식물 요소의 중요성을 인식 하여 정원디자인 공간 구성에 반영 하고자 하며. 작품 76-1은 여성의 얼굴과 식물이 중첩되어진 형태 로 활짝 핀 꽃의 이미지를 상징화 하여 김종영이 평소 가족들을 모 텔화 하여 드로잉을 즐겨 하는 과정을 판단하여 생가에서 보낸 시 기 및 서울에서의 삶으로 가족간의 심리적인 교감을 묘사한 요소인 것으로 인식 되며 정원공간 구성시 따뜻한 공간을 선정하여 이미 지 구성을 설정하고자 한다. 인간이나 식물이나 삶의 형태는 에너 지의 끝없는 순환으로 인하여 지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품 77-7 의 작품은 정원의 생성 변화가 지속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싹의 형상, 꽃, 나뭇잎과 가지가 끊임없이 피고 지는 순환하는 요 소로 인식하고 공간에 생명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감상 할 수 있 는 요인으로 적용하고자 한다(Fig. 3).
Fig. 3
Kim Chong-Young’s art work to be related to plant.
KSPPE-19-373_F3.gif
김종영의 작품에 내재된 식물의 다양한 상징적 요소는 작품과 의 연관 관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식물들이 알맞은 공간에 효과적인 형태를 창안하기 위하여 작품에 내재된 의미를 인문・철학・종교적 요소, 인간 감성 요소, 예술 세계 요소, 정원 디자인의 입체적 반영 요소로 4가지 특징으로 분류하여 Table 5와 같이 정원 공간을 구성 하기 위한 식물을 선정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김종영 생가 정원에 고향의 봄을 포함한 김종영 작품 이미지 및 상징적인 요소의 반영 과 작품에 나타난 식물의 생성 과정에 대한 표현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Table 5.
Features of plants in the garden.
Features Scientific name Korean name Appearancez Image of plants
Humanities, philosophy and religion Sophora Japonica var. pendula 수양회화나무 DBT The most significant symbol of the garden space
Pinus densiflora 소나무 ENT Dignity and elegance
Prunus mume 매실나무 DBM Element of calligraphy, the Four gracious plants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반송 ENS Neat and tidy type
Quercus glauca 종가시나무 EBT Symbol of evergreen
Bamboo spp. 대나무 Herbaceous Representing an upright faith of the Four gracious plants
Zelkova serrata 느티나무 DBT Spacious and comfortable place to relax
Philadelphus schrenkii 고광나무 DBS Fragrace beauty and dignity
Eriobotrya japonica 비파나무 EBM Patience, endurance and tenacious life force
Human sentiment Prunus armeniaca var. ansu 살구나무 DBT Native tree of Korea
Prunus perisica 복숭아나무 DBS The tree mentioned in the song ‘Spring in my hometown’
Rhododendron mucronulatum 진달래 DBS The plant mentioned in the song ‘Spring in my hometown’
Syringa oblata Lindl. var. dilatata 수수꽃다리 DBS Native plant of Korea
Abeliophyllum distichum 미선나무 DBS Native plant of Korea
Pourthiaea villosa 윤노리나무 DBS The raw material of Yut, representing Korean sentiment
Acer palmatum 단풍나무 DBT The tree of fall among four seasons
Cercidiphyllum japonicum 계수나무 DBT The tree recalling innocence of childhood
Artistic elements Laurus nobils 월계수 EBT Exotic plant, a mixture of oriental and western style
Malus sieboldii 아그배나무 DBM Early spring blossom tree
Cornus kousa 산딸나무 DBT Exotic plant, a mixture of oriental and western style
Styrax obassia 쪽동백나무 DBT The component of art and design
Stewartia koreana 노각나무 DBT Unique bark of tree applied to garden design
Betula pendula 자작나무 DBT The component of art and design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백당나무 DBS The component of art and design
Pyrus calleryana 콩배나무 DBM The component of art and design
Multifaceted garden design Osmanthus heterophyllus 구골나무 EBM Evergreen and aromatic garden in winter
Bamboo spp. 대나무 Herbaceous The component of auditory sense
Styrax japoica 때죽나무 DBM The component of garden design
Sorbaria sorbifolia 쉬땅나무 DBS The component of garden design
Ilex serrata 낙상홍 DBS The component of garden design
Rosa hybria 장미 DBS Popular flower for the garden in May
Ilex rotunda 먼나무 EBT Evergreen for winter, the component of garden design
Daphne odora 서향나무 EBS The aromatic component for garden design
Osmanthus fragrans 목서 EBS The aromatic component for garden design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백당나무 DBS The component of garden design

z D, Deciduous; E, Evergreen; B, Broad-leaved; N, Needle-shaped leaf; T, Tree; S, Shrub; M, Small-tree.

김종영 생가 조성 당시 실제 정원의 수종과 형태, 공간의 구성에 대한 자료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지만, 현재 정원의 상태는 임의적 인 식재 및 무질서한 배치로 당시 정원의 본질적 측면을 잃어버리 고 있다(Fig. 4). 이와 같은 김종영 생가 정원의 문제점을 파악 한 후 앞서 분석한 김종영 작품의 특징에서 도출된 의미적 요소와 식물의 요소를 이용하여 생가정원에 김종영의 작품세계관을 반영하여 새 로운 정원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Fig. 4
The current state of the birth house of Kim Chong-Young and design reflecting the elements.
(A) Insufficiency of aesthetically spatial component to overall view, (B) Not consider the aesthetically spatial component to overall view, (C) Unclear the line of flow and obscurity of spatial component, (D) The place command overview to garden but has disorder form of structural elements, (E) Too narrowed space around the stone step to enter, (F) Lack of availability to garden space.
KSPPE-19-373_F4.gif

적요

본 연구는 한국 근대 미술의 선구자인 김종영 선생 생가 정원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김종영의 예술관을 반영한 현대 정원 디자인 조성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과 작품을 통해 생가의 공간 요소와 작품 세계 및 작품과 식물과의 연관성을 정원 디자인 연구 진행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공간 구성 요소는 시 각적, 청각적 요소와 후각적, 인문학적 요소로 구분하여 재해석을 실시했으며 충분히 정원 디자인에 반영할 가치와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김종영 작품의 미학적 관점 요소가 적용한 식재를 통해 심리적 감상을 이끌 수 있는 예술 요소를 반영한 정원 디자인이 수 행되어야 한다. 정원 디자인을 위한 요소인 식물의 연관성은 작품 에 내재된 내적, 외적인 형태를 투영한 식물의 형태로 표출이 가능 하고 인문, 철학, 선비정신이 내재되는 식물 이미지를 반영하는 정 원 디자인 구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정원 디자 인을 위한 구성 요소를 파악하였으며 작품 요소를 반영한 정원의 조성은 김종영 생가의 문화재 가치를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REFERENCE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2012. A report on documentation of the birthplace of Kim Chong-Young in Sodap-dong, Changwon. Daedo agency press, Jinju, Korea.

Changwon Namsan Sangbong Festival Committee (CNSFC) 2010. A renowned artist in Changwon. Donghaksa, Seoul, Korea.

Jo, M.K. 2006. A study of the world of Kim, Chong-Yung’s art works. MS thesis, Andong Natl. Univ., Andong, Korea.

Kim Chong Yung Museum (KCYM) 2016. Schors and sculpture. Hongikgraphics, Seoul, Korea.

Kim, J.R. 2010. Kim Chong-Young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Visual arts archives 2:107-135.

Kim, J.S. Rho, J.H. Kim, J.M. Oh, H.K. 2010. The rusticity and sp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h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J. Korean Inst. Tradit. Landsc. Archit. 28(1): 1-11.

Kwon, S.H. 2014. Ancestor poet’s life and ancestor museum studying – around Gureumjae Park Byeongsun. Literary Criticism 52: 41-72.

Lee, K.S. Choi, T.M. Jeong, J.H. 2014. Artist story in Gyeongnam. Bool-hui Media, Changwon, Korea.

Lee, S.J. 2004.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Dr. Choi Hyeon Bae’s birth-house. MS thesis, Ulsan Univ., Ulsan, Korea.

Oh, G.S. 2013. Kim Chong-Young: pioneer of modern sculpture in Korea. Sigongsa. Co., Ltd., Seoul, Korea.

The Federation of Artistic and Cultural Organization of Changwon (TFACOC) 2011. Meet Kim Chong-Young, a priest of aesthetics. Bool-hui Media. Changwon, Korea.

Yoo, J.E. 2003.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Italian renaissance villa garden. M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311 View
  • 1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