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도상학 및 현대 미학적 해석

Soswaewon and Villa d'Este Garden Iconography and Contemporary Aesthetic Interpreta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5;18(5):465-472
1 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2 경남도립남해대학 관광조경디자인과
서 혜주1, 이 정화2, 허 무룡1,
1 Dept.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660-701, Korea(Insti. of Agri. & Life Sci.)
2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Provincial Namhae College, Namhae 668-80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mrhuh@gnu.ac.kr
Received 2015 September 20; Revised 2015 October 16; Accepted 2015 October 18.

Abstract

Sosaewon and Villa D’este were built in the early of 16th and mid-of 16th each. Sosaewon was built based on the accommodation of topography of the surroundings whilst Villa D’este highlights the distinction of terrace and axis exist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s and natures. Both gardens have reflected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in that period of constructing tat the builders had been through. These factors have been analyzed by iconological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inherent meaning of the garden in philosophical, mythological, religious and Feng-shui context and discovered the interconnected relations between two gardens. The characteristic of Sosaewon’s space is based on the Mu-yi-gu-gok, which is derived from a Taoist, due to a builder’s Neo-Confucianism value. Hence Sosaewon contains the adaption of the nature itself based on the values of Mu-yi-gu-gok, which are expressed by visual, auditory and literary elements, brining about the poetic beauty of waiting. The structures of Villa D’este reveal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art whilst it also connotes the theme of ‘The Choice of Hercules’, indicating the builder’s philosophy and will symbolically. Each space of Villa D’este has diverse space for various interpretations followed by this theme. For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Sosaewon and Villa D’este, Sosaewon has adapt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which contain a view of nature, on the other hand, Villa D’este borrow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to build and decorate the garden, using natural terrace and axis for the variation, and drag the river near the garden artificially to fit into the axis of the garden. Villa D’este contains significant mythological and iconological factor intended to highlight the builder’s dignity, status and position.

Ⅰ 서론

현대의 정원은 문화의 흐름에 따라서 독특한 예술성과 창의적인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미술사적 사조에 편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 다. 현대정원에서 포스트모던적 경향은 대상지에서 조형성과 예술 성을 함의하는 이를테면 과거와 현재의 시간성이 중첩된 다층적 국 면에서도 쉽게 목격이 된다.

현대에 와서 정원의 한 측면은 생태적, 미술적, 환경적, 교육적, 심리적으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며 미술과 같은 또 다른 장르로 인식이 되어 현대미학을 함의하는 예술작품으로 승화되어 나타나 고 있다. 또한 조경은 미술사조의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다양한 미 술양식들에 형태적 근거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정원은 예술 장르와 상호 결합된 복합체가 성립되어 과저의 픽처레스크적 조경 요소에서 탈 장르적 요소를 접목하여 다원화 경향을 보이며 독특한 창의적인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정원 연구를 다루고 있는 대다수의 논문들은 정원의 형태적, 물 리적인 요소와 특성에만 주목함으로써 정원의 조영 요소에 담긴 미 학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 서 본 논문은 16세기 초·중반 조영 되어 동·서양을 대표하는 한국의 소쇄원과 이탈리아의 빌라 데스테 정원의 예술적 가치를 현대미학 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포스트모더니즘에 입각한 해체주의적인 경 향으로 검증하고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형식의 예술정원을 표상하 는데 하나의 지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두 정원의 조영자들 이 표상하고자 하였던 정원의 개념을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하 여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조영 요소들이 내포하는 사유방식 과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여 비교 및 분석하고, 나아가 포스트모 던의 해체주의 개념을 통하여 의미 요소들을 추출함으로써 현대미 학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조영자들이 표상하고자 했던 정원의 개 념적 요소를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의 도입을 통하여 각각 정원 이 나타내고자 하는 동양적 사유방법의 의미론적 분석과 서양적 내 적 질서의 신비로운 표상의 의미론적으로 분석하여 대상지의 주체 성의 유무를 파악하여 대상지가 갖고 있는 역사적 장소성과 현재성 은 소수집단의 소유지가 아닌 여러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대중적 인 것으로 공간적 구성적 요인을 분석하였다(Jang, 2009).

동.서양을 대표하는 한국의 소쇄원과 이탈리아의 빌라 데스테의 정원의 예술적 가치의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여 현대미학적 관점 으로 해석을 적용하여 모더니즘 시대의 명확한 형태와 기능이 아니 라 도시의 각 요소들 간의 관계와 역동적인 변화가 새로운 주제로 부각되는(Sung and Kim, 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의 미학을 접목하여 두 정원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적 요소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두 정원의 조영자들이 표상하고자 하였던 조영 요소들을 파노브 스키의 도상해석학을 도입하여 의미 해석을 수행하고 나아가 포스 트구조주의 텍스트해석 방법론을 통하여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도상학적 해석

1) 소쇄원

정원 구성에 공간적 배경은 필수 요소이며 주요 구성물은 연못, 산, 바위와 괴석, 대나무와 매화, 편액 등으로 조영에 따른 도상해석 학 적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지원도 형(方池圓島形) 연못은 고대로부터의 우주관이나 자연관인 천원 지방(天圓地方)과 관련 있다. 천원지방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 라는 의미이지만 결국 양은 ‘둥글고’ 음은 ‘모나다’ 라 는 의미이며 우주만물의 존재와 운행의 원리를 표현한다. 방지원도 형태의 연못은 우주의 존재 원리가 드러나고 우주와 인간의 본성을 찾으려는 성리학의 세계가 실생활에 반영된 것이라고 본다. 우리나 라의 성리학은 선비가 갖추어야 할 교양이며 기본적 생활의 철학이 나 규범으로 되어 내려오고 있어 선비들은 성리학적 관점에서 모든 사물을 인식하여 자연의 근원적 진리를 발견하려고 노력하였다.

산이나 언덕에 관련하여서는 사람은 현실에서 실현하지 못하는 제약에 대해 이를 벗어나고자 하였고, 이는 이루어질 수 있는 가상 의 세계를 삼신산 사상을 가지게 하였다. 정원 조성에 있어 산을 지 정하거나 가산을 조성하여 삼신산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연 풍치나 가산의 모습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화한 것이다. 정원의 가산은 경관의 조성뿐 아니라 이상적 세계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돌이 나 괴석은 삼라만상 중에서 항구적이고 변화가 없으며 위엄이 있다 고 보았고 안정 상태로 존재하므로 예로부터 인정할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유교적 가치관이나 자연관을 가진 선비는 돌이나 바위로부 터 개인의 인격 수양, 사회적 윤리관의 배양이 가능하다는 교훈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정원 조성에 있어 자연 상태로 정원 속 에 포함하려 하였고 괴석은 이동을 하여 배치하였다. 이러한 조성 은 돌이나 괴석이 관람자의 자연의 현상을 느끼게 하고 경관을 산 수로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대나무는 군자의 강인함, 겸손, 지조 등을 상징하여 예로부터 생 활과 예술에 사용된 식물이다. 매화는 은은한 향기와 추위가 있는 초봄에 꽃을 피우는 특성이 있어 선비의 유교적 윤리관과 부합하여 예술이나 정원수에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유교 숭배 사상을 지닌 선비는 이전 성현들의 언행과 행동에서 매화를 칭송하고 흠모하는 행적을 본받아 이를 따르려 하였고 세속을 초월하는 은둔자의 상징 으로 여기게 되었다. 무이구곡과 같은 원림을 은거하여 유교적 이 상 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옛 성현의 사상과 행적을 따라 하려 는 자세로 편액의 내용을 삼았고 편액의 내용은 성현의 사상과 언 행을 기록한 구절, 문장에서 발췌, 인용하였으며 산수의 예찬이나 풍류 표현 등도 있다. 편액과 각서는 당대 사람의 생활철학과 사상 또는 욕망을 함축하여 나타난 유형 자산이다(Huh, 2002).

공간은 두 가지 요소를 통해 특징을 창조해낸다. 첫 번째로는 공 간형성을 이루는 물리적 요소들을 통해서, 두 번째로는 공간을 표 현해내는 요소들을 통해서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다양한 방식으 로 해석한 복합적 요소로서, 공간에게 해석 가능한 텍스트를 부여 하게 된다. 이 텍스트는 표면적 부분의 해석부터 그 속에 담긴 메시 지의 해석까지 범위를 넓히게 되며, 이 때 텍스트는 물적 요소에서 벗어난 종교적, 철학적, 역사적, 사회적의 맥락으로 연결되는 것이 다( Yoo, 2004). 즉 공간의 의미해석은 단계적 방법을 거친다. 시작 부분은 물리적, 표면적 부분의 해석이며, 이를 거쳐 종교, 철학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들에 도달하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복합 적으로 합친 것이 공간의 의미 해석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원' 이라는 공간 또한 해석이 가능하다. 정원에 내재된 다양한 의미들 또한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하나의 의미가 다른 의미들과 중 첩이 되어 정원이라는 공간에 반영된다.

소쇄원의 총 면적은 입구에서부터 담장까지의 면적인 1,350평 으로 등록되어 있다. 구전과 ⌈소쇄원사실⌋ 그리고 소쇄공의 후 손인 양재영은 담 밖의 영역인 외원까지 포함해 실제 소쇄원의 면 적은 10,000여 평에 이른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소쇄원의 공간적 개념을 분석하는 데는 무이구곡의 개념형식이 흔히 적용되 며 이는 그림으로 그린 구곡도와 시로 노래한 구곡가의 개념에 따 라 공간을 여러 마디로 나누고 그 절점마다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다(Chun, 1999). 무이구곡은 무이산의 계곡 풍경을 그린 산수화 형태로 무이구곡도는 성리학과 함께 조선에 유입되어 조선조 회화 의 한 양식이 되기도 하였다. 무이도가에 따른 하서 김인후의 해석 으로 보면 무이도가의 1-3곡, 4-6곡, 7-9곡을 각각 ‘입도’, ‘안화지 위’, ‘극처’의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하고 있다. 수직 축은 석축, 수 평 축은 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 시각적

초입에 들어서면 대나무 숲이 양 사방으로 전개되어져 있다. 숲 이 지나고 나면 밝은 정원이 나타나 기다림의 미학적 공간인 대봉 대의 초가 정자가 보이며 광풍각(光風閣)과 제월당(霽月當)은 대 봉대쪽의 진입로를 바라보게끔 되어 있다. 소쇄원의 총 면적은 1,350평이며 소쇄원에서의 가장 햇볕이 잘 드는 공간으로는 애양 단은 효를 반영한 공간으로 매화를 심은 매대와 입구에 대나무의 식재한 제월당은 뒷편 대나무 숲의 바람소리가 마음을 고양시키는 연유로 소쇄원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Park, 2001). 그 리고 복숭아 정원으로 도교의 안빈낙도를 상징하며 공간의 단절과 연결의 자연스러운 공간으로 오곡담과 오곡문이 구성되어져 있다.

나 청각적

소쇄원은 물과 소리의 정원으로 소쇄원으로 들어서면 물소리가 계곡을 울린다(역사경관연구회, 2008). 들어서는 물은 담장 밖 외 부에서 오곡담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폭포가 되기도 하여 계 류의 물소리는 청각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담장 안으로 흐르며 물소리가 물길을 따라 소쇄원 안으로 울리며 대나무 숲을 스치는 바람과 소리의 움직임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연 속에 있는 일 상의 소리들은 정제되지 않는 음으로 나타난다(Park and Yoon, 2009).

다 공간구성

공간배치를 보면, 입구는 다리에서 이동 축이 꺾여 정원을 진행 하게 되어 있다. 진입로 진행 후 정원의 건물이 시야에 들어오게 구 성하였다(사진 1). 조망 축은 다리를 지나면 변화하고 입구에서 하 늘이 보이지 않는다(사진 2). 공간의 활용은 광풍각과 제월당은 담 을 통한 인위적 경계가 없으며,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자연적으 로 구성 되어 있으며 친화적 자연의 접근이 가능하다. 정원 내 물의 활용에 있어서 청각적 아름다움의 물소리와 시각적으로 풍광을 감 상하는 정원이며 조영된 골짜기에서 나는 폭포 소리는 감각 이용을 극대화이며 조담은 용솟음치는 폭포수를 봉황새의 춤으로 비유한 다. 탐암은 사람이 정좌하고 수양하는 공간적 의미가 있다. 또한, 주 위 급경사 활용을 위하여 산의 영역과 정원의 영역은 애양단으로 구분하고 산의 기울기는 지형을 이용하여 수직쌓기 매대에 매화를 식재하였다. 완경사나 급경사에 따라 구분하여 그대로 조영을 실시 하였다(사진 3).

사진 1.

소쇄원 입구의 공간배치.

사진 2.

소쇄원 조망축의 변경.

사진 3.

주위 급경사 활용.

제월당은 주인이 거처하면서 학문에 몰두하는 공간, 가까이는 사랑방 기능의 광풍각과 담으로 구분짓고 밖으로는 마을과 담으로 경계를 지어 안과 밖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자연과 일치함을 추 구하고 있다(사진 4). 담으로 사방을 막으면 정원 영역과 밖을 확연 하게 구분하는 것이지만 소쇄원은 담이 중간 중간에 끊겨 있어 미 완성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담은 정원을 조성한 사람의 숨은 의도가 있다. 광풍각과 제월당을 둘러싸고 있는 담의 형태는 건물 로 들어가면 집의 내부가 되어야 하지만 담이 끊겨 외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공간의 단절과 연결이 자연스럽게 구성되어 자연과 단 절되지 않게 하고 있다. ‘ㄷ’ 형태의 담은 안과 밖이 구분되지 않는 효과를 지닌다(사진 5). 오곡담장은 자연과 상호보완적인 상생으 로 자연에 순응하는 공간이 되어 오곡문은 주자의 무이구곡에서 오 곡의 공간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사진 6).

사진 4.

안과 밖이 분리되지 않은 구조.

사진 5.

단절과 연결의 극대화.

사진 6.

자연 순응 공간.

2) 빌라 데스테

지리적으로 두 번째 교차 축에는 물의 발원지인 지역 강의 신을 나타내는 분수가 건설되어있다. 또한 ‘Fountains of hundred’ 에 는 세 가지 수도관이 있는데, 이것은 그 지역의 데스테 가문과 세 개 의 강이 티볼리에서 출발해 로마로 들어가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 다. 이는 데스테 가문 이폴리토 추기경에 대한 경이 또한 암시한다.

가 헤라클레스의 선택

빌라 데스테 정원을 도상해석학적으로 해석함에 있어, 가장 큰 테마는 단연 헤라클레스이다. 헤라클레스는 에스테 가문의 선조 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폴리토 추기경은 이를 바탕으로 정원 곳 곳에 헤라클레스를 상징하는 암시를 설계하였다. 특히, ‘헤라클레 스의 선택’이 가장 큰 줄거리를 차지하는데, 이는 신화 속에서 헤라 클레스가 쾌락과 미덕의 갈림길에서 미덕을 선택한 용감함을 기리 는 것이다. 그리하여 빌라 데스테의 정원은 다양한 갈림길로 구성 되었는데, 이는 미덕의 선택을 생각해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 신화 속에서 헤라클레스가 잠들지 않는 용을 죽인 일화를 조각 한 분수를 설치하였다. 정원의 제일 높은 곳에는 헤라클레스와 데 스테 가문을 상징하는 사과를 쥔 독수리가 조각되어있다. 그리고 헤라클레스의 방을 포함한 궁전 속의 다양한 홀과 분수에 헤라클 레스를 상징하는 그림과 조각을 새겨 넣어 티볼리의 수호자를 상 징한다.

나 용들의 분수

티볼리의 수호신이자 이폴리토 가문의 조상인 헤라클레스를 위 해 바쳐진 분수이다. 조각된 용들은 잠들지 않는 용으로서 분수 뒤 헤라클레스 상을 지키는 수호자 역할을 한다(사진 7).

사진 7.

용들의 분수.

다 신화

도상학적 해석에 의하면 빌라 데스테를 설계한 리고리오는 당대 최고의 설계가로서, 정원에 역사적, 신화적, 전설적 의미를 녹여내 는 것으로 유명했다. 리고리오는 빌라 데스테에 3가지 분류의 도상 해석을 반영하였다. 자연과 연관된 예술을 보이며 빌라 데스테는 교차축의 끝에는 자연을 상징하는 점경물들이 조각되어있다. 첫 번 째 교차축의 끝에는 넵튠의 분수와 다이애나 분수를 조각하여 자연 과 물의 원천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교차 축은 원형분수에서 시작 하는데, 원형분수 위에는 예술의 여신을 상징하는 페가수스 상이 세워져 있다.

2 현대 미학적 해석

시대 흐름에 따라 양식 변화가 확실한 건축 양식과 같이 규모가 큰 정원은 여러 시대의 정원 양식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유 럽 정원은 중세의 수도원 정원, 스페인의 이슬람 정원,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정원, 프랑스의 바로크 정원도 기하학적 배열 형태를 보 이며 이에 따르지 않는 정원 양식이 풍경식 정원이다. 현대는 과거 와 달리 모든 분야에서 정형성을 추구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정형성 과 형식성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르네상스 정원은 정사각형 단위로 구성되고 좌우 대칭을 중요시 하지 않았지만, 바로크 시대 는 좌우 대칭의 직사각형 구성을 이룬다. 정원은 이러한 평면 기하 학적 요소와 더불어 공간감을 주는 삼차원적 요소가 추가되며 르네 상스의 수벽 樹壁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생태계의 상 호연관 체계 속에서 인간 개체군의 활동에 뒤따르는 물질의 수수과 정이 결합되면 한층 더 복잡한 체계를 이룬다(Hwang, 2011).

현대는 정원의 구성 요소로 분수, 테라스 등의 인공적 구조물 외 에 식물이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커지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정원 은 도시 근교의 산 경사지에 여러 층의 노단으로 정원을 구성하고 상부에 위치한 건물이나 노단에서 빌라 주변의 경관을 독점하여 조 망하게 하였고, 노단에는 병렬 식재, 직선 통로, 장방형 지당을 시선 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선형을 강조하여 투시도식 정원이라고도 한 다. 투시도는 건물과 정원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 기법으로 건물과 자연을 연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바로크 시대 프랑스를 중심 으로 발전한 정원 양식은 기하학적 정원으로 투시도적인 효과를 극 대화하기 위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조경과 건축에서의 양식은 일정한 문화 및 시대적 상황이 반영 되며 동일한 상징성 의미를 갖게 되고, 전통적인 건축이나 조경에 대한 상징성의 적용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 양식과 정원 양식 에 의미를 부합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식 정원에서는 건물과 정 원이 상호 연결되고 보완하는 관계로 구성되며 정원이 건물을 완 전히 지배하는 관계가 아니지만, 프랑스식 바로크 양식은 정원이 단순한 외형 요소가 아니고 오히려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로 건물 이 사용되었다. 르네상스의 투시도식 정원과 바로크의 기하학적 정원 양식은 예술분야의 입체주의 회화에 의한 전통적 투시도 개 념의 모순 발견과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공간 개념의 변화로 영향 력이 약화되었다.

1) 소쇄원과 빌라데스테의 포스트모더니즘 적용과 특성 분석

1970년대 말 경부터 포스터 모더니즘은 최근의 예술적 담론으 로서 포스터모더니즘에 상응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다. 가능하며 사유세계가 지니는 측면을 수용하면서 그것이 지니는 문제를 해결 하며 모더니즘의 탈피를 구하고자 현대성이 만들어낸 탈 구조적 개 념이다. 이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변화들은 포스터구조주 의 핵심명제인 ‘탈 중심화’, ‘이원적 대립의 해체’ 로고스 중심주의 의 해체가 바탕이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Oh, 2004). 대립의 사회 적 인식론적 종합을 거부하고 예술 전반에 걸쳐 개방성, 해체, 다원 성 등 부정확한 이론들을 전부 포괄하는 개념이며 해석학, 역사, 과 학, 철학적인 영역과 예술사조에 적용하는 분야라고 한다. 그리고 포스터 모더니즘은 표상자체를 추구하는 것이며, 다원성과 비결정 성을 기본적인 철학적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장르가 붕괴되고 혼 합되는 양상을 보이며, 새로운 재현으로의 예술적 추구는 다원적이 고 확산적이며 지속과 단절, 현재 속에 과거의 모방이 아닌 확장의 개념으로 모든 형식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변증법으로 작용하여 현 재와 과거의 동시성을 획득한다. 공간상호성 즉 병렬적, 수평적, 평 등적, 공간의 확산을 통한 공동체 의식도 가지게 된다(Hong, 2004). 그리고 포스터 모더니즘은 의미의 회복으로 역사적, 전통적 요소를 적용하여 의미 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중의 참여 유도 와 예술은 행위를 통하여 시간, 공간에 의해 변화되며 예술적 행위 에 있어서 자유로운 과정을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고 이 러한 개념들 속에서 가치관의 세계화 보편화 경향을 찾아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역사적 상징성을 통해 인간의 정신적인 능 력을 확산한다.

동양과 서양 정원의 미학적 개념인 시대적으로 16세기의 한국정 원의 별서정원으로 대표적인 소쇄원과 이탈리아의 빌라 데스테는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동·서양의 조경예술의 미학적 해석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이미 지들이 교차하여 층위가 겹쳐져 하나의 텍스트 구조를 이루는 포스 트모더니즘의 미술텍스트에 이질적인 형태의 요소들과 상호연관 관계는 더욱 효과적인 의미의 해석을 할 수 가 있다. 다원적인 형태 와 포괄적인 수용적 차원으로 인간이 추구하고 도달하고 싶은 미래 지향적인 공간이며 내재된 의미적 해석으로는 환경적, 심리적, 교 육적인 과정으로 회화적 형태를 적용하여 조경예술에 새로운 가치 관을 적용한다.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두정원의 공통된 특징은 물의 정원으로 인간. 만물의 생명적 연관 관계인 물의 요소를 작품 에 내재하여,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두 정원의 요소를 포스트모 더니즘과 해체주의의 특성을 적용하여 다양한 의미해석을 분석하 여 표기화 하였다(표 12).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적용.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 분석.

2) 해체주의

해체주의를 탈 구축이라고 하며 자연 철학이라고 한다. 전통의 복구를 위해 시도하지 않고 형이상학을 극복하려는 오늘날의 시도 를 오히려 해체한다는 것이다. 데리다(1930~2004)는 자연은 공간 적, 시간적 개념의 의미가 포함 되어 있으며, 해체는 무엇인가를 유 지하는 긍정적인 힘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창조 적 형태를 포착 하려는 의도로 철학의 바탕을 이룬다고 하였다. 해 체의 구성적으로 전위, 분절, 단절, 분열, 왜곡, 이질, 중첩, 병치, 인 용, 탈중심, 탈구성, 불연속, 비정형, 형질변환 등으로 표현하고 있 다(Lee and Hwang, 2013). 해체주의는 새로운 가치와 형태를 추 구하며 개방성을 중시한다. 이는 모든 원리로부터 자유로워지며 어 떤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며 위계적 질서에 대한 고집스러운 집착 을 버리고 다양한 상상력과 개방적인 형이상학이 발달하고 있는 가 운데 드러나지 않았던 문화적 해방의 가능성을 안고 인식한 여러 가지의 개념을 상호작용으로 현실적 시대적 상황과 연결된 예술적 형태의 개념을 추구하는 것이다(표 34).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해체주의 비교.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적용분석.

Ⅳ 적요

16세기 초·중기에 조성된 한국의 대표적인 별서정원인 소쇄원 과 이탈리아의 빌라 데스테 정원은 공히 자연지형을 이용한 조영 조성의 흔적이 현저하며, 그 조영 요소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요 소들이 도상해석학적인 해석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현대미학 인 포스트모던 미학과 그 경향 중의 하나인 해체주의 시각에 대한 고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조영 요소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정원의 조영 요소가 함의하는 복 합성, 동시성 그리고 다층구조적인 이미지들이 도상해석학적인 측 면이나 포스트구조주의 텍스트해석 방법론적으로 검증하고 해석 가능한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s

Chun DY. The most beautiful garden in Korea, Soswaewon. Balun. Seoul. Korea 1999.
History Research Officer. Korea garden visits. Handbook. Dongnyuk. Seoul. Korea 2008.
Hong MJ. Study on expressions of postmodernism and modern social poster. Master Thesis. Ewha Womens Univ 2004.
Huh K. The world where the korea Sunbi used to be walked. Darumsesang. Seoul. Korea 2002.
Hwang KW. Analysis of the landscape (The beauty of knowing). Munhwa Published 2011.
Jang DS. The meaning and value of heritage inscribed on the environment. JoGyeong 2009.
Lee SM, Hwang KH. A study on the impact of deconstruction on arman's artworks with object. J. Kor. Soc. Of Basic Design & Art 2013. 14(3)197–205.
Oh SK. A critical approach to postmodernism ar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ext'. PhD Diss. Hong-Ik Univ 2004.
Park HA, Yoon JE. A study on appearing in Soswaewon as a space of amusement structure. J. Kor. Soc. of Basic Design & Art 2009. 10(4)137–145.
Park JW. Bowl containing a landscape garden. Seohaemoonjib. Seoul. Korea 2001.
Sung KT, Kim KD. New landscape aesthetics. Sunjin-MoonHwasa. Seoul. Korea 1996.
Yoo JE.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Italian renaissance villa garden - Focused on Villa Lante and Villa d'Este. Master Thesis. Univ. of Seoul 200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사진 1.

소쇄원 입구의 공간배치.

사진 2.

소쇄원 조망축의 변경.

사진 3.

주위 급경사 활용.

사진 4.

안과 밖이 분리되지 않은 구조.

사진 5.

단절과 연결의 극대화.

사진 6.

자연 순응 공간.

사진 7.

용들의 분수.

표 1.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적용.

요소 고유특성 공통점
소쇄원 빌라 데스테
총체적
  • 이상 추구와 자연미 표현

  • 자연과 선비간 교류

  • 신화 등 미적 가치 표현

  • 티볼리의 역사 강조

  • 물의이용

  • 토착성 강조

  • 다윈주의

  • 시대의 현실반영

공간적 •자연과 공간의 일치와 자연의 이용 •역사와 신화, 가문의 이미지 설계와 배치 •자연과 인공의 적절한 조화
감감적 •시각, 폭포와 청각, 바람의 촉각을 반영 •시각을 비롯한 폭포와 오르간 분수를 통한 청각요소 •다양한 감각 중시
조형 재료적 •자연적이고 불규칙, 입체적 계류와 지형을 최대한 이용 •티볼리 지역의 계류 사용과 타 지역 식물 이용
  • 자연적 불규칙

  • 지형의 이용

상징적
  • 유교, 도교의 사상과 상징

  • 성리학적 사고

•역사성, 신화성의 가치 부여
  • 역사성과 사상적 가치부여

  • 현실성 반영

표 2.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 분석.

정원 소쇄원 빌라데스테
포스트모더니즘 특성 구체적 지표 포스트모더니즘 특성 구체적 지표
총체적 view 토착성 강조 낙향, 소쇄원 일대와의 어울림 다원주의, 토착성 강조 다양한 미적 가치와 티볼리 지역의 역사 강조
공간 요소 단순하고 다양한 공간설계 역사성의 가치 부여 복잡하고 다양한 공간 설계 신화의 가치 부여
감각적 요소 다양한 감각 중시 시각, 폭포의 청각과 바람의 촉각을 반영 다양한 감각 중시 시각을 비롯하여 폭포와 분수를 통한 청각적 요소
조형 요소와 재료 토착성, 자연적 자연적 계류 사용 자연적, 토착적 인공적 티볼리 지역의 계류 사용

표 3.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해체주의 비교.

정원 소쇄원 빌라데스테
특성 구체적 지표 특성 구체적 지표
총체적 요소 주변 자연과 선비와의 교류 자신만의 유유자적과 토론 장소의 공간 건설 자기 가치의 표현과 개성 강조 데스테 가문의 표식을 곳곳에 나타냄
공간적 요소 자연과 공간의 일치 자연에 순응하는 공간 공간 구역의 자유로움과 상실 입체적, 자연을 거스르는 공간과 순응하는 공간의 혼합
감각적 요소 다양한 감각 중시 시각, 청각, 촉각 다양한 감각 중시 시각과 청각, 촉각
조형적 요소 인공적, 자연적, 복합적 토착의 혼합 자연적이고 불규칙 지형을 이용 이국적, 토착적의 혼합 티볼리 지역 지형이용

표 4.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적용분석.

소쇄원
항목 포스터모더니즘 특성 해체주의 특성 구체적 요소
프로그램 공간 기능의 중첩과 상징 시각적, 청각적 등 다의적 가치부여 예술 장르간의 관계는 완전통합으로 다의적 사고
공간적, 시간적 요소 상징적 요소의 도입 인간과 예술의 접합적 요소 역사성의 가치와 현재가치부여
조형 요소와 재료 자연적 토착성 지역성 인공적 재료와 토착적, 자연적 재료 공간 구성의 형태와 교육적
빌라데스테
항목 포스터모더니즘 특성 해체주의 특성 구체적 요소
프로그램 다양성 강조 토착성 혼합토지 적용 자기 가치 표출과 개성 강조 다양한 미적 사고와 다의적 가치 부여
공간적, 시간적 요소 복잡한 설계와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공간 설계 공간 구역의 자유로움과 상실 입체적이고 불규칙성과 다양한 표현
조형 요소와 재료 자연적 토착성 토착적 자연적 재료 사용 다의적 점진적 가치 실현