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숲 방문 빈도에 따른 요구분석

The Analysis of Needs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2):129-137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Dept. of Forest therap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8644, Korea
*Corresponding author: salutare@daum.net
이 논문은 충북대 ‘BK21 플러스 산림치유특화전문인재양성사업단’ 지원으로 연구되었고, 저자 김윤희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 보완한 것임.
Received 2016 January 06; Revised 2016 January 31; Accepted 2016 February 01.

Abstract

Forest visiting frequency level is likely to indirectly affect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the program. The forest visiting frequency degreei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affect the development and conduct of the program. Therefore, forest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visits. First, after examining the frequency of forest visits degre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of 217 people visiting the forest at least once a week or a month was classified as a high-frequency group. The group of 403 people visiting the forest at least once a quarter or a year and almost no visit was classified as a low-frequency group. The ne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sit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by use of SPSS 21.0 program.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Implementation period, season, paid the participation fee mad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visit. This study, as an exploratory research, making us understand the needs related to forest healing program for the forest visit groups of high and low frequencies,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

Ⅰ. 서론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의 장소, 여가 공간으로써 숲에 대한 관심 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An et al., 2010).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3.7%(6,369천ha)가 산림이며 OECD 국가 중 핀란드(73.9%), 일본(68.2%), 스웨덴(67.1%)에 이어 네 번째로 산림비율이 높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2015년도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산을 찾는 횟수는 주 1회 이상이 9.8%, 월 1회 이상이 22.7%, 연1~2회 이상이 28.8%로 조사되어 연 1회 이상 산을 찾는 비율은 77%에 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Korea Forest Service, 2015). 2014년 국민활동 조사에 의하면 여가장소 희망공간으로 산이 20.5%로 나타났다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4). 산 정상을 오르는 등산을 좋아하는 비율이 49.8%, 산 정상을 오르는 것보다는 산기 슭의 숲길을 걷는 트래킹을 선호하는 비율이 49.9%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Korea Forest Service, 2015). 주 5일 근무제, 웰빙 문화 등의 확산으로 등산은 가장 대중적인 산림휴양활동으로 자리잡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07).

전문가들은 산림치유의 예방의학적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Park et al., 2012). 산림치유를 통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정신건강은 물론이고 신체건강을 증진시키고 정신장애와 신 체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삶의 질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숲에서의 산림치유 활동이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키 고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억제시켜 신체 이완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면역력이 증대되어 삶의 만족이 증대되는 등 다양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ng et al., 2013; Kim and Lee, 2014; Lee and Lee, 2013; Song et al., 2014). 자연과의 상호작용이 인지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도시환경과 자연사이의 인 지기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자연 속을 산책하거나 자연의 사진을 볼 때 주의 회복능력이 향상되었고, 도시 환경에서 그들의 주의 회 복능력은 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erman et al., 2008).

산림치유 프로그램이란 산림이 지닌 치유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 해 산림치유 인자를 활용하여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An et al., 2010). 즉, 산림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대상에 맞게 숲에 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의 과정을 조직화 한 것이라고 볼 수 있 다. 2007년 산림과학원은 일반 산림치유 활동은 산림의 보건 의 학적 기능을 망라하여 심신을 치유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활동으로 식물요 법, 물요법, 기후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정신요법 등 6개의 영 역으로 구분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1). 산림치유 프로 그램은 숲의 건강 증진효과를 바탕으로 공동체 활동, 자아노출 (Self-disclosure), 자아성찰(Reflection), 혼자만의 시간(Solitude) 과 카운슬링 등 전문 프로그램(Therapy techniques)이 대상자의 특성 및 목적에 맞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Hong, 2010).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 다(Cho et al., 2014; Kim et al., 2014).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경험 한 적이 없는 1,255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 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없다’라는 응답이 5%로 매우 미미한 반면, ‘보통이다’가 20.8%, ‘있다’가 73.6%에 달해 앞으로도 산림 치유 참가자들이 늘어날 수 있는 잠재수요가 큰 것으로 보인다 (Cho et al., 2014).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된 반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산림치유 수요자에 관한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은 최근의 일이다(Kim, 2015).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로 숲길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이용객 특성 분석(Son et al., 2012), 성인 산림치유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관심도 및 요구도 분석(Kim et al., 2014b), 산림치 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 분석 (Kim et al., 2014a) 등에 관한 연구가 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은 산림의 다양한 자원을 치유자원으로 변화시키는 행위 또는 새로운 산림치유 활동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Ha, 2014).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계획단계에서 참여자 에 대한 뚜렷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위한 구 성활동을 도출해야 한다(Lee et al., 2011; Seok and An, 2013). 한 개인이 숲을 이용하고 숲에서 영향을 받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 치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숲에 대한 정서와 감정이다. 개인 은 경험, 학력, 성장배경 등의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숲에 대 한 다양한 정서를 갖는다(Shin, 2005).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참여자의 요구분석(Needs analysis)에서 시작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대상자에 대한 기본적 인 분석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은 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오고 있 다(Kim et al., 2014a). 이러한 요구분석을 생략한 채 산림치유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경우 산림치유 지도사와 참여자 모두에 게 비효율적이 될 수밖에 없고, 프로그램의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나타나기도 한다(Kim et al., 2014a). 참여자에 대한 뚜렷한 분석 을 통해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et al., 2011; Seok and An, 2013). 잘 고안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Ha, 2014; Kim et al., 2014a; Kim et al., 2014b). 산림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산림치유 프 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대상자 를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Ha, 2014). 대상 자들이 프로그램신청 시 기본적인 인적사항(참가자의 성별, 연령), 참가목적, 참가유형(개인참여, 그룹참여), 참가자들의 신체적・물 리적 특징, 정서적・심리적 특징을 파악하고, 유사활동 경험 유무, 과거병력 등을 파악하고,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사전에 그 요구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 으로 프로그램 개발 시 또는 프로그램 진행시에 고려할 점이 무엇 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Ha, 2014). 이런 선행연구들의 결 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에 따른 산림치유 관련 요구분석에 관한 연 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Jung et al.(2014)은 ‘산림환경 이용과 의료・상담 기관 종사자 스트레스의 관계’ 에 관한 연구에서, 월 1~2회 이상 다양한 형태로 산림환경을 이용하면 특정한 처치 없이도 산림을 자주 이용하지 않 는 사람보다 스트레스 수준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숲 환경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이 스트레스와 탈진 반응이 적었으며 회복경험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휴양자원 이용에 따른 회복탄력성 지수에 관한 연구에서도 산림휴양 자원 이용 1년 미만의 초보 이용객의 경우 보다 10년 이상의 산림휴양활동에 지속 적으로 참여한 숙련자들의 회복탄력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Lee, 2013). 숲 방문 빈도 정도는 간접적으로 프로그램의 선호 및 요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숲 방문 빈도 정도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숲 방 문 빈도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에 관련된 요구분석을 실시 하였다.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설문지 구성

설문문항 구성은 치유의 숲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중 프로그램 관리에 관한 기존 연구(Sim, 2013)를 참고하였다. 설문문항이 실 제 산림치유 현장과 부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산림치유 프로그 램 진행 경험이 있는 산림치유 지도사,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자 2인에게 1차적으로, 산림치유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수 2인에게 2차적으로 내용검토를 통해 설문이 완성 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분석에 관한 설문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8 문항, 숲 방문 빈도 1문항,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 관련 요 구분석 9문항으로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내용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Survey contents.

2.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 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으로 설문을 실시 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먼저 서울・경기 지역의 여성 인력개발센터, 직장, 학교, 동호회를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기 관을 방문하였다.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E여성인력개발센타와 N여성인력개발센터의 회원, S중학교 교사, H기업 직원, K대학교 대학생, H동호회의 회원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를 설명하고 참여의 사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의 가족, 친구, 동료 등도 참여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4년 4월 19일 부터 6월 30일까지 실 시하였다. 2014년 4월 19일부터 온라인 설문이 이메일로 발송되었 고, 2014년 6월 30일까지 응답결과를 반송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 다. 온라인 설문 방식이 익숙하지 않은 대상에게 지필식 설문을 제 공하였다. 특히, 50대 이상 163명 중 76명(59.7%)은 지필식 설문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온라인 508부, 오프라인 152부로 총 660부 의 설문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중복응답으로 인 한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총 40부를 제외하고, 총 620부의 유효설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자료분석

설문조사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을,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에 관련된 요구도 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인구통계학적 특징

본 표본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결혼 여부, 가계소득, 지역, 직업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의 Table 2와 같다.

Demographics of respondents.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13명(34.3%), 여성 407명(65.6%)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았 다. 연령은 40대 252명(40.6%), 50대 이상 163명(26.3%), 30대 124명(20.0%), 20대 81명(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전체 인구를 살펴보면, 40대(21.9%), 50대(20.1%), 30 대(19.1%), 20대(16.3%), 60대(11.6%) 순이다(Statistics Korea, 2015). 교육수준은 대학졸업 363명(58.5%), 대학원 석사 이상 125명(20.2%), 대학재학 76명(12.3%), 고졸이하 56명(9.0%) 순 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로 수도권은 497명(80.1%), 비수도권이 123명(19.9%)이었다. 그중 수도권은 각각 서울특별시 376명 (60.6%), 경기도 소재시 121명(19.5%)순이었고, 다음으로 광역 시 48명(7.7%), 지방 소재시・군 75명(12.1%)이었다. 종교는 종교 없음 216명(34.8%), 기독교 192명(31.0%), 불교 100명(16.1%), 천주교 100명(16.1%), 기타 12명(1.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기혼 449명(72.4%), 미혼 159명(25.6%), 기타 12명(1.9%) 의 분포를 보였다. 경제적 수준은 월평균 가계 소득이 400만원대의 응답자가 186명(3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0만원대 101명(16.3%), 300만원대 91명(14.7%), 500만원 이상 90명 (14.5%), 100만원대 84명(13.5%), 100만원 미만 68명(11.0%) 순 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직업은 주부 124명(20.0%), 사무・행정・관 리직 100명(16.1%), 무직・기타 82명(13.2%), 교직 69명(11.1%), 학생 69명(11.1%), 전문・연구직 66명(10.6%), 생산・기술・서비 스직 67명(10.8%), 자영업・CEO 43명(6.9%) 순으로 나타났다.

2. 숲 방문 빈도

숲 방문 빈도를 조사한 결과, 주 1회 이상은 78명(12.6%), 월 1회 이상은 139명(22.4%), 분기별 1회 이상은 160명(25.8%), 연 1회 이상은 33명(21.5%), 거의 안감은 110명(17.7%)으로 각각 나타 났다. 월 1회 이상 숲을 찾는 비율은 35.1%로 이는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9)이 조사한 우리나라 일반국민의 월 1회 이상 산에 가는 비율인 40.6%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숲 방문 빈 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결과 연령, 교육, 직업, 결혼여 부, 거주지, 직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30.9%)는 연 1회 이상, 30대(32.3%), 40대(28.6%)는 분기별 1회 이상, 50대 이상(32.5%)은 월 1회 이 상을 각각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학력에 따라 주 1회 이상 숲 방문 빈도를 살펴보면, 대학원 석사 이상(16.0%), 대학졸업(12.9%), 고졸(12.5%), 대학 재학(5.3%) 순으로 나타났다(p<0.001). 특히, 대학재학은 35.5%가 숲에 거의 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주 1회 이상 숲 방문 빈도를 살펴보면, 전문・연구직 (24.2%), 교직(21.7%), 무직・기타(15.9%), 자영업・CEO(11.6%), 주부(11.3%), 사무・행정・관리직(8.0%), 생산・기술・서비스직(7.5%), 학생(2.9%)순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50대 이상, 고학력의 전문・연구직, 교직, 400만원 이상이 각각 숲 방문 빈도가 높게나타 났다. 2014년 4분기 우리나라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4,264,000원 (Statistics Korea, 2014)인 것을 고려할 때 평균소득 수준 이상의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의 고학력화와 고학력에 따른 경제활동 우위, 그로부터 얻어지는 경제 적 안정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건강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숲을 자주 방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고학력자의 높은 수요에 부응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도 필요하겠 으나, 저학력자 및 소외 계층을 고려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3과 같다.

Forest visit frequency regarding demographics.

3. 산림치유 프로그램 프로세스 요구도

1) 참여 적정인원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 적정인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결과 숲 방문 빈도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숲 방문 빈 도가 높은 군은 6∼10명(42.9%),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은 2∼5명 (44.9%)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4와 같다.

Reasonable number of participants in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2) 참여희망 동반자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희망 동반자의 차 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의차는 없 었다.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의 경우, 친구(20.3%), 동호회(2.8)%, 혼자(25.8%) 등이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 고,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의 경우, 가족(56.1%)이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5와 같다.

Companion of participation in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3) 실시기간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실시기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의차는 있었다(p<0.01).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의 경우,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에 비해 한나절(30.3%), 당일(27.5%), 4박 5일(4.2%)을,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은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에 비해 1박 2일(34.6%), 2박 3일 (15.2%), 3박 4일(2.7%)을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6과 같다.

Implementation period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4) 선호하는 계절의 숲

Sim(2013)은 ‘치유의 숲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에 관한 연구 에서 산음 치유 숲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평가한 결과, 중요하 다고 생각하면서 만족도가 높은 항목으로 숲의 계절감을 포함해서 주변의 소음 및 정숙함, 등산로 및 산책로의 다양성, 숲의 아름다움, 계곡・폭포 등 경관요소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계절의 숲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결과 숲 방 문 빈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는 있었다(p<0.01).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7과 같다.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경우, 봄(33.2%), 계절 상관없 음(26.7%), 가을(25.3%), 여름(12.4%), 겨울(2.3%) 순으로 나타났 다.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경우, 봄(39.0%), 가을(31.5%), 계절 관계없 음(13.6%)과 여름(13.6%), 겨울(2.2%)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정리하면,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경우 봄, 계절 상관없음, 가을 순 으로,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경우 봄, 가을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객들의 생태적 감수성과 개인의 감성이 각자 다 르기 때문에 어느 계절에 한정하여 치유효과가 좋다고 보기 어려우 나 프로그램 실시 할 경우 겨울과 여름철보다는 봄철과 가을철에 치유효과가 더 좋게 나타날 수 있다는 Song(2013)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Preferred season of forest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5) 참여하기 가장 좋은 요일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가장 좋은 요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의 차는 없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가장 좋은 요일로, 숲 방문 빈도 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토요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8과 같다.

Preferred day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6) 참여하기 위한 가장 좋은 시간대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가장 좋은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유 의차는 없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가장 좋은 시간대로, 숲 방문 빈 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오전 9시∼12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9와 같다.

Preferred tim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7)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비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비로, 숲 방문 빈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 없이 일 2만∼3만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0과 같다.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8) 산림치유 참가비 부담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비 부담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 석 결과 숲 방문 빈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는 있었다(p<0.01). 숲 방문 빈도에 따라 살펴보면, 숲 방문 빈도 높음(46.1%), 숲 방문 빈 도 낮음(37.7%) 순으로 본인이 참가비를 부담하겠다고 응답하였 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1과 같다.

Payment of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9) 프로그램 유형

선호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 분석 결과 숲 방문 빈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숲 방문 빈도 높음(37.8%), 숲 방문 빈도 낮음(41.2%) 모두 실내 30%+실외 70%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2와 같다.

Preferred Spac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숲 방문 빈도가 낮은 사람이 산림치유 프로 그램 기간 중 한나절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숲을 방문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Jung et al.(2014)의 ‘산림환경 이용과 의료・상담 기관 종사자 스트 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도 산림환경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 은 높은 집단에 비해 3교대 근무자가 훨씬 많아서 산림환경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절대적인 여가 시간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현실적으 로 현대인은 바쁘고, 시간이 없어서 숲을 자주 방문하기가 쉽지 않 다. 이에, 접근성이 양호한 도시 근교의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 프로 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Yoo, 2013).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편의 표본추출 방식으로 일반 성인에 초 점을 두고 표집을 하였다. 그러나, 서울 및 경기도에 샘플이 집중되 어 있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일반 성인이 갖는 정 신적, 사회적 환경이 유사하더라도, 지역적, 문화적 차이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연구에서는 지역적,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표 집이 요구된다.

Ⅳ. 적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치유 프로 그램 개발과 진행시 의미가 있고, 산림치유의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연적인 과제라 볼 수 있다. 숲방문 빈도에 따른 요구분석 결 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 초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숲방문 빈도에 따른 요구를 각 집단 내에서 교차분석 한 결과, 참가자 수, 실시기간, 참가비 등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 냈다.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은 1박 2일(34.6%), 본인이 참가비 부담 (46.1%), 봄(33.2%)을,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은 한나절(30.3%), 본인이 참가비 부담(37.7%), 봄(39.0%)을 각각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은 다수의 구성원이 함께 프로그램에 참 여하고 싶은 반면,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은 소수의 구성원으로 프 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고 나타났다.

참가비 부담에 관해서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은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에 비해 회사나 정부가 참가비를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은 개인이 참가비를 지불 한다(46.1%)는 비율도 숲 방문 빈도가 낮은 군(37.7%)에 비해 높 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시, 숲 방문 빈도가 높은 군은 6~10명 의 구성원, 한나절, 2~3만원의 비용으로 하고, 숲 방문 빈도가 낮 은 군은 5명의 소수의 구성원, 1박 2일, 회사나 정부가 참가비 지원 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차별화하여 개발할 때, 각 대상자들의 프로 그램 참여와 프로그램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An K.W., Yoo L.H., Lee J.H.. 2010. Invitation to a forest: Forest recreation 8. The Korean Forestry Society Seoul, Korea:

An, K.W., L.H. Yoo, and J.H. Lee. 2010. Invitation to a forest: Forest recreation 8. The Korean Forestry Society, Seoul, Korea.

Berman M.G., Jonides J., Kaplan S.. 2008. The cognitive benefits of interacting with nature. Psychological science. 19(12)1207–1212. 10.1111/j.1467-9280.2008.02225.x.

Berman, M.G., J. Jonides, and S. Kaplan. 2008. The cognitive benefits of interacting with nature. Psychological science. 19(12):1207-1212.

Cho T.H., Lee Y.H., Kim S.M.. 2014.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and its economic spillover effects. J.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7(4)1479–1499.

Cho, T.H., Y.H. Lee, and S.M. Kim. 2014.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and its economic spillover effects. J.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7(4):1479-1499.

Ha S.Y.. 2014. Forest Healing Instructor Level 1 positive teaching: 14 forest healing program evaluation.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Ha, S.Y., 2014. Forest Healing Instructor Level 1 positive teaching: 14 forest healing program evaluation.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Hong S.S., Kim H.C., Cho S.H.. 2013. The Effects of Forests Healing for Cognitive Function. Kor.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4(1)63–74. 10.7231/jon.2013.24.1.063.

Hong, S.S., H.C. Kim. and S.H. Cho. 2013. The Effects of Forests Healing for Cognitive Function. Kor.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4(1):63-74.

Hong S.J. 2010. Operating practices of forest healing program. Forest and Health 46–48.

Hong, S.J. 2010. Operating practices of forest healing program. Forest and Health. 46-48.

Jung W.H., Woo J.M., Ryu J.S., Han J. W..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forest environment and stress of workers in medical and counseling industries.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2)1–10.

Jung, W.H., J.M. Woo, J.S. Ryu. and J. W. Han.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forest environment and stress of workers in medical and counseling industries.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2):1-10.

Kim D.J., Lee S.S.. 2014.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school forest on employment stress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7(2)107–115. 10.11628/ksppe.2014.17.2.107.

Kim, D.J., and S.S. Lee. 2014.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school forest on employment stress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7(2):107-115.

Kim J.Y. 2014. Thoreau’s deep ecological life and social relations in walden.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0.1515/9781400851041.

Kim, J.Y. 2014. Thoreau’s deep ecological life and social relations in walden.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Kim Y.H. 2015. The analysis of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PhD Dis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10.13047/kjee.2015.29.3.485.

Kim, Y.H. 2015. The analysis of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PhD Dis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Kim Y.H., Kim D.J., Yeoun P.S., Choi B. J.. 2014a. Preference analysis of general adult on the forest and forest roa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Korean J. Environ. Ecol 28(5)597–606. 10.13047/kjee.2014.28.5.597.

Kim, Y.H., D.J. Kim, P.S. Yeoun, and B. J. Choi. 2014a. Preference analysis of general adult on the forest and forest roa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Korean J. Environ. Ecol. 28(5):597-606.

Kim Y.H., Kim D.J., Yeoun P.S., Choi B.J.. 2014b. The analysis of interests and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adults.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3)45–59.

Kim, Y.H., D.J. Kim, P.S. Yeoun, and B.J. Choi. 2014b. The analysis of interests and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adults.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3): 45-59.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4. National research activities in 2014.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Seoul, Korea: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4. National research activities in 2014.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Seoul, Korea.

20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orea's forest resources status. http://www.forest.go.kr 10.5656/ksae.2014.09.0.04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Korea's forest resources status. http://www.forest.go.kr

.
Korea Forest Service. 2007. Master plan for Climbing Suppor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0.14397/jals.2014.48.5.35.

Korea Forest Service. 2007. Master plan for Climbing Suppor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009. Awareness and demand research report on forest healing.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0.14397/jals.2014.48.5.35.

Korea Forest Service. 2009. Awareness and demand research report on forest healing.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011. Health・healing program development using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011. Health・healing program development using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015. Result of public awareness investigation for the 2015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Korea Forest Service. 2015. Result of public awareness investigation for the 2015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Lee B.G., Lee H.H.. 2013. Effects of occupational and social stresses after forest therapy. J. Naturopathy 2(2)108–114.

Lee, B.G. and H.H. Lee. 2013. Effects of occupational and social stresses after forest therapy. J. Naturopathy. 2(2):108-114.

Lee E.D., Yoo L.H., Park C.W., Kim J.J.. 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101–109.

Lee, E.D., L.H. Yoo, C.W. Park, and J.J. Kim. 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101-109.

Park S.M., Woo J.M., Kim W., Lee Y.S.. 2012. Sub-populations and disorder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therapy.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35–42.

Park, S.M., J.M. Woo, W. Kim. and Y.S. Lee. 2012. Sub-populations and disorder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therapy.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35-42.

Seok H.D., An S.J.. 2013. Policy of forest environmental service for happiness.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Seok, H.D. and S.J. An, 2013. Policy of forest environmental service for happiness,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Shin W.S. 2005. Forest of healing. Jiseongsa Seoul, Korea:

Shin, W.S. 2005. Forest of healing. Jiseongsa, Seoul, Korea.

Sim C.D. 2013. A study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of the healing forest. PhD Diss.,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Korea:

Sim, C.D. 2013. A study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of the healing forest, PhD Diss.,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Korea.

Son J.W., Ha. S,Y., Kim J.J.. 2012. A Study on visitor characteristics for trail program development. J. Kor. Forest Society 101(3)469–479.

Son, J.W., S,Y. Ha. and J.J. Kim. 2012. A Study on visitor characteristics for trail program development. J. Kor. Forest Society. 101(3):469-479.

Song J.H. 2013. The influence of healing forest and users' characteristics on their restorative outcome. PhD Dis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Song, J.H. 2013. The influence of healing forest and users' characteristics on their restorative outcome. PhD Dis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Song J.H., Cha J.G., Lee C,Y., Choi Y.S., Yeoun P.S.. 2014.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stress response and spirituality in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re experience.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109–125.

Song, J.H., J.G. Cha, C,Y. Lee, Y.S. Choi. and P.S. Yeoun. 2014.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stress response and spirituality in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re experience. J. Kor.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109-125.

2014. Statistics Korea. Monthly income per one person household. http://www.kostat.go.kr/

Statistics Korea. 2014. Monthly income per one person household. http://www.kostat.go.kr/

.
2015. Statistics Korea. Population in South Korea. http://www.kostat.go.kr/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in South Korea. http://www.kostat.go.kr/

.
Yoo Y.H. 2013. The influence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by the types of urban forest and forest-use characteristic.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Yoo, Y.H. 2013. The influence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by the types of urban forest and forest-use characteristic.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Survey contents.

Variables Categories Scale Num
Demographic Sex, age,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residence, occupation Nominal 8
Forest visit frequency Nominal 1
Forest healing program implementation (1) Number of Forest therapy Program Participation Nominal 9
(2) Companion of Participation in Forest Therapy Program
(3) Implementation Period of Forest therapy Program
(4) Season of forest
(5) Preferred Day of Forest therapy Program
(6) Preferred Time of Forest therapy Program
(7)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8) Payment of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9) Types of Forest Therapy Program Space
Total 18

Table 2.

Demographics of respondents.

Variable Categories Freq. %
Sex Male 213 34.4
Female 407 65.6
Age 20~29 81 13.1
30~39 124 20.0
40~49 252 40.6
Over 50 163 26.3
Education Less than high school 56 9.0
College/university student 76 12.3
Graduate from college 363 58.5
More than graduate school 125 20.2
Religion Christianity 192 31.0
Buddhism 100 16.1
Catholicism 100 16.1
Other 12 1.9
Atheist 216 34.8
Marital status Single 159 25.6
Married 449 72.4
Other 12 1.9
Monthly income (Won) Less than 1 million 68 11.0
1 million - less than 2 millions 84 13.5
2 millions - less than 3 millions 101 16.3
3 millions - less than 4 millions 91 14.7
4 millions - less than 5 millions 186 30.0
More than 5 millions 90 14.5
Residence Seoul 376 60.6
City in Gyeonggido 121 19.5
Metropolitan city 48 7.7
City in province・County 75 12.1
Occupation Student 69 11.1
Teacher 69 11.1
Housewife 124 20.0
Producer, Technician, Server 67 10.8
Secretary, Administrant, Executive 100 16.1
Self-employed・CEO 43 6.9
Specialist・Researcher 66 10.6
Unemployed・Etc. 82 13.2
Total 620 100

Table 3.

Forest visit frequency regarding demographics.

Variable Categories Freq. (%) χ2, p
More than once a week More than once a month More than once a quarter More than once a year Almost not visit Sum
78(12.6) 139(22.4) 160(25.8) 33(21.5) 110(17.7) 620(100)
Sex Male 25(11.7) 48(22.5) 50(23.5) 51(23.9) 39(18.3) 213(100) 1.868, 0.760
Female 53(13.0) 91(139) 110(27.0) 82(20.1) 71(17.4) 407(100)
Age 20~29 3(3.7) 12(14.8) 14(17.3) 25(30.9) 27(33.3) 81(100) 102.571, 0.000***
30~39 5(4.0) 17(13.7) 40(32.3) 34(27.4) 28(22.6) 124(100)
40~49 24(9.5) 57(22.6) 72(28.6) 57(22.6) 42(16.7) 252(100)
Over 50 46(28.2) 53(32.5) 34(20.9) 17(10.4) 13(8.0) 163(100)
Educationw 1 7(12.5) 20(35.7) 10(17.9) 2(3.6) 17(30.4) 56(100) 52.993, 0.000***
2 4(5.3) 13(17.1) 10(13.2) 22(28.9) 27(35.5) 76(100)
3 47(12.9) 83(22.9) 106(29.2) 78(21.5) 49(13.5) 363(100)
4 20(16.0) 23(18.4) 34(27.2) 31(24.8) 17(13.6) 125(100)
Occupationx I 2(2.9) 12(17.4) 13(18.8) 17(24.6) 25(36.2) 69(100) 68.446, 0.000***
II 15(21.7) 19(27.5) 12(17.4) 19(27.5) 4(5.8) 69(100)
III 14(11.3) 34(27.4) 38(30.6) 21(16.9) 17(13.7) 124(100)
IV 5(7.5) 17(25.4) 18(26.9) 12(17.9) 15(22.4) 67(100)
V 8(8.0) 24(24.0) 29(29.0) 19(19.0) 20(20.0) 100(100)
VI 5(11.6) 14(32.6) 9(20.9) 6(14.0) 9(20.9) 43(100)
VII 16(24.2) 10(15.2) 17(25.8) 14(21.2) 9(13.6) 66(100)
VIII 13(15.9) 9(11.0) 24(29.3) 25(30.5) 11(13.4) 82(100)
Religion Christianity 21(10.9) 37(19.3) 55(28.6) 44(22.9) 35(18.2) 192(100) 8.762, 0.923
Buddhism 17(17.0) 28(28.0) 23(23.0) 18(18.0) 14(14.0) 100(100)
Catholicism 12(12.0) 22(22.0) 24(24.0) 25(25.0) 17(17.0) 100(100)
Other 2(16.7) 3(25.0) 2(16.7) 3(25.0) 2(16.7) 12(100)
Atheist 26(12.0) 49(22.7) 56(25.9) 43(19.9) 42(19.4) 216(100)
Marital status Single 11(6.9) 26(16.4) 30(18.9) 50(31.4) 42(26.4) 159(100) 47.652, 0.000***
Married 61(13.6) 112(24.9) 129(28.7) 81(18.0) 66(14.7) 449(100)
Other 6(50.0) 1(8.3) 1(8.3) 2(16.7) 2(16.7) 12(100)
Monthly income (won)y A 19(27.9) 9(13.2) 17(25.0) 10(14.7) 13(19.1) 68(100) 45.533, 0.001**
B 8(9.5) 13(15.5) 21(25.0) 21(25.0) 21(25.0) 84(100)
C 8(7.9) 21(20.8) 30(29.7) 23(22.8) 19(18.8) 101(100)
D 4(4.4) 23(25.3) 25(27.5) 22(24.2) 17(18.7) 91(100)
E 31(16.7) 54(29.0) 47(25.3) 31(16.7) 23(12.4) 186(100)
F 8(8.9) 19(21.1) 20(22.2) 26(28.9) 17(18.9) 90(100)
Residencez a 47(12.5) 95(25.3) 91(24.2) 73(19.4) 70(18.6) 376(100) 31.438, 0.002**
b 3(6.3) 1(2.1) 21(43.8) 14(29.2) 9(18.8) 121(100)
c 11(9.1) 29(24.0) 32(26.4) 32(26.4) 17(14.0) 48(100)
d 17(22.7) 14(18.7) 16(21.3) 14(18.7) 14(18.7) 75(100)

** p<0.01, *** p<0.001

w1: Less than high school 2: College/university 3: Graduate from college 4: More than graduate school

xI: Student II: Teacher III: Housewife IV: Producer・Technician・Server V: Secretary・Administrant・Executive VI: Self-employed・CEO VII: Specialist・Researcher VIII: Unemployed・Etc.

yA: Less than 1 million B: 1 million - less than 2 millions C: 2 millions - less than 3 millions D: 3 millions - less than 4 millions E: 4 millions - less than 5 millions F: More than 5 millions

za: Seoul b: City in Gyeonggido c: Metropolitan city d: City in province・County

Table 4.

Reasonable number of participants in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1 Person 2~5 people 6~10 people 11~15 people More than 15 people Sum
10(1.6) 269(43.4) 251(40.5) 74(11.9) 16(2.6)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y 2(0.9) 88(40.6) 93(42.9) 25(11.5) 9(4.1) 217(100) 5.295, 0.258
Low frequency in forestz 8(2.0) 181(44.9) 158(39.2) 49(12.2) 7(1.7) 403(100)

y: More than once a week & more than once a month, z: More than once a quarter & more than once a year, almost not visit

Table 5.

Companion of participation in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Family Friends Social peers Hobbyists Alone Sum
333(53.7) 124(20.0) 14(2.3) 8(1.3) 141(22.7)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107(49.3) 44(20.3) 4(1.8) 6(2.8) 56(25.8) 217(100) 8.476, 0.765
Low frequency in forest 226(56.1) 80(19.9) 10(2.5) 2(0.5) 85(21.1) 403(100)

Table 6.

Implementation period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Half a day Day 1 night 2 days 2 night 3 days 3 night 4 days 4 nights 5 days or more Sum
165(26.6) 168(27.1) 193(31.1) 64(10.3) 10(1.6) 20(3.2)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43(19.8) 57(26.3) 75(34.6) 33(15.2) 6(2.8) 3(1.4) 217(100) 21.125, 0.001**
Low frequency in forest 122(30.3) 111(27.5) 118(29.3) 31(7.7) 4(1.0) 17(4.2) 403(100)
**

p<0.01

Table 7.

Preferred season of forest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Spring Summer Fall Winter Any Season Sum
229(36.9) 82(13.2) 182(29.4) 14(2.3) 113(18.2)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72(33.2) 27(12.4) 55(25.3) 5(2.3) 58(26.7) 217(100) 16.502, 0.002**
Low frequency in forest 157(39.0) 55(13.6) 127(31.5) 9(2.2) 55(13.6) 403(100)
**

p<0.01

Table 8.

Preferred day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Weekdays Saturday Sunday Any time Sum
121(19.5) 344(55.5) 89(14.4) 66(10.6)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46(21.2) 107(49.3) 34(15.7) 30(13.8) 217(100) 6.350, 0.090
Low frequency in forest 75(18.6) 237(58.8) 55(13.6) 36(8.9) 403(100)

Table 9.

Preferred tim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Before 7:00 7:00~9:00 9:00~12:00 12:00~14:00 14:00~18:00 After 18:00 Sum
19(3.1) 104(16.8) 370(59.7) 28(4.5) 81(13.1) 18(2.9)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9(4.1) 41(18.9) 124(57.1) 7(3.2) 29(13.4) 7(3.2) 217(100) 3.905, 0.563
Low frequency in forest 10(2.5) 63(15.6) 246(61.0) 21(5.2) 52(12.9) 11(2.7) 403(100)

Table 10.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Day: 10,000won Day: 2~30,000won Day: 4~50,000won Day: 6~70,000won Day: 8~90,000won Day: 100,000won Sum
148(23.9) 337(54.4) 109(17.6) 19(3.1) 5(0.8) 2(0.3)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53(24.4) 112(51.6) 40(18.4) 10(4.6) 1(0.5) 1(0.5) 217(100) 3.931, 0.559
Low frequency in forest 95(23.6) 225(55.8) 69(17.1) 9(2.2) 4(1.0) 1(0.2) 403(100)

Table 11.

Payment of entry fe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Self Company Government Private group Self(50%)+Private group(50%) Self(50%)+Company (50%) Family Sum
252(40.6) 101(16.3) 40(6.5) 4(0.6) 77(12.4) 142(22.9) 4(0.6)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100(46.1) 27(12.4) 10(4.6) 1(0.5) 35(16.1) 40(18.4) 4(1.8) 217(100) 21.438, 0.002**
Low frequency in forest 152(37.7) 74(18.4) 30(7.4) 3(0.7) 42(10.4) 102(25.3) 0(0.0) 403(100)

Table 12.

Preferred Spac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garding forest visit frequency.

Categories Freq. (%) χ2, p
Indoor 100% Outdoor 100% Indoor 50%+Outdoor 50% Indoor 30%+Outdoor 70% Indoor 70%+Outdoor 30% Sum
11(1.8) 176(28.4) 172(27.7) 248(40.0) 13(2.1) 620(100)
High frequency in forest 1(0.5) 75(34.6) 55(25.3) 82(37.8) 4(1.8) 217(100) 8.932, 0.063
Low frequency in forest 10(2.5) 101(25.1) 117(29.0) 166(41.2) 9(2.2) 40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