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공격성・언어폭력성간 상관관계 분석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Plant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urvey on Plant Attitude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of 540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analysis on credi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 Both Plant Attitude Scale (Importance of plant, function of urban trees, interest on the plant, utilization of pla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cognition, empathy, emotion control ability) present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igher grade of plant attitude including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ntire of plant attitude, the most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Importance of plant and interest on the plant h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s Plant Attitude Scale and Aggression Scale (physical aggression, anger, hostility) present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t shows that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aggression.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ver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i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as well as importance with plant. In case of function with urban trees, it shows the higher physical aggression, anger and interest on the plant, the lower physical aggression. While Plant Attitude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Swear, ridicule, taunt, threat, curse) pres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verbal aggressiveness.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that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wear, ridicule, curse among the verbal aggressiveness. In the subordinate scope, especially in importance of plant,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grade of sear gets lower as the higher swear and curse including case of swear, ridicule and function of urban trees and also there are higher points with sear, ridicule, curse and utilization of plant in case of interest on the plant.
Ⅰ. 서론
최근 학교폭력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학 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 금, 협박, 약취, 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 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 위를 말한다(Kang, 2012). 학교폭력의 최초 발생연령이 점차 낮아 지고 있으며, 이 시기에 대한 집중적인 개입이 필요하다(Hong, 2012).
6세에서 12세 때의 공격성은 17세 때의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며((Kokko et al., 2006), 공격적인 아동은 애매한 상황 에서 조차 상대방이 자신에게 적대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 각하는 경향이 있다(Crick and Dodge, 1996). 어떠한 형태로든 학교폭력에 노출된 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청소년들은 그 후 로도 꽤 오랜 기간 동안 감정적・정신적 피로감에 시달리게 된다 (Mendelson et al., 2010).
이 시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역할극 놀 이를 통한 다른 사람 입장되기 등 사회정신연구소의 친구 사귀기나 외동이 프로그램(Han, 2006), 인지・정서행동의 차원에서 서울대 학교 발달심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시우보우’프로그램, 품성개발 프로그램으로 배려를 특히 강조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품성계발 프로그램, 건강한 인성을 키우기 위한 초록우산 어린이재 단의 인성교육 프로그램(Jung, 2009)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학교 폭력예방을 위해 공감・배려・인성교육면에 대한 접근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자연친화적이며, 순화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는 원예활동프로그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f(1992)는 어릴적부터 식물을 접하고 기르는 것을 통하여 나와 다른 존재에 대해 인정하고, 생명을 소중히 여겨 배려하는 마 음과 인내심,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 수 있는 마음을 기를 수 있다 고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 및 학 교적응력이 높아졌고, 가정 내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 년 학생들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Han and Yoo, 2014; Seok et al., 2009; Joo, 2008), 긍정적인 생각과 자신감 향 상으로 공격성 및 스트레스 해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Jeong and Lee, 2009).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 공 격성, 언어폭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원 예활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경기와 전북에 위 치한 초등학교 각 1곳에서 4, 5, 6학년 학생 총 5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교의 서면 협조동의와 학생의 구두동의를 받은 후 설문조사 기간 내 일과시간 중 담임교사의 설명 하에 조사 되었다.
2. 조사도구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Jana and Pavol(2010)이 10-15세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Plant Attitude Scale(PAS)를 번안한 Jeong et al.(2015)이 사용한 설문 (Cronbach' α=0.97)으로 식물의 중요성 9문항, 가로수 및 공원수 의 기능 6문항, 식물에 대한 흥미도 10문항, 식물의 이용 및 활용 4 문항, 네 영역으로 나누어 총 29문항이다. 5점 Likert 척도로 점수 가 높을수록 식물에 대한 태도가 높으며, 식물에 대한 이해와 흥미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정서지능은 문용린(1996)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를 Lee(2007) 가 초등학교 고학년용 검사지(Cronbach' α=0.85)로 정서인식 8문 항, 정서표현 7문항, 감정이입 7문항, 정서조절 15문항, 정서활용 10문항, 총 47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은 것을 의 미한다.
공격성은 이은아(2011)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공격성척도(Cronbach' α=0.97)로 개발한 설문지로 행동적 공격성 16문항, 적대감 8문항, 분노감 6문항으로 모두 30문항이다.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 을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언어폭력성은 Infante와 Wigley(1986)의 언어폭력검사(VAS: Verbal Aggressiveness Scale)를 번안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수 준에 맞게 수정한 Hyun(2013)의 언어폭력성 척도(Cronbach' α =0.86)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지는 다른 사람의 자아개념을 공격 하기 위한 근원이 되는 특징으로 욕설 5문항, 조롱 4문항, 희롱 4문 항, 협박 4문항, 저주 3문항으로 총 20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언어폭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Table 1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하위 항목별 신뢰도 분석 결과이 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Cronbach' α=0.878, 정서지능은 0.843, 공 격성은 0.939, 언어폭력성 검사는 0.878로 모두 0.80 이상으로 전 체적으로 신뢰할만하였다.
3. 자료수집과 분석
총 5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490부를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을 이용 하여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태도, 정서지능, 공격성, 언어폭력성 을 각각의 기술통계를 수행하였고,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 공격성・언어폭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 서지능과의 상관관계, 식물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 상관관계, 식물 에 대한 태도와 언어폭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Table 2는 식물에 대한 태도, 정서지능, 공격성, 언어폭력성 검 사의 기술통계 결과로 평균과 표준편자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에 대한 태도 평균은 110.71점으로 최고점수의 76.35% 수준, 정서지 능은 142.01점으로 60.43%, 공격성은 55.91점으로 37.37%, 언 어공격성은 40.54점으로 40.54% 수준으로 나타나 식물에 대한 태 도 점수는 높은 수준이며, 공격성과 언어폭력성은 낮은 수준이다.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Table 3 과 같다. 식물에 대한 태도와 정서지능은 정의 상관관계(p=0.000) 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 항목 중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에 서는 유의한 정의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정서표현, 정서활용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식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정서지능과 그 하위항목인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이 잘 된 다는 것을 의미하며, 식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정서표현과 정 서활용은 낮음을 의미한다. 식물에 대한 태도 중 식물의 중요성, 식 물에 대한 흥미, 식물의 이용 부분에서도 정서지능의 정서인식, 감 정이입, 정서조절에서 높은 유의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는 실제 프 로그램을 적용한 Kim(2009)의 정서지능 이론을 적용한 원예치료 가 맞벌이 가정 아동의 EQ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원예치료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정서지능의 정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 입, 정서조절의 모든 하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고 하여 본 연구의 정서활용부분의 부의 상관관계와는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식물체험활동이 아동의 정서발달 연구(Lee, 2008)에서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에서 효과가 있고, 정서활 용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와 Woo(2011)의 정서표 현, 정서조절, 정서활용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정서인식, 감정이입 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정 서지능과 식물에 대한 태도, 원예치료프로그램 적용에서 다양한 하 위영역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식물 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행동적 공격성과 적대감, 식물에 대한 중요성에서도 행동적 공격성과 적대감에서 0.000의 유의적인 상관을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와 중요성 점수가 높을수록 행동적 공격성과 적대 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가로수 및 공원수에서도 행동적 공격성 과 적대감, 식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질수록 행동적 공격성이 낮 아졌다.
Jeong과 Lee(2009)의 연구에서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실 시한 원예활동 전과 후에서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부정성, 흥분성, 폭력성, 언어적 공격성 및 간접 공격성 모두에서 감소되었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를 나타낸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Jeong et al.(2015)은 식물에 대한 태도는 4학년과 6학년은 차 이가 있으나 5학년은 차이가 없으며, 식물에 대한 중요성은 4학년 에 비해 5, 6학년이 높게 나타났지만, 식물에 대한 흥미도는 6학년 이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는 학년에 따른 식물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식물을 이용하여 학교폭력예방 프 로그램을 적용하고자 할 때 4학년은 식물에 대한 중요성을 중심으 로 구성하고, 6학년은 식물에 대한 흥미 중심의 프로그램을 구성하 여 프로그램의 차이를 둔다면, 공격성 및 언어폭력성 감소의 효과 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는 식물에 대한 태도와 언어폭력성은 유의적인 부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언어폭력성 이 낮아졌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언어폭력성 중 욕설, 조롱, 저주에서 0.000 의 유의차를 나타내어 하위영역에서 식물에 대한 중요성에서는 욕 설, 조롱, 가로수 및 공원수에서는 욕설과 저주, 식물에 대한 흥미도 에서는 욕설, 조롱, 저주, 식물에 대한 이용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욕설점수가 낮아지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Kang(2004) 의 자신이 직접 기르는 식물과 긍정적・부정적 대화를 나누어 보고, 식물이 느낄 기분을 상상해 보게 하면서 언어적 공격성을 감소된 것으로 본 결과와 같다. 이는 언어폭력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 로 식물을 이용하여 중요성, 흥미도, 이용 부분을 활용한다면 흥미 로운 활동으로 언어폭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생들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격성 및 언어폭 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예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 검증 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 한다면, 학교폭력예방 및 감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적요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경기와 전북 에 위치한 초등학교 2곳의 4, 5, 6학년 학생 각 180명씩 총 540명을 대상으로 식물에 대한 태도, 정서지능, 공격성, 언어폭력성을 설 문조사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식물에 대한 태도(식물에 대한 중요성, 가로수 및 공원수, 식물 에 대한 흥미도, 식물 이용)와 정서지능(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 조절)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지능의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능력이 높아 졌다.
식물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행동적 공격성, 적대감, 분노)은 유 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 록 공격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행동적 공격 성과 적대감, 식물에 대한 중요성에서도 행동적 공격성과 적대감에 서 매우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가로수 및 공원수에서도 행동적 공격성과 적대감, 식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질수록 행동적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식물에 대한 태도와 언어폭력성(욕설, 조롱, 희롱, 협박, 저주)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 수록 언어폭력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언어 폭력성 중 욕설, 조롱, 저주에서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었고, 식물에 대한 중요성에서는 욕설, 조롱, 가로수 및 공원수에서 는 욕설과 저주, 식물에 대한 흥미도에서는 욕설, 조롱, 저주, 식물 에 대한 이용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욕설점수가 낮아지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