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4); 2016 > Article
창의, 인성 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to the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HAP), 31 children aged 8-10 years from J child community center in S city was set to test. 16 children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children who were not participated for the HAP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rom May ~ July/2016.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children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Kim’s (2004) creative personality test was used. Before proceeding the HAP, homogeneity test was carried out for creative personality to two different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in homogeneity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t could be found that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HAP has improv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 average with 9 times of progra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positive effect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hen creative personality was divided into 8 sub factor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All of 8 factors were improved in average. On the other hands, the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r all factors except humor. Therefor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has the positive effects to the children’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서언

Piaget(1977)의 아동 인지발달 단계로 보면 초등학교 저학년 시 기는 특성상 구체적 조작기(7세-11세) 단계에 해당하며 이는 전조작 기 단계(2세-7세)에서 발달하지 않았던 사고가 발달하게 되고 또한 논리적 추리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Lee, 2005). 이에 구체적 조작 기 시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아동 교육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창의 성 증진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Torrance, 1963). 창 의성 교육은 주어진 일에 대하여 새로운 사고방식으로 해결책을 도출 하는 태도와 방법을 기르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성교육은 사 람답게 살아가는 사람을 기르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Kwon, 2011). 창의적 인성은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 로 구분하여 볼 때(Kim, 2004) 정의적 측면의 ‘성격 혹은 태도’의 일부라고 보는 견해를 창의적 인성이라 할 수 있다(Lee, 2005).
아동의 건강한 신체와 심리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아동 스스로 자연이 주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자연과 접촉하는 것이 필요하 며(Hong, 2004) 다양한 감각 체험 활동을 통해 자연 환경에서 얻 을 수 있는 환경 조건을 제공하는 것(Hwang et al., 2011)이 필요하 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창의성은 특별한 사람이 지니는 능력으로 인 식되어졌으나, 최근에는 창의성이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며 훈련과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능력으로 여겨지면서(Davis, 1985) 창의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적용을 추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Kim, 2012). 아동 시기에 발달된 창의적 상상력이 성인기의 창의성에 기반이 되기 때문에(Gardner, 1993) 자연을 바 탕으로 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아동들에게 오감 자극, 관찰력 증 진, 창의적 사고력 발달, 생명 존중, 심미적 만족감 증진 등(Lee, 2008)의 창의적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및 인성교육 요소와 사고 기법을 도 입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아동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의 창의적 인성 발달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및 방과 후 학습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지속적 활용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 요소를 도입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 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학습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4학년 학생들로 구성하였다. 창의, 인성 교육 요소를 도입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16명, 원 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15명으로 하여 2016 년 5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회기당 40분으로 총 9회기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인력은 원예활동 주 진행자 1인, 보조 진행 자 2인, 방과 후 교사 1인으로 구성되었다.

2. 평가도구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창의적 인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Kim (2004)이 개발한 창의적 인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 구는 창의적 인성의 구성요소 중 인내/집착, 유머감, 호기심, 자기 확신,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의 8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 다.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 3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1문항을 제 외한 30문항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하위 요인별 항목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 값으로 인내/집착(4개 문항) 0.84, 자기확신(5개 문항) 0.81, 유머감(4개 문항) 0.78, 호기 심(4개 문항) 0.68, 상상력(4항목) 0.73, 개방성(4개 문항) 0.69, 모 험심(2개 항목) 0.71, 독립성(3개 문항) 0.69이었다.

3. 원예활동 프로그램 설계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 해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창의, 인성 교육 요소와 사고 기법을 도입 한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선호도 분석(Ji, 2013)에서의 주생 활 및 식생활, 의생활 분야로 구분된 15주 프로그램 중 각 3개씩 총 9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Table 1).
의생활 영역 프로그램 중 씨앗 액세서리 만들기는 ‘사고 깨기’ (Block Breaker)의 특성인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고정관념을 찾아 장벽을 이루게 된 원인을 파악하고 장벽을 깨는 기법(Hwang et al., 2011)을 활용하여 기존의 씨앗을 활용한 프로그램에서 번식 수단 으로의 사용되어졌던 씨앗 활용의 고정관념을 깨고 다양한 활용법 으로 씨앗 액세서리(Ji, 2013)를 만들어 보는 기회로 독창성을 키 우도록 하였다. 이와 동시에 자연의 새로운 활용과 아름다움을 깨 닫고 씨앗관찰을 통해 분석적 사고 증진을 위한 교육적 의도를 부 과하였다(Ji, 2013). 주생활 영역 프로그램에서는 ‘내가 닮고 싶은 잔디인형 만들기 활동’을 ‘희망열거법’의 사고기법을 도입하여 본 인의 희망과 꿈을 열거하는 방법(Lee, 2008)으로 잔디인형을 자신 이 닮고 싶은 친구의 개념으로 상상력, 감수성, 다양성을 위한 사고 를 할 수 있는 교육적 의도를 부여하였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인성의 발달을 위하여 창의, 인성 교육 요소들을 활동의 목 표로, 창의적 사고기법을 도입하여 아동의 창의적 인성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Table 1.
Program developmental list of horticultural learning activity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Session Field Program Creativity element Personality element Thinking technique
1 Clothing Play materials from nature, stamps made of vegetables Extension of thinking independence Forgiveness possession Brain lighting (What can vegetables do?)
2 Finding jewels from nearby, making accessories with seeds Analytic thinking creativity Possession Block breaker
3 Life with flowers, decorating with matching flowers Divergent thinking diversity Forgiveness Brainstorming
4 Food Meeting of flowers and cakes, making a flower cake Sensitivity creativity Consideration possession Compulsive unite
5 Making little vegetable or herbal garden in the kitchen Divergent thinking imaginative power Consideration possession Connecting thoughts
6 Party with nature, making herb canape Divergent thinking analytic thinking diversity Consideration honesty Property enumeration
7 Housing Hoping to have this friend, making a grass doll Imaginative power diversity sensitivity Promise responsibility possession Hope enumeration
8 Colors from nature, my own color palette Diversity sensitivity Promise consideration honesty Block breaker
9 Keeping pretty flowers for a long time, book marker with pressed flowers Ability of problem-solving sensitivity Promise responsibility possession Chalkboard letter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창의적 인성 검사의 채점 기준에 맞게 점수화한 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표본 집단의 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Kolmogorov-Smirnov test를 실시 한 결과, 정규성 이 입증되어 모수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사는 Independent t-test로 하였고, 두 집단 간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의 유의차 분석 을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Cronbach’ α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결과 및 고찰

1.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사전 동질성 검정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시 전에 실험군 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창의적 인성에 대 한 동질성 검사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인성 척도의 전체 점 수와 각 하위요인의 영역별 점수에 있어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확 인할 수 있었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test in the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t p
My (SDx) M (SD)
2.587 (0.21) 2.602 (0.32) -3.610 0.229NS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2. 원예활동 프로그램 전・후 창의적 인성 비교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아 동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창의적 인성 검사지를 프로그램 실시 전, 후 두 차례 실시 하였다. 이를 토대로 창의적 인성의 전체점수 및 8개의 하위요인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상상력, 개방성, 모험심, 독 립성)별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1) 창의적 인성 사전・사후 총점 결과 비교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창의적 인성 검사의 평균 변화 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창의적 인성 검사 사전 평균 점수가 2.602 에서 사후 4.213으로 1.611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p=0.000)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은 창의적 인성 사전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3). 이를 통해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 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원예활동 을 소재로 하여 창의, 인성 교육요소의 결합과 창의적 사고 기법을 통해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Ji, 2013). 또한 원예 및 자연을 중심으로 한 활동은 아동들에게 사 물에 대한 관찰과 표현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며(Kim, 2007), 이러 한 관찰력의 증가는 창의적 사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민감성 을 자극하여 아동의 사고의 폭을 확대시키고 오감을 발달시키는 결 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Hwang et al., 2011).
Table 3.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Group N Pre-HAPz Post-HAP t p
My (SDx) M (SD)

Control 15 2.587 (0.21) 2.613 (0.62) -3.500 0.215NS
Treatment 16 2.602 (0.32) 4.213 (0.58) -2.140 0.000***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이러한 창의, 인성 교육요소와 창의적 기법을 도입하여 적용한 원예활동은 사고의 범위와 고리를 결합하고 분리, 또는 확장하면서 생각의 흐름이 빠르게 되고 문제를 다양한 측면으로 파악할 수 있 게 되어 창의적 인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2) 창의적 인성 사전・사후 하위 요인별 결과

가. 인내/ 집착의 결과 비교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려는 성향인 인내/집착 (Kim, 2012)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 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은 인내/집착 총점과 하위측정항목에서 평균 차이가 나 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로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반면 실험군은 인내/집착 총점 사전 평균이 2.413에서 4.101으로 평균 1.70이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p=0.007). 원예활동을 통해 창의적 인성에 대한 항목 중 인내/집 착에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는 아동들 은 생명을 돌보는 자연 친화적인 원예 활동을 통하여 인내심을 기 를 수 있다(Kim, 2007)고 하는 결과와 같은 맥락임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patience/obsess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Patience/obsession Group Pre-HAPz Post-HAP t p
My (SDx) M (SD)

Total Control 2.344 (0.76) 2.715 (0.29) -0.161 0.764NS
Treatment 2.413 (0.63) 4.101 (0.46) -2.754 0.007**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나. 자기 확신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확신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 석한 결과, 대조군은 자기확신의 평균 점수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실험군은 자기확신 총점 사전 평균이 2.391에서 3.892로 1.501점 상승하였고(p=0.001) 이 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Table 5). 자기확신이란 자신의 창의 능력과 존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성향으로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Kim, 2012).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이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다양하며(Kim, 2004; Song, 2004; Jung, 2006) 이러한 원예활동의 요소와 창의적 기법을 통하 여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발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able 5.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self convic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Self conviction Group Pre-HAPz Post-HAP t p
My (SDx) M (SD)

Total Control 2.362 (0.62) 2.384 (0.49) -0.812 0.325NS
Treatment 2.391 (0.46) 3.892 (0.61) -4.016 0.001**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다. 유머감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재미있는 생각이나 유머스러운 행동 을 많이 생성하려는 성향(Kim, 2012)으로 정의되는 유머감에 대 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유머감의 평균 점수에 있어서 사전 평균 2.245에서 2.961로 증가되었으며 이 차이는 통 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26). 실험군 에 있어서는 유머감 사전 평균이 2.361에서 3.982로 1.621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00).
따라서,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유머감에 있어서는 실험군 과 대조군 모두 활동 전, 후 시기에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6).
Table 6.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a sense of humor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Sense of humor Group Pre-HAPz Post-HAP t p
My (SDx) M (SD)

Total Control 2.245 (0.28) 2.961 (0.56) -2.178 0.026*
Treatment 2.361 (0.79) 3.982 (0.72) -4.413 0.000***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라. 호기심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우리 주변의 현상이나 사물에 대해 의문과 관심을 가지려는 성향으로 정의되는 호기심에 대하여(Kim, 2012)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 동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호기심 총점 사전 평 균 3.640에서 사후 평균 3.748로 0.908의 평균의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215). 반면, 실험 군은 호기심 총점 사전 평균이 3.548에서 4.326로 평균 1.078이 상 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p=0.031). 이를 통해 창의, 인성 교육용 원예활동을 통하여 아동의 창의적 인 성 중 아이들의 호기심 자극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7). 이러한 결과는 Song(2004)의 연구에서와 같이 원예활동은 아동 의 관찰력 및 호기심을 증대 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다양한 색과 모 양, 생장에 따른 변화 등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 다(Kim, 2004)는 내용과 유사하다.
Table 7.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curiosity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KSPPE-19-285_T7-F1.gif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마. 상상력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상상력에 해당하는 영역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점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상상력에 대한 사전 평균 3.720에 서 사후 평균 3.781로 0.061의 평균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208). 반면, 실험군에 있어서 는 상상력 사전 평균이 3.627에서 4.541로 0.914의 평균 상승을 보 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023).
이를 통해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상상력 자극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8). 상 상력은 가상의 상황을 즐길 수 있는 개인 특성으로써 창의적 활동 의 주요 요인(Kim, 2012)이 되는데, 원예활동과 관련이 있는 주제 로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브레인스토밍의 결과, 자신의 상상력의 확장 및 다른 사람들의 생각의 확산을 통해 의견이 더해지게 되어(Hwang et al., 2011) 상상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8.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imaginat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KSPPE-19-285_T8-F1.gif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바. 개방성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새로운 경험이나 생각을 수용하려고 하는 성향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개방성(Kim, 2012)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변 화를 알아본 결과 대조군은 개방성 사전 평균 3.221에서 사후 평균 3.310으로 0.089의 평균차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210). 반면, 실험군은 개방성 사전 평균이 3.452에서 4.392로 0.940의 평균 상승이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 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29). 이를 통해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이들의 개방성에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9). 이는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영역 에 걸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과 창의적 기법을 통해 새로운 경험이나 생각을 수용하게 되는 개방성(Kim, 2012; Jeon, 1995) 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생명 현상을 창의, 인성 교육용 원예활동을 통하여 식물의 재배 및 공예 활동, 음식 만들기 활동 등의 다양한 맥락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새 로운 경험이나 생각을 수용하려는 개방성에 있어 변화를 나타낸 것 으로 볼 수 있겠다.
Table 9.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openness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KSPPE-19-285_T9-F1.gif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사. 모험심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실패의 가능성을 무릅쓰고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려는 성향을 의미하는 모험심(Kim, 2012)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 의 평균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모험심 사전 평균 3.164에서 사후 평균 3.270으로 0.109의 평균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181). 반면, 실험군은 모험심 사 전 평균이 3.231에서 4.280으로 1.049의 평균차가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p=0.040). 이를 통해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이 유아들의 모험심에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10). Kwack 등(1999)의 연구에서 와 같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원예를 적용하여 얻게 되는 결과물들 을 통하여 성취감 및 보람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모험 심에 대한 창의적 인성의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Table 10.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adventurous spirit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KSPPE-19-285_T10-F1.gif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아. 독립성의 결과 비교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독립성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평가 에 좌우되지 않고 혼자서 일을 해 나갈 수 있는 성향을 말하는 것으 로 이러한 독립성에 대한 원예활동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 해 대조군과 실험군의 원예활동 전・후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독립성 사전 평균 3.412에서 사후 평균 3.424로 0.012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p=0.391). 반면, 실험군은 독립성 사전 평균 3.361에서 4.187 로 1.126의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7). 이를 통해 창의, 인성 요소와 창의적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독립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11). 원예활동을 통하여 아동은 사람과 식물, 자연 환경,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맺는 방식을 알아가 며 또한 스스로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울 수 있다는 Choi(2007) 의 연구와 같이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 중 독립성은 창의, 인성 교 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증가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able 11.
Pre-HAP and Post-HAP difference in the independence scor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groups.
KSPPE-19-285_T11-F1.gif

NS,*,**,*** Non-significant and significant at p<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y paired t-test.

z HAP: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y M: Mean,

x SD: Standard deviation.

적요

창의, 인성 교육 요소와 창의적 기법을 도입한 원예활동 프로그 램을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활동 후 창의적 인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S시 J 아동센터 8-11세의 남・여아로 구성 된 16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원예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남・여 총 1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사전・사후 측정을 통한 유사 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16년 5월부터 7 월까지 주 1회씩 매 회기 40분간 진행되었다. 창의, 인성 교육 요소 와 창의적 기법을 도입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창의성 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2004)의 창의적 인성 검사 도구를 사용 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 시행 전 두 집단의 창의적 인성에 대한 동질 성 검사를 시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이 입증되었다. 9회기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원 예활동을 통해 원예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창의적 인성 에 대한 평균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원 예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인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창의적 인성의 8개 하위 요인인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 기심, 상상력,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으로 나누어서 살펴본 결과 실험 집단의 경우 8개 하위 요인 모두에 있어 평균의 상승을 보였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에 있어서는 인내/집착, 자기확신, 호기심, 상상력, 개방성, 모험심, 독 립성 영역에 있어 평균이 상승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 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머감 영역에 있어서는 측정 전과 후의 평 균이 증가가 통계적으로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 인성 요소와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 그램을 통하여 아동의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상상 력,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 등의 창의적 인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Choi, J.B. 2007. The effects of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control ability. PhD Diss., Sungkyunkwan Univ., Seoul, Korea.

Davis, G.A. 1985.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rentice-Hall, New Jersey.

Gardner, H. 1993. Creating mind. Basic Books, NY.

Hong, S.T. 2004.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rom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spective. MS thesis, Kyonggi Univ., Suwon, Korea.

Hwang, H.J. Jang, E.J. Pak, C.H. 2011.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applied creativity techniques on young children ?(tm)s creativit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4:155162.

Jeon, K.W. 1995.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orea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Seoul, Korea.

Ji, H.L. 2013.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and thinking method and preference analysis. MS thesis,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Jung, K.S.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 property and home background of students whose parent’s are not.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Kim, E.Y. 2004.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divorced. MS thesis, Catholic Univ., Seoul, Korea.

Kim, M.S. 2004. Teaching and learning by intellectu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for middle school genius.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im, R.B. 2007. Effect of holistic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juvenile delinquents. PhD Diss., Catholic Univ., Daegu, Korea.

Kim, Y.J. 2012. The effect of Goldberg machines program on primary learner’s creative personality: focused on gifted students in inventions. MS thesis, Gyeongsang Natl. Univ., Jinju, Korea.

Kwack, B.W. Suh, J.G. Kwack, H.R. 1999. View on horticultural therapy, human well-being through horticultural and plant therap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15.

Kwon, M.H. 2011. The elementary school museum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hich applies a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S thesis,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Lee, D.G. 200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to exte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ncrete operation age. MS thesis, Jinju Natl. Univ. of Education, Jinju, Korea.

Lee, E.J. 2008. The effect of art program through nature experience activity on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nd creativity. MS thesis, Kangnam Univ., Yougin, Korea.

Piaget, J. The development of thought: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Viking Press, NY. 1977.

Torrance, E.P. 1963. Adventuring in creativity. Child. Educ. 40:7987.
crossref
Song, J.S. 2004. Effect of supportive horticultural therapy and plant scape in classroom on the stress relief of high school student.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