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종류 및 이용자에 따른 기분개선효과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Different Forest Types and User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6;19(2):121-128
1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2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1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2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Corresponding author: jnr202@korea.kr
Received 2016 February 15; Revised 2016 March 24; Accepted 2016 March 24.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different forest types on users .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Chamaecyparisobtusa,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and 180 subjects were enrolled for the study. Mood improvement was analyzed using profile of moods states (POMS). After staying in the three types of forests, the emotional conditions of all subjects improved with respect to psychological stability. Chamaecyparis obtusa and Pinus densiflora forests were particularly helpful in ameliorating mood states. With respect to subcategory, C. obtusa forest improved conditions such as tension, confusion, and vigor, Q. serrata forest improved tension and P. densiflora forest improved tension, depression, fatigue, confusion, and vigor. Also, it is reported the improvement of tension and vigor in Hypertensive, tension, fatigue, confusion on diabetic, as well as tension, fatigue, confusion and vigor in ordinary peoples. The psychological reac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and disease types. Therefore, the forest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ood improvement.

Ⅰ. 서론

2차 세계대전이후 세계보건기구는 의사 양성과 의료기관 확충 을 통한 의학적 치료에 집중하였으나 1980년대 들어서 질병의 발 병 위험에 대한 예방활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6 년 제12회 국제건강증진회의에서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개인 과 집단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료 및 보건활동의 중요한 과제로 규정한 오타와헌장을 채택하였다. 오타와회의 이후 발병한 병에 대한 치료의 임상의학에서, 병을 미리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하는 생활의학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현대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보완대체의학의 확산이다. 보완대체의학이란 사람은 자연치유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체의 면역기능과 회복능력이 스스로 개선되도록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자연적 방법으로, 신체적인 병면부위에만 치중하지 않고 정신적, 사회적, 영적 및 외부 환경적인 부분까지 종합적으로 조화를 이루 게 하는 치료를 행하게 된다. 또한 건강을 단지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최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이므로 치료 뿐 아니라 질병의 예 방과 건강증진에 중점을 두게 된다(Kim, 2002).

사회적 관심 및 의학적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대체의학 프로그 램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숲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적 특질에 주 목하여 특정 질병의 환자를 대상으로 산림치유를 병행하는 치유프 로그램이 운용되고 있다. 다수의 연구를 통해 숲에서 환자들의 치 유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생리적, 심 리적 효과가 규명되고 있다. 초기에는 산림과 숲 이용자들의 편의 를 제공하며 숲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숲 조성 및 프로그램 개 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Lim(2008)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 영공간과 시설의 계획기준을 제시하였으며, Jo(2009)는 치유의 숲 적지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Kim et al.(2008) 은 식물, 물, 식이, 지형, 정신, 기후요법 등을 도입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설문을 통한 심리적 척도를 이용하여 숲의 치유 및 회복효과를 검정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Cho et al.(2011)은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정도의 개선효과를, Shin et al.(2007)은 우울감과 불안감의 감소 효과를, Yeun(2007)은 알코 올 의존자의 우울수준의 변화효과를 설명하였다. 이후 생리적 척도 를 활용하여 생리적 반응을 분석한 Li(2010), Park(2010), Choi et al.(2010), Li and Kawada(2011), Lee(2012), Jeong(2013), Jeong and Ahn(2015) 등의 연구에서 스트레스 완화, 질병개선, 면 역력 개선 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최근에는 대표적인 치유인자인 테르펜에 대하여 수종에 따라 발생량의 차이를 설명하는 연구(Lee et al., 2012; Choi et al., 2015; Lee et al., 2015)가 이루어지고 있 다. 수행된 산림치유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이 숲의 치유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척도로 생리적, 심리적 편익을 규명하였으나 숲의 종류에 따른 숲 체류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는 미진한 편이었다.

본 연구는 숲의 종류에 따라 치유적 특질이 다르기 때문에 숲 체 류에 의한 심리적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숲 종류에 따른 심리적 개선효과를 규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가설의 설정

Ulrich(1993)와 Parsons(1995)의 연구에 의하면 경관을 조망 할 때 특정 경관에 지각되는 특질에 의해 긍정적 정서를 가지게 되 며 인지기능 및 생리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이는 숲의 종류에 따 른 경관의 변화는 다른 인지 및 반응을 야기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숲은 다양한 치유적 특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숲에 반응하는 질병의 유형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숲의 종 류와 참여자의 유형에 따라 숲 체류에 의한 심리적 반응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1) 숲 종 류에 따라 심리적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2) 심리적 반응은 참여자의 질병 유형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와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2. 연구대상지 및 피험자 선정

숲의 임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효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숲의 종류별로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숲의 종류를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 분하고 단일수종으로 우점비율이 높은 수종인 소나무, 참나무류를 선정하였으며 또한 최근 산림치유의 대표적 수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편백나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편백나무숲과 졸참나무숲은 전주시 건지산 일원을, 소나무숲은 남원자연휴양림에서 진행되었 다. 이 곳은 일정한 규모의 수림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일수종으로 일정한 밀도가 유지되고 사람들의 이용 및 접근이 편리한 지역으로 산림치유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매우 적합한 장소이다(Table 1).

피험자는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효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인과 생활습관병인 고혈압과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는 실험대상지와의 접근 시간을 고려하여 편백나무숲과 졸 참나무숲은 전주시 거주자, 소나무숲은 남원시 거주자로 한정하고 전주덕진노인복지관과 남원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각 기관에 상주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체크를 통해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고혈압환자 65명, 당노병환자 58명, 일반인 57명이며 피험자의 평균연령은 68.6세이며 고혈압의 발병기간은 평균 10년, 당뇨병의 발병기간은 12.4년이다(Table 2).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s.

Number of subjects.

3. 측정도구

숲 체류에 의한 심리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분상태평가척 도를 활용하였다. 기분상태평가는 질문을 통하여 응답자의 기분을 긴장, 우울, 분노, 활기, 혼돈, 피로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McNair et al.(1992)이 개발한 Profile of Mood States-Brief(POMS-B)를 바탕으로 Yeun and Shin-Park(2006) 이 입증한 한국형 기분상태 척도로 평가하였다. 척도는 총 30문항 으로 긴장(Tension: T), 우울(Depression: D), 분노(Anger: A), 활기(Vigor: V), 피로(Fatigue: F), 혼돈(Confusion: C) 등 총 6개 의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전혀 아니다’ 0점부터 ‘매우 그 렇다’ 4점까지로 배점하도록 고안된 리커트 5점 척도이다. 활기를 제외한 영역들의 점수 합에서 활기 영역의 점수를 뺀 값을 기분장 애총점(Total Mood Disturbance: TMD)으로 설명하는데 값이 작 을수록 기분상태가 좋은 것으로 설명한다.

4. 실험 및 분석방법

숲 종류별로 피험자 60명에 대하여 숲의 체류에 따른 기분상태 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실험대상지에 도착하여 실험내용 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실험동의서에 서명을 한 후에 실험에 참여하였다. 기분상태평가 설문지는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하였으 며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 피험자에 대해서는 조사자가 질문을 읽 어주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피험자가 숲에 들어오기 전에 한번, 3시간 후 숲을 떠나기 전의 2차례 사전-사후 평가가 이루어졌다. 조사 는 2012년 10월 4일부터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단풍시기를 고려 하여 졸참나무숲, 편백나무숲, 소나무숲 순으로 질병유형에 따른 구분 없이 무작위로 측정하였다. 기분상태평가는 개인별로 측정하 여 주위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기분상태평가는 30개 문항에 대한 기분장애총점을 산출하고 6 개의 하위 영역별로 점수를 산출하였다. 기분장애총점과 각 영역별 점수는 SPSS 12.0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숲 체류 전과 후 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숲 종류별, 질병 유형별에 따른 기분상태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사후검 정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숲의 종류에 따른 기분상태 분석

숲 체류 전과 후에 기분상태평가를 실시하여 숲체류에 의한 이 용자들의 심리상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분장애총점은 전 체적으로 숲 체험 전 3.92에서 체험 후 0.23으로 감소하였으며 편 백나무숲에서는 5.72에서 1.48로, 졸참나무숲에서는 2.98에서 2.12로, 소나무숲에서는 3.07에서 -2.92로 모든 숲에서 숲 체류 이 후 감소하였다. 하위영역인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돈영역에서 숲 체류 이후 기분상태점수가 감소하였으나 활기영역에 있어서 졸참나무숲에서만 숲 체류 이후 활기영역의 점수가 감소하여 졸참나 무숲에서 활기영역의 개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일부 하위 영역을 제외하고 숲 체류 이후 기분장애총점 뿐 아니라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돈, 활기 영역에 서 기분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피험자들의 전체적인 기분상 태와 하위 영역별 평가점수가 낮아 전반적으로 기분상태가 나쁜 편 은 아니었으며 숲 체류 이후 변화정도는 크지 않으나 기분상태의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숲 체류 전-후 기분상태평가 결과의 유의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 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숲 체류 후 기분장애총점의 변화량은 숲 전 체 3.69, 편백나무숲 4.23, 소나무숲 5.98로, 숲 체류 전보다 낮아졌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숲 체험 자체로 기분상태개 선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숲과 소나무숲에서의 체류는 기 분상태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숲 전체적으로 긴장, 우 울, 피로, 혼돈, 활기 등 5개 하위 영역에 대해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 으며 편백나무숲에서는 긴장, 혼돈, 활기 영역에서, 졸참나무숲은 긴장 영역에서, 소나무숲은 긴장, 우울, 피로, 혼돈, 활기 등의 5개 영역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다른 하위 영역에 비하여 긴장 상태는 모든 숲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숲 체험을 통해 개선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분노영역은 숲 체류 전과 후에 유의적 차이가 없어 숲 체험이 분노 상태를 개선하는데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울, 피로 영역은 소나무숲에서 만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으며 혼돈과 활기영역은 편백나무숲과 소 나무숲에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Table 4).

Change of mood improvement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T-test for POMS of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fferent Forest Types.

편백나무숲에서는 긴장, 혼돈, 활기영역의 개선효과가, 졸참나 무숲에서는 긴장영역에서만 개선효과가, 소나무숲에서는 분노영 역을 제외한 긴장, 우울, 피로, 혼돈, 활기 영역에서 개선효과가 분 석되었다. 따라서 기분상태의 개선을 위해서는 편백나무숲과 소나 무숲에서 체류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정 영역의 기분상태를 개선 하기 위해서는 숲 종류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분상태 평가의 변화는 숲 환경에 의한 심리적 건강증진 효과에 관한 것으 로 숲 환경과의 접촉이 긍정적 감정을 향상시키며 심리적 스트레스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한 Takayama(2008), Park(2010), Park et al.(2011) 등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6개의 하위 영역에 대하여 Hwang(2002)의 연구에서는 긴장 영역 만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Park(2010)의 연구에서는 우울 영 역을 제외한 긴장, 분노, 피로, 혼돈, 활기 영역에서 통계적 유의성 이 나타났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긴장, 우울, 피로, 혼돈, 활기 영 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각 연구별로 숲 의 종류가 달라 숲의 종류에 따라 각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다 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숲 종류에 따라 기분상태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 여 체류 후 기분상태가 개선된 피험자의 숲 체류 전과 후의 기분상 태변화량(후-전)을 가지고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분상태가 개 선된 피험자의 빈도는 다른 숲에 비하여 소나무숲이 높았으며 상대 적으로 졸참나무숲이 낮았다. 숲의 종류에 따른 변화량의 평균을 분석하면 소나무숲은 기분장애총점, 활기영역, 편백나무숲은 긴 장, 분노, 우울, 피로영역, 졸참나무숲은 혼돈영역의 변화량이 높았 다. 그러나 분노, 활기영역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 소나무 숲은 다른 두 숲과는 반응의 효과가 높다고 설명할 수 있다(Table 5). 즉, 분노의 상태를 개선하고 활기를 높이기 위해서 소나무숲이 다른 숲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Jeong et al.(2013)이 관악산과 오대산에서의 심리적 상태변화를 분석한 연구에서도 관악산에서 긴장과 혼란 감정의 완화, 오대산에서는 활 기 항목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산림환경에 따라 심리상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rest types of mood improvement by forest experience.

2. 질병 유형에 따른 기분상태 분석

질병 유형별로 숲 체류 전과 후의 기분상태평가를 분석한 결과 기분장애총점에 있어서 고혈압환자는 1.95에서 -1.86, 당뇨병환 자는 3.45에서 0.33, 일반인은 6.52에서 2.47로 숲 체류 이후 감 소하는 기분상태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돈 등의 하위영역에서도 고혈압, 당뇨병, 일반인 그룹 모두 숲 체류 이후 평가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활기 영역에서는 증가하였다(Table 6).

Change of mood improvement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sease type.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모든 질병 유형에서 숲 체류 이후 기분장 애총점 뿐만 아니라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돈, 활기 등의 기분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숲 체류 전의 기분상태가 나쁜 편은 아 니지만 숲 체류 이후 기분상태개선의 효과가 나타나 숲 체류가 심 리적 측면의 치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질병 유형별로 숲 체류 전-후의 기분상태평가의 유의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숲 체류 후 기분장애총점은 고혈압환자 3.82, 당뇨병환자 3.12, 일반인 4.14만큼 감소하였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혈압, 당뇨병, 일반인이 숲을 체험 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기분상태가 개선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으 며 특히 일반인의 기분개선 효과가 높다. 고혈압환자는 긴장, 활기 영역에서 기분개선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 당뇨병환자는 긴장, 피로, 혼돈 영역에서, 일반인은 긴장, 혼돈, 활기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다른 하위 영역과 달리 긴장 영역은 전 질병 유형에서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인의 긴장 개선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피로의 개선은 당뇨병환자에게서만 나타났으며 혼돈의 개선은 당뇨병환자와 일반인에게서, 활기의 개 선은 고혈압환자와 일반인에게서 나타났다. 반면에 분노, 우울 상 태는 전 집단별로 개선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Table 7).

T-test for POMS of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sease type.

종합적으로 고혈압환자는 숲 체험이 긴장상태를 완화시키고 활 기를 북돋아주는 기분상태의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당뇨병환자는 숲 체류를 통해 긴장감 완화, 피로감 해소, 혼돈감 감소 등의 심리적 치유효과가 있다. 일반인은 숲에서 체류하는 동안 긴장, 피로, 혼돈 등이 감소하며 활기가 증가하는 치유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고 판단 된다. 따라서 질병 유형별로 숲 체류에 따른 특정 영역의 기분상태 개선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체류 후 기분상태가 개선된 피험자의 기분상태변화량(후-전)의 분산분석 결과 기분상태가 개선된 피험자의 빈도는 다른 유형에 비 하여 고혈압 집단이 높았다. 질병 유형에 따른 변화량의 평균을 분 석하면 일반인 집단이 활기를 제외한 영역에서 변화량이 높았으며 고혈압 집단에서는 활기영역의 변화량이 높았다. 긴장, 피로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긴장 영역은 일반인이 고혈압이나 당 뇨병 집단에 비하여 효과가 높으며 피로 영역에 있어서는 일반인이 고혈압 집단에 비하여 피로회복의 정도가 높다고 설명할 수 있다 (Table 8). 즉, 질병 유형에 따라 긴장을 완화하고 피로한 상태를 개 선하는데 숲의 체류에 따른 효과가 다를 것이다. 특히 일반인은 다 른 질병에 비해 숲 체류 이후 긴장이 완화되고 피로감이 해소되는 데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sease types of mood improvement by forest experience.

3. 숲의 종류 및 질병 유형에 따른 기분상태 분석

질병 유형별로 숲의 유형에 따른 기분장애총점의 변화를 분석하 면 고혈압환자, 당뇨병환자, 일반인의 기분상태변화는 소나무숲, 편백나무숲, 졸참나무숲 순이다. 세 집단 공히 소나무숲에서 기분 상태개선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혈압환자를 제외한 두 집단 은 숲의 종류에 따른 개선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다(Table 9). 즉, 고혈압환자는 소나무숲에서 체류할 때 기분개선의 효과가 크며 당뇨병이나 일반인은 숲 체류 후 기분상태가 개선되지만 숲 유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다.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rest types of total mood disturbance.

Ⅳ. 적요

숲의 종류 및 이용자 특성에 따라 숲 체류에 의한 심리적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체 피험자에 있어서 숲 체험 이후 기분상태가 개선되는 심리적 안 정의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편백나무숲과 소나무숲에서의 체류는 기분상태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하위 영역에 있어서 편백나무숲은 긴장, 혼돈, 활기 영역에서, 졸참나무숲은 긴장 영역에서, 소나무숲 은 긴장, 우울, 피로, 혼돈, 활기 영역에서 숲 체류 이후 기분개선효 과가 나타났다. 숲 종류에 따른 변화정도에 있어서 소나무숲에서 기분상태개선의 효과가 높으며 특히 분노 상태를 개선하고 활기를 높이기 위해서 소나무숲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다. 고혈압환자는 숲 체험 후 긴장이 완화되며, 당뇨병환자와 일반인은 긴장 완화, 피 로감 해소, 혼돈감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고혈압환자와 일반 인은 활기가 증가하는 심리적 개선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고 혈압환자는 소나무숲에서 기분개선의 효과가 다른 숲에 비하여 크 나 당뇨병환자와 일반인은 숲의 종류에 관계없이 숲 체류 후 기분 상태가 개선된다. 즉, 숲 종류 및 질병 유형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의 기분상태개선 효과가 다르므로 질병 유형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숲을 선정해서 이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숲 종류 및 질병 유형에 따 른 기분 개선의 효과를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 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Cho Y., Shin W., Yeoun P., Lee H..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J. of KIFR 15(2)69–75.

Cho, Y., W. Shin, P. Yeoun, and H. Lee.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J. of KIFR 15(2):69-75.

Choi J., Shin W., Rho K., Yeoun P.. 2010. Effects of Acute forest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of IGT, NIDDM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1)47–51.

Choi, J., W. Shin, K. Rho, and P. Yeoun. 2010. Effects of Acute forest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of IGT, NIDDM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1):47-51.

Choi M., Kim E., Choi J., Kim G., Joung D., Park B., Kim K.. 2015. Comparison of Phytoncide Emission Volume in Saneum Recreational Forest. J. of KIFR Proceedings 425.

Choi, M., E. Kim, J. Choi, G. Kim, D. Joung, B. Park, and K. Kim. 2015. Comparison of Phytoncide Emission Volume in Saneum Recreational Forest. J. of KIFR Proceedings p.425.

Hwang S. 2002. Study on the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of coniferous and broadleaf forest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ng, S. 2002. Study on the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of coniferous and broadleaf forest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g M., Park C., Park S.. 2013. Analysi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 of Forest Area: Focusing on Profile of Mood State at Mt. Gwanak and Odaesan National Park. J. of KIFR 17(2)93–100.

Jeong, M., C. Park, and S. Park. 2013. Analysis on the Psychological Response of Forest Area: Focusing on Profile of Mood State at Mt. Gwanak and Odaesan National Park. J. of KIFR 17(2):93-100.

Jeong N. 2013. A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Healing: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g, N. 2013. A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Healing: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g N., Ahn D.. 2015.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Healing Effects by Forest Types: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J. KILA 43(5)1–12. 10.9715/kila.2015.43.5.001.

Jeong, N. and D. Ahn. 2015.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Healing Effects by Forest Types: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J. KILA 43(5):1-12.

Jo 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Wonkwang University

Jo, 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Wonkwang University.

Kim K., Lee Y., Kim H., Kim C., Kim J., Yoo R.. 2008. Planning on the experience program in healing forest at Sanum recreation forest. J. of KIFR Proceedings 41–44.

Kim, K., Y. Lee, H. Kim, C. Kim, J. Kim, and R. Yoo. 2008. Planning on the experience program in healing forest at Sanum recreation forest. J. of KIFR Proceedings p.41-44.

Kim S. 2002.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WebHealth Research January Volume 5

Kim, S. 2002.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WebHealth Research January Volume 5.

Lee B.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uropath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Lee, B.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uropath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Lee S., Park D., Kim K.. 2012.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production at the recreation forest in the Chungbuk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2)279–287.

Lee, S., D. Park, and K. Kim. 2012.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production at the recreation forest in the Chungbuk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2):279-287.

Lee Y., Woo J., Choi S., Shin E.. 2015. Comparison of Phytoncide (monoterpene) Concentration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lromental Health 41(4)241–248. 10.5668/jehs.2015.41.4.241.

Lee, Y., J. Woo, S. Choi, and E. Shin. 2015. Comparison of Phytoncide (monoterpene) Concentration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lromental Health 41(4):241-248.

Li Q, Kawada T.. 2011. Effect of forest therapy on the human psycho-neuro-endocrino-immune network. Nihon Eiseigaku Zasshi 66(4)645–650. 21996762. 10.1265/jjh.66.645.

Li, Q and T. Kawada. 2011. Effect of forest therapy on the human psycho-neuro-endocrino-immune network. Nihon Eiseigaku Zasshi 66(4):645-650.

Li Q. 2010.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5(1)9–17. 19568839. PMC2793341. 10.1007/s12199-008-0068-3.

Li, Q. 2010.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5(1):9-17.

Lim Y. 2008. A Study on planning guidelines for therapeutic forests. Seoul National University

Lim, Y. 2008. A Study on planning guidelines for therapeutic forests. Seoul National University.

McNair D., Lorr M., Droppleman L.. 1992.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McNair, D., M. Lorr, and L. Droppleman. 1992.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Park B. 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ark, B. 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ark B., Furuya K., Kasetani T., Takayama N., Kagawa T., Miyazaki Y.. 2011.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forest setting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224–32. 10.1016/j.landurbplan.2011.03.005.

Park, B., K. Furuya, T. Kasetani, N. Takayama, T. Kagawa, and Y. Miyazaki. 2011.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forest setting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2:24-32.

Shin W., Yeoun P., Lee J.. 2007. The impact that a forest experience influences on a human mental state stability. J. of KIFR 11(2)37–43.

Shin, W., P. Yeoun, and J. Lee. 2007. The impact that a forest experience influences on a human mental state stability. J. of KIFR 11(3):37-43.

Takayama N. 2008. The therapeutic effect of taking in the atmosphere of a forest. Management for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MV 4 - Proceedings 516–520.

Takayama, N. 2008. The therapeutic effect of taking in the atmosphere of a forest. Management for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MV 4 - Proceedings:516-520.

Yeoun P.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J. of KIFR 11(3)1–6.

Yeoun, P.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J. of KIFR 11(3):1-6.

Yeun E., Shin-Park K.. 2006.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 Clin. Psychol 62(9)1173–1180. 16688705. 10.1002/jclp.20269.

Yeun, E., K. Shin-Park. 2006.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 Clin. Psychol. 62(9): 1173-118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s.

Division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Pinus densiflora forest
Location Geonjisan, Jeonju City Geonjisan, Jeonju City Namwon recreational forest, Namwon City
Elevation 63 m 62 m 380 m
Aspect north northwest northwest
Crown density 85% 80% 70%
Slope 8.7% 11.6% 12.5%

Table 2.

Number of subjects.

Division Hypertensive Diabetic Ordinary people Sum
Chamaecyparis obtusa forest 22 19 19 60
Quercus serrata forest 20 20 20 60
Pinus densiflora forest 23 19 18 60
total 65 58 57 180

Table 3.

Change of mood improvement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Division Total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Pinus densiflora forest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TMD pre 3.92 10. 10.670 5.72 11.284 2.98 10.429 3.07 10.218
post 0.23 10. 10.450 1.48 10.497 2.12 10.391 -2.92 9.891
T pre 1.94 2. 2.586 2.48 2.861 2.02 2.534 1.33 2.237
post 1.21 2. 2.205 1.73 2.393 1.30 2.250 0.60 1.815
A pre 1.09 2. 2.121 1.60 2.605 1.15 2.024 0.53 1.478
post 0.91 1. 1.904 1.37 2.262 0.98 1.662 0.38 1.617
D pre 1.47 2. 2.480 1.73 2.810 1.42 2.272 1.25 2.341
post 1.09 2. 2.329 1.33 2.290 1.38 2.656 0.55 1.926
F pre 1.87 2. 2.716 2.15 2.711 2.08 2.970 1.38 2.415
post 1.43 2. 2.299 1.70 2.586 1.73 2.299 0.87 1.891
C pre 3.31 2. 2.811 3.83 2.829 3.55 2.819 2.53 2.658
post 2.55 2. 2.348 3.03 2.329 3.00 2.379 1.62 2.076
V pre 5.76 4. 4.849 6.08 3.946 7.23 4.886 3.97 5.129
post 6.97 5. 5.213 7.68 5.173 6.28 4.716 6.93 5.695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4.

T-test for POMS of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fferent Forest Types.

Division Total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Pinus densiflora forest
mean t p-value mean t p-value mean t p-value mean t p-value
TMD 3.69 5.669 .000 4.23 3.378 .001 .87 .847 .400 5.98 5.926 .000
T .73 4.566 .000 .75 2.262 .027 .72 2.696 .009 .73 3.151 .003
A .18 1.415 .159 .23 .788 .434 .17 .726 .470 .15 1.351 .182
D .38 2.301 .023 .40 1.147 .256 .03 .115 .909 .70 3.731 .000
F .44 2.511 .013 .45 1.216 .229 .35 1.143 .257 .52 2.379 .021
C .76 3.792 .000 .80 2.151 .036 .55 1.423 .160 .92 3.405 .001
V -1.21 -3.037 .003 -1.60 -2.299 .025 .95 1.685 .097 -2.97 -4.203 .000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5.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rest types of mood improvement by forest experience.

Division frequency of effect mean F p-value Duncan Test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Pinus densiflora forest Chamaecyparis obtusa forest(A) Quercus serrata forest (B) Pinus densiflora forest (C)
TMD 47 37 52 -7.52 -5.43 -7.95 1.756 .177 -
T 48 49 56 -1.54 -1.29 -0.96 1.403 .249 -
A 50 45 59 -0.82 -0.78 -0.22 3.225 .043 ABC
D 49 50 58 -1.10 -0.71 -0.78 0.814 .445 -
F 46 43 53 -1.39 -1.30 -0.77 1.492 .228 -
C 48 43 50 -1.65 -1.77 -1.29 0.367 .693 -
V 42 33 50 3.73 2.09 4.34 3.105 .048 BAC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6.

Change of mood improvement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sease type.

Division Total Hypertensive Diabetic Ordinary people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TMD pre 3.92 10.670 1.95 8.403 3.45 11.357 6.65 11.816
post 0.23 10.450 -1.86 8.755 0.33 9.179 2.51 12.857
T pre 1.94 2.586 1.48 2.271 1.57 2.400 2.86 2.894
post 1.21 2.205 0.85 1.651 1.03 1.919 1.81 2.850
A pre 1.09 2.121 0.72 1.505 0.98 2.496 1.63 2.233
post 0.91 1.904 0.55 1.299 0.74 1.671 1.49 2.508
D pre 1.47 2.480 0.95 1.624 1.34 2.807 2.18 2.791
post 1.09 2.329 0.66 1.831 0.84 1.908 1.82 2.995
F pre 1.87 2.716 1.17 1.737 1.69 2.792 2.86 3.254
post 1.43 2.299 1.14 1.927 0.98 1.670 2.23 2.976
C pre 3.31 2.811 2.77 2.505 2.98 3.041 4.25 2.708
post 2.55 2.348 2.31 2.318 2.09 1.967 3.30 2.584
V pre 5.76 4.849 5.14 4.943 5.12 4.845 7.12 4.536
post 6.97 5.213 7.37 5.201 5.36 4.912 8.14 5.208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7.

T-test for POMS of pre and post staying in forest by disease type.

Division Hypertensive Diabetic Ordinary people
mean t p-value mean t p-value mean t p-value
TMD 3.82 4.14 0.000 3.12 2.52 0.014 4.14 3.29 0.002
T 0.63 3.01 0.004 0.53 2.14 0.037 1.05 2.86 0.006
A 0.17 1.21 0.230 0.24 0.99 0.326 0.14 0.49 0.627
D 0.29 1.28 0.204 0.50 1.66 0.102 0.35 1.06 0.296
F 0.03 0.14 0.888 0.71 2.20 0.032 0.63 1.72 0.091
C 0.46 1.30 0.199 0.90 2.49 0.016 0.95 3.01 0.004
V -2.23 -3.28 0.002 -0.24 -0.30 0.769 -1.02 -2.01 0.049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8.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sease types of mood improvement by forest experience.

Division frequency of effect mean F p-value Duncan Test
Hypertensive Diabetic Ordinary people Hypertensive (A) Diabetic (B) Ordinary people (C)
TMD 52 40 44 -6.38 -7.15 -7.93 0.67 0.515 -
T 57 48 48 -1.00 -0.98 -1.81 3.69 0.027 CAB
A 57 49 48 -0.40 -0.59 -0.77 0.90 0.409 -
D 58 51 48 -0.67 -0.88 -1.08 0.81 0.447 -
F 51 48 43 -0.57 -1.27 -1.65 3.98 0.021 CBA
C 49 48 44 -1.49 -1.50 -1.80 0.27 0.763 -
V 49 35 41 4.20 3.80 2.54 1.93 0.149 -

Note: TMD-Total Mood Disturbance, T-Tension, A-Anger, D-Depression, F-Fatigue, C-Confusion, V-Vigor

Table 9.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rest types of total mood disturbance.

Division mean F p-value Duncan Test
Chamaecyparis obtusa forest (A) Quercus serrata forest (B) Pinus densiflora forest (C)
Hypertensive -3.8182 0.1000 -7.2174 6.005 .004 CAB
Diabetic -4.1579 -0.1000 -5.2632 1.673 .197 -
Ordinary people -4.7895 -2.6000 -5.1667 0.403 .6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