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 체험 프로그램이 고교생들의 환경감수성,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rban Forest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6):515-521
1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2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박 경자1,, 신 창섭2, 연 평식2, 이 용주1
1 Dept. of Forest Therap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28644, Korea
2 Dept. of Fores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28644, Korea
*Corresponding author: parkaous@hanmail.net
Received 2015 November 10; Revised 2015 December 1; Accepted 2015 December 4.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rban forest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irty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weekly urban forest program, and thirty students to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ity along with lower academic stress. The results suggest that, as urban forest program enhances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students, their academic stress was reduced, and the program ma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 서론

도시숲(urban forest)은 국민의 보건휴양·정서함양 및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으로 공원, 학교숲, 산림공 원, 가로수 등을 말한다(Korea Forest Service, 2015). 도시숲은 법적· 물리적 공간개념 이상으로 환경적·생태적인 측면과 함께 문 화적· 전통적 공동체(community)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 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와 공동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에 일 반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실천적· 문화적인 참여활동을 포 괄한다는 측면에서 도시숲의 조성 및 보전·관리 과정에 시민들의 참여를 지향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5).

도시숲의 기능은 풍부한 산소의 공급, 열섬현상 완화, 소음 감소 및 대기정화 등 환경 보존 및 순화 기능, 숲이 인간에게 주는 육체적·정 신적 건강 관련 기능, 그리고 자연과 생태의 학습장으로서 교육 관 련 기능 등이 있다(Shin, 1998). 삶의 질이 향상되고 시민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런 도시숲의 가치가 재조명받아 최근 들어 도 시의 시민단체,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등이 연계하여 도시숲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도시숲을 청소년들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 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Kim(2015)에 따르면 한국 아동의 주관 적인 건강 상태는 OECD 30개 국가 중 최상위인 1위인데 반해 삶 의 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는 최하위인 30위로 극명한 반대 결과를 보였다. 신체적 측면은 매우 양호하나 정신적 측면은 매우 취약한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높은 교육열은 청소년들의 인성보다는 학 업 성적에 치중하도록 강요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악영 향을 주고 있다. 전국의 중, 고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의 학업주의문제를 가장 많이 경 험하고 있으며, 진로문제, 충동과다행동, 교사와의 충돌문제, 인터 넷중독 등이 그 뒤를 이었다(Lee, 2012).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시숲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 진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도시숲 종류중 하나인 학교 숲이 전 인적 인격형성에 큰 도움을 주고 학생들의 공격성과 분노감 등 청 소년의 폭력성을 낮출 뿐 아니라 집중력을 높이고 정서를 함양시키 는 효과를 보였다(Lee, 2014). 특히 학교숲은 학생들의 환경감수 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2014). 환경감수성 은 환경에 대한 경험적· 인지적 태도로서 환경 친화적 행동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감성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중요하다. Oh et al. (2012)은 인터넷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 을 대상으로 숲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증상이 완화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Shin(2013)은 학교숲의 산 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행동 양상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봄, 여름, 가 을에 산림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계절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감이 향상되고,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Cho et al., 2014).

이와 같이 도시숲의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도시숲을 다양한 교육 현장에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진 전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우선, 숲체험이 고등학생들의 정신 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대다수 선행연구들 의 연구 대상이 초등학교 학생이나 중학생에 치중되어 있고(Kim, 2013; Shin, 2013; Oh et al., 2012; Lee, 2014; Cho et al., 2014) 대입을 위한 과도한 학습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가장 극심한 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다. 고등학생은 심리적 충격, 우울, 불안 등 대입 입시에 대한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데 반해 스트레스 에 대한 대처방식이 미숙하여 제대로 학업 스트레스를 해결하지 못 하고 있다(Ryu et al., 2010). 숲체험은 고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 스를 완화시키고 공부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 다(Shin and Ryu, 2004). 따라서 숲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스 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고등학생들의 실질적인 고민인 학업 성적 에도 도움이 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숲체험이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 니라 환경감수성과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건강과 의 관련성을 함께 조사할 필요가 있다. 환경감수성이 환경·생태 교 육으로 환경감수성이 향상된다는 선행 연구들이 많으나(Lee, 2014) 환경감수성이 학생들의 정신적 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 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숲 활동을 통하여 변화된 환경감수성 을 조사하고 환경감수성의 변화와 숲 활동의 결과물인 정신적 건강 의 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숲이 없는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보다 필요하다. 학교숲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연구들은 다양하게 진 행되었으나(Lee, 2014; Jeong et al., 2010; Shin and Ryu, 2004) 학교숲이 없는 대다수의 학교들에서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 힘든 부 분이 있었다. 학교숲이 없는 경우 학교 주변의 수변공원, 도시공원 등 도시숲을 활용하여 숲체험을 하였을 때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의 주변 자연 환경을 활용한 도시숲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교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숲체험 프로그램이 환경감수성을 향상시킴으 로써 학업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줄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 한, 숲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교생들의 학업 성적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학업 성적의 변화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학교 인근에 근접한 도시숲이 있어 프로그램을 용이 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도시 관리 계획상 도시녹지지역이 73%로 녹지가 풍부한 충남의 K 시에 있는 K고등학교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반 담임교사가 공 고를 하여 60명을 모집하였다. 각 30명씩 대조군, 실험군을 학년별 로 나누어 Microsoft Excel 2007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 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실험동 의서를 받았다.

2. 측정도구

1) 환경감수성

환경에 대한 공감도와 친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im(2007)가 사용한 환경감수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야외경험의 상호작용, 좋 아하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자연환경에 대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이다.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있고, 5점 Likert 척도로서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로 점수를 측정하며 점수 가 높을수록 환경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환 경감수성 척도의 Cronbach's alpha는 .763이었다.

2) 학업스트레스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하여 Bae (2009)이 사용한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성적, 시험, 수 업, 공부, 진로, 교사관계, 친구관계 등 학업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이다. 총 30문항으로 구성되 어있고, 1(전혀 받지 않는다)에서 5(매우 받는다) 사이의 점수로 평 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의 Cronbach's alpha는 .918이었다.

3) 학업 성적

학생들의 학업 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군과 실험군 전체 학생들의 전과목 평균 점수와 전교 석차를 이용하였다. 평균 점수 는 시험의 난이도와 변별력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객관적인 기준 이 될 수 있는 전교 석차를 함께 조사하였다. 실험 초반에 실시된 중 간고사 성적과 실험 종반에 실시된 기말고사 성적으로 평가된 평균 점수와 전교 석차를 제공받아 사전·사후를 비교하였다.

3. 실험 절차 및 방법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험 참여자인 K고등학교 60명의 학 생들이 사전에 자가설문지인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작성한 뒤 무작위로 30명씩 대조군, 실험군으로 배정된 후 실험군 은 주1회 2시간씩 총 10회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 군은 같은 시간에 자율 학습을 하였다. 프로그램 기간은 2014년 3 월 27일 ~ 7월 31일이였다. 프로그램이 종료된 뒤 다시 환경감수성 과 학업스트레스를 조사하였다.

실험 장소는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교 인근의 수변공 원, 근린공원, 도시산림공원 등으로 하였다(Fig. 1). 각 공원의 면적 과 공간특성, 주요 수종은 Table 1과 같다. 학교와의 거리는 1Km 로 근린지역으로 숲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산림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 2).

Fig. 1.

The location of test site.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The configuration of program.

4. 숲체험 프로그램 내용

숲체험은 숲을 오감으로 직접적으로 느끼고 받아들이는 교육 방 법이며, 숲체험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체험을 목표에 맞게 체계적 으로 구성하여 숲체험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Park, 2010).

본 연구에서 구성한 숲체험 프로그램의 목표는 「도시숲 체험을 통해 인성과 감성을 키우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 청소 년들의 정신건강을 이롭게 한다」였으며, 숲체험 프로그램의 구체 적 내용은 Table 2와 같다.

프로그램은 크게 공감의 숲, 관찰의 숲, 희망의 숲 3가지로 구성 하였다. ‘공감의 숲’은 숲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프로그램으로 1~3 회기이다. 1회기의 목적은 자연을 통해 감성적인 공감대를 형성하 는 것으로 숲 산책을 하며 나와 닮은 자연물을 찾아 별칭을 지어보 고 자신을 소개한다. 2회기의 목적은 숲의 소중함을 아는 것으로 숲 을 걸어오면서 자신이 남긴 흔적들을 찾아보고 원래 상태로 되돌리 는 노력을 해본다. 3회기의 목적은 숲에서 오감 체험을 하는 것으로 2명이 짝을 이루어 한명씩 눈을 감고 친구에게 의지하여 숲을 걸어 본다. ‘관찰의 숲’은 산림생태계를 관찰하여 숲의 구성인자, 생태 계 순환 등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으로 4~7회기이다. 4회기의 목적 은 땅속의 생태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흙속의 나무, 곤충, 벌레 등 땅 속 환경을 관찰하여 종이에 정리해본다. 5회기의 목적은 하천 생태 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천변의 생물을 관찰하고 모래, 자갈 등을 이 용해 간이정수기를 만들어본다. 6회기의 목적은 숲에서 규칙과 배 려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으로 숲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전통놀이 를 함께 해본다. 7회기의 목적은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이해하는 것 으로 먹이사슬에 대한 개념을 설명해주고 숲에서 벌레들의 먹이사 슬을 찾아본다. ‘희망의 숲’은 숲의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하여 개인 의 욕구나 정서를 표현하고 자존감을 높이는 프로그램으로 8~10 회기이다. 8회기의 목적은 자신의 일상을 되돌아보는 것으로 숲을 묵언산책하면서 마음에 드는 곳에 머물며 명상하는 시간을 갖는다. 9회기의 목적은 희망의 메시지를 나누는 것으로 숲에서 죽간에 희 망의 메시지를 적어 서로 함께 공유한다. 10회기의 목적은 자연물 을 이용해 자신의 꿈을 표현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숲을 산책하면서 찾은 자연물로 팀별로 자신들의 미래를 발표하고 서로 격려해준다.

5. 자료 분석

대조군, 실험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 고, 사전·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 t-test를 활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전값을 공변 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업스트레스 와 환경감수성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관성 분석을 실 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실험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에 참여한 학생 60명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두 집단의 성별 구성은 대조군은 남자 15명, 여자 15명이었고, 실험군 은 남자 9명, 여자 21명이었다. 학년 구성은 두 집단이 동일하였으 며 가정의 생활수준은 대다수 학생이 ‘중’이었다.

The configuration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2. 대조군, 실험군의 동질성 검증

두 집단의 학업스트레스, 환경감수성, 학교 석차를 대상으로 동 질성 검증을 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독립 t-test 결과 모든 척도 의 유의수준이 .05보다 매우 크므로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est of homogeneity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3.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 결과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의 사전·사후 변화는 Table 5와 같 다. 환경감수성의 경우,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군 은 평균 58.07에서 65.2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학업스 트레스의 경우, 대조군은 평균 96.10에서 98.53으로 다소 증가하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평균 96.93에서 92.23으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집단간에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1.421, p=.238) 환경감수성은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F=5.366, p=.024).

Result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cademic stress.

숲 체험 프로그램으로 환경감수성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선행 연구들(Kim, 2007; Kang and Kim, 2012)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숲체험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숲의 자연물과 생태계 구성 요 소들을 직접 오감으로 느끼고 체험하면서 자연과의 공감도와 친밀 도를 높여나가도록 하였다. 자연과 교류하는 방법을 익히면서 차츰 학생들이 자연을 보다 친숙하게 느끼고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숲체험 프로그램으로 실험군의 환경감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증가한 반면, 학업스트레스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진 않 았다. 고등학생들은 초, 중학생과는 달리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 서 집단적인 생활을 하며, 대입 준비를 위한 학업 공부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주1회 숲체험 프로그램으로 학업스트레스를 크게 감소시키기는 역부족인 것으로 생각된다.

숲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 변화의 관 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의 환경감수성과 학업스트레스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 Table 6과 같다. 상관계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480, p=.007). 이를 통 해 환경감수성이 증가할수록 학업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 다.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서 스트레스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려 고 하기보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서 잠시 벗어나 환경을 전 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숲체험을 통해서 환경에 대한 공 감도와 친밀감이 높아진 학생들일수록 스트레스 유발 환경에서 쉽 게 벗어나 학업스트레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소한 것으로 보인다.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Δ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Δ academic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4. 학업 성적 결과

학업 성적을 평가할 수 있는 전과목 평균 점수와 전교 석차를 사 전·사후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대조군의 평균 점수가 57.47에서 56.25로, 전교 석차는 평균 약 87등에서 89등으로 다소 하락하였으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반면, 실험군은 평균 점수 가 58.65에서 60.06으로 다소 상승하였고, 전교 석차는 약 85등에 서 78등으로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조군 과 실험군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교 석차가 집단간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F=6.981, p=.011).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전교 석차의 상승이 숲체험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효과라고 보긴 힘들겠으나 정신적으로 우울감, 적대감 등이 클수록 학업 성적이 낮고(Kang and Jung, 1999)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다(Yang and Cho, 2009)는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였을 때 숲체험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향상시 켜 학업스트레스가 경감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교 석차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학업 성적이 향상된 또 다른 원인으로 추론해볼 수 있는 것은 숲이 주는 주의력 회복효과이다. Kaplan and Kaplan(1989)이 주창한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에 따르면, 도시 환 경은 도시민들에게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한 의도적 주의(voluntary attention)를 과도하게 요구하여 그들의 주의 자원(attention resource) 을 쉽게 고갈시키는 반면, 자연 환경은 의도적 주의를 요구 하지 않아 고갈된 주의 자원을 회복시켜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 다. 주의회복이론을 본 실험에 적용하면, 실험군의 학생들은 매주 주기적으로 자연환경인 도시숲에 노출되었으므로 학업 공부로 인 해 고갈된 주의 자원이 회복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공부에 대한 집중도가 향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숲이 있는 학교의 학생 들이 주의집중성 기질이 높았다는 선행연구(Shin and Ryu, 2004) 와 일맥상통한다.

IV. 적요

본 연구는 도시숲의 교육적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시숲을 활용한 숲체험 프로그램이 고교생들의 학업스트레스, 환경 감수성과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 변화를 통하여 조 사하였다. 연구 결과,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환경감 수성과 전교 석차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환경감수성의 변화와 학 업스트레스의 변화는 유의하게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접근이 용이한 도시숲에서 청소 년들을 위한 다양한 숲체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ferences

Bae GU. A study on career choice and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2009.
Cho YM, Kim DJ, Yeoun PS, Kwon HK, Cho HS, Lee JM. The influence of a seasonal forest educ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of adolescent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2014. 18(2)59–69.
Jeong TS, Shin WS, Yeoun PS, Lee JH, Lee JH.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2010. 14(3)87–98.
Kang SH, Jung E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ygien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99. 13(4)405–424.
Kang YS, Kim YS. An effect of forests activities for life resp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 17(2)1–18.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Kim IJ.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anger and aggression from low income families. Mater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2013.
Kim JM. Building up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forest-experiential education around school.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007.
Kim MS.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2015. 214–26.
Korea Forest Service. The introduction of urban forest. http://www.forest.go.kr 2015.
Lee GH.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 environmental sensitivity,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 focused on urban area of Chungbuk province. Master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2014.
Lee HY. Current status of adolescent behaviors problem and crisis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2. 14(1)239–271.
Oh CH, Park SG, Park SGTS, Oh IJ.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ion teenage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 13(5)2395–2415.
Park SB. A study on effects of th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urban forest on the eco-tourism attitude and section. Master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2010.
Ryu J, Kim BM, Shin HS, Jeong JY, Choi NH. Relationship with stress from university entrance competitions, self esteem, coping strateg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10. 6(3)223–241.
Shin GH. A study on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at applied forest therapy and effectiveness -cente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ability to adapt to school.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2013.
Shin WS. Meaning and value of forest in urban society. Forest and Culture 1998. 7(3)20–23.
Shin WS, Ryu JH.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student Tempera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04. 7(2)74–82.
Yang AK, Cho HJ. The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9. 9(1)341–35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location of test site.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Site Area (m2) Features Species of trees

Waterfront park 890 Upstream areas are ecosystem conservation areas.
Downstream areas offer trails for such as the citizens' health and relaxation.
Salix koreensis Andersson
Rumex crispus Linnaeus
Akebia quinata Decne
Leonurus japonicus Houttuyn
Phragmites communis Trinius
Typha orientalis Presl

1st Neighborhood park 40,505 Fitness facilities and Civic Square leisure facilities are installed.
There are a lot of beautiful flowers and fruit trees.
Magnolia kobus DC.
Pinus strobus L.
Rhododendron sp.
Acer palmatum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Euonymus japonica Thunb.
Lagerstroemia indica L.

2nd Neighborhood park 37,974 A red clay road, wild garden and octagonal Pavilion are installed.
Healing space for local residents and workers.
Pinus densiflora Siebold &Zuccarini
Magnolia kobus DC.
Morus alba L.
Rhododendron sp.
Acer palmatum Thunb.
Iris koreana Nakai

Metropolitan natural park 1,764,816 There are various species of forest resources.
Leisure and relaxation space for citizens.
Turczaninow
Rhododendron sp.
Pinus densiflora Siebold &Zuccarini
Pinus rigida Mill.
Magnolia kobus DC.
Acer palmatum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mongolica Fisch.
Morus alba L.

Table 2.

The configuration of program.

Theme Session Program Goal Site

Forest of empathy 1 Introducing myself with a attracted natural object Create a common ground with nature Waterfront park
2 Tracing back footsteps Look back on one's life Metropolitan natural park
3 Helping a blindfold friend walking in a forest road Raise the bond with friends 2nd Neighborhood park

Forest of observation 4 Observing the underground ecosystem Trace back to one's origin Metropolitan natural park
5 Observing the river ecosystem and making a simplified water purifier Think the global environment Waterfront park
6 Playing traditional games Learn the importance of rules 1st Neighborhood park
7 Observing insects in forest Learn survival strategies Metropolitan natural park

Forest of hope 8 Meditating in forest Think back one's daily life 2nd Neighborhood park
9 Writing a poetry on bamboo poles Exchange hopeful messages 1st Neighborhood park
10 Finding treasures in forest Find one's ego and value Metropolitan natural park

Table 3.

The configuration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Item Control Group (n=15) Experimental Group (n=15)

Gender Male 15 9
Female 15 21

School year 1 17 17
2 12 12
3 1 1

Standard of living Low 1 0
Lower middle 1 2
Middle 23 22
Higher middle 4 3
High 1 3

Table 4.

Test of homogeneity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Scale Group N Mean (SD) t p

Academic stress Control 30 96.10 (18.29) -.180 .857
Experimental 30 96.93 (17.49)

Environmenta l sensitivity Control 30 57.47 (10.65) -.217 .829
Experimental 30 58.07 (10.73)

Average score Control 30 57.65 (24.15) -.160 .873
Experimental 30 58.64 (23.73)

Schoolwide ranking Control 30 87.50 (60.58) .103 .919
Experimental 30 85.90 (60.02)

Table 5.

Result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cademic stress.

Scale Group Time Mean (SD) t p

Environmental sensitivity Control Pre 57.47 (10.65) -.714 .481
Post 59.40 (11.98)

Experimental Pre 58.07 (10.73) -3.351 .002*
Post 65.23 ( 6.50)

Academic stress Control Pre 96.10 (18.29) -.577 .569
Post 98.53 (20.96)

Experimental Pre 96.93 (17.49) .947 .352
Post 92.23 (21.34)
*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5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Δ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Δ academic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ΔAcademic stress

ΔEnvironmental sensitivity -.480*
*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5

Table 7.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Scale Group Time Mean (SD) t p

Average Score Control Pre 57.66 (24.15) 1.404 .171
Post 56.25 (24.97)

Experimental Pre 58.65 (23.74) -1.084 .287
Post 60.06 (22.73)

Schoolwide Ranking Control Pre 87.50 (60.59) -.834 .411
Post 89.03 (61.02)

Experimental Pre 85.90 (60.03) 2.520 .017*
Post 78.83 (56.07)
*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