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통합감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for Self-Integ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of Cancer Pati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6):503-508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이 상미, 최 연하, 정 선희, 김 경미
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5365, Korea
*Corresponding author: sangmilee@korea.kr
Received 2015 September 24; Revised 2015 November 24; Accepted 2015 November 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for cancer patient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integrity. Seven cancer patients were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of 7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2 to June 30 in 2014. As the results, the sub-category of self integr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otal self-integr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rticulture therapy (p=0.042). Post-traumatic growth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after horticulture therap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could be utilized as an appropriate program for increase of self-integrity in cancer patients in future.

I. 서론

암은 우리나라 건강문제 중 하나로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 으며 그 발생률과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우리나라 모든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99년 10 만 명당 219.9명에서 12년 10만 명당 319.5명으로 증가하여 연평 균 3.5%의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암 생존자수는 2005년 348,096명에서 2015년에 는 1,114,833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암의 발생 및 암의 치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많은 암환자들은 질병 자체에 대한 고통뿐만 아니라 치료로 인한 부작용과 불편함을 견디어야 하 며, 지속되는 치료로 인해서 커다란 스트레스와 정신적, 신체적인 부담을 가진다(Goldstein et al., 1976).

식물을 재배하고 가꾸는 활동은 재활과 치유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인간은 식물의 변화를 보면서 사고와 창조 의 기회를 갖게 된다(Lewis, 1996). 이러한 원예활동의 치유효과 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활동 프로그램 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불안, 우울, 분노, 스트레스 등의 감 소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Wichrowski et al., 2005).

치료적 원예, 원예치료는 최근 친환경적 삶, 자연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보완요법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에서 불안과 우울이 감소하였 고(Shin, 2012; Jeong, 2011), 희망이 증진되었으며(Shin, 2014),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Jeong, 2011), 심리적 안정과 혈압, 맥박의 안정적 변화가 있었다 는 보고가 있었지만(Shin, 2012), 여전히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자아통합감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바로 보고 수 용하는 것(Erikson, 1997)으로 생애전반에 대한 인식정도를 나타 내며, 외상 후 성장은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외상 사건을 경험하 고 대처한 결과로 나타난 개인의 긍정적인 변화(Tedeschi and Calhoun, 1995)이다. 암환자에게 있어서 암이라는 질병의 진단 및 투병과정은 극도의 신체· 심리적 외상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서 죽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 를 가지게 되어, 세상에 대해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구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Kim et al., 2008).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효과 연구의 일 환으로 실내활동중심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암환자들에게 적용 하여 자아통합감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원예 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통합감 및 외상 후 성장의 향상을 위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II.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통 합감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군(E)에게 프로그램 직전에 사전 검사(O1)를 실시하고, 실내활동중심 원예치 료 프로그램(X1)을 수행한 후, 다시 사후 검사(O2)를 실시 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Table 1).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G도 S시에 소재한 지역암센터에 내원하고 있 는 암환자 중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7 명이다. 대상자의 성별은 모두 여성, 평균 연령은 만 49.4세, 교육정 도는 고등학교 졸업, 진단받은 병명은 유방암, 병기의 진행정도는 초·중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lients.

3. 연구 도구

1) 원예치료과정

(1) 사정

실험군의 치료적 문제 확인과 동시에 사전 평가를 위하여 프로 그램 시작 전에 자아통합감과 외상 후 성장(K-PTGI) 검사를 수행 하여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를 파악하였다.

(2) 계획

원예치료적 진단(diagnosis)은 ‘암 투병과정과 관련한 정신건 강의 저하’로, 치료목적(goal)은 ‘정신건강의 향상’으로 설정하였 다. 치료목표(objective)는 치료목적과 사정내용에 근거하여 매 회 기별로 2-3개로 설정하였다.

(3) 실행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4년 5월 12일부터 2014 년 6월 30일까지 주 1회, 총 8회 매회기 90분 실행되었다. 치료진 은 주치료사 1인(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1급 복지원예사), 보조치 료사 3인(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1, 2급 복지원예사)으로 이루어 졌다.

수행된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 8회기 목록 및 매 회기 별 활동명은 Table 3과 같다.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indoor activities for cancer patients.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기르기와 꾸미기 영역으로 기르기 활동 은 1회기 새싹채소 파종하기, 2회기 허브식물 소형 정원만들기, 4 회기 수경심지 화분만들기, 6회기 다육식물 소형 정원만들기, 7회 기 관엽식물접시정원만들기로 다양한 형태의 화기에 다양한 식물 과 방법으로 식재하도록 안내하였고, 꾸미기 활동은 3회기 잔디인 형만들기, 5회기 포푸리 주머니만들기, 8회기 토피어리 만들기로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원예소재를 적용하고, 창의적 인 작품이 되도록 유도하여 원예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 다. 또한 심리적 양상과 관련한 목적을 가지고 치료적 개입이 이루 어졌다. 본 프로그램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치료적 개입은 프로그램 전반에 있어 온정, 수용, 경청, 존중, 공감, 근거 있는 칭찬 등의 긍정 적 강화 및 보상, 동기부여와 같은 긍정적 관계와 관련 있는 지지적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또한 생물학적 요인의 심리학적 통합(Relf, 1992)과 이와 관련된 질문을 제공하여 통찰과 자기수용이 가능하 도록 도왔다.

회기별 활동을 살펴보면, 1회기 새싹채소 파종하기에서는 새싹 채소의 효능을 익힘과 동시에 새싹이 가지는 새로운 생명력에 대하 여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2회기 허브식물정원은 허브의 이 식과 삽목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개체의 탄생에 대한 기대감 과 잘려진 자리에서 새살이 돋아난다는 삶이 의미하는 희망의 메시 지를 찾도록 격려하였다. 3회기 잔디인형 만들기에서는 최초 만든 잔디인형의 민머리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라나는 잔디인형의 머 리를 통하여 투병 중 경험한 탈모, 이발, 발모의 과정을 인식하고 그 때의 생각과 느낌을 나눌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4회기 수경 심지화 분 만들기는 접시수반의 물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과 마음을 읽어보 도록 격려하고, 심지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처럼 자신에게 있어 지속적인 에너지원이 무엇인지 찾아보도록 유도하였다. 5회 기 포푸리 주머니 만들기는 선택한 포푸리 주머니 색과 향의 치유 효과를 설명하였고, 포푸리 주머니를 복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복과 향기를 가득 담은 주머니로 형상화 하였다. 6회기 다육식물정원 만 들기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는 다육식물의 삶과 자신의 삶 을 연결하여 긍정적인 삶의 통합을 이루도록 격려하였다. 7회기 관 엽식물 접시정원 만들기에서는 정원이 지니고 있는 다양성과 식물 을 경작하고 가꿈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삶을 가꾸고 발전시키는 곳 이 정원임을 인식하도록 안내하였다. 8회기 토피어리 만들기에서 는 관엽식물의 뿌리가 다치지 않게 수태로 정성껏 감싸고 낚시줄로 꼼꼼히 감아가는 과정을 통하여 내 삶 또한 정성들여 보호하고 가 꾸고 꾸며가는 것임을 인식하게 하였다.

(4) 평가

매 회기별 평가는 회기 내 관찰된 대상자의 모습과 변화에 초점 을 맞춘 대상자 평가, 활동의 진행 및 재료 준비의 적절성 등에 초점 을 맞춘 활동평가 및 치료사의 원예와 대상자에 대한 지식, 기술, 치 료적 개입 내용의 적절성을 포함하는 치료사 평가가 담긴 원예치료 평가표(Suh and Lee, 2004)를 원예치료사가 기술하였고 사전에 실시했던 자아통합감 및 외상 후 성장 검사를 프로그램 사후에 실 시하였다.

2) 측정 도구

(1) 자아통합감

대상자의 자아통합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Miller(1993), Erickson( 1963) 등을 통해 설정된 개념적 기틀에 의거한 현재생활에 대 한 만족, 지혜로운 삶, 생에 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수령·노령에 대한 수용, 지나온 일상에 대한 수용 등 6개의 영역의 31문항으로 Kim(1988)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노령과 관련된 문항을 제 외, 수정, 보완하여 총 24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되어 있고 부정적인 문항은 역으로 환산되며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의 범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통 합감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Cronbach α값은 0.865로 나타났다.

(2) 외상 후 성장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Tedeschi and Calhoun(1995, 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 척도를 Song(2006) 이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를 사용하 였다. K-PTGI는 외상 경험 후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개인의 지각 정도를 측정하며, 16문항 6점 Likert 자기보고식 척도로 외상 경험 이후 긍정적인 변화에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나는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지 못하였다(0점)’, ‘나는 이러한 변화를 매우 작은 정도 경 험하였다(1점)’, ‘나는 조금 변화를 경험하였다(2점)’, ‘나는 꽤(보 통) 변화를 경험하였다(3점)’, ‘나는 많이 변화를 경험하였다(4 점)’, ‘나는 매우 많이 경험하였다(5점)’의 6가지 반응 가운데 하나 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이 후 긍정적 변화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하위 요인으로는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 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 종교적 관심의 증가가 있 다. 본 연구의 Cronbach α값은 0.821로 나타났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실험군 내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Kolmogorov-Smirnov test를 실 시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값에 대한 정규분포를 확인하였고, 측정 도구 부분에 Cronbach α값을 제시하여 응답의 신뢰성을 확인하였 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 사후 평균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Wilcoxon sing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연구대상 모집 시 다른 보완적 프로그램을 동시에 참 여하고 있는 대상도 포함되어 원예치료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제가 어려웠다. 또한 조사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지역암센터 내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표집과정에서 표본의 대표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으므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 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자아통합감과 외상 후 성장은 국내 원예치료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하는 지표로서 예 비연구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보완연구에서 는 대조군 및 대상자 수를 충분히 확보한 실험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III. 결과 및 고찰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암환자의 자아통 합감과 외상 후 성장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4, 5, 6과 같다.

Normality of pre-score for self-integ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Pre-post difference comparison for self-integrity for within experimental group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Pre-post difference comparison for post-traumatic growth for within experimental group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1. 정규성 검증

자아통합감과 외상 후 성장의 정규성을 검증한 결과, 사전 자아 통합감(p=0.200)과 외상 후 성장(p=0.200)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군 내 사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Table 4).

2. 자아통합감

자아통합감의 경우, 종합적으로 자아통합감 평균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7.86점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42, Table 5). 반면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 지혜로운 삶, 생에 대 한 태도, 지나온 일상에 대한 수용의 4개 하위항목의 평균은 높아지 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 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통합감을 증가시키 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원예치료 수행 후 노인 의 자아통합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Lee, 2010), 만성질환노인 의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는 Kim(2010)의 연구와도 유사하였다.

자아통합감이란 자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바로 보고 수용하며 인생의 중심부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깊은 배려를 통해 세상을 사는 ‘지혜’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Erikson, 1997). 자아통합에 이른다는 것은 외부세계와 자신 내면에 있는 결 함들, 고통스런 감정의 근원들과 화해하고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 견하는 것이다. 이 경지에 이른 사람들은 노년을 쓸쓸함이나 절망 감 없이 살아갈 수 있으며, 죽음과도 타협할 수 있고, 과거에 대한 후 회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Kim, 2004). 본 실내활동중심 원 예치료프로그램에서 적용하였던 새싹, 잔디인형, 다육식물이라는 소재와 삽목, 정원만들기라는 생물학적 요인을 새롭고 강인한 생명 력과 새로운 삶, 그 삶을 가꾸는 과정이라는 인간사의 일부 및 심리 학적 탐색으로 통합한 부분은 외부세계와 자신의 내면에 있는 결합 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Stamm and Barber(1999)는 원예 가 생명주기를 다루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물의 생명주기 와 인간 자신의 생명주기를 쉽게 바꾸어 생각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원예치료가 인간의 건강과 안녕 증진에 기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렇듯 자아통합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본 프로그램은 암 의 투병과정동안 경험하게 될 쓸쓸함, 절망감,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의 경우, 대인관계 깊이 증가, 자기지각의 변화, 영 적· 종교적 관심에서는 평균점수가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Table 6). 또한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에서는 평균점수 가 0.14점 낮아졌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종합적으로 외상 후 성장 평균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5.42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73).

외상 후 성장이란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외상 사건을 경험하 고 대처한 결과로 나타난 개인의 긍정적인 변화를 말한다(Tedeschi and Calhoun, 1995). 외상 후 성장은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낙관 성과 삶의 의미가 높을수록 높아진다(Jeon, 2012). 자아통합감에 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식물재료 및 식물생장과정, 원예활동과정을 자신의 삶과 통합하여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준 부분은 삶의 의미 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새싹의 새로운 생명력, 삽목과정에서의 새로운 개체의 탄생, 잔디의 생장, 다육식 물의 강인한 생명력 등을 통하여 긍정성, 낙관성의 개념이 전달되 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위 결과에서 외상 후 성장의 평균점 수가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아, 본 프로그램에서 적용한 내용에 어떤 부분의 수정 및 보완이 요구되는 지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통 합감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를 위하여 온정, 수용, 경청, 존중, 공감, 근거 있는 칭찬 등의 긍정적 강화 및 보상, 동기부여와 같은 긍정적 관계와 관련 있는 지지적 피 드백이 제공되었다. 또한 생물학적 요인의 심리학적 통합(Relf, 1992)과 이와 관련된 질문을 제공하여 통찰과 자기수용과 같은 원 예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적용이 암환자들의 심리·사 회적 기능증진을 위해 활용 가능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 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병원, 지역암센터 및 보건기관 내 심 리· 사회적 기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에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 완, 확대 적용한 검증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IV. 적요

본 연구는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들의 외상 후 성장,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7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2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주 1회, 총 8회 실행되었다. 실험결 과,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 으나, 종합적으로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군 의 외상 후 성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 구결과를 통해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암환자의 자아 통합감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Erickson EH. Childhood and society. 1963. 2nd edth ed. Norton; NY. USA:
Erickson EH. The life cycle completed. 1997. Norton; NY. USA:
Goldstein HSR, Edelberg CF, Meier Davis L. Relationship of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o experienced anger and expressed anger. Psychosomatic Medicine 1976. 50(4)321–329.
Jeong KS.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tress, anxiety, depr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l. Univ. Daejeon. Korea 2011.
Jeon BR. The effects of perceived threat, optimism, and meaning in life on post 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MS thesis. Keimyung Univ. Daegu. Korea 2012.
Kim AS. Adult development and life design. 2004. Sigma Press; Seoul, Korea:
Kim HJ, Kwon JH, Kim jn,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a brease cancer survivors. Kor. J. Health Psychol 2008. 13(3)781–799.
Kim JS. A study of social activities and ego integrity of the aged.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1988.
Kim ML.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ith reminiscence o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focusing on ego integrity and self-esteem. MS thesis. Uiduk Univ. Gyeongju. Korea 2010.
Lee K.K.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cultivating program on the ego-integration of older. MS thesis, Dankook Univ., Seoul, Korea 2010.
Lewis CA. Green nature human nature: the meaning of plants in our lives. 1996. Univ. of Illinois Press; IL. USA:
Mattson RH. In : Mattson RH, Shoemaker J, eds. A graphic defini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model. Defining horticulture as a therapeutic modality. Part 2: Models in horticultural therapy 1982. Kansas State Univ. Press and Dept. of Horticulture, Forestry and Recreation Resources; Kansas City, KS, USA: 43–58.
Miller PH. Theori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93. W.H. Freemna; San Francisco. CA. USA: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incidence trend analysis. http://www.cancer.go.kr 2012.
Relf D. Horticulture: A therapeutic tool. J. Rehab 1992. 39(1)27–29.
Shin HM. Horticultural therapy for enhancing hope and reduc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cance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014.
Shin JM.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e change of the blood pressure and the pulse in wome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MS thesis. Catholic Univ. of Daegu. Daegu. Korea 2012.
Song S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S thesis. Chungnam Natl. Univ. Dajeon. Korea 2006.
Stamm I, Barber AL. The nature of change in horticultural therapy. J. Therapeutic Hort 1999. 1058–62.
Statistics Korea. Current state of cancer incidence and death.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013.
Suh JK, Lee SM. Application and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2004. Dankook Univ. Press; Seoul. Korea:
Tedeschi RG, Calhoun LG.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1995.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 USA: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 Traumatic Stress 1996. 9(3)455–472.
Wichrowski M, Whiteson J, Hass F, Mola A, Rey MJ.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mood and heart rate in patients participating in an inpatient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J. Cardio-pulmonary Rehab 2005. 25(5)270–27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unding :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PJ01024401201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Table 1.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E O1 X1 O2

E: Experimental group, O1: Pre-test, O2: Post-test

X1: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lients.

Item Sub-item Frequency (%)

School career (n=7) High school graduate 2 28.6
2-year college 2 28.6
4-year college 2 28.6
Graduate school 1 14.3

Cancer stage (n=7) The beginning 3 42.9
The middle 3 42.9
The last 1 14.3

Kind of a cancer (n=7) Breast cancer 5 71.4
Ovarian cancer 1 14.3
Thyroid cancer 1 14.3

Table 3.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indoor activities for cancer patients.

Session Date Horticultural activities

1th May 12 Seeding for growing vegetable sprouts
2th May 19 Making a small herb garden
3th May 26 Making a grass doll
4th June 2 Making a hydroponic wick planter
5th June 9 Making a potpourri pocket
6th June 16 Making a small succulent garden
7th June 23 Making a dish garden with foliage plants
8th June 30 Making a topiary

Table 4.

Normality of pre-score for self-integ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Item Pre score p

Self-integrity 23.14±2.97z 0.200NS
Post-traumatic growth 15.14±4.02 0.200NS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at p<0.05 level by Kolmogorov-Smirnov test

Table 5.

Pre-post difference comparison for self-integrity for within experimental group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Item Pre score Post score p

Satisfaction with current life 23.14±2.97z 25.14±2.61 0.123NS
The wise lives 15.14±4.02 17.29±2.14 0.102NS
Attitude to life 25.29±4.57 26.14±4.06 0.167NS
Acceptance of past life 15.14±3.63 16.71±1.70 0.175NS
Acceptance of death 12.86±3.44 14.14±3.89 0.197NS

Total 91.57±13.07 99.43±9.54 0.042*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0.05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0.05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Table 6.

Pre-post difference comparison for post-traumatic growth for within experimental group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Item Pre score Post score p

Changes in self- perception 22.14±6.04z 24.00±4.51 0.246NS
Increasing the dep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18.14±5.27 20.71±3.95 0.068NS
The discovery of new potential 11.14±4.18 11.00±2.16 0.833NS
Increase of spiritual and religious interest 6.86±3.67 8.00±1.91 0.285NS

Total 58.29±16.71 63.71±8.48 0.173NS
z

Mean ± Standard deviation.

NS

Nonsignificant at p<0.05 level by Wilcoxon signed rank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