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공간에서 모듈화 된 실내조경이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odularized Interior Landscape on Office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2):79-87
1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2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유 미1,, 이 은희2
1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39-774, Korea
2 Department of Horticulture, Bio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39-774,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ume@swu.ac.kr
Received 2015 January 2; Revised 2015 March 6; Accepted 2015 March 9.

Abstract

As office workers tend to spend more time indoors nowadays,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s has been emphasized. Those who work longer hours in the office are likely to get more stress from the environments. A number of studies have proved that the plants (natural elements) were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terior landscape is effective on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ffice work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determine the best modularized designs through rating psychological indices, and (2) to prove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ose designs onto actual office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pril, 2013.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rised of 124 juniors and seniors in Seoul Women’s University. They ar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eeking jobs upon graduation. To this end, field investigations,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most optimal model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been derived. Second, the interior landsca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nterior landscape with greens plays a big role in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Also, its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modularized design is combined with interior landscape. The limit of this study lies in its simplicity of design elements as emotional design aspects were quantifi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In the near future, further studies focusing on various design elements need to be carried out. To sum up,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psychological recovery of the office workers, and interior landscape becomes more prevalent in the workplace.

I. 서론

현대에 들어서 업무공간은 직장인들의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 족도 등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업화에 따른 업무형 태의 다양화, 지식 정보화 시대의 도래, 자동화 사무실의 출현 등 여 러 환경적 변화를 겪으면서 업무공간은 업무수행을 위한 물리적 개 념으로서의 공간만이 아닌 많은 사람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상호 소 통이 이루어지는 사회생활 공간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어 발전하였 다. 즉, 현대의 업무공간은 공간과 인간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보다 감성적인 공간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Kim, 2009).

업무자들이 장시간 머무는 공간에 자연요소를 도입하여 근무자 들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 완화는 물론 심리적인 안정감과 활력을 제공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업무자들이 지루 한 업무와 일상이 아닌 쾌적하고 생동감 있는 상태로 전환되며 보 다 능률적인 업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Kaplan(1995)은 이미 자 연환경이 회복환경으로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입증하였으 며, Berto(2005)는 자연환경으로의 노출이 집중력을 향상시키거 나 유지시키는데 기여한다고 하였다. Song(2004)은 실내식물경 관이 업무자 스트레스 경감과 정신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근전도(EMG), 심전도(ECG), 상태특성불안(STAI) 등 생리적 측면을 조사하여 실내식물경관이 업무자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디자인 개념으로서 실내조경에 관한 연구로 Jang(2001)은 실내조경 공간의 도입 시 건축적 배려에 대한 접근을 하였고 Kang(2005)은 고층오피스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요구 를 조사하여 휴게공간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Kim(2010)은 실내조경의 선호유형 도출을 위하여 디자인 변수로 디자인 형태, 녹 시율, 지속가능한 디자인, 어메너티, 공기정화기능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실내조경 분야의 심리적 기능과 효과에 관한 연구와 디자인 요소로서의 실내조경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내 조경을 디자인 개념으로서 디자인이 인간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주업무공간의 실내조경 조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업무자들이 주업무공간 이외의 공간 에서 하루 중 머무는 시간은 극히 미비하다는 것(Kang, 2005)이 선 행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바 있다.

따라서 실내조경을 통한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력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선호에 상응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서 실내조경의 심리적 접 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업무공간에서 물리적 환경 요소로서 디자인화 된 실 내조경이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러 한 식물의 심리적 회복 효과와 관련하여 업무자 선호 실내조경 공 간의 도출,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조경모델의 도출과 도출된 모델을 실제 업무공간에 적용하여 적용된 실내조경 모델의 업무자 심리적 회복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II. 연구 방법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도움을 주는 실내조경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고층빌딩 개방형 업무공간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 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주업무공간 내 실내조경 도입공간을 조사하 였다. 실내조경을 도입하기 위해 업무자 선호에 맞는 기본모듈을 제작하여 디자인 변수를 적용하였고 시뮬레이션 업무공간에 실내 조경 모델을 만들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2년 10월 15일부 터 11월 30일까지 S여대 3, 4학년의 예비 업무자들을 대상으로 시 뮬레이션을 활용한 클래스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선호도와 심리적 지표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심리적 지표평가에서 상위의 점수를 획득한 실내조경모델을 도출하여 도출모델을 실제 업무공간에 도 입하였고 실내조경 적용 업무지에서 근무하는 업무자들을 대상으 로 심리적 회복효과를 검증하였다(Fig. 1).

Fig. 1.

Flow chart of research.

1. 시뮬레이션 자료 구축

시뮬레이션 자료의 구축은 제작된 모듈에 녹시율과 기본모듈 배 치라는 디자인 변수를 산정하여 첨가하였고 이에 따라 실내조경모 델을 유형화 하였다.

1) 녹시율 변수 산정

녹시율(the ratio of greenery within the frame of vision)의 디 자인 변수는 녹시율과 회복환경 모델(Lee, 2007)을 근거로 산정하 여 실내공간에 도입하였다. 녹시율의 범위는 10%이내와 10~20% 로 산정하였고 기준 녹시율을 0%, 10%, 20%로 하였다. 녹시율 측 정은 Auto CAD 2013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면적 중 식물의 잎 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디자인에 따라 기준 녹시 율 내에서 약간의 차이는 허용했다(Table 1).

Design factors of landscape types in workplace.

2) 모듈 배치 디자인 변수 산정

기본 모듈의 배치형태와 플랜터(planter)의 추가 유무에 따라 대 칭과 비대칭, 높낮이의 변화를 두었다. 대칭의 경우 모듈을 1단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형태, 기본모듈에 사용한 플랜터를 하나 더 높임 으로 2단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형태, 중앙에만 플랜터 하나를 높인 형태와 양쪽에 플랜터를 높인 형태가 속한다. 비대칭의 경우는 하 단의 3개의 플랜터 위에 한쪽으로 치우쳐 플랜터를 1~2개 올린 형 태이다(Table 1).

2. 설문 자료 구축

1) 심리적 지표평가 자료

디자인 유형에 따른 업무자 심리적 지표평가를 위하여 회복환경 지각척도와 주의회복 지각척도를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심리 적 지각척도는 10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10-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였으며 자기기입방식으로 각 문항에 점수를 숫자로 기입하 게 하였다.

① 회복환경 지각척도

회복환경 지각척도는 Berto(2005)의 벗어남(Being Away), 넓 이감(Extent), 매혹감(Fascination), 적합성(Compatibility), 짜 임새(Coherence)의 회복환경 요소 5가지를 각 1개씩 넣어 만든 문 항을 Lee(201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Table 2).

Statements of restorative environment.

② 주의회복 지각척도

주의회복척도(Recovery Scale)는 특정 환경 속에 몸담고 있거 나 특정 환경을 볼 경우 주의 용량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도 를 주관적으로 측정한 것으로 Sttats et al.(2003)의 질문지를 Lee(201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Table 3).

Statements of attention recovery.

2) 설문방법 및 설문자료 분석 방법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Microsoft Excel 2010 프로그램과 SPSS 20.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 을 실시하였다.

① 실내조경 모델 도출에 관한 설문조사

2012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S여대 3, 4학년의 예비 업무자들 12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오피스에 근무하고 있는 상황 을 시나리오로 들려주고 시뮬레이션을 보면서 클래스 설문으로 진 행하였다. 슬라이드를 한 장씩 넘겨가며 10점 척도(1점=전혀 그렇 지 않다; 10점=매우 그렇다)로 기록하게 하였다.

선호도의 경우 녹시율이라는 디자인 변수의 순차적인 진행에 의 한 영향을 감안하여 녹시율 10%, 녹시율 20%의 순으로 보여주고 마지막으로 무작위로 전체유형을 보여주었고 각각 1위에서 3위까 지 선호유형을 기록하게 하였다. 또한 선호도 결과와 회복환경, 주 의회복의 결과를 반영하여 실내조경 6개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② 도출 모델 적용사 설문조사

업무자 4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일부터 4월 2일까지 실시 되었으며 실내조경 디자인 적용 전 조경식물이 없는 업무공간, 기 존 화분형(pot)으로 실내조경 식물이 있는 업무공간과 실내조경모 델이 도입된 업무공간 3유형에 대하여 심리적 지각 정도를 조사하 였다.

3. 실내조경 도출모델 적용

실내조경 모델의 적용회사 공간조사는 2013년 2월과 3월에 방 문하여 조사하였으며 실내조경 도입가능공간을 확정하기 위해 적 용사 바닥과 벽의 공간구조, 개인업무공간의 배치와 여유 공간을 조 사하였다.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선행연구에서 실내조경 의 도입공간 결과를 참고하여 최종 실내조경 도입공간을 확정하였 다. 개방형 오피스빌딩 내 주업무공간의 업무자 선호를 중심으로 한 실내조경을 직접 주업무공간 내에 도입하기 위하여 업무공간 중 한 곳인 팀별 분리공간에 도출 모델을 적용하였다. 현지 식물 도매상가 사정상 불가피하게 식물 수종의 수정을 거쳐 2013년 3월 4일부터 6 일까지로 S대학교 실험실에서 작업을 하여 2013년 3월 9일에 서울 시 중구 K빌딩 14층 1곳의 업무공간에 배치하였다(Fig. 2).

Fig. 2.

Spatial structure & plantscape site in workplace.

III. 연구 결과

1. 실내조경 모듈화 결과

업무공간에 실내조경 도입 시 작업의 효율성과 업무자의 이용성 을 고려한 디자인 모듈을 제작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 업무공간의 실내조경모델의 기본 단위로 삼았다. 선행연구 Shin et al.(2012) 의 ‘업무공간의 이용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실내녹화공간 표준유 형 제시’에 따르면 고층 오피스 빌딩 개방형 업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식물배합은 관엽과 꽃을 선호하였고, 식물의 종 수는 2~5종, 식물의 높이는 20cm~1m, 식물의 형태는 가로․세로 풍성한 형태와 밝은 색의 잎과 중간크기의 잎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감재 형태로는 화분형태를 선호하였으며, 화분의 재 질은 1위가 나무, 2위가 자연석이었으며 첨경물 선호는 자연석와 조명의 순이었다. 이 결과를 시뮬레이션 업무공간 모듈전개에 적용 하였다.

Lee(2008)의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실내식물의 시각적 이 미지 평가와 실내조경 유형화’와 실내공간 스타일 구분은 Kim (2004)Lee(2008)의 연구결과를 참고 하여 목본성 식물 분석을 하였고 모듈화 할 식물을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세가지 스타일에 가장 부합한 목본성 식물인 잎이 둥글고 녹색이 뚜렷하며 풍성함이 느껴지는 ‘킹 벤자민’(Ficus benjamina 'King')을 선정 하였다. 초본의 경우 ‘안스리움’(Anthurium andreanum)과 ‘아이 비’(Hedera helix)를 선정하였다. 아이비는 지피식물 선정에 있어 Yoo(2007)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였다. 이에 따르면 업무공간의 분 위기에 가장 근접하는 스타일인 SCU(Simple- Casual-Urbane)의 특징적 이미지로 초화류인 ‘아이비’(Hedera helix)가 해당되었 다. 이를 토대로 실내조경 화분모듈의 식물소재를 선정하였다 (Fig. 3).

Fig. 3.

Plant module of interior landscape.

2. 시뮬레이션자료 구축 결과

업무 공간 중 한 곳의 CAD 도면과 실제 사진을 가지고 컴퓨터그 래픽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업무공간 구성을 하였다. 실제 대상지 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대상지 업무용 공간의 색상과 공간배치를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선호 배치공간으로 조사된 파티션 앞 팀별 분 리공간에 모듈을 연결하여 배치함으로 바닥배치 업무공간 실내조 경모델을 완성하였다. 녹시율 10%와 20% 공간에 바닥배치 디자 인 유형을 6개씩 제작하여 디자인 변수(Table 1)를 적용하였고 시 뮬레이션을 작성하였다. 설문에 사용한 슬라이드사진 13장의 크기 는 모두 640 x 480 픽셀로 통일하였다(Fig. 4, 5).

Fig. 4.

Plantscape types of basic & 10% greenness index.

Fig. 5.

Plantscape types of 20% greenness index.

3. 실내조경 모델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업무공간 내 유형화한 실내조경모델을 배치하여 만든 시뮬레이션 업무공간을 예비 업무자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호도 결과

기본유형과 녹시율 10%와 녹시율 20%의 유형 13개의 업무공 간 실내조경 모델 선호유형의 가중치 합계를 조사한 결과 유형1-1 인 ‘녹시율 10% 1단 연결형’이 203점으로 가장 높았다. 기본 유형 의 경우 유형1-2인 ‘녹시율 10% 비대칭 1개 올린형’, 유형1-4인 ‘녹시율 10% 비대칭 2개 올린형’, 유형2-2인 ‘녹시율 20% 비대칭 1개 올린형’, 유형2-4인 ‘녹시율 20% 비대칭 2개 올린형’보다 높 은 가중치 합계가 나왔다(Table 4).

Preferring plantscape types.

모든 유형을 무작위로 보여 준 슬라이드를 보고 선호를 알아본 결과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유형1-1인 ‘녹시율 10% 1단 연결형’이 었다. 선호하지 않는 순서는 유형1-4인 ‘녹시율 10% 비대칭 2개 올 린형’이었다. 기본유형의 경우 유형1-2, 유형1-4, 유형2-2, 유형 2-4의 비대칭 유형보다 높은 가중치 합계를 나타내었다.

전체 선호도 조사에서 특이할 만한 사항은 예비 업무자들이 비 대칭의 실내조경 디자인 요소의 도입보다는 실내조경 디자인 요소 가 전혀 없는 기본유형을 선택함으로 업무공간의 실내디자인 요소 의 도입이 업무자들의 무조건적인 선호를 유도하지는 않는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2) 회복환경, 주의회복 지각척도 조사 결과

13가지 유형의 업무공간에 따른 회복환경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 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다(F=12.39,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 한 결과, 유형2-1(M=6.39)과 유형1-1(M=6.08)인 녹시율 10% 1 단 연결형’의 회복환경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것 은 기본유형(M=4.32)이었다(Table 5).

RE difference analysis of plantscape types.

13가지 유형의 업무공간에 따른 주의회복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 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다(F=21.65,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 한 결과, 유형2-1(M=6.36)인 ‘녹시율 20% 1단 연결형’이 가장 높 았고 유형2-3(M=5.73)인 녹시율 20% 중앙 올린형’과 유형 2-5(M=5.70)인 ‘녹시율 20% 대칭 2개 올린형’의 주의회복점수 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것은 기본유형(M=3.31)이었다 (Table 6).

AR difference analysis of plantscape types.

디자인 변수 녹시율(0%, 10%, 20%)에 따른 회복환경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F=69.23,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녹시율이 10%인 경우(M=5.12)와 녹시율 20%(M=5.31)가 회복환경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 음은 녹시율 0%(M=4.32) 순이었다(Table 7).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greenness index of plantscape types.

디자인 변수 녹시율(0%, 10%, 20%)에 따른 주의회복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F=103.57,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녹시율이 20%인 경우(M=5.70)으로 가장 높 았고 다음은 녹시율 10%(M=5.13)이었으며, 다음은 녹시율 0% (M=3.31)의 순이었다(Table 8).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greenness index of plantscape types.

디자인 변수 대칭과 비대칭의 디자인 요소에 의한 회복환경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57.38,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대칭의 경우(M=5.85)과 비대칭의 (M=5.33) 차이가 있었으며 대칭의 점수가 높았다(Table 9).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ym & asym of plantscape types.

디자인 변수 대칭과 비대칭의 디자인 요소에 의한 주의회복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92.48,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대칭의 경우(M=5.56)가 주의회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0).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ym. & asym. of plantscape types.

디자인 변수 높낮이 디자인 요소에 의한 회복환경의 차이를 비 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29.60, p<.005).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모두 1단의 경우(M=6.24)가 회복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단 중 1개와 2개 높인 화분 유형과 모두 높인 화 분유형의 평균차이는 없었다(Table 11).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tage of plantscape types.

이상 녹시율 10%와 20%의 차이에 의한 심리적 지표평가의 영 향을 통계분석 한 결과 회복환경의 경우 구성요소 즉 벗어남, 매혹 감, 짜임새, 넓이감, 적합성의 요소들을 업무공간 속에서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가를 주관적으로 측정한다는 측면에서 녹시율 변수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업무환경 속에서 일하거나 업무환경을 볼 경우 소진된 주의용량이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정도를 주관적 으로 측정하는 주의회복에서는 녹시율 차이가 있었으며 녹시율 20%의 주의회복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업무환경 내 업무자 개인 의 소진된 주의용량의 회복이라는 개인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 측면 에서 녹시율의 크고 적음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호 도에서는 기본유형이 몇몇의 비대칭 유형을 앞섰지만 심리적 척도 부분에서는 기본유형이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업무 자의 심리적 영향에 관하여 어떠한 형태보다는 녹시율이 우선적으 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디자인 변수 ‘대칭’과 ‘비대칭’의 회복환경점수와 주의회복 점 수의 차이는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즉 ‘대칭’이 ‘비대칭’보다 회복 환경과 주의회복 점수가 높았으며, 높낮이 변화에 따른 회복환경, 주의회복 점수의 차이는 모두 ‘1단 연결형’이 가장 점수가 높았으 며 나머지 유형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대칭은 ‘균형’과 ‘질서’, ‘완 전함’의 상징으로 안전한 미를 나타낸다(Jin, 2001)는 것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또한 2단보다는 1단의 안정감이 회복환 경과 주의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거라 사료된다.

4. 실내조경모델 도출 결과 및 분석

선호도 결과와 회복환경, 주의회복의 통계분석 결과를 종합하 여 선호도(Table 4), 회복환경(Table 5) 및 주의회복(Table 6) 점 수의 결과로 점수합계 6위까지의 실내조경모델을 도출 하였다 (Table 12).

Score of preference, restorative environment, attention recovery and character according to model-adopted.

업무공간에서 도출된 6개의 모델은 모두 대칭형으로 ‘1단 연결 형’, ‘중앙 올린형’ 그리고 ‘대칭 2개 올린형’이었다. ‘1단 연결형’, ‘중앙 올린형’ 그리고 ‘대칭 2개 올린형’ 모두 녹시율 10%와 20% 에서 다 선정되었으며 특별히 ‘1단 연결형’의 경우 종합 순위가 1, 2위로 가장 높았다. 세 개의 실내조경 모델이 녹시율 10%와 녹시 율 20%에서 동일하게 선정되었고 선호순위는 ‘녹시율 10% 1단 연결형’이 1위를 나타내었지만 회복환경과 주의회복 점수 1위는 동일한 형태의 실내조경 모델인 ‘1단 연결형 중 녹시율 20%가 차 지하였다. 종합 순위 결과 동일한 형태에서 녹시율 20% 모델이 녹 시율 10% 모델을 앞섰다(Table 12).

따라서 업무공간 내 업무자의 선호를 고려한 회복환경과 주의회 복을 높이는 디자인을 고려한다면 ‘대칭’의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리적 회복 효과를 고려한다면 개인적인 주의용량의 상승효과는 20%의 녹시율이 좋지만, 업무공간의 특성상 실내 가 구와 집기 등으로 인한 혼잡함을 피하면서 동선을 유도할 수 있도 록 녹시율 10%내외에서 20%까지의 적용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5. 실내조경모델 도입 후 결과 및 분석

실내조경 디자인 도입 후 회복환경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113.59, p<.001).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를 실시한 결과, 실내조경 모델이 도입된 업무공간(M=6.54)이 가장 높았으 며 다음은 화분형태의 조경식물이 있는 업무공간(M=4.22), 조경 식물이 없는 업무공간(M=3.25)의 순으로 조경식물이 없는 업무공 간이 회복환경이 가장 낮았다(Table 13).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plantscape cases in office place.

3가지 유형의 실내조경 디자인 도입 후 주의회복의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F=54.15, p<.001).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 test 를 실시한 결과, 실내조경 모델이 도입된 업무공간(M=7.53)이 가 장 높았으며 다음은 화분형태의 조경식물이 있는 업무공간(M= 5.62), 조경식물이 없는 업무공간(M=3.40)의 순으로 조경식물이 없는 업무공간이 주의회복이 가장 낮았다(Table 14).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plantscape types in office place.

실내조경 모델 배치 후 설문에 응한 적용회사의 40명의 설문자 응답 결과를 종합하면 업무공간 내 조경식물이 전혀 없는 것보다는 기존 화분이 있는 것이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정된 모델을 도입한 실내조경이 가장 높은 회복환경과 주의회복 점수가 나왔음 을 알 수 있었으며 조경 식물이 전혀 없는 공간과의 평균 차이가 2배 이상이었다. 따라서 실내조경에 디자인 요소가 결합된 실내조경 모 델이 도입된 업무공간이 업무자들의 심리적 만족감뿐만 아니라 심 리적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IV. 적요

현대의 사람들이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실 내공간의 물리적인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오피스에 서 장시간 근무하는 업무자들은 그들의 직무와 업무환경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인 안정감을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식물의 도입은 이미 많은 연구 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식물의 심리적 회복 효과와 관련하여 업무자가 선호하는 실내조경 공간을 도출하고 업무자의 심리적 회 복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조경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출된 모델을 실제 업무공간에 적용하여 적용된 실내조경모델이 업무자 의 심리적 회복에 기여하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예비 업무자 그룹인 S여대 3,4학년 124명과 실제 개방형 업무공간에서 일하는 40명의 업무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회복환경과 주의회복 척도를 가지고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조사, 현장조사 및 설문결과를 종합하여 실제 업무공간에 도출된 실내조경 모델을 적용함으로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업무공간에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 를 주는 디자인화 된 실내조경은 식물이 있으나 디자인화 되지 않 은 공간이나 식물이 없는 공간보다 1.5배에서 2배에 달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제시는 업무공간 내 실내조경 모델을 선정 하는데 있어 기존의 다양한 실내조경 디자인의 접근방법과는 차별 화 된 ‘선호’와 ‘회복환경 척도’와 ‘주의회복 척도’를 사용하여 보 다 심리적인 접근 측면에서 유용하였고, 단면적인 결과 도출이 아 닌 종합적인 제시를 통하여 디자인 선정이 의미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요소의 다양성과 많은 변수를 감안하여 볼 때 본 문에서 제시된 디자인 요소와 적용 공간은 극히 제한적이다. 이는 디자인 요소를 정량화 시키는 과정에서 일관성 있는 기준 제시로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인데 앞으 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많은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Berto R. Exposure to restorative environments helps restore attentional capa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05;25:249–259.
Jang SS.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siderations of the interior landscape spaces. MS thesis 2001. Konkuk Univ; Seoul:
Jin MJ. Flower art and design 2001. Mijin-sa Press.
Kang M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ural elements and psychological effects in office building's rest areas. MS thesis 2005. Konkuk Univ; Seoul:
Kaplan S. The restoration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995;15(3):169–182.
Kim CK. A study on the approach of sensitivity of a modern office design-focused on the office space of knowledge base business. MS thesis 2009. Kachun Univ; Kyeonggi-do:
Kim KS. Classification of interior design style and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ph. D. Dissertation 2004. Yonsei Univ; Seoul:
Kim SY.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ior landscape type for developing wellbeing trend product of construction enterprise. Journal of People Plants Environ 2010;13(4):69–76.
Lee HK. Visual valuation of Indoor Plants and Typological classification to indoor garden by interior design style. MS thesis 2008. Seoul Univ; Seoul:
Lee SH. The effects of the index of greenness simulation based on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upon emotion improvement.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2): 439–465.
Lee SH. The comparisons of urban, green roof and forest scenes by rating psychological indices. The Seoul Institute 2011;12(3):53–65.
Shin SH, Yoo M, Kim YM. A proposal for indoor greening standard type, through a survey of the users preferences in working space. Journal of People Plants Environ 2012;15(6):477– 483.
Song J E. Effect of interior plantscape in office on psychophysiological improvement and stress alleviation of indoor workers. ph. D. Dissertation 2004. Konkuk Univ; Seoul:
Sttas H, Kieviet A, Hartig T. Where to recover from attentional fatigue: An expectancy valu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eferen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03;23(2):147–157.
Yoo M. Imagination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according to the space types for interior landscape design. MS thesis 2007. Seoul Women's Univ;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Flow chart of research.

Table 1.

Design factors of landscape types in workplace.

Type* Design Factors

Index of Greenness (%) Sym/Asym Stage (Ratio of 2nd Stage)

Basic - - -

1-1 10 Sym 1 ( - )
1-2 10 Asym 2 (1/3)
1-3 10 Sym 2( 1/3)
1-4 10 Asym 2 (2/3)
1-5 10 Sym 2 (2/3)
1-6 10 Sym 2 (3/3)

2-1 20 Sym 1 ( - )
2-2 20 Asym 2 (1/3)
2-3 20 Sym 2 (1/3)
2-4 20 Asym 2 (2/3)
2-5 20 Sym 2 (2/3)
2-6 20 Sym 2 (3/3)
*

refer to the figure 2, 3 for types.

Note : Sym is symmetry, asym is Asymmetry, stage means number of stacked vertical plant box.

Table 2.

Statements of restorative environment.

No. Statement
1 That is a place which is away from everyday demands and where I would be able to relax and think about what interests me
2 That place is fascinating; it allows me to discover and be curious about things
3 That is a place where the activities and the items are ordered and organized
4 That is a place with no restrictions to movements; it is a world of its own
5 In that place, it is easy to orient and move around so that I could do what I like

Note : Berto, 2005

Table 3.

Statements of attention recovery.

No. Statement
1 I feel able to relax in this place
2 I feel refreshed and very energetic in this place
3 I feel very much able to focus on my courses again in this place
4 I feel able to able to think about interests me in this place
5 I feel able to ordered and organized in this place
6 I feel able to away from everyday demands in this place
7 I feel able to have concentration

Note : Lee, 2011

Fig. 2.

Spatial structure & plantscape site in workplace.

Fig. 3.

Plant module of interior landscape.

Fig. 4.

Plantscape types of basic & 10% greenness index.

Fig. 5.

Plantscape types of 20% greenness index.

Table 4.

Preferring plantscape types.

Type* 1st F Weight 3 2nd F Weight 2 3rd F Weight 1 Total F Total Weigh

miss _ing 0 0 0 0 0 0 0 0

Basic 7 21 0 0 7 7 14 21

1-1 46 138 24 48 17 17 87 203
1-2 1 3 3 6 5 5 9 14
1-3 2 6 11 22 15 15 28 43
1-4 1 3 0 0 1 1 2 4
1-5 6 18 15 30 15 15 36 63
1-6 3 9 7 14 8 8 18 31

2-1 36 108 32 64 17 17 85 189
2-2 2 6 3 6 4 4 9 16
2-3 9 27 14 28 13 13 36 68
2-4 1 3 3 6 1 1 5 10
2-5 8 24 7 14 14 14 29 52
2-6 2 6 5 10 7 7 14 23

Total 124 372 124 248 124 124 372 744
*

refer to the figure 2, 3 & table 1 for types.

Note : F is frequency.

Table 5.

RE difference analysis of plantscape types.

Type* N Mean S.D. F-value

Basic 124 4.32g 1.54 12.39**

1-1 124 6.08a,b 1.75
1-2 124 5.25e,f 1.55
1-3 124 5.77b,c,d 1.40
1-4 124 5.13f 1.50
1-5 124 5.68b,c,d,e 1.54
1-6 124 5.52c,d,e,f 1.57

2-1 124 6.39a 1.68
2-2 124 5.49c,d,e,f 1.62
2-3 124 5.80b,c 1.56
2-4 124 5.44d,e,f 1.55
2-5 124 5.68b,c,d 1.63
2-6 124 5.56c,d,e,f 1.75
Note : *

refer to the figure 2, 3 & table 1 for types.

**

p<.005, They (a~g) are results of Duncan test

RE is restorative environment, N is number,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6.

AR difference analysis of plantscape types.

Type* N Mean S.D. F-value

Basic 124 3.31h 1.66 21.65**

1-1 124 5.68b,c 2.03
1-2 124 4.91f,g 1.66
1-3 124 5.21c,d,e,f,g 1.64
1-4 124 4.77g 1.47
1-5 124 5.12d,e,f,g 1.64
1-6 124 5.04e,f,g 1.66

2-1 124 6.36a 1.79
2-2 124 5.44b,c,d,f 1.64
2-3 124 5.73b 1.71
2-4 124 5.36b,c,d,e,f 1.70
2-5 124 5.70b 1.78
2-6 124 5.56b,c,d 1.83
Note : *

refer to the figure 2, 3 & table 1 for types.

**

p<.005, They (a~h) are results of Duncan test

AR is attention recovery, N is number,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7.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greenness index of plantscape types.

Type Number Mean S.D. F-value
GR 0% 124 3.27 b 1.67 69.23**
GR 10% 744 5.12 a 1.95
GR 20% 744 5.31 a 1.98
Note : **:

p<.005, They (a,b) are results of Duncan test

RE is restorative environment,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8.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greenness index of plantscape types.

Type Number Mean S.D. F-value
GR 0% 124 3.31 c 1.66 103.57**
GR 10% 744 5.13 b 1.71
GR 20% 744 5.70 a 1.76
Note : **:

p<.005,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AR is attention recovery,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9.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ym & asym of plantscape types.

Type Number Mean S.D. F-value
Basic 124 4.33 c 1.54 57.38**
sym 992 5.85 a 1.63
asym 496 5.33 b 1.56
Note : **:

p<.005,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sym is symmetry, asym is asymmetry, RE is restorative environment,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10.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ym. & asym. of plantscape types.

Type Number Mean S.D. F-value
Basic 124 3.31 c 1.66 92.48**
sym. 992 5.56 a 1.80
asym. 496 5.12 b 1.64
Note : **:

p<.005,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sym indicates symmetry; asym. asymmetry; AR. attention recovery; SD.

standard deviation.

Table 11.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stage of plantscape types.

Type (Ratio of 2nd Stage) Number Mean S.D. F-value
Basic 124 3.31 c 1.54 51.06**
2 (2/3) 496 5.24 b 1.57
2 (3/3) 248 5.31 b 1.66
2 (1/3) 496 5.33 b 1.56
1 ( - ) 248 6.03 a 1.72
Note : **:

p<.005,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RE is restorative environment,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12.

Score of preference, restorative environment, attention recovery and character according to model-adopted.

Landscape model Pr, RE, AR Character
  • °Pr: 2nd

  • °RET: 3,966, REM: 31.9

  • °ART: 4,383, ARM: 35.3

GR: 20% symmetry
  • °Pr: 1st

  • °RET: 3,770, REM: 30.4

  • °ART: 4,935, ARM: 39.8

GR: 10% symmetry
  • °Pr: 3rd

  • °RET: 3,476, REM: 24.0

  • °ART: 4,578, ARM: 31.6

GR: 20% symmetry
  • °Pr: 5th

  • °RET: 3,601, REM: 29.1

  • °ART: 4,955, ARM: 39.9

GR: 20% symmetry
  • °Pr: 4th

  • °RET: 3,527, REM: 28.5

  • °ART: 4,449, ARM: 35.8

GR: 10% symmetry
  • °Pr: 6th

  • °RET: 3,578, REM: 28.9

  • °ART: 4,527, ARM: 36.5

GR: 10% symmetry
Note :

Pr indicates preferring ranking; RE. restorative environment ; AR. attention recovery ; Ts. total score, R is ranking. ; RET. total of restorative environment ; REM. mean of restorative environment ; ART. total of attention recovery ; ARM. mean of attention recovery ; GR. greenness index

Table 13.

RE difference analysis upon to plantscape cases in office place.

Plantscape cases in office place Number Mean SD F value
nothing 40 3.25 c 0.88 113.59***
plant pot 40 4.22 b 1.03
choosing models 40 6.54 a 1.27
Note :***:

p<.001,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SD is standard deviation.

Table 14.

AR difference analysis upon to plantscape types in office place.

Landscape type in office place Number Mean SD F value
nothing 40 3.40 c 1.96 54.15***
plant pot 40 5.62 b 1.80
choosing models 40 7.53 a 1.52
Note :***:

p<.001, They (a~c) are results of Duncan test. SD is standard dev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