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3); 2016 > Article
금원산생태수목원 방문객의 관람만족도 구조모형분석

ABSTRACT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recreation and tourism of Mt. Keumwon, this study undertook a visitor survey and investigated a structure model analysis to evaluate visitors’satisfaction of sightseeing.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60 percent of visitors was male, the 71.3% was 40s age and over, and the 80.7% was resident in Gyeongsang-do. A theoretical model with measurement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hich was developed with hypotheses and data from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13. The results supported that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venient use,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lso display qua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The visitors tend to evaluate convenient use to be better as display quality increases.

서론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하여 야기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식물원 및 수목원이 식물다양성과 식물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관으 로 성장함과 아울러 “세계식물보전전략(GSPC: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Manuder, 2008). 식물원 및 수목원은 다양한 공공의 가치를 가지는 정원으로 서 식물에 대한 과학적 연구, 보존, 전시, 교육 등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합적 목적을 수행하는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 또는 기관이 며, 단지 공공녹지의 일종으로 여러 사람들이 쉬거나 가벼운 운동, 산책, 놀이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도시공원(urban park)과는 구분된다(Huh et al., 2015). 식물원 및 수목원은 보존에 대한 공동 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보존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 도를 가지도록, 보존에 대한 노력들을 지지하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을 방문하도록 하며, 그런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식물원 및 수목원은 자연자원과 경관이 매우 양호한 장소에 위치하 고 있다(Jones, 2000).
Ballantyne et al.(2008)이 호주 Mt. Coot-tha Botanic Gardens 에서 방문객들의 환경인식, 흥미, 동기 등에 관해 수행한 연구를 살 펴보면 방문객은 보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흥미를 가지며, 많 이 전념하지 않으며, 배우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고 하였 다. Connell and Meyer(2004)의 연구에서 방문객은 스스로 즐기 기 위해서, 경관을 감상하기 위해서, 가족 또는 친구들과 질 높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자연 속에 체류하는 즐거움을 위해서 식물 원을 방문하다고 하였다. Noh et al.(2011)의 연구에서 방문객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수목원을 인식한다고 하였다. Hyun et al. (2012)은 우리나라 식물원・수목원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에서 방 문객이 수목원을 공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방문객이 수 목원 이용 후 자연의 아름다움, 자연에서 느낀 혼자만의 시간 등에 서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자연자원의 휴양 및 관광자원화는 국민과 관련 기관들 모두에게 바람직한 변화이며 수용할 수밖에 없는 시대적 요구가 되었고(Joo and Yeo, 2000), 그에 따라서 방문객의 이용행태분석에 따른 휴양 및 관광 기능의 제고가 자연자원의 보전, 연구 등과 함께 통합적인 관리 방안으로 마련되어야 식물원 및 수목원이 그 기능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Lim et al., 2008). 선행 연구들에서 Lim et al.(2005), Lim et al.(2008) 등은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으로 식물원 및 수목 원 방문객의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Ballantyne et al.(2008), Noh et al.(2010), Hyun et al.(2012) 등은 빈도분석 등으로 식물원 및 수목원 방문객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휴양 및 관광 기 능 제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최근 조성된 금원산생태수목원 을 대상으로 하여 방문객의 관람 만족도 구조모형분석을 수행하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금원산생태수목원은 규모가 2,000,000m2이며 금원산 내에 자 연휴양림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해발 750~900m 아고산성 입지 에 지리・덕유산지역 자생 특산・희귀식물 보존, 증식 및 식물의 자 원화, 생태복원 등 서식지 내 자생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 2011년 6월 15일에 개원하였다. 최근 방문객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수목원으로 산림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산림휴양문화, 자연학 습교육, 생태체험 등 다양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16).

2. 이론적 배경

먼저 방문객의 방문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유의 적인 영향력을 가진 변수들을 한정하고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Ward et al.(2010)은 남아프리카에서 도시녹지공간으로 서 식물원의 이용과 감상에 관한 연구에서 대부분의 방문객들이 교육보다는 휴양과 심리적 이유들 때문에 방문한다고 하였다. Ballantyne et al.(2008)은 호주 Mt. Coot-tha 식물원 방문객들의 환경인식, 흥미, 동기에 대한 연구에서 방문객들이 혼자만의 시간 을 가지기 위해서, 감상을 위해서, 가족 또는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 기 위해서, 야외・자연 속에 체류하는 즐거움을 위해서 방문한다고 하였다. Connell and Meyer(2004)는 영국 정원 방문객의 경험에 관한 모델링 연구에서 방문객들이 감상과 야외 속에 체류하는 즐거 움을 위해서 방문한다고 하였다. 국내에서 Lim et al.(2008)은 국 립수목원 방문객의 방문경험에 따른 동기요인 및 만족도 분석에서 최초 방문객들이 휴양・휴식, 신기성, 자기탐구, 접근성 때문에 그 리고 재방문객들이 관광・관람, 자기탐구, 접근성 때문에 방문한다 고 하였으며, 전자의 전반적 만족도가 휴양・휴식, 신기성, 자기탐 구의 만족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후자의 전반적 만족도가 관광・ 관람, 자기탐구의 만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Hyun et al.(2012)은 식물원 및 수목원 방문객 만족도 분석에서 방문객들이 수목원을 공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방문객들이 수목원 이용 후 자연의 아름다움, 자연에서 느낀 혼자만의 시간, 접근성 및 저비용 측면에서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Noh et al.(2011) 도 방문객들이 수목원을 휴식을 위한 공원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하 였다. 종합적으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볼 때, 방문객은 경관 및 전시의 감상, 휴양・휴식 등을 위해서 식물원 및 수목원을 방문한다 고 볼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방문동기에 따라서 식물원 및 수목원 방 문객의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Table 1과 같이 한 정하고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Table 1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visitors' satisfaction of overall sightseeing in botanic garden or arboretum.
Variable Supporting literature

Scenery and plant display 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Lim et al. (2005), Lim et al. (2008)
Education display 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a et al. (2014), Lim et al. (2005), Ward et al. (2010)
Convenient facilities 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Lim et al. (2005), Noh et al. (2010)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Lee (2013), Noh et al. (2011)
Overall satisfaction of sightseeing 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Noh et al. (2011), Ward et al. (2010)
Staffs’ service and hospitality Noh et al. (2011)

1) 경관 및 식물전시

식물원 및 수목원은 일반적으로 비정형적이고 미학적으로 즐겁 게 하며, 동・식물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을 돋보이게 하고자 경관 및 자원자원이 우수한 곳에 위치시킨다(Jones, 2000). 식물들, 서 식지들, 보존에 대한 중요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이 가지는 가치들, 태도들, 행동들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형적인 교육 의 경험을 제공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Willison, 1997). 지구 의 미래 행복을 위한 식물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 우수한 디자인 연출을 요구하며(Ballantyne et al., 2008), 연출 프로그램 들은 특별한 주제를 가진 박람회, 전시회, 해설판, 안내자 동반 탐 방활동을 포함한다. 몇몇 식물원 및 수목원은 또한 안내자 없이 스 스로 산책할 수 있도록 산책로를 알려주는 인쇄된 리플렛, 안내책, 지도 등을 제공한다. 대부분 식물원 및 수목원은 방문객들에게 전 시 중인 종(specie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물 표찰을 배치한 다. Lim et al.(2005)은 국립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에서 관람 여건, 해설프로그램, 해설판・이정표, 편의시설, 편 익 여건 총 5개가 만족도 요인으로 구명되었고, 전반적인 만족도가 관람 여건과 편의 시설에 영향을 받았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큰 영 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였다. 또한 Lim et al.(2008)도 전반적 만족 도가 한적한 관람환경과 좋은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고, Ballantyne et al.(2008), Connell and Meyer(2004), Hyun et al.(2012) 등도 정원의 경관 감상에서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2) 교육전시

Hyun et al.(2012)은 식물원 및 수목원이 식물다양성과 식물보 전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교육과 체험의 역할을 수행한 다고 하였다. Ballantyne et al.(2008)은 식물원이 특히 환경 보존 및 교육과 전통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전형적으로 연구, 교육, 전시 를 위해서 식물을 수집 및 보존한다고 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물원(botanic gardens)은 지구 환경변화와 보존에 대한 이슈들 에 대하여 대중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더 큰 책임을 수행하고 있다 (Mintz and Rode, 1999; Willison, 1997). 산림박물관, 산림문화 전시관 등은 교육전시의 기능을 담당한다. Ha et al.(2014)은 경상 남도산림박물관을 포함하여 전국 국・공립 산림박물관의 전시기법 을 분석한 연구에서 전시의 개념은 본질적으로 학예연구원의 연구 활동을 거친 자료의 문화적 의미를 특정한 공간에 드러내 보여줌으 로서 일반인에게 자연환경, 문화활동, 사회환경 등을 전달하거나 또는 그에 연관된 사실이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교육활동이라고 하였다.

3) 편의시설

Noh et al.(2010)는 도시수목원의 이용후평가에 관한 연구에서 안내소, 화장실, 안내판(이정표, 입간판, 수목표찰 등), 산책로(자 연관찰로), 휴게시설(광장, 연못, 분수시설, 놀이시설 등)을 편의시 설 변수로 설정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Lim et al.(2005)은 국 립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에서 전반적인 만족도 가 관람 여건과 편의시설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다. Hyun et al.(2012)은 시설물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에서 주차장의 위치, 관 리상태, 화장실의 위치, 청결상태, 관리상태 등이 유의적인 변수들 이라고 하였다.

4) 정보 및 홍보

Lee(2013)는 국내외 식물원 운영시스템 비교 연구에서 홈페이 지를 운영시스템의 한 변수로 설정하였고, 쌍방향의 의사소통을 위한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활용이 더욱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Noh et al.(2011)은 공공서비스재로서의 한밭수목원 운 영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신문방송인터넷을 통한 홍보, 관람안내 도, 안내책자 등을 통한 정보제공이 중요한 수목원 운영의 변수라 고 하였다.

5)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

Noh et al.(2011)은 공공서비스제로서의 한밭수목원 운영 전략 에 관한 연구에서 방문객들이 전문성보다는 용모가 단정하고 업무 수행능력을 갖춘 친절한 사람이 직원으로서의 자질이 있다고 인식 한다고 하였다.

3. 연구가설 및 구조모형 설정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볼 때, 방문객은 경관 및 전 시의 감상, 휴양・휴식 등을 위해서 식물원 및 수목원을 방문한다 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방문객의 관람만족도 구조모형분석을 위한 가설은 만족도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인을 2개의 주성분요인, 즉 전시의 질과 편리한 이용으로 집약시키고 이들 2개의 주성분요인 이 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관계가 해석될 수 있도록 설정 하였다.
  •  H1: 전시의 질은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적이며 정(+) 상관의 영 향을 가진다.

  •  H2: 편리한 이용은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적이며 정(+) 상관의 영향을 가진다.

여기서,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한 전시의 질에 대한 조작적 정 의(operational definition)는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경관 및 식물전시, 교육전시를 측정변수로 선택하였고(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a et al., 2014; Hyun et al., 2012; Lim et al., 2005; Lim et al., 2008; Ward et al.(2010), 편 리한 이용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편의시설, 정보 및 홍보를 측정변 수로 선택하였고(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Lee, 2013; Lim et al., 2005; Noh et al., 2010; Noh et al., 2011), 만족도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관람에 대 한 전반적 만족,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을 측정변수로 선택하였다 (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Noh et al., 2011; Ward et al., 2010). 그에 따라서 연구모형 은 Fig. 1과 같이 주성분요인인 잠재변수들(latent variables) 간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모형(theoretical model)과 잠재변수와 지표(측정변수) 간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으로 구성된 구조모형(structural model)으로 설정하였다.
Fig. 1
A theoretical model of visitors’ satisfaction with display quality (DQ) and convenient use (CU) in Mt. Keumwon arboretum: x1=Scenery and plant display; x2=education display in Forest Culture Exhibition Center; x3= convenient facilities; x4=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by internet homepage; y1=overall sightseeing; y2=staffs’ service and hospitality.
KSPPE-19-261_F1.gif

4. 조사 및 분석

설문지는 사회-인구 통계적 배경, 경관 및 식물전시, 교육전시, 편의시설, 정보 및 홍보, 직원의 서비스 및 친철, 전반적인 관람 만 족 등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문항들을 설계하였 다(Kim and Huh, 2004; Verderber, 1986; Whitehouse et al., 2001). 응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경관 및 식물전시에 대한 문항(x1)이 전시식물의 종류, 표찰상태, 보호・관리, 주변경관과의 어울림 등을 의미하고, 산림문화전시관의 교육 전시에 대한 문항 (x2)이 전시물의 종류 및 상태, 공간별 전시주제의 구성, 해설판 정 도 등을 의미하며, 편의시설에 대한 문항(x3)이 주차시설, 안내시 설, 휴식시설, 등산・산책로, 화장실 청결상태 등을 의미하고, 인터 넷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및 홍보에 대한 문항(x4)이 홈페이지 정보 및 관리, 정보 획득, 홍보수준 등을 의미하며, 직원의 서비스에 대한 문항(y2)이 안내 및 관리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도, 민원 대응, 복장 단정 등을 의미함을 설문지 상에서 부연하여 설명하였다. 전반적인 관람에 대한 문항(y1)은 부연하여 설명하지 않았다.
사회-인구 통계적 배경에 관련한 설문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설 문 문항은 5단계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응답하도록 고안하 였고, 응답자는 설문 문항에 대하여 매우 만족한 경우는 1점, 매우 불만족한 경우는 5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통계분석과정에 는 1점을 5점으로 그리고 5점을 1점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측정 값들을 변환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방문 객을 대상으로 방문자센터 휴게공간에서 수행하였으며, 본 조사 의 성격과 목적에 대하여 사전 교육을 받은 수목원 코디네이터 1명 과 공무직원 2명이 응답에 참여한 방문객의 설문지 작성을 지원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무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 는 설문지를 제외한 150부의 설문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SPSS ver. 20.0과 Amos ver.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 인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조모형분석(structural model analysis)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사회-인구 통계적 배경

금원산생태수목원 방문객 중 설문지 응답자들의 사회-인구 통 계적 배경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과 남성이 각각 40.0%와 60.0% 를 차지하였고, 연령층은 40대가 26.7%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 로 60대 이상, 50대, 30대가 각각 23.3%, 21.3%, 14.0%를 차지하 였다(Table 2). 거주지역은 경상도가 80.7%를 차지하였고 그 다 음으로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가 각각 10.7%, 6.7%, 2.0%를 차 지하였다. 교통수단은 자가용이 96.0%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 로 전세버스와 대중교통이 각각 2.7%와 1.3%를 차지하였다. 종 합하면, 방문객은 남성이 60%로 상대적으로 더 높고, 40대 이상 이 71.3%를 차지하며, 80.7%가 경상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Table 2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 Frequency Valid percent (%)

Gender Female 60 40.0
Male 90 60.0

Age (year) 10s 15 10.0
20s 7 4.7
30s 21 14.0
40s 40 26.7
50s 32 21.3
60s and over 35 23.3

Visitors' residential district Gyeonggi 16 10.7
Gangwon - 0.0
Chungcheong 3 2.0
Jeonlla 10 6.7
Gyeongsang 121 80.7

Transportation Private car 144 96.0
Public bus 2 1.3
Rental bus 4 2.7

2. 방문객의 이용후평가

전시의 질에 대한 측정변수로서 전시식물의 종류, 표찰상태, 보 호・관리, 주변경관과의 어울림 등을 의미하는 경관 및 식물 전시에 대한 변수(x1)의 이용후평가는 평균 4.49를 나타냈고, 전시물의 종 류 및 상태, 공간별 전시주제의 구성, 해설판 정도 등을 의미하는 산 림문화전시관의 교육 전시에 대한 변수(x2)의 이용후평가는 평균 4.33을 나타냈다. 편리한 이용에 대한 측정변수로서 주차시설, 안 내시설, 휴식시설, 등산・산책로, 화장실 청결상태 등을 의미하는 편의시설에 대한 변수(x3)의 이용후평가는 평균 4.36을 나타냈고, 홈페이지 정보 및 관리, 정보 획득, 홍보수준 등을 의미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및 홍보에 대한 변수(x4)의 이용후평가는 평 균 3.97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만족 도에 대한 측정변수로서 전반적인 관람에 대한 변수(y1)의 이용후 평가는 평균 4.35을 나타냈고, 안내 및 관리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 도, 민원 대응, 복장단정 등을 의미하는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에 대 한 변수(y2)의 이용후평가는 평균 4.39를 나타냈다. 방문객의 이용 후평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대부분이 4점 이상으로 Hyun et al.(2012), Lim et al.(2005), Noh et al.(2010) 등이 대부분 4점 이 하를 나타냈던 결과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평가 되었다. 이것은 최근 조성된 수목원으로 양호하게 조성 및 운영되 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3
Table 3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visitors’ satisfaction.
Variable Mean Standard deviation

Display quality
Scenery and plant display on gardens (x1) 4.49 0.74
Education display in Forest Culture Exhibition Center (x2) 4.33 0.75
Convenient use
Convenient facilities (x3) 4.36 0.76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by internet homepage (x4) 3.97 0.91
Satisfaction
Staffs' service (y1) 4.39 0.70
Overall sightseeing (y2) 4.35 0.75

3. 확인요인분석

먼저 구조방정식모형을 도출하기 위해서 설문조사한 모든 변수 들에 대하여 만족스런 조합을 점검한 후에 측정모형을 이론모형에 따라서 구조모형으로 전환하고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Xu and Fox, 2014). 확인요인분석에서 조작적 정의로 한정된 각각의 잠재 요인에 대한 측정변수들의 구성개념 신뢰도(construction reliability) 는 Table 4와 같이 모두 Cronbach’s alpha값이 0.70으로 측정변 수들의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Churchil and Peter, 1984).
Table 4
Factor loading of the measurement model.
Variable Factor loading Standard error Cronbach’s alpha

Display quality (DQ) 0.800
Scenery and plant display on gardens (x1) 0.768 0.030
Education display in Forest Culture Exhibition Center (x2) 0.789 0.029
Convenient use (CU) 0.711
Convenient facilities (x3) 0.833 0.034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by internet homepage (x4) 0.688 0.057
Satisfaction 0.813
Overall sightseeing (y1) 0.906 0.025
Staffs' service (y2) 0.758 0.028
잠재요인인 전시의 질, 편리한 이용, 만족도의 평균분산추출 (average variance extracted) 산출값은 Table 5와 같이 모두 0.5 이상으로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즉 각각의 측정변수 들이 잠재변수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에서 내생개념인 만족도에서 대하여 외생개념으로 작용하는 두 개의 잠 재요인인, 전시의 질과 편리한 이용 간의 상관계수 제곱값은 모든 잠재요인들의 평균분산추출 산출값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어서 상 호 간에 변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Fornell and Laker, 1981).
Table 5
Squared Correlation value and AVE of the latent variables.
Latent variable DQ CU Satisfaction

Display quality (DQ) 0.606z
Convenient use (CU) 0.520 0.584
Satisfaction 0.575 0.604 0.698

z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 [sum of (standardized factor loadings)2 ]/number of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확인요인분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하 여 설정된 잠재변수인 전시의 질, 편리한 이용, 만족도 모두의 조작 적 정의는 측정변수들 간에 내적일관성이 있으며 수렴타당도를 가 지고, 내생개념인 만족도에 대한 외생개념인 전시의 질과 편리한 이용 간에 변별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으로 검정을 위한 구조모형은 적합한 측정모형을 가진 이론모형이라고 평가되었다.

4. 구조모형분석

구조모형분석에서 이론모형의 카이자승(χ2 ) 통계량은 136.645, 자유도(df)는 8, p는 0.000임으로 모형이 접합하지 않다고 평가되 었다. 또 다른 모형 적합지수인 GFI(goodness of fit index)는 0.90 이상이 적합한 수준인데 0.797를 나타냈고, RMR(root mean square residual)은 0.05 이하가 적합한 수준인데 0.193을 나타냈으며, AGFI(adjusted GFI)는 0.9 이상이 적합한 수준인데 0.468을 나 타냈고, NFI(normal fit index)는 0.9 이상이 적합한 수준인데 0.754를 나타냈으며, NNFI(non-normal fit index)는 0.9 이상이 적합한 수준인데 0.555를 나타냈고, 결과적으로 이들 적합지수 모 두는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형의 적 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를 평 가하여 “H3: 전시의 질이 편리한 이용에 대하여 유의적이며 정(+) 상관의 영향을 가진다.”라는 가설의 경로를 추가한 수정모형을 설 정하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분석결과에서 수정모형의 카이자승(χ2 ) 통계량은 21.054, 자유도(df)는 7, p는 0.004로 상대 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모형이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또 다른 모형 적합지수인 GFI는 0.955를 나타냈고, RMR 은 0.02를 나타냈으며, AGFI는 0.866을 나타냈고, NFI는 0.962 를 나타냈으며, NNFI는 0.944를 나타냈고, 결과적으로 이들 적합 지수들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나타났다.
Bentler and Bonett(1980), Xu and Fox(2014) 등의 연구에 근 거하여 수정모형을 최종적인 구조모형으로 채택하기 위해서 이론 모형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는 Table 6과 같이 카이자 승차이(Δχ2 )가 115.5, 자유도차이(Δdf)가 1, p가 0.000으로 수정 모형을 채택할 수 있었다. 또한 모형비교 지표인 CFI(comparative fit index)는 1에 가까울수록 양호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수정 모형은 0.974로 이론모형보다 0.212이 향상되고, 간명비교 지표 인 PCFI(parsimony CFI)는 0.5를 넘으면 양호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수정모형은 0.455로 비록 0.5를 넘지는 않았지만 이론모 형보다 0.051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정모형을 채택하 는 것이 적합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Kim, 2011).
Table 6
The comparison of theoretical and modified model.
Model χ2 df Δχ2 Δdf p CFI ΔCFI PCFI ΔPCFI

Theoretical Model 136.6 8 0.762 0.404
Modified Model 21.1 7 115.5 1 0.000 0.974 0.212 0.455 0.051

Note: hypothetical model does not have direct effect between display quality and convenient use; modified model has direct effect between display quality and convenient use.

최종적으로 채택된 구조모형 가설검증의 결과는 Table 7과 같 이 전시의 질은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적이며 정(+) 상관의 영향을 가짐(H1), 편리한 이용은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적이며 정(+) 상관 의 영향을 가짐(H2), 전시의 질은 편리한 이용에 대하여 유의적이 며 정(+) 상관의 영향을 가짐(H3)을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 로도(path diagram)와 경로계수(path coefficient)로 표시된 구조 모형은 Fig. 2와 같았다. 구조모형에서 외생개념과 내생개념 간의 영향력을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경로계수를 표준 회귀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전시의 질과 편리한 이용이 만족도에 대하여 가지는 직 접효과는 각각 0.831과 0.158로 나타났다. 전시의 질이 만족도에 대하여 가지는 간접효과는 0.157로 나타났지만, 간접효과의 유의 확률이 0.1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적으로,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 전시의 질이 편리한 이용보다 상 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시의 질은 편리한 이용에 대하여 0.991의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는데 이것은 전시의 질이 편리한 이용에 대해서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유사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전시의 질이 가장 영향력 있는 외생변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Table 7
Summary of outcomes for the hypotheses.
Hypothesis Outcomes

H1: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upported
H2: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upported
H3: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Supported
Fig. 2
Structure model with path diagram: χ2 = 21.054; df = 7; p = 0.004; path coefficient =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KSPPE-19-261_F2.gif
구조모형분석을 종합적으로 해석해보면, 방문객은 경관 및 전시 의 감상, 휴양・휴식 등을 위해서 식물원 및 수목원을 방문하는데, 전반적인 관람,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 등으로 정의되는 관람만족 도는 경관 및 식물전시, 교육전시 등으로 정의되는 전시의 질에 의 해서 가장 많은 정(+)의 영향을 받으며(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a et al., 2014; Hyun et al., 2012; Lim et al., 2005; Lim et al., 2008; Ward et al., 2010), 상대적으 로 영향력이 적지만 편의시설, 정보 및 홍보 등으로 정의되는 편리 한 이용에 의해서도 정(+)의 영향을 받는다고(Ballantyne et al., 2008; Connell and Meyer, 2004; Hyun et al., 2012; Lee, 2013; Lim et al., 2005; Noh et al., 2010; Noh et al., 2011) 평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방문객들은 전시의 질이 향상될수록 더욱더 편리한 이용이라고 인식하지만, 이와 같은 인식이 간접적으로 만족도를 향 상시킨다고는 평가할 수 없었다.

적요

본 연구는 휴양 및 관광 기능 제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금 원산생태수목원을 대상으로 하여 방문객의 관람 만족도 구조모형 분석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먼저 방문객은 남성이 60%로 상대적 으로 더 높고, 40대 이상이 71.3%를 차지하며, 80.7%가 경상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의 질과 편리한 이용이 만족도에 대하여 유의적이고 정(+)의 상관을 가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가 지고 측정모형과 함께 이론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은 2013년 수집된 150개의 설문지로부터 개발되었다. 그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객의 관람만족도에서 전시의 질이 가장 영향력 있는 외생개념이다. 전반적인 관람, 직원의 서비스 및 친절 등으로 정의되는 관람만족도는 경관 및 식물전시, 교육전시 등으로 정의되는 전시의 질에 의해서 매우 유의성 있게 정(+)의 영향을 받 으며,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지만 편의시설, 정보 및 홍보 등으로 정의되는 편리한 이용에 의해서도 유의성 있게 정(+)의 영향을 받 는다. 또한 전시의 질은 편리한 이용에 대하여 매우 유의성 있게 정 (+)의 영향력을 가진다.
Ⅴ.
Ⅴ.

References

Ballantyne R, Packer J, Hughes K. Environmental awareness, interests and motives of botanic gardens visitors: implications for interpretive practice. Tour. Manage 2008;29(3): 439–444.
crossref
Bentler PM, Bonett DG.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l Bull 1980;88(3): 588–606.
crossref
Churchill GA, Peter JP. Research design effects on the reliability of rating scales: A meta-analysis. J. Mark. Res 1984;21:360–375.
crossref
Connell J, Meyer D. Modelling the visitor experience in the gardens of Great Britain. Curr. Issues in Tour 2004;7(3): 183–216.
crossref
Fornell C, La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 Mark. Res 1981;18:82–388.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accessed April 11, 2016] http://tree.gndo.kr/08tree2/0102.jsp 2016.

Ha SG, Kim GS, Shin HT, Sung JW. Analysis of exhibition technigues of forest museums in Korea. Korean Ins. For. Recreat. Welf 2014;18(1): 25–34.
crossref
Huh KY, Ki JH, Song JI, Kim WS, Lee AK, Kim I, Jo E, Kim J, Nam S, Son KC. Proposals to foster and develop Garden Industry in South Korea 2015;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South Korea: 16.

Hyun JO, Kim YS, Shin HT, Kang SK, Kim JI, Kim JG, Yoon JW, Yi MH. The user’s satisfaction analysis of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um in Korea. J. Korean Ins. For. Recreat 2012;16(1): 13–24.

Jones DM. Making connections with the earth. Reaching out to the garden visitor: Informal learning and biodiversity. 2000. Am. Assoc. Bot. Gard. Arbor; p. 335–338.

Joo HS, Yeo HK.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sit motivation to recreational forests on attributes of the tourism site. Tour. Study 2000;15(2): 185–200.

Kim I, Huh KY. Evaluating user’s cognition and satisfaction in a hospital roofgarden environment: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4;7(2): 62–73.

Kim KS.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2011.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South Korea.

Lee D. Comparisons of operating systems of botanical gardens: cases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overseas. J. Korean Ins. For. Recreat 2013;17(1): 47–55.
crossref
Lim YJ, Bae JG, Ju JS, Lee DS. An analysis of visito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y visitors’ past experience at Korea national arboretum: comparison between first visit and revisit. J. Korean Ins. For. Recreat 2008;12(2): 47–55.

Lim YJ, Bae JK, Ju JS, Kim HJ.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J. Korean Ins. For. Recreat 2005;9(2): 21–27.

Maunder M. Beyond the greenhouse. Nat 2008;455(7213): 596–597.
crossref
Mintz S, Rode S. More than a walk in the park?: Demonstration carts personalize interpretation. Roots 1999;18:24–26.

Noh HK, Oh DK, Kim SB.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arboretum: focused on the Daejeon Hanbat Arboretum. Ins. Agric. Sci 2010;37(1): 27–35.

Noh HK, Oh DK, Kim SB.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Hanbat Arboretum as a public service goods. J. Korean Ins. For. Recreat 2011;15(2): 41–50.
crossref
Verderber S F. Dimensions of person-window transactions in the hospital environment. Environ. Behav 1986;18(4): 450–466.
crossref
Ward CD, Parker CM, Shackleton CM. The use and appreciation of botanical gardens as urban green spaces. Urban For. Urban Green 2010;9(1): 49–55.
crossref
Willison J. Botanic gardens as agents for social change. Kings Park and botanic garden conservation into the 21st century 1997;In: Proc. 4th Int. Bot. Gard. Conser. Congr., Perth; 25-29 Sept., 1995; pp 339–344.

Whitehouse S, Varni J W, Seid M, Marcus C C, Ensberg M J, Jacobs J R, Mehlenbeck R S. Evaluating a children's hospital garden environment: utiliz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J. Environ. Psychol 2001;21(3): 301–314.
crossref
Xu F, Fox D. Modelling attitudes to nature, tou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national parks: a survey of visitors in China and the UK. Tour. Manag 2014;45:142–158.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