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재배용 발포 폴리프로필렌 소재화분에 적합한 인공배지의 선발

Selection of Artificial Media for the Growing Vegetables of Expanded Polypropylene(EPP) Po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1):51-56
1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2 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김 동한1, 차 무상1, 손 병구2, 김 홍열1, 임 기병1,
1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
2 Department of Horticultural Bio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Corresponding Author: kblim@knu.ac.kr
Received 2014 January 8; Revised 2014 February 17; Accepted 2014 February 2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light and good water-holding medium suitable for expanded polypropylene(EPP) pot judging from the growth reaction of vegetables on artificial medium. Solidity ratios were 27.4% in medium A of control and about 10% in medium B~E respectively. Vapor ratio was 90% in medium B~E, which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72.6% in medium A. Water-holding capacities were 63.6g in medium A and more than 70g in medium B~E. pH in medium B was highest by 5.6 and pHs of medium C, D, E were higher in order. EC of medium A was the highest by 2.16 ds/m but those of medium B~E were very low by 0.43 ds/m under. Physical properties of medium used were not changed. Leaf number of endive were most by 19.2 in medium D, E. Leaf length and width of lettuce were about 19cm and 11cm in medium B~E showing no difference in medium, which were larger than 14.7cm and 9.1cm in medium A respectively. Number of leaves and root length in medium B~E were larger than medium A like leaf sizes. Leaf length of mustard in medium B~E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medium A. Stem lengths of tomato in medium C~E were about 50cm, which is longer than medium A. Flowering dates were the earliest on 28th of July in medium D, second earliest on 30th of July in medium E. Number of frui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dium but was the most in medium E by 8. From the above results, artificial medium made in this experiment was lightweight and had good water-holding capacity compared to existing horticultural medium on sale. It was judged that the most suitable medium for endive, lettuce, mustard, tomato is E (Coco peat:Peat moss:Sphagnum moss=2:5:3) considering growth of vegetable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dium.

I. 서론

오늘날 현대인들은 도시의 발달과 산업화로 인한 핵가족화, 녹 지감소, 도시의 열섬화, 대기 및 수질 오염을 통한 농산물의 오염, 그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 많은 문제점 속에 살아가고 있다 (Jang, 200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 도 시 속 원예 즉 가정원예, 원예치료, 옥상녹화 등 원예 분야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는 실정이 다(Cho and Park, 2005; Jang et al., 2013; Ryu et al., 2013). 더욱 이 2012년 7월 1일부로 도시농업 지원법이 발효됨에 따라 도시농 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의 일 환으로 가정 내 원예활동이 증가하면서 원예 상품의 수요가 급증하 고 있다. 또한 최근 트렌드로 웰빙의 추구와 수입농산물은 물론이 고 국내 농산물도 농약의 과다 처리 등 먹거리에 대한 불신이 늘어 나면서 가정에서 채소를 직접 재배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도시농업 및 가정원예의 활동은 도시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위안과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이 되고 있 으며 교육기관에서도 실습 및 정서교육 등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분, 상토 및 원예자재 등 도시원예 관련 자재가 개발, 활용되고 있다.

도시원예의 활동장소가 도심의 녹지공간 감소로 인하여 가정의 경우 대부분이 아파트 베란다나 옥상 등으로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 다(Kim and Lee, 2001). 아파트 베란다와 건물옥상의 경우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고 또한 건물의 하중과 재배자의 특 성(고령자, 어린이, 여성 등 노약자) 등에 따라 원예자재의 경량화 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계절에 따라 온도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단열성이 높은 자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제품들 은 비싸며 무겁고 다루기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기존 의 제품보다 저렴하고 견고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다룰 수 있는 제 품을 기술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원예자재의 경량화의 경우 화분은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다양한 색과 형태로 경량화가 이루지 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경우 고가로 햇빛에 노출되면 변색과 함께 부식되고 약간의 충격으로 파손되기 쉬우며 더욱이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의 범퍼, 헬멧 등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 는 EPP(Expended Polypropylene)는 친환경 소재로 다이옥신 등 의 발생이 없고 연소열량이 높아 폐열회수 및 자원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이다. 또한 EPP의 경우 재료비가 저렴하며, 가볍고, 단열성이 크고,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고급스러운 외관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의 도시원예 화분용 소재이 다. 그러나 이에 관한 실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도시원예용 배지의 경우에도 경량화와 함께 배지의 물리화 학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인공배지에 관한 실험은 주로 자루재배에 서 시도되어 왔으며(Choi et al, 2011; Kim et al., 2000; Lee et al., 1996; Sim et al., 2006), 최근에는 옥상녹화에도 시도(Ryu et al., 2013)되고 있으나 채소재배 분화용 배지에 관한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도시원예 용토의 경우 대부분이 버미큘라이트, 피트모 스, 펄라이트 등을 다양하게 혼합한 배지가 시판되고 있다. 더욱이 식재시 화분의 흙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토양오염, 병해충 발 생, 식물종류에 맞는 영양공급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 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베란다나 옥상은 식재공간 이 부족하고 특 수한 환경이기 때문에 가볍고 보수력이 뛰어난 배양토의 개발이 필 요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몇 가지 인공 배지를 조제하여 채소류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EPP소재 화분에 적합한 가볍고, 보수성 등이 우수한 배 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I. 연구방법

1. 식물재료

본 실험에서는 엽채류인 상추 ‘청치마’ (Lactuca sativa ‘Chongchima’), 엔다이브 ‘Green Curl’(Cichorium endivia ‘Green Curl’), 머 스타드 ‘Gient’(Brassica nigra ‘Gient’)와 과채류인 방울토마 토 ‘Tiny Tim’(Lycopersicon esculentum ‘Tiny Tim’)을 사용하 였다.

50공 셀 트레이에 원예범용상토인 식물세계(주, 농우바이오)를 사용하여 상추, 엔다이브, 머스타드, 방울토마토의 종자를 6월 21 일에 파종하였다. 발아 후 피터스 액비(N:P:K=20:10:20)를 질소 100mg·L-1의 농도로 주1회 시비하였다. 본엽이 2~3매 정도 생장 했을 때 직경 12cm 비닐화분에 Table 1과 같이 조제한 배양토를 사 용하여 정식하였다. 정식과 동시에 모든 화분에 완효성 비료인 Agroblen(N:P:K=18:8:16)을 3g씩 시비하였다. 정식 후 1주일 간 격으로 최대엽장, 최대엽폭, 엽수 그리고 토마토의 경우 초장, 개화 일, 과일수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엔다이브, 상추는 7월 29일, 머 스타드는 8월 5일, 토마토는 9월 2일에 종료하였다. 재배는 유리온 실에서 실내환경과 유사하게 차광하였으며, 6반복으로 실시하였 다. 실험기간 중 온도는 Thermo Recorder TR-72U(T&D Corp. Japan)로 측정하였으며 최고 29.7°C, 최저 13.3°C, 평균 21.5°C 였다. 실험장소의 평균 유효광량은 Spectrum 1000 Series(USA) 로 측정하였으며 PAR 104.6 μmol·m-2·s-1였다.

The mixing ratio of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2. 배양토의 조제

본 연구는 베란다, 옥상 등 도시원예용 EPP소재화분에 적합한 가볍고 보습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보수력 이 낮은 인공배지인 코코피트, 피트모스, 수태를 Table 1과 같은 비 율로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인공배지의 pH와 EC는 Table 2와 같다. 대조구인 배지 A는 (주)농우바이오의 원예상토인 ‘식물 세계’를 사용하였다.

pH and EC of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3. 배양토의 물리화학성 분석

실험 실시 전후 각 배양토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분석하였다. 배지의 고형율은 100mL의 비커에 각 배지를 채워서 무게를 측 정하여 나타내었다. 공극율은 100mL에서 고형율을 뺀 수치로 하였다. 최대용수량은 화분에 100mL의 배지을 담고 충분하게 관수한 다음 중력수가 제거된 한 시간 뒤에 무게를 측정하여 계 산하였다. pH 와 EC는 배지 100mL를 증류수 300mL와 함께 Stirrer를 이용해 골고루 섞어 준 뒤 Filter paper를 이용해 여과 시킨 액체의 pH와 EC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반복으로 하였다.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BM SPSS Statistic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던컨 다중검정(Duncan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토양의 물리 화학성 분석

본 실험에 사용된 다섯 가지 배지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고형율의 경우 대조구인 A배지는 27.4% 인데 비해서 본 실험에서 조제한 B~E배지는 10% 정도로 고형 율이 매우 낮았다. 공극율은 고형율과는 반대로 B~E배지의 경 우 90% 정도로 A배지 72.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함수량은 공극율과 비슷하게 A배지보다 B~E배지가 높게 나타 났다. 이와 같이 본 실험에서 조제한 B~E배양토의 고형율, 공극 율, 함수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A배지와 비교하여 고형율이 반 이하로 가볍고 보습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5.1 이상이었으며 배지별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 제한 배지의 경우 Coco peat가 많이 함유된 배지 B와 C의 경우 다른 배지에 비해 pH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피트모스 함량 이 높을수록 pH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C의 경우 대조 구인 A배지가 2.16ds/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배지에 비료성 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조제한 B~E배지의 경우 0.43ds/m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재배 상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코피트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EC가 높았는데 이는 코코넛 수확, 채취과정에서 염류 가 혼입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코코피트 제조시 염류 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oil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배지의 물리화학성은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Jang et al.(2013) 은 벽면녹화용 배지 실험에서 숯은 배지의 pH를 상승시킨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pH는 코코피트와 피트모스의 비율에 따 라 변하였고, EC는 코코피트의 함량에 따라 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제시 사용한 각 배지의 화학성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되 며, 실제로 본 실험에 사용된 코코피트는 pH와 EC가 높았으며 피트모스는 pH가 낮았다(Table 2).

Choi et al.(2011)은 딸기 자루배지의 실험에서 코코피트와 펄라이트, 코코칩을 다양하게 배합한 결과 배지 간에물리화학성 에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특히 피트모스와 펄라이트=5:5의 배지 가 공극율이 우수하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hoi et al.(2011) 과 달리 펄라이트와 같은 무기질배지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는 기존의 배지보다 공극율이 20% 정도 상승하였다.

Table 4는 엔다이브의 재배 4주 후 각 배지의 물리화학성을 조사 한 결과이다. 모든 배지의 고형율과 공극율, 보수력은 실험 전 토양 분석 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조제한 배지의 물리성 이 상당기간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pH는 5.8정도로 증가하였 으며, EC는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1.0 ds/m 이상 이었으며 배지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이와 같이 모든 배지의 EC가 비슷한 수 준을 나타낸 것은 완효성비료인 Agroblen을 3g씩 동일하게 시비 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배지 E의 경우 EC가 1.29 ds/m 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다른 배지보다 높았다.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oil media after 4 weeks of Endive culture.

Jang et al.(2013)은 벽면녹화용 배지선발 실험에서 보수력과 보비력(CEC)이 높은 배지의 경우 식물을 재배한 후 에도 배지의 EC가 높았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 CEC는 조사하지 않았지만 사 용한 배지 E의 EC가 다른 배지보다 높은 것은 Jang et al.(2013)의 고 찰대로 배지 E의 보비력이 다른 배지 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는 기존의 배지에 비해서 가 볍고, 보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월 정도 사용 후 에도 물리성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베란다, 옥상 등 특수한 조건에 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이동성과 노약자 등을 고려하면 가볍고 보수력이 높은 배지가 요구되는데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는 도시 원예용 EPP소재 화분의 경량 배지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엔다이브의 재배결과

배지조성에 따른 엔다이브의 실험개시 4주후의 최종 생육 측정 치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엽장과 근장의 경우 배 지 간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 나 엽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엽수의 경우 배지 D, E에 서 19.2장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지 C가 14.6장으로 다른 배지에 비 해 통계적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엔다이브의 경우 엽수를 제외하면 배지 간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엽수와 함께 물리성과 화학적인 특성을 고 려하고 EPP소재를 활용한 판매용 포장화분을 만들어야 되는 특성 상 수태의 비율이 높아서 비교적 가벼운 배지 E가 엔다이브 재배에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Cichorium endivia 'Green Curl'.

3. 상추의 재배결과

배지조성에 따른 상추의 최종 생육 측정치에 대한 통계처리 결 과는 Table 6과 같다. 엽수, 엽폭의 경우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 B~E는 각각 19cm, 11cm 정도로 배지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 구인 배지 A의 14.7cm, 9.1cm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수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지만 잎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조제한 배양토 B~E가 배양토 A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장의 경우도 엽수 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상추의 경우에도 엔다이 브와 마찬가지로 엽폭, 엽장, 엽수 등과 배지의 물리화학성을 고려 할 때 배지 E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Effect of various media on tde growtd of Lactuca sativa Chongchima .

4. 머스타드의 재배결과

배지조성에 따른 머스타드의 최종 생육 측정치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엽장의 경우 대조구인 배지 A가 15.5cm로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 B~E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폭의 경우 8cm 내외로 배지 간에 유의한 차이 는 보이지 않았다. 엽수는 가장 적은 것이 배지 A로 7.4장, 가장 많 은 것이 배지 D로 8.4장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근장의 경우 배지 간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이와 같이 머스타드의 경우 배지 A를 제외하면 조제한 배지 간에 생육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배지의 물리화학성을 고려할 때 상추 와 마찬가지로 배지 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Brassica nigra Gient .

5. 토마토의 생육결과

배지조성에 따른 토마토의 최종 생육 측정치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초장의 경우 대조구인 배지 A가 37.8cm로 가장 작았다. 그러나 조제한 배지의 겨우 B를 제외하고 50cm 정도 로 대조구인 배지 A에 비해 유의하게 생장량이 증가하였다. 엽수와 줄기의 굵기는 배지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차는 없었다. 개화일은 배지 D가 7월 28일로 가장 빨랐으며 그 다 음이 배지 E로 7월 30일이었다. 과실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으나 배지 E가 8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장의 경 우 배지 B가 24.1cm로 가장 짧았으며 그 외의 배지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토마토의 경우도 초 장, 과실수, 개화일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엽채류와 마찬가지로 배지 E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베란다, 옥상 등과 같이 장소가 협소하고 특수 한 환경조건에서 도시원예용 EPP소재 화분재배에 적합한 가볍고 보습성이 우수한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조제한 4가지 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시판의 원예 상토 보다 고형율은 낮고 함수량은 높아 가볍고 보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특히 고형율은 배양토의 경량화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양토는 10% 정도로 시 판의 배양토 27.4%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함수량 또한 70% 이상 으로 시판의 배양토보다 높았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배양토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수태로 모두 유기질 성분이었다. 이는 배지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는데 이미 설명한대로 조제 배양토의 고형율은 낮았으며 기존의 배양토 보다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기성분의 배양토는 토양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기 때문에 질소성분의 소실, 물리성의 악화 등으로 식물의 생육에 장해가 있을 수도 있다(Verdoneck and Pennink 1985; Larson 1992). 그러나 본 실험에서 머스타드를 1 개월 정도 재배한 배양토의 물리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물리성은 거 의 변하지 않았다(Table 4). 또한 토마토의 경우 10주간 재배하였 으나 기존의 원예상토보다 생육이 동등하거나 좋았다(Table 8).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iny Tim .

인공배지에 관한 실험은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으며 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인공배지의 조성에 따라 물리성과 화학성이 달 랐으며 또한 식물의 생육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et al. 2011; Jang et al 2013; Kim et al. 2000; Lee et al. 1996; Sim et al. 2006). Jang et al.(2013)은 실내 벽면녹화용 관엽식물의 생 장에 적합한 인공배지의 선발에서 배지조성에 따라 물리화학성이 다르며 관엽식물의 생욱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Jeong et al.(2012)은 울릉연화바위솔의 경우 배지 조성에 따라 생육에 차이 가 컸으며 마사:유비상토:모래=60:20:2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 다고 하였다. Ryu et al.(2013)은 옥상 인공습지 조성을 위한 적정 배지 실험에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배지가 다르다고 하였 다. 그러나 태백둥근바위솔의 분화재배에 적합한 용토 실험에서는 용토 간 생육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Jeong et al. 2012).

본 연구에서 조제한 배지는 공극율이 90% 정도로 매우 높았으며 함수량은 70% 이상으로 측정되어 Choi et al.(2000)Fonteno et al.(1981)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배지의 물리성이 식물재배에 수 용될 수 있는 범위라고 생각되었다. 특히 EC는 0.43 ds/m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화학성에 따른 생육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 다. 실제로 본 실험에서 대상으로 한 머스타드, 상추, 엔다이브, 토 마토의 경우 조제한 배지 B~E에서 생육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오 히려 대조구의 시판되고 있는 원예상토보다는 생육이 양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식물의 생육에는 배지의 EC뿐만 아니라 공극 율과 수분함수량 등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im et al.(2006) 의 경우도 펄라이트를 사용한 자루재배에서 공극율이 생육에 영향 을 준다고 하였다. Lee et al.(1996)도 오이 자루재배에서 배지의 차이가 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도 대 조구와 조제한 배지와의 생육 차이는 배지의 물리화학성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제한 배 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배지의 조성 성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도 코코피트가 많이 함유된 배지의 경우 그 렇지 않은 배지보다 pH와 EC가 높았으며, 피트모스가 많이 함유 된 경우 pH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 E는 경량으로 보수 력이 높아서 도시의 베란다, 옥상 등 특수한 조건에서 도시원예용 EPP소재 화분의 채소류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채 소뿐만 아니라 화훼류, 산채류 등 다양한 식물에 대한 추가적인 실 험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V. 적요

본 실험은 인공 배지를 사용하여 채소류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EPP소재 화분에 적합한 가볍고, 보수성이 우수한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고형율은 배지A가 27.4%였으며 배지B~E는 10% 정도였다. 공극율은 B~E의 경우 90% 정도로 A의 72.6%보 다 유의하게 높았다. A의 함수량은 63.6g 이었으나 B~E는 70g 이 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의 pH는 5.6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으로 C, D, E 순이었다. EC의 경우 A가 2.16ds/m 으로 가장 높았 으며 B~E의 경우 0.43ds/m 이하로 매우 낮았다. 사용한 배지의 물 리성은 변하지 않았다. 엔다이브의 엽수는 D, E에서 19.2장으로 가 장 많았다. 상추의 엽장과 엽폭은 B~E에서 각각 19cm, 11cm 정도 로 배지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배지 A의 14.7cm, 9.1cm보다 유의 하게 증가하였다. 엽수와 근장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지만 잎의 크 기와 마찬가지로 B~E가 A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타드 의 엽장은 B~E가 A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 다. 토마토의 초장은 C~E에서 50cm 정도로 A에 비해 유의하게 생 장이 증가하였다. 개화일은 D가 7월 28일로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 이 E로 7월 30일이었다. 과실수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E가 8 개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는 기존의 원예상토에 비해 가볍고 보수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식물의 생육과 배지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엔다이브, 상추, 머 스타드, 토마토의 재배에 적합한 배지는 E(코코피트:피트모스:수 태=2:5:3)로 판단되었다.

References

Choi JM, Chung HJ, Choi 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as container media. Kor. J. Hort. Sci. Technol 2000. 18529–535.
Choi JM, Park JY, Latigui A. Impa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growth of mother plants and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in 'Seolhyang' strawberry propagation through bag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011. 2995–101.
Cho SW, Park SG. A study on the user's opinion of interior landscape into apartment housing. Leview of the Architecture and Bulding Science 2005. 2599–102.
Fonteno WC, Cassel DK, Larson RA. Physical properties of three container media and their effect on poinsettia growth. J. Amer. Soc. Hort. Sci 1981. 106736–741.
Jang TK, Kim HY, Lim KB. Selection of artificial media suitable for the growth of foliage plants for indoor vertical garden. Flower Res. J 2013. 2111–16.
Jeong KJ, Chon YS, Choi KO, Ha SH, Yun JG. Proper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s for potted Orostachys japonicus for. magnus. Korean J. Soc. Hor. Sci. and Tech 2012. 30357–362.
Jeong KJ, Chon YS, Ha SH, Yun JG. Optimum light intensity, media and fertilization for potted Orostachys malacophyllus. Flower Res. J 2013. 2147–52.
Kim GJ, Woo IS, Lee EM, In MS, Kim JH. Determination of optimal seedling age for bag culture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J. Bio-Enviorn. Control 2000. 9146–150.
Kim SY, Lee J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lants in residential interior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2001. 369–74.
Larson RA. Introduction to floriculture 1992. California: Academic Press; –127.
Lee EH, Lee JW, Kwon JS, Nam YI, Cho IH, Kwon YS. Effects of substrates on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in bag culture. J. Bio. Fac. Environ 1996. 515–22.
Ryu BY, Cho YU, Kim YS. Selection of proper artificial media and rootzone depth for constructing wetlands on the rooftop greening. Flower Res. J 2013. 2169–74.
Sim SY, Lee SY, Lee SW, Seo MW, Lim JW, Kim SJ, Kim YS. Desir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erlite for tomato bag culture. J. Bio-Environ. Control 2006. 15231–238.
Verdoneck O, Penninck P. The composting of bark with soy scrap ludge. Acta Hort 1985. 172183–18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he mixing ratio of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Medium Mixing ratio (v/v)

Coco peat Peat moss Sphagnum moss

Az - - -
B 5 3 2
C 4 4 2
D 3 4 3
E 2 5 3
z

Plant World(Nongwoobio Co.).

Table 2.

pH and EC of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Medium pH EC (ds/m)

Coco peat 6.36 0.43
Peat moss 4.54 0,05
Sphagnum moss 4.78 0.09

Table 3.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oil media used in this experiment.

Mediumz Solidity ratio (%) Vapor ratio (%) WHCy (g) pH EC (ds/m)

A 27.4 ax 72.6 b 63.6 b 5.1 c 2.16 a
B 10.0 b 90.0 a 74.2 a 5.6 a 0.43 b
C 10.2 b 89.8 a 72.8 a 5.4 ab 0.30 c
D 10.6 b 89.4 a 75.4 a 5.3 bc 0.22 d
E 10.2 b 89.8 a 73.0 a 5.1 c 0.15 d
z

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

Water holding capacity.

x

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Table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oil media after 4 weeks of Endive culture.

Mediumz Solidity ratio (%) Vapor ratio (%) WHCy (g) pH EC (ms)

A 25.0 ax 75.0 c 64.6 c 5.8 a 1.00 a
B 10.8 b 89.2 a 72.2 b 5.8 a 1.09 a
C 10.8 b 89.2 a 71.2 b 6.0 a 1.08 a
D 10.4 b 89.6 a 72.0 b 5.8 a 1.19 a
E 12.8 b 87.2 a 76.2 a 5.8 a 1.29 a

z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Water holding capacity.

x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Table 5.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Cichorium endivia 'Green Curl'.

Mediumz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h (cm)

length (cm) width (cm)

A 21.1 ay 6.8 ab 15.0 ab 25.3 a
B 22.0 a 7.4 a 15.6 ab 24.8 a
C 21.2 a 7.1 a 14.6 b 19.5 a
D 23.5 a 19.2 a a 6.8 ab 21.7a
E 19.9 a 5.9 b 19.2 a 21.0 a
z

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

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Sowing date was Jun 21st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July 29th.

Table 6.

Effect of various media on tde growtd of Lactuca sativa Chongchima .

Mediumz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d (cm)

length (cm) width (cm)

A 14.7 by 9.1 b 16.2 a 15.4 a
B 18.1 a 11.0 a 19.0 a 16.6 a
C 18.8 a 11.3 a 18.8 a 17.4 a
D 19.1 a 11.6 a 18.8 a 15.9 a
E 18.2 a 10.9 a 19.0 a 19.3 a
z

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

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Sowing date was Jun 21st and td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July 29th.

Table 7.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Brassica nigra Gient .

Mediumz Longest leaf No. of leaves Root length (cm)

length (cm) width (cm)

A 15.5 by 7.9 a 7.4 a 21.6 a
B 17.3 a 8.4 a 8.2 a 20.6 a
C 17.0 ab 8.2 a 8.0 a 19.2 a
D 16.3 ab 8.4 a 8.4 a 20.3 a
E 15.9 ab 8.3 a 7.6 a 22.4 a
z

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

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Sowing date was Jun 21st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August 5th.

Table 8.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growth of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iny Tim .

Mediumz Plant length (cm) No. of leaves Stem diameter (mm) Flowering date (M/D) No. of fruits Root length (cm)

A 37.8 by 35.8 a 7.6 a 8/01 a 6.2 a 27.6 ab
B 43.1 ab 34.8 a 7.7 a 8/05 a 5.0 a 24.1 b
C 49.3 a 39.6 a 7.7 a 8/05 a 5.2 a 32.2 a
D 50.2 a 37.8 a 8.1 a 7/28 b 7.6 a 31.7 a
E 49.6 a 38.2 a 7.7 a 7/30 ab 8.0 a 31.8 a

zMedium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yMean separation in columns by DMRT test, 5% level. Sowing date was Jun 21st an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September 2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